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4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Mar 15, 2023

Download

Documents

Khang Minh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Page 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i -

제 출 문

국토교통부장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장) 귀하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인프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소음저감장치 고도

화’(연구개발 기간:2016.02.24 ~ 2018.05.23) 과제의 최종보고서 10부를 제출합니다.

2018. 08 .29.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최 찬 용 (인)

참여연구원 : 최찬용 외 8명

공동연구기관명 : 유니슨테크놀러지

참여연구원 : 장강석 외 8명

공동연구기관명 : 지구환경전문가그룹

참여연구원 : 한상재 외 7명

공동연구기관명 : GET-PC

참여연구원 : 손동기 외 5명

위탁연구기관명 : 한국철도공사

참여연구원 김영철 외 12명

위탁연구기관명 : JBT

참여연구원 김한곤 외 2명

국토교통부소관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제38조에 따라 최종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Page 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ii -

보고서 요약서

과제 고유 번호 17RTRP-C114169-02해당 단계

연구 기간

2016.05.22.~

2018.05.23.단계구분 2/2단계

연구사업명중사업명

세부사업명

연구과제명

대과제명

세부과제명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인프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

축 및 소음 저감장치 고도화

연구책임자 최 찬 용

해당단계

참여

연구원 수

총: 46명

내부: 9명

외부: 37명

해당단계

연구개발비

정부:1,895,000천원

기업:631,667천원

계:2,526,667천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 수

총: 46명

내부: 9명

외부: 37명

총 연구개발비

정부: 2,475,000천원

기업:825,002천원

계:3,300,002천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 부서명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궤도토목연구본부 첨단인프라연구팀

참여기관

기관명 책임자

성명

직급(직위) 전화번호 전자우편 과학기술인

등록번호

지구환경

전문가그룹

한상재 대표이사 031-478-4105 10076161

지이티-피씨 손동기 연구소장 10843016

유니슨

테크놀러지

장강석 전무이사 10412606

위탁기관

제이비티 김한곤 이사(팀장) 11262815

한국철도공사 김영철 과장 11447203

요약

본 보고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의 지상 및 차상모니

터링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

축하였으며, 지상모니터링 개소에는 연약지반 측량DB를 활용하여

연약지반 설계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해당구간에서 고속철도

소음저감을 위한 방음벽상단장치와 흡음블럭을 설치하여 성능평

가를 실시하여 성능을 검증확인하였다.

보고서 면수

p. 419

Page 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iii -

〈 요약문 〉

연구의목적 및 내용

목적 - 호남 고속철도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테스트베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인프라 장기 성능평가 및 DB활용기술 개발 - 소음 저감장치 성능향상 및 실용화 기술개발

내용 - 통합 DB 및 안정화 ·GIS기반 기본 및 상세설계 ·GIS기반 통합 DB, UI 시스템구축 및 운영 ·모니터링 데이터 분류 및 체계 확립 ·통합 모니터링 활용계획서 수립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차량-궤도 상호해석 고도화 - 노반 모니터링 안정화 및 잔류침하 예측정확도 향상 ·현장모니터링 점검 및 설치 ·침하측정 DB 확보 및 잔류침하 예측정확도 향상기술 -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및 실용화 ·장기성능검증 및 개선(안) 시제품 제작 ·개선 시제품 현장검증 및 상용화 - 흡음 블럭 고도화 및 실용화 ·흡음 블럭의 장기 소음점감 성능평가 ·개선모델 도출 ·개선 시제품 현장검증 및 상용화

연구개발성과

-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및 통합 DB 시스템 활용계획 수립 ·GIS 기반의 통합 UI 및 DB시스템 구축 - 선로구축물 거동평가 모니터링시스템 및 잔류침하량 예측정확도 20% 이상 향상 ·3차원 차량-궤도 상호작용해석기법 및 잔류침하 예측정확도 향상기술 - 환경소음 저감 장치의 고도화 기술 ·방음벽 상단장치 : 소음 저감량 3dB 이상, 10% 경량화, 20% 단가절감 ·흡음 블럭 : 소음 저감량 3.0dB이상, 15% 경량화, 15% 단가절감

연구개발성과의활용계획(기대효과)

-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 ·모니터링과 지반정보 및 궤도틀림 등 유지보수의 이력의 종합관리는 중요한 연구자산으로 활용 ·차량 주행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여 특이개소 주행특성과 궤도틀림과의 상관성을 통해 향후 운영속도 향상 대비 궤도설계하중 및 구조물 기준수립에 활용 ·설계 침하 오차율을 20%p 저감시킴으로써 노반/궤도 보수 공사 및 부대비용 절감 가능 ·고속철도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안) 제시 - 소음저감 장치 고도화 및 실용화 ·주파수 튜닝기법의 원천기술을 통해 전 고속영역에 대응하는 상단장치를 개선하고 시공성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 ·소음저감 성능의 우수성과 국내 고속선 교통량증가로 인한 환경소음 민원해결 뿐만 아니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해외시장 진출에 활용

핵심어(5개이내)

통합DB 모니터링시스템 잔류침하량 방음벽상단장치 흡음블럭

Page 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iv -

〈 SUMMARY 〉

Purpose &Contents

※Purpose - Development of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frastucture and database application technology applying test-bed of Honam high speed railway - Improv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oise-reduction device ※Contents - Development of integrated database and system stabilization ·Base and specific design of database on GIS ·Construction of integrated database system and UI system based GIS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data ·Establishment of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 planning ·Construction of train monitoring system and improvement of train-rail interaction analysis - Stabilization of ground monitoring system and improvement of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Installation of measurement instrumentation for monitoring system ·Gathering Measurement of time-dependent settlement and database contruction - Improv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ound absorption block ·Conduction of long-term qualification and production of improved trial goods ·Ver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improved trial goods

Results

- Monitoring of test-bed a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integrated database application planning ·Construction of integrated database system and UI system based GIS - Improvement of residual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and railway structure behavior evaluation monitoring system ·Improvement of train-rail interaction analysis and residual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 Improvement of noise-reduction device ·Upper section of soundproof walls: noise reduction 3dB, 10% weight lightening,20% reducing price ·Sound absorption block: noise reduction 3dB, 15% weight lightening, 15% reducing price

ExpectedContribution

-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based on GIS techniqu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nitoring,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disorder of track can be used as important research asset ·Improvement of residual time-dependant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and reduction of roadbed / track maintenance cost ·Reduction of error between actual settlement and predicted settlement(44%→22%) and contribution to economical

design - Improv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oise-reduction device ·Improvement of upper section of soundproof using original technology of frequency tuning method and contribution to economical design ·Making solution for civil complaint to noise and utilization to overseas business

Keywords Integrated DB Monitoring system Residual settlement Upper section of soundproof

Sound absorption block

Page 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v -

〈 목 차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1절. 연구개발 목적 및 필요성 ···································································1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5

3절. 연구개발 범위 ····················································································8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12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36

1절.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 ····································································36

2절.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48

3절.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구축 ····················································71

4절. 지상/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장기거동 평가 ························120

5절.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242

6절.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기술 ························································265

7절. 흡음블럭 고도화 기술 ····································································313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356

1절. 목표 달성도 ····················································································356

2절. 관련 분야 기여도 ···········································································367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373

제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387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 등급 ················································388

Page 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vi -

제8장. 국가과학기술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388

제9장. 연구개발과제수행에따른연구실등의안전조치이행실적··· 389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392

제11장. 기타사항 ··············································································394

제12장. 참고문헌 ··············································································395

Page 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vii -

〈 그 림 목 차 〉

그림 1-1-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축현황 ····································································································2

그림 2-1-1 홍콩 유지관리 계측 사례 ····················································································································12

그림 2-1-2 JR 동일본 방재정보시스템 구성도 ····································································································12

그림 2-1-3 호주 철도교량 모니터링 시스템 사례 ······························································································13

그림 2-1-4 스웨덴 철도교량 모니터링 시스템사례 ····························································································13

그림 2-1-5 스웨덴 모니터링 시스템 계측정보 스마트APP 제공 사례 ···························································13

그림 2-1-6 ARTC의 RailBAM 시스템 ·····················································································································14

그림 2-1-7 고속철도 안전설비 종류 ······················································································································14

그림 2-1-8 철도안전설비 운영 개념도 ··················································································································17

그림 2-1-9 모니터링화면 및 열차안전관리기준과 설치 사진 ········································································18

그림 2-1-10 도시철도 하부시설 및 지반이상구간 감시시스템 설치 및 모니터링 화면 ····························19

그림 2-1-11 도시철도 선로 및 역사 구조물 광역확인 감시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19

그림 2-1-12 IoT기반 철도재난 대응 다목적 센서시스템 설치도 ····································································20

그림 2-1-13 지진 및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데이터 연계 구조 ······································································20

그림 2-1-14 한강교량 온라인 시스템 ····················································································································21

그림 2-1-15 KTMSYS 개요도(철도시설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21

그림 2-1-16 상태정보 처리절차 및 ISO 13374 : 상태모니터링과 진단 ·························································22

그림 2-1-17 The TIMON 운영 및 자료분석 예시 ·······························································································24

그림 2-1-18 고속철도 소음저감용 상단장치의 성능평가 결과(일본) ······························································32

그림 2-1-19 중국의 흡음성능 테스트 위치 ··········································································································33

그림 2-1-20 열차 속도에 따른 흡음성능 추이 변화 ··························································································33

그림 2-1-21 EU 선로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흡음 패널 ·····················································································33

그림 2-1-22 아일랜드 경선로에 설치된 고무소재의 흡음매트 ········································································34

그림 2-1-23 고속철도용 흡음블럭 설치 모습(경부2단계구간) ··········································································34

그림 2-1-24 도시철도용 흡음블럭의 흡음성능 ····································································································35

그림 2-1-25 도시철도용 흡음블럭 설치 모습 (서울메트로, 부산교통공사) ··················································35

그림 2-1-26 초고속철도용 흡음블럭 설치모습(호남고속철도 김제구간) ························································35

그림 3-1-1 연구분야별 추진기관 및 개요 ············································································································36

그림 3-1-2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37

그림 3-1-3 연구단계별 기술로드맵 ························································································································37

그림 3-1-4 월간 공정회의 개최 ······························································································································38

그림 3-1-5 연구현장 점검 ········································································································································40

그림 3-1-6 과제간 정보 공유 ··································································································································42

그림 3-1-7 연구성과 홍보 ········································································································································44

그림 3-1-8 실차 운행 시험 ······································································································································46

그림 3-2-1 호남테스트베드의 선로일람약도 ········································································································49

그림 3-2-2 호남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구조 ······································································································51

그림 3-2-3 호남 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축현황(2단계) ····················································································52

그림 3-2-4 지상부 모니터링 계측기 설치도 ········································································································53

그림 3-2-5 KP위치별 각 침하 DB 및 장기거동 ··································································································55

그림 3-2-6 DATABASE 구축 트리구조 ··················································································································56

그림 3-2-7 지상모니터링 복구 전경 ······················································································································61

그림 3-2-8 계측기 설치 작업계획서 예시 ············································································································62

Page 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viii -

그림 3-2-9 궤도검측차 첨승 차수별 업무협조 사항 ··························································································62

그림 3-2-10 궤도유지보수의사결정지원시스템 현장방문 및 사항점검 ··························································65

그림 3-2-11 KTMSYS 운영환경 및 환경 ···············································································································65

그림 3-2-12 궤도유지보수 체계 ······························································································································68

그림 3-2-13 궤도보수 점검 ······································································································································69

그림 3-2-14 궤도보수 체계 ······································································································································69

그림 3-3-1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도 ············································································································72

그림 3-3-2 S/W 환경 구성 ·······································································································································75

그림 3-3-3 전체 데이터 흐름도 ······························································································································76

그림 3-3-4 MongoDB의 이중화 복제 정책 ···········································································································78

그림 3-3-5 테스트베드 DB ERD ·····························································································································78

그림 3-3-6 roadbed_event_cal의 실제 데이터 구조 ···························································································81

그림 3-3-7 시설물 / 항공영상 GIS 데이터 처리 ·································································································82

그림 3-3-8 좌표변환 매핑테이블 생성 과정 ········································································································83

그림 3-3-9 geoWorks GIS 엔진 레이어 화면 ·······································································································84

그림 3-3-10 geoWorks 서비스 개념도 ···················································································································84

그림 3-3-11 WMS파라미터 사용예시 ·····················································································································84

그림 3-3-12 WFS 파라미터 사용예시 ····················································································································84

그림 3-3-13 geoWorks GIS 엔진 API 지원 화면 ·································································································85

그림 3-3-14 설계 도면을 GIS에 적용한 화면 ······································································································86

그림 3-3-15 점과 선의 매핑 ····································································································································87

그림 3-3-16 임의점에서 KP값 추출 과정 ·············································································································87

그림 3-3-17 노반계측 수집 화면 ····························································································································88

그림 3-3-18 BulkWrite의 Batch Size별 처리시간 ································································································88

그림 3-3-19 Document의 최적화 ····························································································································88

그림 3-3-20 KTX36호 상행선 계측시 NMEA 계측값 일부 ···············································································89

그림 3-3-21 서버시스템의 요청 프로세스 ············································································································92

그림 3-3-22 API요청시 데이터 전달 과정 ············································································································93

그림 3-3-23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통합DB 모니터링 시스템 구조도 ·····················································96

그림 3-3-24 UI System 메인화면 구성 ··················································································································96

그림 3-3-25 누적통과톤수 및 1단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메인화면 ··························································97

그림 3-3-26 통합모니터링 정보 – 지상모니터링 노반(표준성토노반) 화면구성 및 예시 ··························98

그림 3-3-27 통합모니터링 정보 – 지상모니터링 측량 화면구성 ····································································99

그림 3-3-28 통합모니터링 정보-차상모니터링 운행차량 화면구성 ······························································100

그림 3-3-29 통합 모니터링 정보-차상모니터링 고속검측차 화면구성 ························································101

그림 3-3-30 통합 모니터링 정보-지상/차상모니터링 화면구성 ·····································································102

그림 3-3-31 코드 설계 순서와 정보의 흐름도 ································································································103

그림 3-3-32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노반 화면구성 ··························································································105

그림 3-3-33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차상 및 측량 화면구성 ··········································································105

그림 3-3-34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 환경소음 화면구성 ··················································································106

그림 3-3-35 노반 계측기 및 분석 데이터별 대푯값 도출 방안 ····································································108

그림 3-3-36 상태분석-노반 화면구성 ··················································································································108

그림 3-3-37 상태분석 – 측량 화면구성 ··············································································································109

그림 3-3-38 상태분석 – 궤도 화면구성 ··············································································································110

그림 3-3-39 통합DB 현황-계측데이터 분야 화면구성 ·····················································································111

그림 3-3-40 통합DB현황-차량운행 이력 분야 화면구성 ·················································································112

그림 3-3-41 부트스트랩을 통한 화면구성 ··········································································································113

그림 3-3-42 저해상도(노트북) 화면에서 본 화면구성 ······················································································114

그림 3-3-43 모바일 기기(안드로이드)에서 본 화면구성 ··················································································114

Page 1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ix -

그림 3-3-44 HTML5와 Javascript를 사용한 Openlayers 웹맵 라이브러리 ··················································115

그림 3-3-45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지도 표출 예 ······························································································115

그림 3-3-46 AmChart 시리얼 차트 ······················································································································116

그림 3-3-47 AmChart XY 차트 ·····························································································································116

그림 3-3-48 AmChart Gantt 차트 ·························································································································116

그림 3-3-49 GridStackJS를 사용한 화면 ··············································································································117

그림 3-3-50 API요청을 통한 그래프 출력 프로세스 ························································································117

그림 3-3-51 selectRoadEventData API 프로세스 ·······························································································118

그림 3-3-52 selectForRoadbedExport API 프로세스 ·························································································119

그림 3-4-1 표준성토노반(109k231) 계측기 설치도 ···························································································121

그림 3-4-2 연약지반 노반 계측기 설치도 ··········································································································122

그림 3-4-3 접속부노반(120k650) 계측기 설치도 ·······························································································123

그림 3-4-5 전기사용신청서 및 계량기 ················································································································125

그림 3-4-6 데이터로거 측정 슬롯 상태 ··············································································································125

그림 3-4-8 대푯값 유효성 평가 순서도그림 ······································································································134

