Top Banner
- 서울시 직장맘 지원센터 , 이호섭 -
6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Jul 14, 2015

Download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서울시 직장맘 지원센터, 이호섭 -

Page 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직장맘, 직장파더”라는 말이 사라지는

서울시를 위해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사람들 -

Page 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우리는 모두 일하는 사람들

2014. 5. 17. 열린마루 일하는 시민DAY 참가자들!

Page 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일이라는 개념을 어디까지봐야 하나요?

• 직장에서 퇴근하면 저는 가정으로출근해요…

• 잠잘 시간이 허락될 때 쉴 시간도 상상할 수 있다!잠자는 시간(3~4시간)을 빼면나머진 일하는 시간인 직장파더

• 매일 일과 가족의 평균대에서시소타기 …

Page 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무상보육이 되고 나서 맞벌이 부부는 더 힘들어졌어요.

• 돌봄의 노동 가치를 알아주었으면 좋겠어요.

• 자녀의 학습 스케줄로 좋은아빠 되기 싶지 않아요.

Page 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지역에서 필요를 나누고

싶어요.

(정보를 얻기 쉽지 않아요)

• 많은 제도나 서비스는 있는 것같은데 이용하기 어려워요.

• 아이가 아플 때 정말 괴로워요.

Page 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맞벌이 부부가 특히 직장맘이

맘편히(죄책감 없이) 일과 가족

이 양립되는 서울

• 일하는 시민의 다양한 일

(시간, 내용, 방법)을 받아들일 수있는 서울

• 직장맘, 전업맘의 경계가 없는

Page 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오후 4시면 퇴근하는 엄마

아빠가 많은 서울

• 출산 휴가나 육아휴직을 엄마,아빠가 잘 사용할 수 있는 서울

• 누구의 엄마 아빠 직장인이 아닌나 혼자의 휴식이 20분이라도보장되는 서울

Page 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일과 가족이 양립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주세요!

• 스웨덴 같은 아빠 육아휴직 강제화 도입해요!

• 다양한 근로시간과 형태를 시범 운영해볼까요!

• 자치구별 건가센터 병아보육돌보미 베치

Page 1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국공립 보육시설 확대에 계속 힘써주세요.

방과후 돌봄교실에 대한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도

제안합니다.

• 직장맘, 직장파더들도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자조모임들을지원해주세요!

• 직장맘지원센터 같은 중간 지원 기관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Page 1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누구나 일하고 누구나 돌보는 서울

직장맘, 직장파더라는 말이 사라진 서울

우리 모두 일하는 사람임을 행복해 하는 서울

행복한 서울 시민이 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Page 1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1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1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변화된 미래를 만드는 미혼엄마 모임, 김선영 -

Page 1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한부모 가족의 상처를 보듬어 주는 서울

Page 1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집 걱정 없는 서울

Page 1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사회적 돌봄과 지원으로

일할 수 있는 서울

Page 1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노후 걱정 없는 서울

Page 1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여성이 혼자서도 얼마든지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Page 2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동부권 한부모가족지원센터 부자가정모임회원 -

Page 2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2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서북권한부모가족지원센터, 전미숙 -

Page 2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저소득 한부모가 자립할 수

있는 서울

Page 2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아이들 교육비 걱정 없는 서울

Page 2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병원비 걱정에 아파도 병원

못 가는 엄마가 없는 서울

Page 2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가족이 위기에 놓이는 순간

손 잡아주는 서울

Page 2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편견 없는 서울

Page 2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2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 오순희 -

Page 3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사실 아이가 커갈수록

힘들어져”

Page 3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좁디 좁은 방,

불안정한 주거

Page 3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나도 일하고 싶다!”

“나도 남을 도울 수 있었으면 좋겠어”

Page 3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그리고…

못다한 이야기…

홀로 사는 남성들

Page 3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3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3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찾아가는 열린마루

<장애인 가족 이야기>

Page 3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미래길 이주여성공동체, 이해영 -

Page 3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필수 수단

돌봄 교실

다문화 배움터

다문화 센터

Page 3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민족차이 없이

모두가 이웃, 아이들이

엄마나라, 아빠나라말 편하게

쓸 수 있는 도시

Page 4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4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소통과 치유 공동대표, 김영자 -

Page 4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가정폭력은

개인적인 일이 아니다!

Page 4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피해자 격리가 아닌

가해자 처벌

Page 4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존중과 배려,

인권교육!

Page 4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4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마포구 30대, 안선영 -

Page 4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빛과 바람이있는 집

내겐 너무비싼 전쟁

우리에게최소평수는?

