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제 4 제 제제제 제제제제
23

제 4 장

Jan 02, 2016

Download

Documents

hop-moss

제 4 장. 통계적 품질관리. 4 장 . 통계적 품질관리. 학습목표. 제 4 장에서는 지속적으로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인 통계적 품질관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통계적 품질관리란 ? 통계적 공정관리란 ? 품질은 왜 항상 동일하지 않고 변동이 발생하는가 ? 품질특성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관리도란 무엇이고 , 어떻게 작성하고 해석하는가 ? 안정된 공정이 최상의 공정을 의미하는가 ? 샘플링 기법이란 ?. 생산운영관리. 4-1. 4 장 . 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란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제  4  장

제 4 장

통계적 품질관리

Page 2: 제  4  장

학습목표

생산운영관리4-1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제 4 장에서는 지속적으로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인 통계적 품질관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통계적 품질관리란 ?

통계적 공정관리란 ?

품질은 왜 항상 동일하지 않고 변동이 발생하는가 ?

품질특성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관리도란 무엇이고 , 어떻게 작성하고 해석하는가 ?

안정된 공정이 최상의 공정을 의미하는가 ?

샘플링 기법이란 ?

Page 3: 제  4  장

통계적 품질관리란 ?

생산운영관리4-2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고객이 원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생산시스템의 모든 과정에 통계기법을 이용하는 품질관리 기법생산시스템의 모든 과정에 통계기법을 이용하는 품질관리 기법

추출된 샘플의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 랜덤 추출 샘플의 대표성과 샘플 크기와의 비례성

모 집 단

샘플

통계적 추리

Page 4: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3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1 종 과오와 2 종 과오

1 종 과오 : 실제로는 진실인데 거짓으로 판정하는 과오

모집단이 사실은 불량이 아닌데 불량으로 판정할 과오

2 종 과오 : 실제로는 거짓인데 진실로 판정하는 과오

모집단이 사실은 불량인데 불량이 아닌 것으로 판정할 과오

실 제양 불량

판 양 2 제 종 과오

정 불량 1 제 종 과오

통계적 과오

Page 5: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4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우연적인 변동과 조직적인 변동

우연적인 변동 원인이 분명치 않은 변동 확률적이고 일상적으로 늘 발생 주어진 시스템 안에서 통제할 수 없다

조직적인 변동 어떤 특정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변동 지속적인 변동

품질변동의 발생

Page 6: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5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우연적인 변동과 조직적인 변동의 비교

변동 발생빈도 발생이유 책임

우연 연속적이며 무작위적 시스템 설계 경영자

조직 비연속적 시스템 이외의 요소 작업자

Page 7: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6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 특성의 측정 계수치

관심을 갖고 있는 대상의 품질 특성에 대한 허용여부를 결정 계량치

연속적인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제품의 특성으로써 연속적인 값을

가지며 목표값 과의 절대적인 차이를 측정

측정할 때 전문적인 기술을 요한다

소요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된다

계수치 측정에 비해 적은 샘플을 요구한다

Page 8: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7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관리도 관리도란 무엇인가 ?

실제자료를 가지고 공정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순한 도표로서 ,

조직적인 변동이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기법

관리도의 구성요소

중심선 관리상한 관리하한

중심극한정리 , 품질검사비용 , 불안정 공정에서의 손실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

Page 9: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8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관리도관리상한

관리하한

중심선

통계적으로 안정된 공정의 의미 현 시스템하에서 조직적인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공정

통계적으로 안정된 공정의 장점 공정의 상태 예측 비용 예측 생산량 예측 현재의 시스템 하에서 최적 생산량 시스템 변화가 끼치는 영향 검토 용이 원자재 및 부품 공급업자와의 관계 단순

Page 10: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9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하나의 품질 특성만 표시 가능품질 특성의 평균과 분산 ,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정의 균일성을 동시에 관찰 평균 또는 분산에 의해 발생하는 변동

계량치 관리도

규격하한 규격상한

(a) 정상적인 공정

(b) 평균에 의한 변동

규격하한 규격상한

Page 11: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0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c) 분산에 의한 변동

규격하한 규격상한

X관리도 x 관리도라고도 하며 , 단순히 샘플 평균을 이용하여

공정상태를 파악하는 관리도

X 관리도에서 사용하는 분포는 정규분포라고 가정

관리도의 관리한계는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하여 계산

Page 12: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1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X 관리도 작성 순서 매번 샘플을 추출하여 각 샘플에 있는 대상의 품질 특성을 측정 각 샘플의 평균 xi 를 계산 중심선은 관리상한은 + z x . 여기서 z x = /(n)

관리하한은 - z x . 만약 를 모르면 x 를 사용

z 값이 3 일 때 간편하게 다음과 같이 구한다 중심선 = x

관리상한 = x + A2R

관리하한 = x - A2R

Page 13: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2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R 관리도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취한다면 주어진 샘플 내에서

샘플의 범위와 표준편차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

R 관리도 작성순서

매번 추출한 각 샘플에서 범위 Ri 를 구한다

각 범위의 평균인 R 를 구한다

중심선은 샘플 범위의 평균 R 이다

관리상한은 D4R

관리하한은 D3R 이다

Page 14: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3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제품 전체의 품질을 고려하며 , 논리적으로 분류된 품질특성을 다루는 관리도