그림 3-4-9 측정데이터의 유효성 검증 방안(윤중) ····························································································134

그림 3-4-10 윤중·횡압 센서 설치 및 검증 ······································································································135

그림 3-4-11 누적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 산정 흐름도 ··················································································136

그림 3-4-12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연간통과톤수 모니터링 시스템 초기화면 ····································136

그림 3-4-13 일별, 월별, 년도별 누적통과톤수 그래프 ····················································································137

그림 3-4-14 표준시 시각동기화 및 GPS 시각동기화 ·······················································································138

그림 3-4-15 고속검측차(Roger1000K) 운행에서의 위치동기화 자동조정 예시(통합모니터링시스템) ····138

그림 3-4-16 차축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 ························································································140

그림 3-4-17 대차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 ········································································································140

그림 3-4-18 차체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 ··········································································································140

그림 3-4-19 GPS 및 타코메터 부착위치 ·············································································································140

그림 3-4-20 센서 및 데이터로거 설치광경 ········································································································140

그림 3-4-21 진동가속도 분석결과 그래프 일례 ································································································142

그림 3-4-22 EN12299 규정 승차감 분석결과 ·····································································································143

그림 3-4-23 선로유지관리지침 기준 횡가속도 분석결과 ················································································144

그림 3-4-24 차세대고속열차 계측시스템 구성도 ······························································································145

그림 3-4-25 계측 시스템 추가 개념도 ················································································································146

그림 3-4-26 동기화 모듈 사진 ······························································································································147

그림 3-4-27 동기화 모듈 설치 (M2차량 계측시스템 내부) ············································································147

그림 3-4-28 M2 차량 내부 구성도 (GPS-KP 추가) ··························································································147

그림 3-4-29 중앙제어 장치 프로그램 수정 화면 ······························································································148

그림 3-4-30 GPS-KP 메인 계측화면 ····················································································································149

그림 3-4-31 TQI지수와 FRA TGI 지수 비교 ······································································································151

그림 3-4-32 FFT 및 Wavelet 변환 ······················································································································152

그림 3-4-33 FFT 처리 및 Wavelet 변환 순서도 ····························································································153

그림 3-4-35 열차별 궤도․노반 응답 특성 ···········································································································156

그림 3-4-36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표준성토 구간) ····································157

그림 3-4-37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연약지반 구간) ····································158

그림 3-4-38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교대 접속부 구간) ······························158

그림 3-4-39 표준성토노반 윤하중 ······················································································································160

그림 3-4-40 연약지반 윤하중 ······························································································································160

그림 3-4-41 접속부 노반 윤하중 ··························································································································161

그림 3-4-42 표준성토노반 횡하중 ······················································································································161

그림 3-4-43 연약지반노반 횡하중 ······················································································································162

Page 1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 -

그림 3-4-44 접속부 횡하중 ··································································································································162

그림 3-4-45 표준성토노반 노반압력 ··················································································································163

그림 3-4-46 표준성토노반 노반압력(심도별) ······································································································163

그림 3-4-47 연약지반 노반압력 ··························································································································163

그림 3-4-48 연약지반노반 노반압력(심도별) ······································································································164

그림 3-4-49 접속부노반 노반압력 ························································································································164

그림 3-4-50 접속부노반 노반압력(심도별) ··········································································································164

그림 3-4-51 표준성토노반 진동가속도 ················································································································165

그림 3-4-52 표준성토노반 진동가속도(심도별) ··································································································165

그림 3-4-53 연약지반노반 진동가속도 ················································································································166

그림 3-4-54 연약노반 진동가속도(심도별) ··········································································································166

그림 3-4-55 접속부노반 진동가속도 ····················································································································166

그림 3-4-56 접속부노반 진동가속도 (심도별) ····································································································167

그림 3-4-57 연약지반노반 탄성변위 ····················································································································167

그림 3-4-58 연약지반노반 탄성변위(심도별) ······································································································167

그림 3-4-59 접속부노반 탄성변위 ························································································································168

그림 3-4-60 접속부노반 탄성변위(심도별) ··········································································································168

그림 3-4-63 연약지반노반 침하량(시계열) ··········································································································169

그림 3-4-64 연약지반노반 잔류침하량(심도별) ··································································································170

그림 3-4-65 접속부노반 잔류침하량(시계열) ······································································································170

그림 3-4-66 접속부노반 침하량(심도별) ··············································································································170

그림 3-4-67 DIN4019를 이용한 침하산정시트 ···································································································172

그림 3-4-68 연약지반노반 측방변위(심도별) ······································································································172

그림 3-4-69 장기침하에 따른 탄성변위 변화량 ································································································173

그림 3-4-70 장기침하에 따른 노반진동가속도 변화량 ····················································································173

그림 3-4-71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 ········································································································174

그림 3-4-72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 ········································································································174

그림 3-4-73 함수비 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 ······························································································175

그림 3-4-74 표준성토노반 강우-함수비(시계열) ································································································176

그림 3-4-75 접속부노반 강우-함수비(시계열) ····································································································176

그림 3-4-76 지하수위저하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 ····························································································177

그림 3-4-77 열차별 궤도․노반 응답 특성 ···········································································································178

그림 3-4-78 중앙 종거법(최일윤,2010) ················································································································181

그림 3-4-79 편심 종거법(최일윤,2010) ················································································································181

그림 3-4-80 관성법 (Takeshita, K., 1992) ···········································································································182

그림 3-4-81 궤도 길이기반 TQI 접근법 ··············································································································182

그림 3-4-84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1_10m현방식) ············································································187

그림 3-4-85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TQI분석(T1_10m 현방식) ······································································188

그림 3-4-86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1_20m 현방식) ··········································································188

그림 3-4-87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TQI분석(T1_20m 현방식) ······································································189

그림 3-4-88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2_10m 현방식) ··········································································189

그림 3-4-89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TQI분석(T2_10m 현방식) ······································································190

그림 3-4-90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2_20m 현방식) ··········································································190

그림 3-4-91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TQI분석(T2_20m 현방식) ······································································191

그림 3-4-92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1) ·································································································191

그림 3-4-93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TQI분석(T2) ·································································································191

그림 3-4-94 EM-140K : ROGER1000K의 TQI값 비교(T1) ················································································192

그림 3-4-95 EM-140K : ROGER1000K의 TQI값 비교(T2) ················································································192

그림 3-4-96 10m현방식 : 20m현방식 TQI값 비교(T1) ·····················································································193

Page 1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i -

그림 3-4-97 10m현방식 : 20m현방식 TQI값 비교(T2) ·····················································································193

그림 3-4-98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TQI 분석 화면 ··········································································194

그림 3-4-99 TQI 이상개소에 대한 상세 이력을 통한 상태평가 ····································································194

그림 3-4-100 이상개소별 TQI 진전도 상태평가 ································································································195

그림 3-4-101 차상가속도 비교 분석 ····················································································································197

그림 3-4-102 차상가속도 위치별 TQI 상세 분석 ······························································································197

그림 3-4-103 분지모양의 잔류침하 ····················································································································198

그림 3-4-104 테스트베드 전 구간의 도상침하 패턴(T2) 및 침하보수 ·······················································200

그림 3-4-105 노반 침하 한계값의 비교 ··············································································································201

그림 3-4-106 선로일람약도 및 노반침하(TCL) 그래프 ····················································································202

그림 3-4-107 선형경합개소에서의 차량진동가속도와 궤도틀림 비교 ··························································203

그림 3-4-108 설계속도에 따른 접속부 궤도지지계수 변화 ············································································203

그림 3-4-109 통합 DB 자료의 구조물 접속부 거동 ·························································································204

그림 3-4-110 구조물 접속부 구간에서의 차상 및 궤도틀림 분석 ································································205

그림 3-4-111 테스트베드구간에서의 방향틀림 TQI 기준 초과개소 ······························································205

그림 3-4-112 KP위치별 차상가속도 이력곡선 ···································································································206

그림 3-4-113 TQI 초과 개소 부근에서의 TCL 노반침하 ················································································206

그림 3-4-114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206

그림 3-4-115 교량접속부 구간에서의 궤도틀림 자료를 이용한 Wavelet 변환 ··········································207

그림 3-4-116 교량접속부에서의 진동가속도로 추출한 Wavelet변환 ····························································207

그림 3-4-117 표준성토노반 구간 고저틀림 결과 ······························································································208

그림 3-4-118 표준성토노반 구간 축 수직가속도 결과 ····················································································209

그림 3-4-119 연약지반 구간에서의 궤도틀림 ····································································································210

그림 3-4-120 연약지반 구간 축 수직가속도 결과 ····························································································210

그림 3-4-121 좌표시스템들의 정의 ······················································································································212

그림 3-4-122 물체좌표시스템과 접촉점 좌표시스템들의 관계 ······································································212

그림 3-4-123 차륜.레일 접촉점과 관련된 차륜 및 레일의 자유도 ·····························································217

그림 3-4-124 KTX차륜 답면형상 ··························································································································222

그림 3-4-125 차륜/레일 접촉 기하학 ···················································································································223

그림 3-4-126 다(Multi) 원곡선 접촉시 등가 원곡선 산정방법 ·······································································224

그림 3-4-127 3차원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모델 ·························································································225

그림 3-4-128 해석 대상 차량의 제원 ··················································································································227

그림 3-4-129 해석대상 궤도모델 ··························································································································229

그림 3-4-130 해석에서 고려된 궤도틀림(줄틀림) ······························································································229

그림 3-4-131 첫번째 차축에서의 윤중 해석결과 ····························································································230

그림 3-4-132 첫번째 차축에서의 횡압 해석결과 ······························································································230

그림 3-4-133 차량 각부에서 발생하는 횡방향 변위 ························································································230

그림 3-4-134 곡선부 윤중 및 횡압 변화 ··········································································································231

그림 3-4-135 곡선전향횡압 발생 메커니즘 ········································································································232

그림 3-4-136 안쪽 레일측 횡압윤중비 설정 모델 ····························································································232

그림 3-4-137 차량/궤도의 수직방향 동적상호작용 해석모형 ·········································································233

그림 3-4-138 관성법 검측 원리 ····························································································································235

그림 3-4-139 궤도검측시스템과 종합계측시스템의 동기화 ············································································235

그림 3-4-140 콘크리트궤도구간에서 검측한 궤도틀림(고저틀림) ··································································236

그림 3-4-141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구간 궤도틀림(고저틀림) PSD ····························································237

그림 3-4-142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PSD의 회귀분석결과 ···········································································238

그림 3-4-143 콘크리트궤도구간에서 측정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얻은 속도에 따른 윤중의 표준편차 ······239

그림 3-4-144 3차원 차량-궤도 상호해석을 통해 산출된 속도에 따른 윤중의 표준편차 ························240

그림 3-4-145 3차원 차량-궤도 상호해석을 통해 산출된 속도에 따른 횡압의 표준편차 ························241

Page 1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ii -

그림 3-5-1 테스트베드구간의 잔류침하량 측정결과 ························································································242

그림 3-5-2 설계 잔류침하량의 오차 및 오차율 ································································································243

그림 3-5-3 N치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244

그림 3-5-4 장기지하수위 측정결과 ······················································································································245

그림 3-5-5 성토고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246

그림 3-5-6 성토고에 따른 침하량 ························································································································247

그림 3-5-7 원지반 층두께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248

그림 3-5-8 토공구간의 침하 원인 ························································································································249

그림 3-5-9 침하핀 설치 전경 ································································································································250

그림 3-5-10 호남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의 침하 특성 ····················································································250

그림 3-5-11 대상 단면의 침하 특성 ····················································································································251

그림 3-5-12 지반조사 위치도 ································································································································251

그림 3-5-13 치환재의 변형 특성 ··························································································································255

그림 3-5-14 원지반 침하량의 고려 여부에 따른 침하 특성 ··········································································255

그림 3-5-15 장기 지하수위 측정결과 ··················································································································256

그림 3-5-16 지하수위 변화의 고려 여부에 따른 침하 특성 ··········································································256

그림 3-5-17 대표단면에서의 침하 특성 ··············································································································257

그림 3-5-18 해석 결과 ············································································································································258

그림 3-5-19 대표단면에서의 침하 특성 ··············································································································260

그림 3-5-20 해석 결과 ············································································································································261

그림 3-5-21 설계 가이드라인(안) ··························································································································263

그림 3-5-22 잔류침하량 설계 흐름도 ··················································································································264

그림 3-6-1 1단계 상단장치 테스트베드 현장부설 구간 ··················································································265

그림 3-6-2 1단계 상단장치 성능평가 및 모니터링 지점 ··············································································265

그림 3-6-2 1단계 상단장치 성능평가 및 모니터링 지점 (계속) ····································································266

그림 3-6-3 B&K PULSE Labshop의 시간이력선도 예시 ··················································································267

그림 3-6-4 열차의 통과소음 시간이력선도에서 등가소음도 계산을 위한 시간 설정 예시 ····················268

그림 3-6-5 시기 별 장기운영에 따른 상단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결과 ················································271

그림 3-6-6 차량 종류별 주행 시 시간이력에 따른 소음레벨선도 ································································271

그림 3-6-7 상단장치 장기모니터링 평가결과 ····································································································273

그림 3-6-8 1단계 테스트베드 구간 전경 ············································································································274

그림 3-6-9 상단장치 장기내구성 체크리스트 ····································································································275

그림 3-6-10 상단장치 장기내구성 평가결과 ······································································································276

그림 3-6-11 공인시험성적기관 소음측정 현장 전경 ······················································································277

그림 3-6-12 1단계 테스트베드 상단장치 소음저감성능 시험성적서 ··························································277

그림 3-6-13 2016년 대한민국지식대전 장관상 ··································································································278

그림 3-6-14 2017년 태국 발명가의 날 전시회 ··································································································278

그림 3-6-15 교통신기술 지정증 ····························································································································278

그림 3-6-16 1단계 연구성과품 105Hz 대역 저감 격자 공간 ·········································································279

그림 3-6-17 내부 격자 변경 방안 ························································································································279

그림 3-6-18 외판 변경안 도면 및 모델링 형상 ································································································280

그림 3-6-19 무향실 실내 시험 Case ····················································································································281

그림 3-6-20 무향실 실내시험 시험체 구성 형상 ······························································································281

그림 3-6-21 무향실 실내시험 측정현장 전경 ····································································································282

그림 3-6-22 시험 케이스별 측정 단면도 ············································································································283

그림 3-6-23 무향실 실내 소음저감성능 시험 결과 ··························································································286

그림 3-6-24 상단장치 내 흡음재 배치 ················································································································289

그림 3-6-25 자중 및 빗물에 의한 처짐 ··············································································································290

그림 3-6-26 외판 구조해석 경계조건 ··················································································································290

Page 1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iii -

그림 3-6-27 외판 구조해석 결과 ··························································································································291

그림 3-6-28 내하중 시험 배치도 ··························································································································293

그림 3-6-29 내하중 시험 지지대 상세 형상 ······································································································293

그림 3-6-30 상단장치 내하중 시험 준비 현황 전경 ························································································294

그림 3-6-31 상단장치 내하중 시험 전경 ············································································································295

그림 3-6-32 도로교통연구원 시험 전경 ··············································································································295

그림 3-6-33 도로교통연구원 내하중시험 시험성적서 ····················································································296

그림 3-6-34 내부격자 양산시스템 구축 ··············································································································297

그림 3-6-35 내부격자 양산시스템 구축 ··············································································································298

그림 3-6-36 외판 부품 제작 및 조립 ··················································································································299

그림 3-6-37 테스트베드 후보지 전경 ··················································································································300

그림 3-6-38 상단장치 외부 형상 ··························································································································302

그림 3-6-39 상단장치 내부 형상 ··························································································································302

그림 3-6-40 상단장치 도막 품질시험 시험성적서 ····························································································305

그림 3-6-41 상단장치고도화 성과품 현장부설 위치 ························································································306

그림 3-6-42 상단장치 시공 개략도 ····················································································································307

그림 3-6-43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현장부설 전경 ······················································································308

그림 3-6-44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위한 소음측정 단면 ··················································································309

그림 3-6-45 상단장치 공인시험기관 성능평가를 위한 현장시험 전경 ······················································310

그림 3-6-46 상단장치 설치 전/후 시간이력선도 평가결과 ·············································································310