주 거

Page 4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창 밖의그 놈

셀프안전 하고싶다.

그런데?

안전하기 위한선택적 동거 -

악순환

안 전

Page 4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당연히 난안 될 꺼야

죄다금융 사기꾼

만들어놓으면뭘 해 몰라서

못쓰는데

정 보

Page 5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2030의고독사

관계 가족같이 방 쓰는 내 친구반려동물이 내 가족

내가 아프면누가

위로해주지

관 계

Page 5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1. 기본적 인권 보장하기 위한 ‘최소 주거권 법적 기준’ 공표및 규제

2. 서울시 ‘쉐어하우스 공공 중개기관’ 필요쉐어하우스 연대계약 및 입주 지원시스템 도입 / 입주자보증금 신탁 운영

3. 1인 가구 ‘빛과 바람이 있는 집’ 저금리 보증금 대출 제도

4. 서울시 주거연대계약 제도‘주거연대계약’을 맺은 비혈연가족으로 가구를 인정해주는등록제도 도입

주 거

Page 5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1. 1인 가구를 위한 임시 주거공간 – 레지던스

2. 우리동네 안전시스템 정보 제공우리동네 택배 담당자 정보 공개, 지역 안전시스템 정보제공 필요

3. ‘보호’말고,‘셀프 안전’ 프로그램 – 직장인 비혼들이 이용 가능한 시간대에 프로그램 개설

4. 1인 가구 생활안정을 위한 목돈 지원제도 또는 공제회급작스런 수술비, 전세금 인상 등

안 전

Page 5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1. 1인 가구를 위한 서울시 지원 정책 통합정보제공

2. 1인 가구 노후와 행복한 미래를 하기 위한 공공 재무컨설팅 지원

1. 1인 가구 심리, 정서적 지원 정책

2. 반려동물 돌봐줄 사람을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지원

정 보

관 계

Page 5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혼자 산다는 것은, 때로는 기쁨이지만 때로는 고독이기도 하다.혼자 산다는 것은, 때로는 선택이지만 때로는 강제이기도 하다.혼자 산다는 것은, 나 하나를 책임지는 것이라 안정적이지만오롯이 나 혼자 있어서 불안정한 위험한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좀 더 잘 살기 위해우리는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산다.

관계라는 것은 늘 불안정하여오늘 내가 함께 살고 있는 저 친구가 내일은 나와 같이 살고 있지 않을 수도 있지만,그럼에도 확실한 것은오늘 내가 의지할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나와 한 집에 살고 있는 저 ‘친구’라는 점이다.

저 ‘친구’와 나는 혈연으로 묶이지도, 결혼관계로 묶인 것도 아니지만멀리 있어 내 안전과 생활을 답보할 수 없는 내 원가족보다도더 친밀하고 가까운, 오늘을 함께 살아가고 함께 의지하는,내 진짜 ‘가족’이다.

Page 5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56: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강남종합사회복지관, 김연아 -

Page 5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 부자와 가난한 자가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곳

∨ 같은 지원금, 높은 물가... 그런데 왜 사람들은 강남에?

Page 5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우리마을 훈장님들은……

일, 사회에서의 활동에만 익숙한 대한민국 남성들...

∘ “오랫동안 살아온 세월... 익숙한 라이프 사이클 형성”∘ “은퇴, 퇴직을 하고 나면 역할이 불분명해진다.”∘ “60대 넘으면 도매급으로...”∘ “친구들이 만나자고 해도 적당한 핑계로 빠진다.”

자녀 돌봄에 이어 손주 돌봄까지, 그리고 내 건강은 내가 챙겨야 하는 어르신들

∘ “우리 건강은 우리가 지켜야지.”

Page 5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우리동네 할머니들 사랑마루에 모여요~

어르신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혈연이라는 가족의 울타리...

∘ “근데 호적에 있어서 안 된대.. 그렇게 내가 피해를 보고 산다.”∘ “술 먹고 떼 쓰고.. 그런 자식을 두니 혼자 사는 거나 다름 없다고 생각해.”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보다 복지관, 지역사회 등 사회적 관계망에서 생기는 안정!

∘ “나 혼자 사는 것으로 생각해. 자식도 필요 없어.”∘ “애들이 되면 시집 안 갈 거야. 혼자 살거다.”∘ “복지관에서 밥 주셔서 먹고 살고, 몸 아파도 복지관 상담선생님한테...”

Page 60: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61: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 누원고등학교 2학년, 김규원 -

Page 6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
Page 63: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우리는 모두 일하는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