제품의 품질 특성이 품질규격에 적합한지 또는 적합하지

않은 지를 판단한 다음에 그 결과를 가지고 관리도를 작성

계수치 관리도에서 계수치는 합격과 불합격 , 또는

적합과 비적합 등의 두 가지에 의해 분류된다

사용하는 샘플의 크기는 계량치 관리도보다 훨씬 크다

계수치 관리도

Page 15: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4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p 관리도 ( 불량률 관리도 )

샘플 통계량으로 샘플 내에 있는 불량비율을 가지고

공정의 이상유무를 측정하는 관리도

p 관리도 작성 방법

생산공정에서 주기적으로 샘플을 추출한다

샘플 내에 있는 불량 개수의 비율인 p^i 를 계산한다

중심선은 샘플의 평균 불량률 p` 이다

관리상한선 p` + z p^

관리하한선 p` - z p^

Page 16: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5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c 관리도 ( 결점수 관리도 )

검사 품목을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판정할 수 없을 때 이용

불량비율 대신 어떤 단일 품목 또는 품목의 집합체에 있는 결점 수에 관심

c c 관리도 작성 방법관리도 작성 방법

단위당 품목 또는 품목의 집합체에서 샘플을 추출한다

샘플당 결점 수 c^j 를 계산한다

중심선은 결점수의 평균인 c` 이다

관리상한은 c` + z c^

관리하한은 c` - z c^

Page 17: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6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샘플링 기법이란 무엇인가 ?

샘플링 이론을 이용해 모집단에서 샘플을 랜덤으로 추출

샘플을 검사하고 샘플의 검사결과를 그 샘플을 추출한

모집단의 결과로 추정하는 통계적인 품질기법

샘플링 기법

Page 18: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7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1 회 샘플링 검사

로트에서 랜덤으로 샘플을 한번만 추출한 다음 , 그

결과에

따라 로트의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하는 계획

N = 로트에 있는 품목의 총 개수

B = 로트에 있는 실제 불량개수

n = 랜덤으로 추출한 샘플에 있는 품목의 크기

x = 샘플에서 발견된 실제 불량개수

c = 검사의 대상이 되는 로트가 불량으로 판정 받지

않기

위하여 샘플검사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의 최대허용 한계

만약 x c 이면 전체 로트를 합격으로 판정 x >c 이면 전체 로트를 불합격으로 판정

추출할 샘플의 크기 n 과 허용불량갯수 c 는 생산자 위험과 소비자의 위험 , 그리고 AQL 과 LTPD 에 의해 결정된다

Page 19: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8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AQL(acceptable quality level)

샘플링 계획을 설계할 때 생산자가 미리 정하는 합격과 불합격의

구분 기준 혹은 품질 표준

생산자는 AQL 보다 실제 불량률이 낮거나 , 또는 AQL 과 불량률이

같은 로트가 불합격으로 판정 받기를 원하지 않음

AQL 보다 실제불량률이 낮거나 , 또는 AQL 과 불량률이 같은

로트를 양질의 로트라 한다

1 종 과오가 발생할 확률은 , 대개 의 값은 5%

LTPD(lot tolerance percent defective)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불량 허용한계

소비자들은 LTPD 보다 높은 불량을 지닌 로트를 수용하기를

원하지 않음

2 종 과오가 발생할 확률은 , 대개 의 값은 10%

Page 20: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19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OC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

1 회 샘플링 검사는 극단적인 수치에서만 구별 가능

극단적인 수치 사이에 있는 값들을 명백히 하기 위해

1 회 샘플링 검사 계획을 도표화

단순히 일련의 불량률에 의하여 모집단 제품을 양질로

판정할 확률을 나타내는 도표

OC 곡선의 형태는 , , AQL, LTPD 에 의해 결정

Page 21: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20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전형적인 OC 곡선 전수검사를 하는 경우의 OC 곡선

0

ß

a

LTPD

합격

으로

판정할

확률

AQL 불량률 0 AQL 불량률

100

%

%

합격으로판정할확률

1-

Page 22: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21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2 회 샘플링 검사 처음에 샘플을 추출한 다음에 그 결과를 가지고 합격과 불합격 ,

또는 추가 샘플을 다시 추출할 것인가를 결정

추가샘플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 다시 두 번째 샘플을 추출해

최종적으로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

2 회 샘플링 검사의 순서 먼저 로트 크기 N 으로부터 첫번째 샘플인 n1 을 추출 n1 에서 불량 개수인 x1 을 계산 만약 x1 c1 이면 전 로트를 합격으로 판정 만약 x1 > c2 이면 전 로트를 불합격으로 판정 만약 c1 < x1 c2 이면 두번째 샘플 n2 를 추출 n2 에서 불량률 개수 x2 계산 만약 x1 + x2 c3 이면 전체 로트를 합격 판정 만약 x1 + x2 > c3 이면 전체 로트를 불합격 판정

Page 23: 제  4  장

생산운영관리4-22

4장 . 통계적 품질관리

다회 샘플링 검사

표본을 단지 두 번만 추출하는 것이 아니고 , 그 이상으로 추출

파괴 검사나 모집단 N 이 그리 크지 않은

경우에 이용

추출하는 샘플의 크기가 적다

관리하기가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