그림 3-6-47 상단장치 설치 전/후 주파수 특성 평가결과 ···············································································310

그림 3-6-48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성능평가 시험 전경 ················································································311

그림 3-6-49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성능평가 시험결과 ··················································································311

그림 3-6-50 상단장치 고도화 시험성적서 ··········································································································312

그림 3-7-1 1차 현장검증 ········································································································································314

그림 3-7-2 2차 현장검증 ······································································································································315

그림 3-7-3 호남고속선 흡음블럭 설치 및 미설치 구간 측정 지역 ······························································317

그림 3-7-4 측정 시스템 ··········································································································································317

그림 3-7-5 1차 장기소음저감성능 검증 시 마이크로폰 설치 사진 ······························································318

그림 3-7-6 3차 장기소음저감성능 검증 시 마이크로폰 설치 사진 ······························································319

그림 3-7-7 시간별 소음저감량 비교 ····················································································································321

그림 3-7-8 계절별 소음저감량 비교 ····················································································································321

그림 3-7-9 열차 종류별 소음저감량 비교 ··········································································································321

그림 3-7-10 고속열차 운행시의 발생소음 피크주파수 대역 검토 ································································322

그림 3-7-11 흡음블럭의 잔향실 흡음계수 그래프 ····························································································323

그림 3-7-12 EPS 콘크리트 ·····································································································································325

그림 3-7-13 경량 기포 콘크리트 ··························································································································325

그림 3-7-14 경량 골재의 종류 ······························································································································326

그림 3-7-15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관내법 흡음률 시험 결과 ································································327

그림 3-7-16 시작품제작 및 강도시험 ··················································································································329

그림 3-7-17 도상의 균열 발생 양상 ····················································································································330

그림 3-7-18 블록하부 공간 형성 및 내시경 카메라 투입 예시 ····································································330

그림 3-7-19 최종 개선 제품의 도면 및 형상 ····································································································331

그림 3-7-20 개선품의 상부 금형 ··························································································································333

그림 3-7-21 개선품의 생산 및 개선품 ················································································································333

그림 3-7-22 내구성능 시험성적서 ························································································································334

그림 3-7-23 잔향실 흡음률 시험 모습 ················································································································335

그림 3-7-24 잔향실 흡음률 시험성적서(NRC 0.90) ··························································································335

그림 3-7-25 STA.104 부근 후보지 전경 ··············································································································336

Page 1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iv -

그림 3-7-26 STA.107K 부근 후보지 전경 ···········································································································336

그림 3-7-27 STA.116K 부근 후보지 전경 ···········································································································337

그림 3-7-28 달성터널 시점부 현장 모습 ············································································································338

그림 3-7-29 와룡터널 시점부 현장 모습 ············································································································338

그림 3-7-30 흡음블럭 시공위치 ····························································································································340

그림 3-7-31 KTX-산천 및 터널 모델링 ··············································································································342

그림 3-7-32 압력측정 위치별 시간에 따른 상대압력변화 ··············································································342

그림 3-7-33 설치용 자재 적재 모습 ····················································································································345

그림 3-7-34 자재 및 장비 출입구 ························································································································345

그림 3-7-35 설치공사 투입 장비 ··························································································································345

그림 3-7-36 달성터널 합동점검 모습 ··················································································································346

그림 3-7-37 선로내 자재 수송 ······························································································································346

그림 3-7-38 접착제 도포 ········································································································································347

그림 3-7-39 흡음블럭 제품 설치 ··························································································································347

그림 3-7-40 흡음블럭 설치 완료 전경 ················································································································347

그림 3-7-41 흡음블럭 상세 설치 형태 ················································································································348

그림 3-7-42 자문 위원 의견서 ······························································································································349

그림 3-7-43 HEMU 열차내 마이크로폰 설치사진 ·····························································································350

그림 3-7-44 HEMU 운행시 측정 회차별 열차실내소음의 시간-음압 그래프 ·············································351

그림 3-7-45 HEMU 운행시 마이크 위치별 열차실내소음의 1/3-octave band 그래프 ······························352

그림 3-7-46 KTX-산천 열차내 마이크로폰 설치사진 ······················································································353

그림 3-7-47 KTX-산천 운행시 열차실내소음의 1/3-octave band 그래프 ···················································353

그림 3-7-48 흡음블럭 원가조사연구보고서 ········································································································355

그림 5-1-1 실시간 철도안전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연구흐름도 ······································································375

그림 5-1-2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실용화 로드맵 ·················································································380

그림 5-1-3 지상 장기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설계정확도 향상기술 실용화 로드맵 ··································381

그림 5-1-4 미사리 경정경기장 상단장치 시공 예시 및 납품실적증명서 ····················································383

그림 5-1-5 방음벽상단장치 고도화 및 상용화 ··································································································384

그림 5-1-6 흡음블럭 고도화 및 상용화 ··············································································································385

그림 9-1-1 철도안전법 제45조 철도보호지구의 범위 및 행위신고 절차 ····················································389

그림 9-1-2 안전교육 교육자료 및 배포자료 ······································································································389

그림 9-1-3 안전교육 실시 및 현장사진 ··············································································································389

그림 9-1-4 안전관련 절차서 및 양식 ··················································································································390

그림 9-1-5 현장부설 사진 ······································································································································390

그림 9-1-6 보수작업 및 합동점검 ························································································································391

Page 1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v -

〈 표 목 차 〉

표 1-1-1 연구개발 목표 ··············································································································································1

표 1-1-2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1 ·····················································································································2

표 1-1-3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2 ·····················································································································3

표 1-1-4 상단장치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3

표 1-1-5 흡음블럭 달성 전/후 비교 ·······················································································································4

표 1-1-6 연구성과품의 주요 연구성과 ····················································································································4

표 1-3-1 연구분야별 연구범위 ··································································································································8

표 1-3-2 연구분야별 연구범위(지상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9

표 1-3-3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범위 ······················································································································10

표 1-3-4 흡음블럭 고도화 연구범위 ······················································································································11

표 2-1-1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1 ········································································································15

표 2-1-2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2 ········································································································15

표 2-1-3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3 ········································································································16

표 2-1-4 철도유지보수 분야별 특허 수 ················································································································18

표 2-1-5 UIC 714 선로등급 체계 (=환산 통과톤수) ···························································································23

표 2-1-6 국내외 침하 관련 문헌 및 주요내용 ····································································································27

표 2-1-7 지상모니터링의 선행 유사연구와의 차별성 ······················································································29

표 2-1-8 국내 상단장치의 종류 ······························································································································30

표 2-1-9 방음벽 상단장치에 대한 개발실적 ········································································································30

표 2-1-10 국내 방음벽 연구개발 현황 ··················································································································31

표 2-1-11 국외(일본) 방음벽 상단장치 설치현황 ································································································32

표 3-1-1 월간공정회의 주요 내용 ··························································································································39

표 3-1-2 연구현장 점검 주요 내용 ························································································································41

표 3-1-3 과제간 정보공유 주요 내용 ····················································································································42

표 3-1-4 연구성과 홍보 주요 내용 ························································································································44

표 3-1-5 실차 운행 시험 주요 내용 ······················································································································46

표 3-2-1 테스트베드 구간의 평면선형 ··················································································································49

표 3-2-2 종곡선 구배 및 평면곡선과 경합개소 ··································································································50

표 3-2-3 테스트베드 구간의 교량현황 ··················································································································51

표 3-2-4 터널현황 ······················································································································································51

표 3-2-5 방음벽 현황 ················································································································································51

표 3-2-6 테스트베드와 전후구간의 구조물 접속부 설치 현황 ········································································51

표 3-2-7 지상부 측정시스템 설치위치 및 성능평가 ··························································································53

표 3-2-8 2단계 모니터링 현황 ································································································································54

표 3-2-9 환경소음 분야 측정시스템 설치위치 및 성능평가 ············································································55

표 3-2-10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목표 및 요구사항 ··············································································58

표 3-2-11 단면 위치별 기존 시설물 점검 결과 ··································································································61

표 3-2-12 검토의견 및 조치사항 ····························································································································63

표 3-2-13 방음벽상단장치 검토 의견 및 조치결과 ····························································································64

표 3-2-14 흡음블럭 검토 의견 및 조치결과 ········································································································64

표 3-2-15 차상검측장비 현황 ··································································································································66

표 3-2-16 차상검측장비 점검주기 ··························································································································66

표 3-2-17 검측차 특성 비교 ····································································································································67

표 3-2-18 궤도점검 종류 및 시행기준 ··················································································································68

Page 1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vi -

표 3-3-1 하드웨어의 구성 및 운영 상태 ··············································································································72

표 3-3-2 IP 구성 및 방화벽 설정 ···························································································································73

표 3-3-3 통합DB 스토리지 사용 및 옵션 ·············································································································73

표 3-3-4 계측서버 사양 및 옵션 ····························································································································74

표 3-3-5 통합DB서버 사양 및 옵션 ·······················································································································74

표 3-3-6 roadbed_info Collection(노반 계측기 정보) 정의 ···············································································79

표 3-3-7 roadbed_static Collection(노반 static 데이터) 정의 ············································································79

표 3-3-8 roadbed_event_list Collection(노반 계측기 이벤트 목록) 정의 ·······················································79

표 3-3-9 roadbed_event_cal Collection(노반 이벤트 데이터) 정의 ·································································79

표 3-3-10 onboard_list Collection(차상 측정 목록) 정의 ···················································································80

표 3-3-11 onboard_stats Collection(차상 평균 데이터) 정의 ············································································80

표 3-3-12 onboard Collection(차상 상세 데이터) 정의 ······················································································80

표 3-3-13 settle Collection(측량 상세 데이터) 정의 ···························································································81

표 3-3-14 settle_info Collection(측량 계측기 목록) 정의 ··················································································81

표 3-3-15 DB 적재 현황 (2018.01.25. 기준) ·········································································································82

표 3-3-16 매핑테이블의 예 ······································································································································83

표 3-3-17 geoWorks 특징 및 기능 ·························································································································85

표 3-3-18 수집프로그램 개발 환경 ························································································································86

표 3-3-19 전자정보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91

표 3-3-20 시스템 구성 요소별 기능 및 역할 ······································································································91

표 3-3-21 클래스별 기능 및 역할 ··························································································································92

표 3-3-22 API별 기능 목록 ····································································································································93

표 3-3-23 API 기능별 파라미터 상세목록 ············································································································94

표 3-3-24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통합DB 모니터링 시스템 메뉴 구성표 ···············································95

표 3-3-25 통합DB 코드 정의서 ·····························································································································103

표 3-3-26 노반분야 대푯값 선정을 위한 단계별 분석자료 ············································································107

표 3-3-27 궤도 및 노반 대푯값 산정 근거 ········································································································107

표 3-3-28 통합DB 현황-작업보수이력 분야 작업보수 내역 구성 ·································································112

표 3-4-1 기존 토공노반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120

표 3-4-2 표준성토노반(109k231) 센서 설치 수량 ·····························································································121

표 3-4-3 연약지반 노반 센서 설치 수량 ············································································································122

표 3-4-4 접속부노반(120k650) 모니터링 센서 수량 ·························································································123

표 3-4-5 노반/궤도 현장측정내용과 설계기준 평가항목 ·················································································123

표 3-4-6 노반/궤도 측정 기간 및 위치 ···············································································································124

표 3-4-7 노반/궤도 측정 시험 조건 ·····················································································································124

표 3-4-8 토공노반 모니터링 시스템 전원‧통신 복구 결과 ·············································································125

표 3-4-9 센서점검 결과표 ······································································································································126

표 3-4-10 센서 교정 및 시험결과 ························································································································126

표 3-4-11 고속철도 센서 및 계측기기 요구사양 ······························································································127

표 3-4-12 센서 사양 및 주요특성 ························································································································129

표 3-4-13 모니터링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 ········································································································130

표 3-4-14 계측기기별 장애 및 조치 이력 ··········································································································131

표 3-4-15 센서별 측정항목 및 분석항목표 ········································································································133

표 3-4-16 계측시스템 구성 및 센서 ····················································································································139

표 3-3-17 UIC518에 규정된 신호처리 방법 ········································································································141

표 3-3-18 Continuous Comfort 평가기준(EN12299) ························································································141

표 3-3-19 선로유지관리지침 횡가속도 허용기준 ······························································································142

표 3-4-20 현장계측 항목 및 시험일자 ················································································································143

표 3-4-21 EN12299 규정 승차감 분석결과 ·········································································································143

Page 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vii -

표 3-4-22 선로유지관리지침 기준 횡가속도 분석결과 ····················································································144

표 3-4-23 차량 진동가속도 분석결과 ··················································································································144

표 3-4-24 차상 계측 시스템 동기화 모듈 사양 ································································································146

표 3-4-25 정읍-익산구간 본선 시운전 현황 ······································································································149

표 3-4-26 표준성토노반 궤도/노반 분석결과 ·····································································································154

표 3-4-27 연약지반노반 분석결과 ························································································································155

표 3-4-28 접속부노반 분석결과 ····························································································································155

표 3-4-29 설계기준 항목 및 기준치 ····················································································································159

표 3-4-30 층별 침하량 분석 ··································································································································171

표 3-4-31 모니터링 위치별 잔류침하량(궤도부설 후) 비교 ············································································171

표 3-4-32 차량별 궤도/노반 분석결과 ·················································································································177

표 3-4-33 궤도․노반의 장기 성능평가 결과 ·······································································································179

표 3-4-34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노반 성능영향 ·······························································································180

표 3-4-35 장기침하의 외부영향인자 ····················································································································180

표 3-4-36 국내 고속철도 궤도틀림 관리기준 ····································································································183

표 3-4-37 TQI 관리기준(선로유지관리지침) ·······································································································186

표 3-4-38 TQI 관리기준(선로유지관리지침) ·······································································································187

표-3-4-39 TQI 상태평가(고저_T1_10m현방식) ····································································································187

표 3-4-40 TQI 상태평가(고저_T1_20m현방식) ····································································································188

표 3-4-41 TQI 상태평가(고저_T2_10m현방식) ····································································································189

표 3-4-42 TQI 상태평가(고저_T2_20m현방식) ····································································································190

표 3-4-43 TQI 상태평가(고저_T1_검측차종별) ···································································································192

표 3-4-44 TQI 상태평가(고저_T2_검측차종별) ···································································································192

표 3-4-45 TQI 상태평가(고저_T1_검측방식별) ···································································································193

표 3-4-46 TQI 상태평가(고저_T2_검측방식별) ···································································································193

표 3-4-47 TQI 상태평가(고저_T2_검측차종별) ···································································································196

표 3-4-48 분지모양의 궤도 침하에 따른 침하량과 가능속도(km/h) ·····························································199

표 3-4-49 분지모양의 궤도 침하에 따른 침하량과 가능속도(km/h) ·····························································199

표 3-4-50 접속부의 설계 및 관리기준 ··············································································································203

표 3-4-51 이론식에 의한 접속부 강성변화 ········································································································204

표 3-4-52 궤도지지계수 변화율 ····························································································································204

표 3-4-53 접촉기하학 계산 식 ······························································································································223

표 3-4-54 해석대상 차량의 제원 및 물성 ········································································································227

표 3-4-55 해석대상 궤도 파라메타 ······················································································································229

표 3-4-56 파장별 고저 궤도틀림 측정범위, 반복정확도 및 감도 ·································································236

표 3-4-57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회귀식에서 상수 에 따른 파장별 표준편차 ········································238

표 3-4-58 고속철도 차량의 제원 및 물성치(레일당, 즉 차량편측당) ························································238

표 3-4-59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제원 및 물성치 ··························································································239

표 3-5-1 연약지반 판정기준(국토해양부, 2008) ································································································244

표 3-5-2 연약지반 판정기준(KR G-01010-T, 임시규정) ··················································································244

표 3-5-3 흙의 종류에 따른 침하율(미국 개척국(USBR)) ·················································································247

표 3-5-4 콘크리트 궤도의 허용 침하 기준 ········································································································249

표 3-5-5 침하측정 DB 현황 ···································································································································250

표 3-5-6 조사항목 및 수량 ····································································································································252

표 3-5-7 수동식 지하수위계 제원 ························································································································252

표 3-5-8 성토재의 압축재하시험 사례 ················································································································252

