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교교교교 교교교 교교 교교교교
29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Aug 10, 2015

Download

Educati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수업

교육실습

Page 2: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순서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교육실습시 유의점

좋은 수업이란 ..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  ICT 활용은 어떻게… 학습지 활용 or 남용 ?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

수업지도안 작성 요령

수업지도안 작성 수업실연

수업실연 평가 기준마이크로티칭 점검표

Page 3: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2009 개정교육과정의 적용: 09 개정교육과정의 혼용 ( 교재 )

● 교육과정 운영 - 교과 ( 군 ) + 창의적 체험활동 - 8 개 교과 ( 군 ) 운영 ( 고등학교 )

학교 현장의 변화

기초 탐구 체육 / 예술 생활 / 교양국어수학영어

사회 ( 역사 /

도덕 )

과학

체육예술 ( 음악 /

미술 )

기술 / 가정제 2 외국어 /

한문교양

Page 4: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 창의적 체험활동 : 특별활동 + 재량활동: 자율활동 , 동아리활동 , 봉사활동 , 진로활동

● 집중이수제 운영: 학기별 , 학년별 집중 이수 가능 / 기준시수의 20% 증감 가능

● 교과별 검인정교과서 선택: 실습학교 해당 교과의 교육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교과교실제 운영 /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학교 현장의 변화

Page 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교 현장의 변화● 학생평가 방법 변화1. 성취평가제 도입2. 서답형 중 서술형ㆍ논술형 문항을 단계적확대3. 학교정보공시 : 우수 , 보통 , 미흡 ( 기초미달 학생 ) 비율 공개

● 학생 인권 및 복지에 대한 관심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관심 , 체벌없는 학교 , 성찰교실 운영 등

Page 6: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학급경영 학습지도

학교업무

Page 7: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대한 이해

근무태도

일반자질

학습지도능력

연구조사활동

학급경영 및 사무처리능력

10 15 50 15 10

Page 8: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일정 ( 예 )

주차 실습 내용

1 주 상견례 , 오리엔테이션 , 학교 소개 ( 연혁 , 운영기구 , 부서 등 )

지도교사 배정 ( 학급 및 교과 ), 학급정보 확인 등

2 주

수업참관아침조회 , 종례 참관수업교재 제작교수학습지도안 제출교문지도 참관 등

3 주수업참관아침조회 , 종례 실습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학교행사 보조 업무 ( 과학의 달 , 소풍 , 체육대회 , 체험학습 등 )

4 주 수업교재 제작 및 실제 수업교생 대표 수업 연구 및 평가회

Page 9: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에 앞선 준비

학교에 대한 기본정보 습득

교육실습에 대한 현장의 입장

교육실습이 자신에게 주는 의미

Page 10: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실습 시 유의점

• 근무자세 및 일지 작성

- 복장 : 명찰패용 , 정장 , 실내화 , 보온 , 소지품 관리 등

- 출퇴근 및 시간활용 : 담임보다 먼저 입실하여 준비 , 아침 , 점심시간 활동

- 근태 : 사전허락 , 증빙서류 제출 , 출근부 서명 , 예의 , 인사예절

- 일지작성 : 성실하고 꼼꼼하게 작성

Page 11: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실습 시 유의점

• 학생과의 관계

- 교사의 입장에서 대하기- 학생 사안에 대해 신중히 접근- 담임교사와 협의 필요- 소외학생에 대한 관심- 신체 접촉 유의

Page 12: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참관

- 메모하는 습관 , 사소한 것 모두 기록

- 전공학과 참관이 원칙이되 , 타 교과 참관을 원하는 경우 사전 지도교사를 통해 양해를 구한 후 참관

Page 13: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실습 시 유의점

• 수업실습

- 수업자료 제작 ( 미리 준비 )- 기자재 사용 계획 및 점검-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유의- 자신감을 갖되 배우는 자세 유지- 지도교사에게 곧바로 피드백 요청- 창의적 교수방법 적용 노력

Page 14: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학생발표인가 교사발표인가 ?

발표수업에서…

재미있는 역할놀이 수업 ?

교사만 재미있는 수업

PPT 가 수업을 이끌게 하지는 말자

매체활용은 늘 성공적일까 ?

하기 쉬운 실수들…

Page 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학습지 활용은…

TOO MUCH !!

학생의 본분은 소신껏 틀리기 ?

하기 쉬운 실수들…

발표 , 동영상 , 읽기자료 , 토론… . TOO MUCH!!

학습지 활용 ? 남용 !

