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5 고고 , 고고고 고고고고 고고 고고 CHAPTER 02. 고 고고 고고 고고 / 고고고 고고 고고고 , 고고고고 , 고고고 고고
23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Jun 24, 2015

Download

Technology

2.5 고속, 경량의 스토리지 서버 선택
3.1 DNS서버의 다중화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2.5 고속 , 경량의 스토리지 서버 선택

CHAPTER 02.

한 단계 높은 서버 / 인프라 구축다중화 , 부하분산 , 고성능 추구

Page 2: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스토리지 서버가 왜 필요해졌을까 ?

모든 웹 서버로 배치 (deploy) 시키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

모든 웹 서버에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를 탑재해야 한다 .

모든 웹 서버의 파일이 정합성을 갖는지 검증하기가 곤란하다 .

웹 서버를 신규로 도입하기가 곤란하다 ( 파일 복사에 시간이 걸린다 .)

Page 3: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스토리지 서버 도입을 망설였던 이유

스토리지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피해가 광범위하게 미친다 .

만일 데이터가 소실되면 복구하는 데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

스토리지 서버는 병목이 되기 쉽다 .

상용 제품은 비싸다 .

Page 4: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스토리지 서버는 단일장애점이 되기 쉽다

Page 5: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Page 6: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스토리지 서버는 병목이 되기 쉽다

Page 7: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Page 8: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이상적인 스토리지 서버

대량으로 접속되어 오더라도 병목이 되지 않을 정도로 빨라야 함

여러 대의 서버에 파일을 동기화하는 것을 피해야 함

단일장애점이 되지 않아야 함

가능하면 오픈소스로 실현하고자 함

Page 9: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HTTP 를 스토리지 프로토콜로 이용하기

Page 10: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Page 11: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3.1 DNS 서버의 다중화

•CHAPTER 03.

•무중단 인프라를 향한 새로운 연구

• DNS 서버 , 스토리지 서버 , 네트워크

Page 12: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DNS 서버 다중화의 중요성

주소변환 (resolve)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다중화와 성능저하의 위험성

서버팜 (server farm) 에서의 DNS 다중화

-> VRRP 를 이용한 구성

-> DNS 서버의 부하분산

Page 13: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주소변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다중화

Page 14: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usr/include/resolv.h

Page 15: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etc/resolv.conf

Page 16: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주소변환 라이브러리의 문제점

최초에 지정되어 있는 DNS 서버가 다운

-> 타임아웃 ( 디폴트 5 초 )

-> 다음 서버로 질의

Page 17: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성능저하의 위험성 ..... 메일서버의 예

1. 목적지 주소의 도메인 파트에 대해 MX 레코드 질의를 한다 .

2. MX 의 결과로부터 A 레코드를 질의해서 송신 서버의 IP 주소를 얻는다 .

Page 18: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1 시간에 1000 통의 메일을 전송

1 시간 = 3600 초

DNS 질의 2 회하면서 총 10 초의 타임아웃 발생

3600 초 /10 초 = 360 통

Page 19: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영향력이 큰 DNS 장애

성능은 저하되지만 에러는 발생하지 않는 상황은장애의 발견을 늦추는 요인이 된다 .

DNS 서버 장애는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크지만 장애가 발생한 장소를 찾아내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가 많다는 데 주의

Page 20: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서버팜에서의 DNS 다중화

VRRP 를 이용한 구성

로드밸런서를 이용한 구성

Page 21: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VRRP 를 이용한 구성

Page 22: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health check

Page 23: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로드밸런서를 이용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