표 3-5-9 성토재 압축재하시험 방법 ····················································································································253

표 3-5-10 하부노반 품질시험 확인결과(콘크리트 궤도 기준) ········································································253

표 3-5-11 성토재와 치환재의 설계지반정수 ······································································································253

Page 1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viii -

표 3-5-12 국내․외 하부노반의 품질기준 ·············································································································254

표 3-5-13 해석 조건 ················································································································································258

표 3-5-14 정확도 향상 효과 분석 결과 ··············································································································259

표 3-5-15 기여도 평가 결과 ··································································································································259

표 3-5-16 정확도 향상 방안 ··································································································································260

표 3-5-17 해석 조건 ················································································································································261

표 3-5-18 정확도 향상 효과 분석 결과 ··············································································································262

표 3-5-19 기여도 평가 결과 ··································································································································262

표 3-5-20 정확도 향상 방안 ··································································································································262

표 3-6-1 소음진동관리법 상 교통소음진동의 관리기준(철도소음) ································································266

표 3-6-2 측정위치 및 측정관련 기준 ··················································································································267

표 3-6-3 상단장치 소음저감성능 평가 결과 ······································································································272

표 3-6-4 장기운영에 따른 상단장치의 장기내구성 평가결과 ······································································274

표 3-6-5 무향실 실내 시험 Case ··························································································································280

표 3-6-6 일반 칼라방음판 투과손실 ····················································································································281

표 3-6-7 1.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284

표 3-6-8 2.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284

표 3-6-9 3.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284

표 3-6-10 방음벽 대비 1.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284

표 3-6-11 방음벽 대비 2.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284

표 3-6-12 방음벽 대비 3.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285

표 3-6-13 1단계 성과물 대비 1.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285

표 3-6-14 1단계 성과물 대비 2.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285

표 3-6-16 해석 조건 ················································································································································289

표 3-6-19 고도화 성과품 테스트베드 후보지 검토결과 ··················································································301

표 3-6-20 상단장치 각 부품별 사양 ····················································································································302

표 3-6-21 아연도강판 물성표 ································································································································303

표 3-6-22 PVC 물성표 ············································································································································303

표 3-6-23 성능에 대한 시방 ··································································································································304

표 3-6-24 상단장치 설치 후 확인사항 ················································································································305

표 3-6-25 상단장치 현장부설 전 도막 품질시험 항목 ····················································································305

표 3-6-26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소음저감성능 평가 결과 ········································································309

표 3-6-27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공인시험성적 결과 ··················································································311

표 3-7-1 유지관리 시방서의 주요 점검항목 ······································································································313

표 3-7-2 기 구축된 흡음블럭의 계절별 시기별 현장점검 결과 ····································································315

표 3-7-3 2014~2015년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 ····································································································316

표 3-7-4 2016~2017년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 ····································································································316

표 3-7-5 KTX-산천,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6.10.11. ···········································318

표 3-7-6 KTX,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6.10.11. ·····················································319

표 3-7-7 KTX,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320

표 3-7-8 KTX-산천,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320

표 3-7-9 SRT,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320

표 3-7-10 흡음블럭의 개선모델 ····························································································································323

표 3-7-11 콘크리트 종류별 기존대비 경량화(%) ······························································································326

표 3-7-12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압축강도 시험 결과 ··············································································327

표 3-7-13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주파수 흡음특성 시험 결과 ································································328

표 3-7-14 EPS볼 2종의 배합 시험결과 ···············································································································328

표 3-7-15 기존제품과 개선제품 형상 비교 ········································································································331

표 3-7-16 두 흡음블럭의 표면형상 변화에 따른 옥타브별 흡음성능 해석 ················································332

Page 2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xix -

표 3-7-17 토공부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결과 ··································································································336

표 3-7-18 터널부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결과 ··································································································337

표 3-7-19 철도공사 협의시 검토의견 조치사항 ································································································339

표 3-7-20 세부 작업 일정 ······································································································································340

표 3-7-21 시공 일정 계획 ······································································································································341

표 3-7-22 일일세부작업 계획표 ····························································································································341

표 3-7-23 압력측정 위치별 최대 압력값 ············································································································343

표 3-7-24 달성터널내 열차운행시 흡음블럭에 가해지는 최대가진력 ··························································343

표 3-7-25 접착재의 부착강도 시험결과 ··············································································································344

표 3-7-26 소음측정 관련 자문회의 ······················································································································348

표 3-7-27 달성터널 상세 ········································································································································349

표 3-7-28 HEMU 실내소음 측정 장비 목록 ·······································································································350

표 3-7-29 HEMU 운행시 열차실내소음 저감량 ·································································································350

표 3-7-30 KTX-산천 운행시 열차실내소음 저감량 ··························································································353

표 3-7-31 흡음블럭의 개선모델 달성도 ··············································································································355

표 4-1-1 1차년도 성과점검표에 따른 달성도 ····································································································356

표 4-1-2 2차년도 성과점검기준표에 따른 달성도 ····························································································358

표 4-1-3 정성적 연구실적 ······································································································································360

표 4-1-4 최종목표대비 달성도 평가표 ················································································································362

표 4-1-5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 성과품 경제성 개선사항 ··············································································362

표 4-1-6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 성과품 중량 개선사항 ··················································································363

표 4-1-7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단품 개선사항 ····························································································363

표 4-1-8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조립 개선사항 ····························································································364

표 4-1-9 흡음블럭 고도화 성과품 개선사항 ······································································································365

표 4-1-10 정량적 연구성과(논문 실적) ················································································································365

표 4-1-11 정량적 연구성과(특허 실적) ················································································································366

표 4-1-12 정량적 연구성과(특허 실적) ················································································································366

표 4-2-1 주요기술에 따른 관련분야 기여도 ······································································································367

표 4-2-2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을 통한 관련분야 기여도 ····························································368

표 4-2-3 기존 기술 대비 상단장치 우수성 ········································································································368

표 4-2-4 기존 기술 대비 상단장치 우수성 ········································································································369

표 4-2-5 흡음블럭 주요성능 비교표 ····················································································································370

표 4-2-6 흡음블럭의 관련분야 기여도 ················································································································370

표 4-2-7 연구개발과제 직접편익(억원) ················································································································371

표 4-2-8 편익 관련 경제적 가치 ··························································································································372

표 5-1-1 CBM 절차 비교(신종호 등, 2014) ········································································································377

표 5-1-2 단계별 주요 기술(신종호 등, 2014) ····································································································377

표 5-1-3 CBM 정의 ················································································································································379

표 5-1-4 고속철도 궤도/노반 장기모니터링 기술의 관련분야 기여도 ·························································380

표 5-1-5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분야 기여도 ······························································381

표 5-1-6 방음벽 대비 상단장치 경제성 ··············································································································382

표 5-1-7 속도 증속에 따른 고속철도 구간별 방음벽 건설비용(상단장치 미적용) ····································382

표 5-1-8 상단장치 적용에 따른 고속철도 구간별 방음벽 건설비용 ····························································382

표 5-1-9신규 및 건설중인 고속철도 사업구간 ··································································································383

표 5-1-10 고속철도 증속에 따른 구간별 방음벽 추가 설치 현황 ································································384

표 5-1-11 KTX열차 운영에 따른 예상 매출액 ··································································································385

표 6-1-1 해외 과학기술 정보 ································································································································387

Page 2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절. 연구개발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개발의 목적

본 과제는 2010년 12월부터 2015년 3월 까지 수행된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시범적용

기술개발” 연구단 과제의 후속 연구과제로서 2016년 5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연구과제명은“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인프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소음

저감장치 고도화”이다. 본 과제는 3개의 공동연구과제와 2개의 위탁연구과제로 구성되어 있

으며 1단계에서 구축된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확장하고 안정화시키며, 운영 중에 발생되는 다

양한 데이터 정보와 궤도노반 장기거동 및 현장 침하 DB를 통해 연약지반 설계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1단계에 개발된 소음저감 장치인 방음벽상단장치와 흡

음블럭을 고도화시켜 상용화 및 실용화시키는 것이 본 연구개발의 목표이다. 표 1-1-1은 각

분야별 연구개발 목표는 다음과 같다. 표에서와 같이 연구개발의 최종목표는 통합모니터링 시

스템을 구축하여 인프라의 장기성능을 평가하고 DB를 활용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확장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GIS기반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

였으며, 코드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 및 분류 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환시켰다. 또한 궤도노반

장기거동을 평가하여 고속철도 궤도노반 시스템에 대한 장기거동을 공학적으로 평가하여 검

증하였다. 현장 침하 DB를 이용하여 현행 연약지반 설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

향을 제시하여 콘크리트 궤도의 사용성 확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고속화에 대

응하기 위한 소음저감장치에 대하여 상용화 및 실용화를 위하여 제품 고도화를 통해 해외시

장 진출과 국내 소음분야의 친환경적인 철도노선의 건설을 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하였다.

표 1-1-1 연구개발 목표

구분 내용

최종

목표

-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인프라 장기성능평가 및 DB 활용기술 개발

․ GIS 기반의 통합 UI 및 DB시스템 구축

- 소음저감장치 성능향상 및 실용화 기술개발

․ 방음벽 상단장치: 소음저감량 3dB(A)이상, 10% 경량화, 20% 단가절감

․ 흡음블럭: 소음저감량 3.0dB(A)이상, 15% 경량화, 15% 단가절감

세부

목표

- GIS기반 통합 DB 구축 및 활용계획 수립

․ GIS 기반 통합 DB 시스템 구축, 운영, 활용계획 수립

-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및 잔류침하 예측정확도 향상

․ 장기 모니터링 DB 확보 및 성능평가

․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기술 개발

- 방음벽상당잔치 고도화 및 실용화

․ 1단계 성과품의 장기적 성능검증 및 개선모델 도출

(부품소재시험, 구조안정성시험, 옥외음향성능공인시험 포함)

․ Mesh 형 현장소음측정결과 확보로 예측을 위한 설계 데이터망 구축

- 흡음블럭 고도화 및 실용화

․ 1단계 성과품의 장기적 성능검증 및 개선모델 도출

․ 흡음블럭의 최적화를 통한 신뢰성확보 및 상용화를 위한 전략 수립

Page 2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 -

그림 1-1-1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 설치된 지상 및 차상모니터링과 소음저감장

치 현장부설 구간에 대한 테스트베드 구축현황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지상부 궤도노반 측정개

소는 3개소이며, 측량 측점개소는 약 3,000개소의 침하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차상모니터링는

테스트베드 구간내 운행되는 KTX36호, 궤도검측차(Roger1000k)와 해무차량을 통해 궤도틀림

정보, 차량의 진동가속도 등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소음저감장치는 기존 1단계 소음저감장치

2개소와 개선제품 2개소로 총 4개소를 운영하였다.

그림 1-1-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축현황

표 1-1-2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1

AS Is (기존 기술) To Be (개발기술)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 400km/h 설계기준 검증 목적을 위한 인프라 모니터

DB확보

- 속도대역별(350∼400km/h) 해무운행에 따른 선로구축

물, 전차선, 소음예측기술 및 소음저감시설의 성능

DB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 GIS기반의 위치정보와 다양한 속성정보를 전산

화된 플랫폼으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발

DB확보

- 선로구축물의 장기거동평가 및 침하데이터를 활

용한 연약지반 설계개선

- 운영구간의 차상가속도 및 궤도틀림의 DB를 확

보하여 상태평가

Page 2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 -

표 1-1-3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2

표 1-1-4 상단장치 기술목표 달성 전/후 비교

상단장치

구분국외제품(일본)

1단계 성과품

상단장치

구분 개선제품

소음원 철도소음 철도소음 소음원 철도소음속도대역 240km/h 400km/h 속도대역 300~400km/h저감주파수 대역

N.A2 0 0 ~ 3 1 5 H z , 1.6~2.5kHz

저감주파수 대역

200~315Hz, 1.6~2.5kHz

풍하중토공150kgm교량300kgm 356kgm 풍하중 356

소음저감성능

1.5dB 3.0dB 이상소음저감성능

3.0dB 이상

소 음 저 감 원리

폴리에스터 흡음재를 이용한 회절음 흡음

- 저주파는 공명기 타입 간섭형, 고주파는 상단장치 외형- 공명기 길이 조정을 통한 저감 및 주파수 대역 조절 가능

중량 및 가격

- 1단계 성과품과 동일성능- 상단장치 + 구조부자재 216kg- 일체형(t=1.2tonf 부재) 90kg- 가격 40만원/m

연약지반 판정기준에 따라 검토

- 판정기준(N≤10)에 의거 연약지반으로 정의하고 설계

- 잔류침하기준(25mm 매우 엄격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성능기반 설계 부재

현재 설계로 구축된 노선에 대한 잔류침하 오차

율을 분석하여 설계방안 개선

- 연약지반 판정기준 상향 조정(N≤15)

- 성토체, 치환체, 원지반 침하 및 지하수위에 의

한 침하량을 고려하여 잔류침하량 산정방법 개

Page 2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 -

표 1-1-5 흡음블럭 달성 전/후 비교

표 1-1-6 연구성과품의 주요 연구성과

주요 연구성과품

주요 연구성과

통합모니터링 및 DB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구축 - GIS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의 효율성 확대성 제고- DB 데이터의 추출 및 분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사용자 편의성 제고 다양한 속도대역에서의 열차 주행 데이터 확보- 400km/h(1단계 해무차량), 350km/h(2단계 해무차량), 300km/h(현 운영차량)

차상 및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지상시스템 복구 및 운영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복구(3개소 측정)시계열 분석을 위한 시스템 안정화 차상시스템 설치 및 운영누적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 구축위치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GPS- 표준시-윤중신호)휴대형 차상 주행안정성 계측시스템 구축Wavelet 방식을 이용한 궤도틀림 이상개소 추출 프로그램 3차원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기법 개발상용프로그램과의 해석검증 완료차량궤도 상호작용해석 기법을 국내 최고 수준확립 및 기술독립

연약지반 잔류침하 설계개선

침하데이터 DB 확보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설계개선운영선 지반 시추조사를 통한 침하 요인 및 원인분석침하 DB를 활용한 연약지반 잔류침하 설계개선설계정확도 향상을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안) 제시

방음벽 상단장치

개선제품의 성능 고도화 및 상용화1단계 성과품의 장기 평가를 통해 교통신기술 고시 확정개선제품의 고속 운영선 구간 현장부설 및 성능검증 완료대한민국 특허대전(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및 태국 국제발명대회 은상수상

흡음블럭

개선제품의 성능 고도화 및 상용화1단계 성과품의 장기 평가를 통해 성능검증 완료개선제품의 터널 현장부설 및 흡음성능 검증완료교량/터널/토공 모든 구간에 대한 흡음성능을 통해 기술자립 및 해외시장 공략

흡음블럭

구분국외 기술(독일 BB사)

1단계 성과품

흡음블럭

구분 개선제품

적용속도저속, 중고속(300km/h 이하)

초고속(400km/h급)

소음저감성능

- 1단계 동일성능(3dB이상 저감)(열차소음의 지배주파수 검토 결과 800~3150Hz으로 확인)

내구성능

압축강도

5 MPa 12 MPa

휨강도

0.89 MPa 1.5 MPa

인장강도

- 1.2 MPa제품중량

- 1m당 476kg(소재개선 4~5% + 형상개선 10~12% = 총 15%경량화)

흡음성능

실내0.8 이상(600Hz 주변은 0.6 이상 허용)

NRC 0.85 이상

제품가격

- 30만원/m 이하(형상개선 10~12% +생산공정개선 5%이상 =총 15% 단가 절감)

실외-2~3dB(미공개)

-3dB 이상(5m거리, 1.2m 높이)

유지보수성

형상 및 시공방법 개선을 통해 도상점검이 가능하게, 또한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개선

Page 2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 -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 기술적 측면

고속철도 차량기술에 발전에 비해 궤도노반, 교량, 전차선, 신호 등의 인프라에 대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측면이 있다. 특히 차세대고속철도 해무차량의 개발로 인해 새로운 속도대

역인 400km/h 고속철도 시대에 부합되는 인프라의 기반 연구 필요성이 언급되어 2010년 12월

부터 2015년 3월까지 호남고속철도 구간에 호남고속건설공정에 따라 400킬로급 인프라 기반

설비를 구축하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400킬로급 고속철도 인프라 시범적용기술개발”을