질문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못하면… .

Page 16: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잘 가르치는 교사는 ?

나는 ?

어려운 내용쉽게 전달

쉬운 내용쉽게 전달

어려운 내용 어렵게 전달

쉬운 내용어렵게 전달

Page 17: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Contents Skill Attitude

유형의 교사가 되려면 ?

3 요소의 결합 = 잘 가르치는 교사

1

Page 18: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Attention ( 주의집중 )

Relevance ( 관련성 )

Satisfaction ( 만족감 )

관심을 끌기위해 무엇을 ?

어떻게 호기심을 자극할까 ?

어떻게 주의를 유지할까 ?

학생의 경험과 어떻게 연결시킬까 ?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려면 ?.

성공에 대해 어떤 보상을 해야 할까 ?결과가 공정하다고 생각하게 하려면 ?

Confidence ( 자신감 )

필요를 느끼게 해주는 수업

동기유발 (Keller 의 ARCS 모형 )

강의시작 진행 마무리

Page 19: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좋은 시작 VS 나쁜 시작

첫인상이 중요 !

좋은 시작

나쁜 시작

• 수업에 지각• 수업 준비물이 어디 ?

• 교탁 사수• 어디까지 했더라… ?

• 즐겁고 자연스러운 분위기• 영화 , 동영상 , 사진 등으로

주목하게 하기• 여는 질문하기

• 실생활과 연계하기

A

B

Page 20: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상호작용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상호작용 이어가기

뚜렷한 목표의식지금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확인시키기

동기 활용 능력내재적 & 외재적 동기

적절히 활용철저한 준비

모든 내용은 머릿속에

좋은 시작을 마무리까지 이어가려면… .

성공적으로 수업 이어가기

Page 21: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 질문”으로 상호작용 키우기

한번에 한가지 질문

질문을 던진 후 시간 주기

학습을 돕는 질문하기

전체대상 vs 개별학생 맞춤형 질문

한가지 정답만 가정하지 않기

Page 22: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

1. 학생의 능력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때

: 학생의 응답에 대해 좀 더 명료하고 상세한 표현의 답을 요구 , 응답의 적절성을 높여가기 위한 질문

예 ) 다른 말로 좀 더 자세히 말해 볼까 ? 예를 들어 한번 더 설명해보면 ? 이런 경우에는 네가 얘기한 것이 어떻게 될 것

같니 ?

Page 23: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

2. 한번의 질문으로 그치지 않기

: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표현하도록 질문 , 이전 질문에 기초하여 좀 더 복잡한 지식을 표현하도록 질문

예 ) 지금 얘기한 그 방법이나 결과를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 있다면 어떤 문제에 활용할 수 있을까 ?

Page 24: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그렇다면 답변은 어떻게 ?

3. 학생들이 언제나 옳은 답변을 할 수는 없다

: 학생의 응답이 잘못된 방향일 때 응답의 방향을 바꾸되 , 학생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심한 부담을 주지 않고 전환해야 함

예 ) 글쎄 .. 나는 그런 식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 그럼 이런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니 ?

그 주제를 보는 창의적 방법 중 하나긴 하다 .. 어떻게 그 답에 이르게 되었니 ?

내 질문이 좀 모호했나 보다 .. 다시 질문하자면…

Page 2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그러나 모든 것을 잘 할 수는 없다 !

잘 가르치는 방법은 100 가지이다

이야기 구성 ? 전달력 ? 정보를 잘 찾는가 ? 정리능력 ?

못하는 것에 대해 미련 갖지 말기

내가 잘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나는 어떤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내 의견을 어필할 수 있을까 ?

현실적 판단도 필요함

Page 26: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수업지도안 작성 : 수업설계의 조건

선수 및 후속학습과의 관계 속에서 설정

목표 , 내용 , 방법 , 평가의 일관성과 정합성

학습요소의 적절한 시간적 배려

학습자료에 대한 적합한 활용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효과 극대화

Page 27: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수업실연 평가기준

•형식적 완성도

•내용 구성의 적합도

지도안•동기유

발, 설명능력

•진행 및 매체활용능력

수업운영

•언어적 상호작용

•비언어적 상호작용

상호작용

Page 28: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수업실연 채점 기준표

15 15 20

15 15 20

동기유발능력

개념설명능력

언어적 상호작용능력

학습활동운영

자료 및 매체활용

능력

수업운영능력

Page 29: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좋은 가르침의 2 가지 요소내용에 대한 집중

학생에 대한 애정과 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