연구단 과제로 진행하여 환경소음저감기술개발, 선로구축물 모니터링 및 최적 설계기준 연구,

400km/h급 전차선로 시스템 개발, ETCS-2 열차제어 핵심기술 개발 등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

는 다양한 분야의 과제로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단 과제에서는 호남고속철도 1단계 개통이전까지 400킬로 운행에 따른 성능을 검

증하는 연구로서 최종성과품을 제시하였으나, 호남테스트베드는 국내 유일한 400킬로 운행이

가능한 기반시설을 갖춘 시설로서 향후 고속선 고속화와 운영속도 400킬로의 성능을 검증 및

확인하는 테스트베드로서의 연구가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장기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

는 연구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특히, 제3차 철도산업발전기본계획 2016∼2020(17.2)에 따라 기술부문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

의 키워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증강현실 등 기존 기술 간의 경계를 허무는 융

합기술이 발전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교통체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

인 교통수단과 인공지능이 융합하여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스스로 유지보수와 운영관리하는

스마트 교통수단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철도건설 분야는 국민의 기대요구를 충족시

킬 수 있는 철도망 확충을 추진하고 고속화철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저비용 고효율

의 효율적인 기존선 고속화 사업도 추진하여 속도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골자로 계

획하고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핵심키워드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고속화를 위한

궤도노반의 장기거동 분석 및 소음저감을 위한 연구로서 국가 철도 상위계획과 부합되는 연

구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과제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GIS 기반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GIS의 공간정보를 활용하

는 기술로서 최근 들어 지질자료, 전력관리, 사면관리 등 GIS를 활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도로분야의 경우 90년대 후반부터 도입하여 15년부터 공간정보 기반 도로관리체계로 전환하

고 있으며, 하천분야에서도 도면, 조서 등 대장 전산화 및 GIS 도입으로 시설관리 효율성과

편리성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철도의 경우 공간정보관리 부재로 설계, 시공자료

를 전자도면, 종이도면 등 파일체계로 관리하여 정보의 변경과 특히 철도와 같이 유지보수 이

력관리 등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간정보체제를 기반으로 수집된 정보가 4차 산업

혁명의 기반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보관할 정보체계 등 시스템 구축이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철도 분야에서는 아직 생소한 GIS 기반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호남테스트베드 구간에서 측

정되는 차상과 지상모니터링 시스템을 속성정보로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추출 및

분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여 예방적 유지관리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상분야의 모니터링은 선행과제에서 매설된 계측기를 바탕으로 열차하중에 의한 윤중, 횡압

Page 2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 -

등 동적거동과 진동가속도, 변위 등 물리적인 변화를 계측하였으며, 온도 및 지하수위, 사면경

사계 등을 통해 장기적인 거동을 분석하여 현재 설계 적용하고 있는 인프라 시스템의 성능을

시계열 및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내 궤도 부설이전 및 이

후의 건설초기의 침하데이터와 영업이후의 침하 데이터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입력하여

침하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약지반의 설계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반조사 및 대표단면의 역해석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측값과 설계값의 오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가이드 라인

을 제시하였다.

고속선 고속화가 되면 열차운행하는 이용객 측면에서는 보다 빠르게 원하는 곳에 이동하기

때문에 철도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으나, 선로 연변의 주민은 증가된 소음량으로 인해 환경

적 피해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속도가 증가되면 소음량은 3∼8dB 증가하며 방음벽 상

단장치 등으로 환경소음 피해를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방음벽 상단장치는 여객승객 입장에서

는 조망권 훼손과 방음벽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방음벽 기초가 변경되기 때문에 구조적 설계

변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소음을 최소한의 방음벽을 설치하고 소

음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방음벽상단장치와 흡음블럭이다. 1단계에 개발된 제품을 보다 고도

화시키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여 상용화 및 실용화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흡음

블럭은 터널내에 부설되어 승객 입장에서 터널내부에 진입할 경우 소음이 커짐으로 인해 승

차감이 불쾌하였으나, 차내 실내소음을 허용기준 이내로 서비스함으로써 쾌적한 여객 서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경제․산업적 측면

현재 선진국에서는 고속철도는 거대지역권 중심으로 대도시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집적에

따른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거대지역내 산업간 유기적인 연계, 시너지 효과 창

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속교통망 연결에 집중투자하고 있다. 세계 철도기술 시장은

매년 증가하고 있며 2009년 기준으로 197조원 규모로 이중 철도차량 시장규모가 115조

(58.4%), 인프라 구조물 시장이 62조(31.5%), 시스템 기술시장 21조(10.7%) 규모이다(고속철도

해외진출보고서). 고속철도는 원자력, 차세대 이동통신 등과 함께 우리나라 해외사업 진출의

유망분야로 꼽히고 있으며 철도는 기계, 전자, 전기, 토목건축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된 종합

산업으로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서 글로벌 시대 신성장동력으로 발전을 기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보다 늦게 고속철도 기술을 가진 중국은 2014년 고속철도 운영거리 1만6,000km에

달하는 세계 최장 고속철도망 구축으로 여기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여

고속철도 해외수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2011년 터키에 처음으로 고속철을 수출한 이후 지금까

지 20개가 넘는 국가와 3조 위안(약 523조) 규모의 철도차량과 고속철 수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철도분야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으며, 해외철도 진출시 토목, 시공

등 한 분야별 진출하기 보다는 종합적이며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철도차량의 국제규격과

정부, 민간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마련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과

철도 R&D 통해 원천기술 확보 등 해외진출에 대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속철도 인프라 기술은 철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와 해외 진출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기

Page 2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 -

술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선행과제에서 추진된 400킬로 고속철도 인프라 시스템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성숙도 및 데이터 관리기술 등은 인프라 핵심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적인 자산

이며, 고속철도의 운영의 안정성 및 신뢰성은 경제적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내포하고 있

다.

철도 시설물이 노후화에 따라 소요예산은 증가하고 있으며, 제한된 예산으로 대상시설물의 보

수보강 및 개량사업의 적기수행이 어려워 철도시스템의 전반적인 위험도는 증가하고 있다. 철

도시설개량 소요예산은 약 9조4천억으로 ‘16년 2조2천억원이 투자되어 개량율 23.3%(최근 5

년간 연 평균 3675억원) 수준으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노후시설에 대한 개량계획을 수립하

기 위한 예방적 철도시설관리 체계가 미흡하고 해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수보강 의사결정지

원 등을 위한 상태기반유지관리와 신뢰도 기반 유지관리를 지원하는 시설물 상태정보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철도 유지보수를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로 완벽한 전환의 목소리는 높

아지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인력, 시스템 등이 종합적으로 구축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

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속철도가 300km/h 에서 400km/h 로 증속 될 때 7dB 내외의 환경소음이 증가하는 것으로

현장실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철도에서 발생되는 주요 소음원은 차륜과 레일사이에서 발생하

는 전동소음과 차체에서 발생되는 구동장치소음, 높은 운행속도로 인한 차체와 집전장치의 공

력소음 및 구조물과 지반을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소음이 있다. 이 밖에도 판토그래프와 전

차선사이의 집전소음이 있으나, 국내 운행환경에서는 다른 소음원에 비해 환경소음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 단계 성과품이 갖는 단점은 중량이 크게 제작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단위 셀로 되어 있어 시공이 불편하다는데 있다. 따라서 회절되는 소음을

줄여주는 상단장치의 내부격자 배치 및 두께에 대해서도 시뮬레이션 및 무향실 시험 등을 통

해 기존 성과품 보다 성능개선 과 하부 구조체를 일체화 시키는 방법 등 시공성 향상과 자재

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상용화 및 실용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흡음블럭의 경우 1

단계 성과품의 가장 큰 단점이 흡음블럭이 시공된 후에는 흡음블럭이 시공된 곳의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을 확인 할 수 없다는데 있었다. 균열을 확인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흡음블럭 형상이 필요하였으며, 형상고도화에 따라 저감되는 성능을 기존 성과품과 동등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용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무게를 낮추면서도 1 단계 성과품에 비해

동일한 성능 및 기능을 유지하는 흡음블럭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Page 2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 -

3절. 연구개발 범위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DB

본 과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GIS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이 구간에서 측

정된 차상모니터링과 지상모니터링 그리고 침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1차년도(2016.5∼2017.2)에는 선행 연구과제가 종료된 시점(2015.3)

으로부터 1년간 방치된 시스템을 운영될 수 있도록 기반 시설물을 복구하였으며, 이를 바탕

으로 2차년도에는 지상모니터링, 차상모니터링 등을 수행하여 테스트베드 구간의 다양한 계

측자료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데이터를 통해 장기 성능을 시계열 및 통계분석을 통해 인프라

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데이터를 연구목적과 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구조물, 침하개소 등 선

로일람약도를 기반으로 하는 각 데이터를 추출 분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러

한 데이터를 통해 본 구간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향후 신뢰도 기반의 유지보수 관리체계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 기술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표 1-3-1은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연구성과 및 홍보 확산, 테스트베

드 운영 및 시스템 구축을 성과목표로 설정하고 아래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 1-3-1 연구분야별 연구범위

연구범위 연구수행방법(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공동연구과제 진도관리 및 인터페이스 체계 구축- 공정회의를 통한 공동과제별 연구개발 점검- 호남테스트베드 현장부설 및 안전관리 지원 연구성과 홍보 및 확산- 과제간 정보공유 및 타사업과의 효율적 과제운영(해무주행 및 고속검측 개발)- 연구성과물 전시(대한민국특허대전, 서울발명대전 등 참가)- 국토교통 홍보 전시- 방음벽상단장치 교통신기술 - 태국 국제발명대회 및 대한민국특허대전 수상 등

호남테스트베드 통합 모니터링 및 DB

설계

통합모니터링 운영 및 환경개선-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운영환경 분석- 통합DB 운영환경 분석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활용방안 수립- 통합모니터링 및 DB 기본계획 설계안 수립- 통합모니터링 DB 요구사항 도출- DB의 GIS 연계 방안 수립-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지상 및 차상 모니터닝 시스템

구축

지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시스템 복구 및 누적통과톤수자동화 시스템 - 침하데이터 확보 및 DB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 해무, KTX36 차량진동가속도 획득- 궤도검측차(Roger1000k) 궤도틀림정보 획득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활용방안 수립-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기본 및 상세설계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 제고 - 운영기관 및 유지보수 관련 기관 활용방안 제시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안전관리 및 운영자 요구사양 도출- 운행선 안전관리 및 테스트 베드 지원- DB활용방안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Page 2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 -

2. 지상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지상모니터링은 2단계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호남고속철도 건설초기부터 개통기간

동안(~2015년) 매설된 센서․전원․통신에 대하여 점검 및 복구하고 궤도 센서를 신규 설치하였

다. 2단계는 센서 및 측량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통합 시스템에 연계하였

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반 단기 및 장기 거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호남고속

선 개통전 약 2년동안의 측정 데이터와 본 연구를 통하여 운영선로에 대하여 약 1.5년의 데이

터를 수집하였고 장기거동을 분석하였다.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 기술은 테스트베드 구간 중 실측 침하량이 크고 실측 대비

설계 침하량의 오차가 큰 구간에 대하여 오차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오차가 큰 구간에 대

하여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토대로 설계 잔류침하량을 재산정하였다.

설계 잔류침하량을 실측 잔류침하량과 비교 분석하여 정확도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도출

된 결과에 대하여 “고속철도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안)”으로 제안하였다.

표 1-3-2 연구분야별 연구범위(지상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연구범위 연구수행방법(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

지상모니터링 장기거동평가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구축- 노반(3개소), 궤도(2개소) 등 센서 점검 및 교정- 지상 측정 시스템 복구‧보완- 지상 궤도(윤중‧횡압) 측정 시스템 현장 구축-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측정 - 통합모니터링시스템과의 연동 인터페이스 개발

침하 DB 관리 프로그램

노반·궤도 장기 측정 DB 확보 및 성능평가- 지상 측정 시스템 보완․보수 및 측정 DB 확보- 통합모니터링시스템과의 연동- 토공노반‧궤도의 장기 거동 성능평가 및 설계기준검토(침하, 변위, 압력, 진동, 함수비, 강성 등)- 측정 DB의 활용 컨텐츠 개발- 지반조사 및 침하 자료 DB 관리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집중관리구간의 잔류 침하 분석 - 설계‧실측 잔류침하량의 오차 원인 검토-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방안 연구- 고속철도의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3.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1단계 과제를 통해 개발된 철도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장치는 400km/h급 고속선에 대한 소

음저감성능이 3.0dB(A)로 검증된바 있다. 그러나 장기간 옥외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성

능의 유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400km/h급 고속선 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

중인 KTX, KTX-산천, KTX-호남, SRT 등 다양한 고속선에 대한 소음저감성능 검증의 필요성

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장기 모니터링 관점에서 2년간 총 5회에 걸쳐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다양한 고속선 음원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보다

Page 3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 -

최적화된 주파수 튜닝으로 소음저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개발에

활용하였다. 또한, 내부격자 변경을 통한 주파수 튜닝과 함께 1단계 테스트베드 시공을 통해

얻어진 시공 방법의 개선, 중복된 기능의 부품을 축소하고 구조안정성을 유지하는 방안, 제품

생산 공정 간소화를 통한 생산성 개선 등을 반영한 개선품 개발을 수행하여 소음저감성능 유

지향상과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표 1-3-3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범위

4. 흡음블럭 고도화

고속철도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개발이 진행된 흡음블럭의 상용화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1단계 개발품의 장기적인 소음저감성능 및 현장 안전성, 내구성을

점검하여, 개발품의 개선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개선품의

개발을 위해 추가적인 흡음소재 및 첨가소재를 검토하고, 최적배합비를 새롭게 하였으며, 이

에 대한 실험실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

해 하부에 내시경카메라로 도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홀을 가진 새로운 형상을 도출 하였

다. 개발된 제품의 현장 성능평가를 위해 현장부설 구간을 검토하여 토공구간 및 터널구간 중

최종적으로 달성터널구간을 선정하였다. 이에대해 호남고속철도 관리주체와 현장부설 공사 협

의 및 안전성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8년 1월 현장부설을 진행하였다. 개발품의

소음저감성능은 열차 내부에의 소음저감 성능 측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범위 연구수행방법(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

1단계 연구과제 Test-bed 설치구간 모니터링

-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환경조건 및 운행조건에 따른 DB 확보- 장기운영에 따른 성능검증- 2년간 총 5회 이상 설치구간에 대한 현장실측수행

경제성을 고려한 상단장치 개선안 도출

- 부품생산공정, 조립공정, 포장 및 운송, 현장부설 등 제작 전 공정에 대한 재검토- 1단계 Test bed 모니터링 및 현장방문을 통해 운행상태에서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안 도출

목업 및 시작품 제작- 개선안이 반영된 기본설계- 목업 및 시작품 제작 후 제작 -조립 공정체계 검토- 검토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 수정

양산화시스템 구축- 시작품을 통해 검토된 제작-조립 공정체계를 관계 업체와 협의- 양산화시스템 구축 후 일반방음벽 및 경쟁 제품 대비 경제성 검토

신규 Test-bed 구간 시제품 부설

- 개선안이 반영된 시제품 시방 및 설계도서 작성- 신규 Test-bed 현장 답사 및 상세시공 방법 수립- 시제품 제작 및 Test-bed 현장부설

신규 시제품 성능검증- 기존 상단장치 대비 경제성분석 및 시방작성- 열차 운행에 따른 소음저감 성능평가

Page 3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 -

표 1-3-4 흡음블럭 고도화 연구범위

연구범위 연구수행방법(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

기 구축된 성과품의 장기적 성능평가

- 기존 흡음블럭 구축 구간에 대한 소음저감성능 모니터링을 통한 장기성능 평가- 기존 흡음블럭 구축 구간에 대한 현장점검을 통한 안전성 및 내구성 점검

실용화를 위한 개선모델 도출

- 400km/h 고속운행시 발생소음의 지배주파수대역에 대한 흡음성능 개선 필요성 검토- 실용화를 전제로 개발품의 성능 및 규격 개선 모델 도출- 개선 모델 달성을 위한 추진 방안 설정

소재 물성 검토- 흡음소재 및 첨가소재에 대한 물성 검토 - 개선 모델 달성을 위한 최적 배합비 선정

시제품 제작 및 성능 검토- 1단계 연구에 사용된 금형 몰드를 사용하여 선정된 배합을 적용한 시제품 제작 - 흡음률 및 내구성능 실험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TR 0015-15에 의거 진행)

Test-bed 현장부설 구간 선정- 개발품의 신뢰성 확보 및 적용성 확대를 고려한 현장부설 구간 검토- 후보구간에 대한 현장점검 및 선정

생산 효율성 증대- 생산 공정 개선방안 검토- 생산 설비 개선

시제품 제작 - 현장 설치용 시제품 생산

현장부설- 호남고속철도 관리주체와 현장설치관련 협의- 선정된 부설 구간에 개발품 설치

소음저감 성능 측정- 차량 내 소음저감 성능 측정- 측정결과 검토를 통한 소음저감성능 검증

Page 3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 -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DB

가. 시설물 모니터링 분야

(1) 국외

선진국의 모니터링 기술은 동적 특성, 안전성 평가, 외부 환경과 거동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손상 탐지, 유한요소 모델 업데이트, 관리기준 정립에 활용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에는 차량,

바람, 지진, 온도 등 외부 하중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적, 동적, 내구성, 피

로 해석 등을 수행하여 최적의 유지·보수 방안을 도출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그림 2-1-1은

홍콩 유지관리 계측 사례이다.

그림 2-1-1 홍콩 유지관리 계측 사례

일본의 경우 계측모니터링 시스템은 내풍, 내진, 열차, 차량하중에 의한 거동 분석을 위하여

설치 운영 중이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공용 중 발생 가능한 성능저하를 예측하기 위한 기

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일본철도의 방재대책유형은 점검 및 검사, 취약성 평가, 보수/보강/

교체, 재해시 대응 복구 및 대책공법 시공 등이다. 방재와 센싱연계로는 기상재난 대응, 구조

물건전성모니터링 확장, 철도구조물로의 구조물건전성모니터링 적용을 하고 있다. 그림 2-1-2

는 JR 동일본 방재정보시스템 구성도이다.

그림 2-1-2 JR 동일본 방재정보시스템 구성도

Page 3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 -

중국의 모니터링시스템 기술현황은 초음파센서로 응력을 측정하는 기술, 레일 균열 검지기

술을 개발하고 레이저를 이용해 궤도 변형(처짐)등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기술 개발하였다. 또

FBG(광섬유)센서로 분기기와 신축이음기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외산 광섬유센서가

아닌 자체 생산된 국산품을 사용하였다. 또 시속 60km로 이동 중인 열차(검측차)의 재하 하중

에 의한 궤도 변위 측정기술을 개발(오차 0.2mm이내)하였고, 검측차(열차주행에 따른 변위측

정 가능)를 이용하여 지반침하 또는 체결구의 이상을 탐지 또는 모니터링 하는 기술을 개발하

였다. 철도 시설물 점검기술은 레일과 궤도에 3~5마일 단위로 RFID를 설치하여 변위 처짐 등

을 검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철도안전운용시스템은 차량관리, 화물운송관리, 안전관리,

등급관리의 4가지 형태로 수행한다. 중국은 전역에 검측기가 설치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모니

터링 시스템은 지역별로 관리하지만 모니터링 결과는 CARS에서 통합 관리한다. 철도통합관

리시스템 도입은 약 10년 이상 되었고,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업그레이드 하고 있

다. 그림 2-1-3~6은 호주와 스웨덴의 모니터링 시스템 사례이다.

그림 2-1-3 호주 철도교량 모니터링 시스템 사례

그림 2-1-4 스웨덴 철도교량 모니터링 시스템사례

그림 2-1-5 스웨덴 모니터링 시스템 계측정보 스마트APP 제공 사례

Page 3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 -

호주의 철도 궤도시설물을 관리하는 ARTC(Australian Rail Track Corporation)는 차축 베어

링 이상상태의 추적관리 및 예방보수를 통해 차축 베어링 발열 및 고착을 모니터링 하기위해

HBD와는 다르게 차축베어링의 음파데이터를 측정/분석하여 차축베어링의 이상상태를 지속적

으로 감지하는 RailBAM 모니터링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운용 중에 있다. ARTC에서 도입한

RailBAM은 일반철도 차량 속도범위에서 통과 시 발생하는 음파 특성을 식별하여 차축베어링

및 차륜상태를 검지하여 상태이력을 DB로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베어링상태 모니터

링 시스템이다. 해외의 철도 모니터링은 철도의 안전성, 효율성, 신뢰성 증대를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철도운영 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

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는 사고를 저감할 수 있도록 관련 검측기술의 정확성, 신뢰성을 향

상시키도록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열차 운행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통신기술개

발 등을 통한 모니터링 활동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그림 2-1-6 ARTC의 RailBAM 시스템

(2) 국내

(가) 철도 안전관리설비

국내의 경우 고속열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설비가 구축되어 운영중이며, 독립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영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토부에서 ‘실시간 철도안전 통합

감시제어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현재 경부고속선(1단계, 2단계), 호남고속선에 설치운영

되고 있으며, 신설 일반철도 일부구간에도 운영중이다. 철도사고·재해 등 철도안전 위협요인

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한 시스템으로 철도안전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종류는 지

장물검지장치, 끌림검지장치, 지진감시시스템, 기상설비, 융설장치, 열차접근확인장치, 차축온

도검지장치, 레일온도검지장치, 보수자횡단장치, 터널경보장치, 원격감시장치, 분기부 히터장

치 등이다.

지장물검지장치 끌림검지장치

지진감시시스템 기상설비

융설장치 열차접근확인장치

그림 2-1-7 고속철도 안전설비 종류

Page 3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 -

표 2-1-1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1

표 2-1-2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2

안전설비 및 감시설비

감시대상 감시목적 감시범위 감시주기

열차제어장치열차간격제어 지상 및 차상제어장치

열차간격제어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

지상 전구간 및 차상 전차량

지상 : 연속감시차상 : 불연속감시

(기지인입 및 정보거점 역)

연동장치열차진로제어 연동장치

열차진로제어장치 위험측 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폐색장치열차간격제어 지상장치

열차간격제어장치 위험측 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궤도회로장치 열차위치검지장치열차위치검지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신호설비집중감시장치

지상 신호설비지상 신호설비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영상감시설비 선로변 침입선로변 침입자와 열차의

충돌방지지상 위험개소 지상 : 연속감시

SCADA 시스템전력공급장치 지상장치

전력공급장치 고장으로 인한 열차지연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전기설비기술지원시스템

지상 전기 및 신호설비

지상 신호설비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안전설비 및 감시설비

감시대상 감시목적 감시범위 감시주기

통합유지보수지원시스템

지상 전기 및 신호설비

유지보수정보 후처리를 통한 위험측고장관련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신호기열차간격제어 신호기장치

열차간격제어장치 위험측 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전기선로전환기열차진로제어 선로전환기장치

열차진로제어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TLDS열차진로제어를

위한 중앙과 지역의 연동장치

진로제어 정보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실시간열차상태감시

열차의 주요장치급전, 추진, 신호 등의

주요장치 위험측 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

차상 전차량차상 : 불연속감시

(기지인입 및 정보거점 역)

승강장 안전설비 선로변 침입선로변 침입자와 열차의

충돌방지지상 위험개소 지상 : 연속감시

악셀카운터 열차위치검지장치열차위치검지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Page 3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 -

철도 종류별 현장설치 기존 안전검지장치와 운영데이터를 활용하는 대상으로는 고속철도 노

선의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이고 일반철도 노선의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춘선이고, 도시

철도 노선의 신분당선, 도시철도 8호선 대상이다.

표 2-1-3 철도 안전감시설비별 주요 특징 3

안전설비 및 감시설비

고속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

경부선 호남선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춘선신분당선(무인)

서울 8호선

열차제어장치

연동장치

폐색장치

궤도회로장치

신호설비집중감시장치

영상감시설비

SCADA 시스템

전기설비기술지원시스템

통합유지보수지원시스템

신호기

전기선로전환기

TLDS

실시간열차상태감시

승강장 안전설비

악셀카운터

열차무선AP

차내화상무선AP

열차무선AP열차간격제어 지상 및 차상제어장치

열차간격제어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

지상 전구간 및 차상 전차량

지상 : 연속감시차상 : 불연속감시

(기지인입 및 정보거점 역)

차내화상무선AP열차간격제어 지상 및 차상제어장치

열차간격제어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열차충돌 또는 탈선 방지

지상 전구간 및 차상 전차량

지상 : 연속감시차상 : 불연속감시

(기지인입 및 정보거점 역)

차축온도검지장치 열차대차장치열차대차장치

위험측고장으로 인한 탈선방지

지상 전구간(주요개소)

지상 : 연속감시

지장물검지장치선로변 침입

(사면 및 수목 포함)선로변 침입으로 인한

열차충돌 방지지상 위험개소 지상 : 연속감시

끌림검지장치 열차하부 탈락물열차하부 장치탈락 및

물체끌림으로 인한 탈선방지지상 전구간(주요개소)

지상 : 연속감시

지진감시시스템 지진발생 지진발생으로 인한 탈선방지 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기상설비 폭우, 폭설, 강풍발생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탈선방지지상 전구간 지상 : 연속감시

융설장치 분기부결빙에 의한 분기부 밀착불량

등의 탈선방지분기구간(취약개소)

지상 : 연속감시

열차접근확인장치

선로변 유지보수선로변 유지보수자에 대한

운행열차 충돌방지지상 위험개소 지상 : 연속감시

터널경보장치 선로변 유지보수터널작업자와 운행열차와의

충돌방지지상 위험개소(터널 진출입부)

지상 : 연속감시

레일온도검지장치

폭염발생폭염에 의한 선로변형으로

열차의 탈선방지지상 전구간(취약개소)

지상 : 연속감시

건널목보안장치 건널목 제어장치건널목 제어장치

위험측동작으로 인명 또는 차량의 충돌방지

건널목구간 지상 : 연속감시

Page 3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 -

안전설비현재속도

허용속도

불연속정보전송

Np

인접기계실CTC장치

적설검지장치 강풍검지장치

강우검지장치

신호기계실

계전기 랙케이블 랙 정보송수신장치 논리장치

궤도회로 및 불연속정보 전송장치

현장설비 ~ 실내설비간,연동장치간 인터페이스

Ø 고속선/기존선 진,출입Ø 중간 건넘선Ø 터널 입,출구Ø 차축온도검지Ø 절대정지표지Ø 전차선 사구간

루프케이블

차축온도검지장치

재해대책설비

Ø 지상정보를 수신하여허용속도 표시

Ø 운전제어곡선 생성Ø 허용속도 초과 시

제동장치 작동

차상장치

열차위치 및 레일절손 검지차량에 연속정보 전송

IXL장치

지장물검지장치

끌림검지장치

열차유무 검지속도정보를 차상으로 전송인접궤도회로와 신호정보 교환연동장치와 인터페이스안전설비와 인터페이스속도제한설정

ATC장치

표지

운전제어곡선 생성실제운행속도 비교

논리장치

연속정보 생성불연속정보 생성

궤도회로

폐색경계 표시

수신안테나레일로부터 신호정보를수신하여 차상의 논리장치로 전달

270 280 290 300 310 3

3 0 0

그림 2-1-8 철도안전설비 운영 개념도

(나) 철도 모니터링 시스템

철도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건설계측에서 유지관리계측으로 전환하여 실행되고 있으며 공

구별 분리발주(호남고속철도는 통합운영)에 의해 통합운영이 어려운 점이 있다. 또 계측기기

사양, 설치방법, DB, 관리기준 등 표준화와 통합운영에 애로사항이 있다. 따라서 표준화, 정보

화, 확장성 등의 확보가 필요하다. 지상모니터링 시스템 현재 재해나 극단적인 상황 발생한

직후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실시간 정보제공, 재해 사전예방과 구조물 공용중 이상하중, 이상응

답, 결함 초기 감지도모를 하고 있다. 변형, 거동 등의 측정자료는 정기적으로 수집중이지만,

손상 및 결함 평가를 위한 데이터분석(정보로의 전환)은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철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승객과 열차의 신뢰성 및 안전성에 대한 향상을 요구하고 있

으며, 이에 따른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스템 향상에

따른 신뢰성 및 안전성 향상과 유지보수 비용절감을 위해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

성 확보를 위해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무선센서 기술, 자체전원 센서, 원활한 네트워크 기술,

모니터링 정보 분석기술 등의 기술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철도시설에 대해 안전 모니터링을 실시는 하고 있으나, 대부분 한정된 장소와 범위에

서 실시되는 실정이며, 철도 차상 실시간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에서는 통합

모니터링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시도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 구조물 일부분

의 이상상태만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표 2-1-4는 철도유지보수 분

야별 특허수이다. 철도 차상에 대한 모니터링 분야에서는 상태 측정 특허만이 대다수이고 이

차축온도검지장치

지장물검지장치

끌림검지장치

지진감시시스템

기상설비

융설장치

열차접근확인장치

터널경보장치

레일온도검지장치

건널목보안장치

Page 3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 -

를 보수유지 주기 및 수명예측과 연계한 특허는 거의 없다.

표 2-1-4 철도유지보수 분야별 특허 수

구분철도차량 차상상태 진단/예측

철도차량 모니터링센싱

철도차량 유지보수

철도차량 무선통신

선로구축물 유지관리

전기/신호 유지관리

특허수 106 62 60 68 102 110

일반적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상발생 후 위험상황을 예측하는데 사전에 예방 및 대응조

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세계 4번째 고속철도 개발 국가로서 해

외 진출 시 중요한 기술이전과 철도 유지보수의 신뢰성과 운영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며, IT

기술을 이용한 유지보수 관리와 실시간 관리가 세계적인 추세이며 필수사항이다.

① 철도 강우 자동모니터링시스템

철도 강우 자동모니터링시스템은 전국 207지점 강우설량계를 설치하여 공사내부 TCP/IP망

을 이용하여 구축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시간강우량과 누적강우량에 따라 주의 운

전, 서행운전, 열차정지 등 경보를 발생하고 사고사례와 강우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역사별

안전규제기준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 된다. 주기적으로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지역여건을 고려

한 열차안전 규제기준을 업데이트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림 2-1-9은 모니

터링화면과 설치사진 및 열차안전관리기준이다.

그림 2-1-9 모니터링화면 및 열차안전관리기준과 설치 사진

② 도시철도 하부시설 및 지반이상구간 감시시스템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도시철도 하부시설 및 지반 이상구간 감

시 시스템을 대전 및 서울 도시철도의 Testbed구간에 설치하여 운영한바가 있다. 이 시스템은

궤도의 가속도 및 기울기를 고속으로 측정하여 무선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IoT

기반 센서를 탐재한 측정시스템이며 측정빈도는 1khz이다. 무선 목표거리는 1km이며 RTU를

이용하여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그림 2-1-10는 현장 설치 및 모니터링 화면이다.

Page 3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 -

그림 2-1-10 도시철도 하부시설 및 지반이상구간 감시시스템 설치 및 모니터링 화면

③ 도시철도 선로 및 역사 구조물 광역확인 감시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도시철도 선로 및 역사 구조물 광역확인 감

시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서울 및 대전에 Testbed구간에 설치하고 운영하였다. 이 시스템

은 계측, 탐사, 조사 등의 자료를 D/B화하고 시스템내에 내장된 위험도 분석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위험도를 도출하고 평가결과를 표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위험도 분석 프로그램은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보 및 전파, 처리되도록 기능을 구현한다. 그림

2-1-11는 도시철도 선로 및 역사 구조물 광역확인 감시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모니터링 화

면이다.

그림 2-1-11 도시철도 선로 및 역사 구조물 광역확인 감시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④ IoT기반 철도재난 대응 다목적 센서시스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IoT기반 철도재난 대응 다목적 센서시스템을 대전 판암차량기지

에 Testbed구간에 설치하고 운영하였다. 센서는 다목적 일체형센서를 비롯하여 지표변위센서,

침수센서, 철도레일온도센서, 강우센서 등 강우재해대응 모니터링을 위해 개발된 대다수의 센

서가 설치되었다. 이 시스템은 옹벽 및 철탑 등 다양한 철도환경에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무선통신환경은 1시간 계측주기를 기준으로 운용을 하고, 강우강도에 따라 측정주

기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었다. 재난대응과 연계하여 붕괴발생 및 활동면 추정, 미세진동, 열차

안전운행기준, 레일침수 등에 이용한다. 그림 2-1-12는 IoT기반 철도재난 대응 다목적 센서시

스템 설치도이다.

Page 4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 -

그림 2-1-12 IoT기반 철도재난 대응 다목적 센서시스템 설치도

⑤ 특수교 통합관리계측시스템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특수교 통합관리계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일반국도 교

량 14개소의 구조 거동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측시스템은 일반

국도의 사장교와 현수교 10개소에 대한 작동상태, 데이터 취득현황, 국민안전처 연계상태 등

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태풍과 같은 재난 상황시 초동대응 근거자료 확보, 계측

시스템 검증재하시험을 통한 계측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등의 기능을 가진다.

그림 2-1-13 지진 및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데이터 연계 구조

⑥ 한강교량 온라인 시스템

한강교량 11개소에 통합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안전감시시스템과 지진감시

시스템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운영과 계측결과 분석을 수행한다. 교량의 국부 부재에 대해 관

리기준을 적용하고, 실시간으로 관계자에게 SMS경보 알림을 수행한다. 관리항목은 장력, 신축

변위, 처짐, 주형진동, 풍향풍속, 지진, 주탑경사, 균열계이다. 대상교량은 행주대교, 가양대교,

Page 4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 -

올림픽대교, 양화대교 등 총 11개소이다.

그림 2-1-14 한강교량 온라인 시스템

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유지관리 최적화 기법

KTMSYS(고속선 궤도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는 2006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국토해

양부의 미래철도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국가 R&D 연구과제의 결과물로 산출된 시

스템이다. KTMSYS는 검측차량에서 검측한 검측데이터를 기반으로 궤도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궤도의 틀림진행사항을 분석해 예측한다. 궤도의 현 상태와 틀림진행 예측결과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유지보수 수행 자원과 작업조건에 따른 유지보수일

정 최적화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궤도 유지보수 개념을 사후 보수에서 선도적 예방보수 개념

의 고속선 궤도관리로 전환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현재는 연구과제 종료 후 경부고속선 1단계 (광명~동대구)에 대해 오송시설 사무소가 주축

이 되어 5개의 시설사업소와 2개의 장비시설사업소에서 유지보수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2014년도부터 현재까지 약 3차에 걸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해 꾸준히 현장 업무에 활용하

고 있다.

그림 2-1-15 KTMSYS 개요도(철도시설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영국의 철도산업은 1994년 이후 영국 국철(BR)을 기반시설과 여객, 화물 등 사업별로 분할

한 후 주식회사로 전환하여 민간매각 또는 운영권을 위탁하였다. 그 결과, 철도시설 관리자인

Network Rail(NR)과 복수의 여객 및 화물철도 운영자와 규제기관인 ORR(Office of Railway

Regulatio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NR은 철도시설 관리자로서 시설물 유지보수, 개량 및 관

제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NR이 담당하는 선로연장은 약 15,800km이며 약 2,500개의 역사를

Page 4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 -

운영하고 있다. NR의 2014~2019년 기간 (CP5) 중 관련 예산은 개량부분 121억 파운드, 유지보

수 53억 파운드 및 성능개선 124파운드 등이며 총 34조원 규모(환율 1,700원 기준)이다.

(Kirwan, 2015) NR의 전체 직원은 약 35,000명이며 이 중 운영 및 유지보수 인원은 약 26,000

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 시설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RCM : Remote Condition Monitoring) 운영

NR은 철도시설물의 유지보수 관련 정책의 결정, 기준의 정립 등을 위하여 고속 및 저속 검

측차를 이용한 시설물 상태평가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레일마모, 궤도트림,

노반상태, 구조물 및 전차선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이 정보는 정부의 철도

규제기관인 ORR 뿐만 아니라, 시설물관리자, 운영기관 (TOC : Train Operation Company, Foc

: Freight Operating Company), 표준기관 (RSSB : Rail Safety and Standards Board) 등과 공유

한다. 영국 NR의 시설물 및 차량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은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분

된다.

1) 차상 검측모듈에 의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 차상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운행

중 상태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가속도, 윤중 등이 측정대상이다

2) 차상 검측모듈에 의한 시설물 상태 모니터링 : 주로 검측차를 이용한 시설물 상태모니터링

을 수행하고 있으나, 매일 운행하는 영업차

량에도 센서를 부착하여 시설물의 상태정보

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다.

3) 지상모듈에 의한 시설물 상태 모니터링 : 지상에서 시설물 상태평가를 위한 모니터링으로

인력 및 전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4) 지상모듈에 의한 차량의 상태 모니터링 : 지상에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건전성

을 평가한 후 운영기관에 결과를 통보한다.

시설물의 상태정보처리 절차는 상태 모니터링과 진단에 대한 국제규격인 ISO 13374를 따른

다. 상태평가 데이터는 원시 데이터 (RCM Data)의 형태에서 분석 철차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

태변화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가공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림 2-1-16 상태정보 처리절차 및 ISO 13374 : 상태모니터링과 진단

Page 4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 -

NR에서는 당초 유지관리 공종별 DB를 구축하여 운영하였으나, 최근 이를 기반으로 선로

구조물 통합 DB를 구축하여 운영하였으나, 최근 이를 기반으로 선로구조물 통합 DB를 운영

하고 있다. 인프라 시설과 관련한 ORBIS(Offering Rail Better Information Service)라는 DB를

따로 구축하여 예방 유지보수(PM, Preventive Maintenance) 및 예지 유지보수(PdM, Predictive

Maintenance)가 가능하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NR, 2008,

2014). 이와는 별개로 ADS(Asset Data Store) 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여 철도 시설물

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계측데이터, GIS 및 이력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2) 프랑스 SNCF의 유지보수 전략

2015년 프랑스의 철도조직 번경 전에는 철도운영자인 SNCF와 시설관리자인 RFF로 구성되

어 철도시설물의 유지보수 주체가 모호한 면이 있었으나, 조직통합 후 SNCF는 다음과 같이

재편되었다.

1) SNCF Immobilier : SNCF 그룹 자산관리, 부동산 사업

2) SNCF Mobilites

- SNCF Voyageurs : 도시철도(파리), 일반/고속철도, 역사 시설 관리담당

- KEOLIS : 경전철, 트램, 버스, 공공 자전거 관리담당

- SNCF Logistics : 화물 및 물류 운송

3) SNCF Reseau : 선로사용료 책정 및 징수, 시설물 관리, 유지보수 및 개량, 관제 업무

선로의 유지보수는 UIC 714 기준에 따라 1~9등급의 선로등급 체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

으며 여기서 선로등급은 통과톤수 및 열차의 운행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SNCF가 담

당하는 철도시설물은 노후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유지보수와 대별되는 개량 업

무와 관련한 의사결정체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표 2-1-5 UIC 714 선로등급 체계 (=환산 통과톤수)

Classification of Lines Daily traffic(Gross tonne)

Group 1 120,000 ton/day <

Group 2 85,000 ton/day < ≤ 120,000 ton/day

Group 3 50,000 ton/day < ≤ 85,000 ton/day

Group 4 28,000 ton/day < ≤ 50,000 ton/day

Group 5 14,000 ton/day < ≤ 28,000 ton/day

Group 6 7,000 ton/day < ≤ 14,000 ton/day

Group 7 3,500 ton/day < ≤ 70,000 ton/day

Group 8 1,500 ton/day < ≤ 3,500 ton/day

Group 9 ≤ 1,500 ton/day

SNCF는 1990년대 후반 고속선 검측차량을 이용한 궤도틀림 관리용 의사결정지원시스템

(TIMON, Traitement Information du Mauzin et des Operations de Nivellement, Computer

Processing of the Mauzin data & levelling maintenance)를 개발하여 현재까지 현장에 적용하

고 있다. KP별, 기간별 고저틀림 정도 및 유지보수 양을 수식화하여 향후 유지보수 시기를 예

Page 4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 -

측하는 한편, 개량과 관련한 의사결정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한편, 유지보수 및 개량으로 인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

며, 열화모형을 이용한 도상자갈, 레일 용접부, 분기부 및 선로전환기의 잔존수명 예측결과를

기초로 유지보수/개량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시나리오 작성을 통한 LCC 비

용의 약 30% 절감). 프랑스의 LCC 적용사례 및 TIMON 활용방안 등은 향후 RAFIS 개발시 중

요한 정책결정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1-17 The TIMON 운영 및 자료분석 예시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신뢰성 중심유지보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신뢰성 및 최

적화 이론을 유지보수주기 및 예비품 소요량 산정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

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의 Circumviana Railway는 유지보수 전산통합관리체계를 도입하여 전

동차 전주기 비용의 60%에 해당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10% 절감하고 전동차의 신뢰성 및 가

용도를 향상시킨 바 있다. 스위스의 ABB사는 RE0517을 개발하여 전차선, 조가선 및 전력설비

의 보호 및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시설분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운영중에 있다. 영국 런던에서는 차륜의 상태를 모니터

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 중에 있으며, 적외선 센서를 철도차량 하부에 설치하여 온도

를 측정하고 온도 임계치가 넘어가면 베어링의 마모를 인식하여 철도차량의 탈선사고를 예방

하고 있다.

Page 4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 -

2.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가. 연약지반 관련 연구동향

국내의 경우 일반철도 궤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상대적으로 고속철도에 관

한 연구는 적게 수행되었으며, 해외 연구 및 설계기준을 참고하여 설계 및 성능평가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철도 노반에 대한 성능평가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실내시험 및

시험시공을 통해 얻어진 노반응답(노반압력, 노반침하, 노반가속도 등)과 수치해석을 비교 검

토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400km/h급 선로구축물(호남고속철

도) 설계기준 연구”를 통하여 현장 실측 데이터가 축척되었다. 다만 측정 기간이 영업전이기

때문에 시설물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여 측정 결과는 모두 기준치 이내로 평가 되었다. 고속철

도 선로구축물은 60년 이상 내구년한을 가지기 때문에 장기 안전성이 중요하므로 장기 모니

터링를 통하여 거동을 설계기준과 대조하여 평가 할 필요가 있다.

수치해석을 통한 연구로 이강재(1997)는 동역학 해석프로그램인 VAMPIRE를 사용하여 선로

개량으로써 속도향상 가능여부를 검토하였고, 속도향상이 가능한 조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용환(2008)은 기존선에서 속도향상에 따른 궤도 부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주로 궤도

의 정적/동적 거동을 포함하여 부재의 진동 속도 등에 대한 이론적인 방법을 규명하였다. 김

영호 등(2007)은 고속철도의 침하량 분석을 위해 기존 경부고속철도에 사용된 노반 특성치를

활용하여 고속철도 궤도 종류에 따른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지반조건별 허용 침하기준을 만족

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해석결과는 실측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열차-궤도-토공노반의 상호 해석 결과를 실측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현장 측정 데

이터를 필요로 한다. 동일 지점 및 동일 시각에서 차상측정자료와 지상측정자료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는 시각 동기화된 측정을 필요로 하며 본 연구에서는 GPS 시각 동기화를 통해 정

확한 시각의 지상 측정데이터를 취득할 예정이다. 이러한 측정데이터는 해석데이터의 검증에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토공 노반의 침하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연약한 원지반에 대한 잔류침하 예측이 주를

이루어왔으며, 그 방법론으로써 유동학적 모델(Gibson과 Lo, 1961; Edil 등, 1990) 및 경험적

침하 예측모델(쌍곡선법, Hoe 등, 1998; Bjarngard와 Edgars, 2000), 압축상수를 이용한 침하추

정 등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Sato(1972)는 노반침하구간에서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을 최초로 체계화하였으며, 노반면

에 단차, 평행이동, 그리고 굴절이 발생하였을 때 궤도가 노반형상에 따라 변형된다고 가정함

으로써 궤도틀림구간을 차량이 주행할 때의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노반변형 기

준을 도출하였다.

기존 침하 예측 모델 및 방법들이 원지반(연약지반)의 장기 잔류침하를 예측하는데 적용된

반면, Justo와 Durand(2000)는 암성토체에 대한 크리프 침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Gordon(1989)는 암버력과 흙의 혼합성토체 시공 후 암성토체의 침하 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

행하였다. 계측 결과에 따르면 암성토 침하는 시공 후 9~18개월 사이에 대부분 발생하며 이

때, 70개월 간 발생한 침하량의 60%에 해당하는 침하가 9개월 이내에, 80%에 해당하는 침하

가 18개월 이내에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伊勢田(1972)와 石井(1976)는 재하시간과 침하량과의 관계로 성토체의 압축침하량을 산정하

는 식을 제안하였으며 益村 등(2002)은 원위치 시험 및 계측결과에 의한 성토체내의 강도 변

Page 4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 -

형 특성 및 그 압축 침하 거동을 분석하여 노반의 압축 침하 거동에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시도하는 것과 동시에 사양 규정에 의해 구축된 성토의 압축 침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열차 운행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침하량은 원지반 침하 및 성토체 침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과도

한 침하가 유발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Baksdale(1972)은 일정 하중비 이상의 반복재하하중이

노반에 작용하면, 변형이 수렴하지 않고 계속 증가하여 큰 변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

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반 재료의 강도 및 변형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반복하중의 특성

을 분석하였다.

Thiers와 Seed(1968)는 반복재하 후 지반재료의 강도 감소는 기본적으로 반복재하 중 점성

토가 겪은 반복변형률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제안하였고 단순 재하시 파괴 변형률에 대

한 반복변형률 비가 0.5이하일 경우 전단강도의 감소는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고, 반복변형률

이 매우 크더라도 전단강도의 감소는 10~20% (Koutsoftas, 1979) 또는 25%(Andersen, 1975) 이

상으로는 유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Mais와 Meier(1968)에 의하면 열차하중의 작용에 따라 나타나는 철도노반의 응력은 하나의

내구성 문제라 하였으며, Sekine(1995)는 열차 하중으로 인한 노반응답의 크기를 좌우하는 것

은 지지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Frederick(1978)은 하중조건을 달리하면서 수

치해석을 실시하여 궤도의 수직변위를 예측하여 이를 실측치와 검증하였다.

Eurocode의 철도교량 진동 사용성 허용 처짐 기준으로 진동 사용성 연직가속도 기준중

‘very good(1.0)’을 승객이 느끼는 진동 사용성 연직 가속도 기준으로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함께 고려하여 경간 길이에 대한 처짐비로 제시하였다. Eurocode에서 승객의 진동

사용성을 결정하는 것은 열차가 교량구조물 위를 주행할 때의 차체연직가속도이며 진동 사용

성 연직가속도 기준들과 비교하여 철도교량의 진동 사용성을 판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량 경간길이(L), 열차의 주행속도(V) 그리고 교량의 연직변위(u)의 함수로 구성하여 교

량의 연직 처짐으로서 철도교량의 진동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열차의 주행안

정성과 연계하여 L/600을 허용 처짐의 하한값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열차의 최대 주행속도는

350km/h로 설정하고 있다.

나. 기준 및 설계방법 동향

현재 연약지반 구간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나 철도가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으며, 서해와 남

해연안에서는 바다를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해서 항만이나 공항 또는 공업단지를 건설하는 대

규모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어 왔다. 연약지반 구간 건설공사시 원지반 상부에 성토 시공이 수

반되는데, 이 경우 장기간 압밀에 의한 다량의 침하와 함께 전단변형의 결과로 많은 지중 변

위가 발생하게 된다. 지중 변위가 심할 경우 지반의 전단파괴로 상부구조물이 붕괴될 수도 있

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급격한 전단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 쌓기로 성토속도를 완속 재

하하거나, 간극수의 원활한 배수와 지반보강을 위해 성토체 하단에 샌드매트와 섬유보강재를

포설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배수속도 향상을 위한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침하속도를 빠르

게 하여 지반강도 증가로 인한 성토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국내 연약지반은 서‧남해안 지역과 내륙의 하천 인근 지역에는 밀집되어 있으며, 공학적 특

성으로 대부분 과압밀비(OCR)이 2이하로 정규압밀 또는 약간의 과압밀 상태에 있다. 또한 자

Page 4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 -

연함수비가 30~70%, 비배수전단강도가 10~30kPa 정도인 점성토지반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 지반은 압축성이 크고 전단강도가 작아 공학적으로 매우 취약한 특성을 보인다.

연약지반을 판정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상부 구조물과의 상대적인 관계에 의하여 정의하

며, 통상적으로는 표준관입시험값(N)을 기준으로 결정하고 사질토의 경우에는 10 이하, 점성

토는 4 이하인 지반을 연약지반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느슨한 사질토지반과 전단강도가 작고

압축성이 큰 점성토 지반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연약지반 여부를 평가 때에는 강도 외에도 과압밀비(OCR)가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

다(Parry and Wroth, 1981). 일반적으로 연약한 점토지반은 연성(ductile) 거동을 보이는데 반

하여 굳은 점토지반은 취성(brittle) 거동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거동 차이는 과압밀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의 관련 연구추세도 지반의 강도보다는 변형특성에 주안점을 두

고 있다. 본 절에서는 표 2-1-77과 같은 국내외 연약지반 관련자료를 검토하여 최신 설계기준

을 재정립하여 국내 철도 시공시 연약지반 설계기준을 개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표 2-1-6 국내외 침하 관련 문헌 및 주요내용

구 분 저 자 주요내용 연도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6031:1981 code of practice for earth works

BSI 영국의연약지반의분류방법소개

1981

Naval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Soil Mechanics Design Manual 7.1

Department of the Naval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미국 NAFAC의 토질공학적 설계메뉴얼

1983

軟弱地盤對策工法- 調査·設計から施工まで(現場技術者のための土と基礎シリーズ(16))

土質工學會일( ) 연약지반 조사, 설계기법 1988

새로운 연약지반 처리공법 우기형 연약지반의 정의 및 적용공법의 상세설명

1994

지반공학 시리즈 6 연약지반 한국지반공학회 연약지반 처리 1995

Soft Ground Improvement in Lowland and other Environment, ASCE Press

D.T. Bergado, L.R. Anderson, N. Miura, A.S. Balasubramaniam

연약지반 판정기준 소개 1996

SPECIFICATIONS FOR SURVEY & DESIGN HIGHWAY EMBANKMENT ON SOFT SOIL DESIGN SPECIFICATION

베트남교통성 베트남의 고속도로 특별시방서 (22TCN 262 - 2000)

2007

Ground improvement for the second phaseconstruction of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Y. Morikawa, T. Tabata, T. Emura

간시이공항의지반개량소개

Federal lands Highway Proect Development and Design Manual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고속도로설계매뉴얼

2008

연약지반 판정기준에 대한 고찰(I) 백원진, 김주현 연약지반 판정기준 정리

Integrated analysis of InSAR and geologicaldata for investigating local differential settlement of New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L. iang, Q. Zhao, S. Cheng, and H. Lin

홍콩공항과 관련 부등침하에 대한 해석방법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6031:2009 Code of practice for earthworks(Chapter 7)

BSI 영국 연약지반의 설계표준을 소개

2009

하노이-하이퐁 고속도로 Package EX-3 - 연약지반 처리 계산보고서

Ground Improvement - A Green Technology towards a Sustainable Housing, Infrastructure and Utilities Developments in Malaysia

K. Yee, T. A. Ooi 지반개량의 향후 녹색기술 및 건설기술에 대한 실증적인 내용

2010

Design and Long-Term Monitoring of Tokyo International Airport Extension Proect Constructed

K. Morohoshi, K. Yoshinaga,

도쿄 공항건설에 대한 장기계측 결과 및

Page 4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 -

관련 문헌에서 정의하는 연약지반은 연약한 점성토를 함유하거나 실트와 같은 세립분이 대

다수인 지반, 함수비가 매우 높은 점성토 지반, 이탄질 기초지반, 지하수위 근처 또는 아래의

모래질 충적층 등을 통칭한다(Bergado et al. 1996).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점토광물로부터

유래하거나 베트남의 메콩델타와 같이 지역에 따라 유기물에 의해 유래(Ministry of

Transport of Vietnam 2000) 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학적 관점에서의 연약지반은 단순하게

기초지반의 특성만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반위에 설치될 구조물과의 상대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즉 일본토질공학회(1988)에서 제시하였듯이 연약지반의 판정은 기초 지반의 강도와 기초

지반에 설치될 구조물 종류와 크기를 함께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는 상대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국외에서도 기본적으로 점성토 지반의 연약한 정도를 비배수전단강도(Su) 또는 일

축압축강도(qu)로 평가하고 있으며, SPT N치는 지반의 컨시스텐시나 상대밀도를 간접적으로

유추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기타 자연함수비 w, 간극비 e, 사질토의 배수마찰각 Φ 등이

연약지반의 판정기준 및 평가에 사용되고 있다. FHWA (2008)에서는 N치가 0~1을 초연약

지반으로 N치가2~4인 지반을 연약지반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NAFAC(1983) 또는 일본토질

공학회(1988) 등과 같이 대체로 가장 손쉬운 지반특성 조사방법인 SPT N치를 기준으로 4

이하를 연약지반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일본 토질공학회에서는 ≤~・

지반을 연약지반으로 정의하고 있기도 하다.

현재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에서는 열차속도 420km/h까지 인프라 거동특성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평가를 위한 연직변위 관련 기준은 350km/h에 준하는 한계기

준이 정해진 바 있다. 이러한 성능평가를 바탕으로 8개의 설계기준을 개정하는“400km/h급

고속철도(KR G-01010-T)”가 제정되었다. 이 설계지침은 400km/h급 고속철도 선로의 건설 및

개량사업에 검증기간동안 설계 및 공사에 적용할 수 있다. 설계편람 및 지침의 구성목차는

건설계획, 철도선형, 노반, 궤도, 교량, 터널 미기압파, 전차선로, 철도소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2-1-8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나타낸 표이다. 기존 연구와 주요하게 다른 점은 노반/궤

도의 장기 안정성 성능평가, 현장 실측 침하량을 피드백 하여 잔류침하량 설계 정확도 향상

등이다.

on Super-Soft Ground

M. Miyata, I. Sasaki, H. Saitoh, M. Tokoro, N. Fukuda, T. Fuii, K. Yamada, and M. Ishikawa

설계방법

메콩 델타지역 수리 및 지반특성 방윤경 외메콩델타지역 수리 및 지반특성 조사/분석

베트남 지역에서의 연약지반개량 설계․시공 사례 윤동덕, 조성한, 서원석베트남의 연약지반 설계 및 시공사례소개

400km/h급 고속철도 설계기준 한국철도시설공단콘크리트 궤도 허용잔류침하량을 만족하기 위한 연약지반 판정기준 강화

2016

Page 4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 -

표 2-1-7 지상모니터링의 선행 유사연구와의 차별성

구분400km/h급

선로구축물(호남고속철도) 설계기준 연구(철도시설공단)

호남고속철도 토공노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침하안정평가(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본 연구

연구목표· 현행 350km/h급에 대하여 실측을 통하여 400km/h급 설계기준 제시(검증포함)

·토공구간의 침하 현황 분석 ·기준초과 개소 보수보강 방안 제시

·잔류침하 특성 파악 및 설계법 정확도 개선

주요성과·400km/h급 설계기준 제시·현장 측정 D/B 구축 및 확보 (개통전)

·중점관리개소의 보수보강 방안·건설 및 유지보수 기준 분석·제시

·통합 D/B 구축(궤도, 노반, 차량)·설계시 잔류 침하 예측 정확도 향상(실측과 설계 리뷰)

정성적차별성

·400km/h급 노반의 설계기준 검증 및 제시(개통전 기준)·현장 측정 D/B 확보

·기준 초과개소에 대한 원인 분석·중점관리개소 선정·보수보강 방안 제시

·통합 D/B 확보(궤도, 노반, 차량)·노반 설계 기술 최적화 (연약지반 판정, 침하량 예측기술)

정량적 차별성

대상시기

·고속철도 건설 후 1년 이내 ·고속철도 개통후 1년이내·고속철도 개통후 3년이내

한계침하속도

· 10mm/10년 - ·검증

허용침하량

·현행유지(30mm) · 50mm ·검증 및 최적화

연약지반

판정기준

· N>15 (테스트베드 구간 대상 도출)

· N>20 (전구간 대상 도출) ·검증 및 최적화

방치기간

- ·6개월 이상으로 통일 -

침하대책공법

- ·지지말뚝공법 제시 ·검증 및 최적화

치환공법설계

-·다짐, 재료, 지하수 변동 기준 신설

-

침하 설계기법

-·유한요소, 이론식 등 1개소 예시 (지하수위 영향 고려)

·침하 예측 정확도가 개선된 설계 방법 (테스브베드 구간 리뷰)

측정 DB 자료

· 궤도 : 윤중, 횡압, 변위, 가속도, 응력, 진동· 노반 : 탄성변위, 침하, 접속부 단차, 노반응력, 강우, 함수비, 진동

·지표, 원지반 침하량

· 궤도 : 윤중, 횡압 ·노반 : 탄성변위, 침하, 노반응력, 강우, 함수비, 진동

기타· 설계기준에 대하여 242항목 검토 (실측, 해석 등)

·조사, 암성토, 근접접속부 기준 제시

·장기 측정을 통한 설계기준 검증 및 최적화

Page 5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 -

3. 소음저감장치 기술동향

가.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1) 국내 기술 개발 현황

기존 재래선 철도소음 및 도로교통소음 등을 저감시키기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음의 간섭

원리를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와 음이 회절되는 방음벽 끝단에 집중되는 음에너지

를 줄이기 위해 흡음재를 내장하여 방음벽 상단에 설치하는 상단장치들이 아래의 표 2-1-8과

같이 상품화 되어있다. 그러나, 국내 방음벽 시뮬레이션 및 설계기술은 대부분 지면의 위치에

서 입사하는 낮은 위치의 소음원만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표 2-1-9 참조).

표 2-1-8 국내 상단장치의 종류

흡음형

간섭형 혼합형(흡음+간섭) 공명형

표 2-1-9 방음벽 상단장치에 대한 개발실적

핵심기술 연구개발 현황

방음벽상단장치개발

- 방음시설 성능비교, 방음벽 성능평가, 철도방음벽 표준규격(안) 도출(철 도소음 진동의 효율적 저감방안 연구(2000))- 철도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 간섭장치의 성능평가 연구(2001)- 고속철도 구간 개활지 및 방음벽 구간 환경소음 특성 분석, 음장시뮬레 이션(차량 성능향상 핵심기술 개발(2005))- 철도연변 방음벽 음향설계(정부출연기관과 엔지니어링 사업체(1999))- 음의 간섭을 이용한 간섭형 방음벽 상단장치 개발 및 성능평가: 무궁화, 새마을 열차 연변 적용시험 (유니슨(2000-2001))- 방음벽 상단의 소음감소기 성능 평가(국립환경과학원(2007))

현재 대부분의 상단장치는 도로용으로 제작된 상태이며, 철도분야는 도로분야에 비해서 방

음벽 상단기술이나 투과손실 향상 면에서 많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상단의 회절효과 감소를

위한 설계는 프랑스와 일본에서, 그 외 독일에서는 태양광에너지를 생성하여 인근의 주거지역

에 전기를 공급하는 등 에너지 효율적 활용을 접목한 방음벽을 철도변에 개발, 적용하고 있

다. 최근 국내에서도 철도소음용 상단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 대

한 특허도 존재하나 모두가 일반철도용에 사용되는 목적이며, 400km/h급을 포함한 고속선에

개발 내용은 본 과제의 1단계 과제를 제외하면 전무하다.

Page 5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 -

표 2-1-10 국내 방음벽 연구개발 현황

기술유형 수행기관 저감대상 적용현황 그림

철도연변 방음벽 음향설계

정부출연기관과 엔지니어링 사업체(1999)

기존선과 경부고속철도 구간

수직형과 말단절곡형으로 제한

일반흡음형 소음감소기, Calm Zone, 공명형)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0)

기존선 고속화 현장평가시험

음의 간섭을 이용한 간섭형 방음벽 상단장치 개발 및 성능평가

유니슨(2000-2001), 철도연구원(2001)

무궁화, 새마을 열차 (1-4 dB 효과상승)

도로 및 철도

방음벽 형상 및 상단장치 축적모형실험 및 해석적 연구

한국철도연구원(2000), 한국표준과학연구원(2001)

고속철도 소음(2-5 dB 효과상승)

모형현장시험

고속철도 구간 방음벽 향상 연구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4)고속철도 (2-15 dB 효과상승)

해석연구

방음벽 상단의 소음감소기 성능 평가

국립환경과학원 (2007)

국내소음감소기(noise reducer) 7종 평가(주로 도로대상)

현장성능평가

(2) 국외 기술 개발 현황

방음벽 상단장치를 음의 소음저감원리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간섭형 및 흡음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간섭형의 경우 음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간섭영역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

러 가지가 있으며, 방음시설물 상단부의 형상만을 T-type, O-type, Y-type 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과 상단부에 음을 지연시키기 위한 특별한 간섭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다. 상단부의 형상만을 변형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상단부를

T-type, Y-type 등의 형상으로 만들고 격자모양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이 칸막이의 깊이를 통

과하는 음과 그 위를 바로 통과하는 음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소음을 제어하는 방법인데 깊이

에 따라 간섭주파수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방음시설물 상단부를 음이 입사되는 부분과

방사되는 부분을 따로 두어 입구단에서 입사되는 음이 간섭장치 내부를 통과하여 출구 단으

로 방사되고 이 음과 간섭장치 상단을 회절하는 음과의 상호 간섭효과를 이용 소음을 저감하

는 장치가 국내에서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흡음형의 경우 국외에서 개발된 상단장치로는 흡음형 상단형상물 중 대표적인 예는

일본 Fujiwara에 의해 연구되어 개발된 소음감소기(Noise Reducer) 들이 있으며, 이 소음감소

기는 방음시설물 끝단 회절부위에서 음향에너지가 최대로 집중되는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되

었다. 소음감소기의 형상을 원형으로 만들어 집중적인 에너지 축척을 방지하고 소음감소기 내

부를 흡음물질로 구성하여 방음벽 끝단에서 회절되는 음향에너지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이

용한 소음저감기술이다.

그러나, 철도분야는 도로분야에 비해서 방음벽 상단기술이나 투과손실 향상 면에서 많이 적

용되지 않았으며, 상단의 회절효과 감소를 위한 설계는 프랑스와 일본에서, 그 외 독일에서는

태양광에너지를 생성하여 인근의 주거지역에 전기를 공급하는 등 에너지 효율적 활용을 접목

한 방음벽을 철도변에 개발, 적용하고 있다.

Page 5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 -

표 2-1-11 국외(일본) 방음벽 상단장치 설치현황

다음은 일본에서 수행한 신칸센 고속철도 소음저감용 상단장치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를 나

타낸 것이다. 상단장치는 RC교량에 200m 길이로 설치되었으며, 성능평가는 25m 이격위치에

서 수행되었다. 성능시험결과 약 2dB 정도의 저감량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 철도용 간섭형 상단장치 설치 예 – 일본 (b) 25m 이격위치에서의 소음측정결과

그림 2-1-18 고속철도 소음저감용 상단장치의 성능평가 결과(일본)

나. 흡음블럭 고도화

(1) 국외 기술 개발 현황

일본의 飛島建設(주)에서 생산되는 철도 슬래브궤도면용 흡음패널은 FRP 격자와 인공경량골

재에 시멘트와 기포액을 혼합, 성형한 다공질 흡음재와 지지부재로 구성, 소음감소계수

(NRC)=0.9 정도이고, 고가철도 주변의 고층빌딩의 소음저감, 철도연변에 입지한 병원, 학교 등

정숙환 환경을 필요로 하는 시설물의 소음대책으로 사용하고 있다. Bridge-Stone사의 상품명

Molbland는 시멘트, 우레탄칩, 섬유기포재를 혼입 고형화한 몰탈계 무기물, 비중 0.7g/, 소음

감소계수(NRC)=0.5의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독일의 Vossloh사에서 제품명 Noise Abosorber로 규산칼슘계 Wood Chip Concrete로 제조,

다공질 재료로서 약 40%의 기공도를 가지며 콘크리트 도상의 중앙과 측면에 3Piece의 흡음판

을 설치하여 3dB의 소음저감 효과, Berlin City Line(약 27Km)외 다수 시공사례가 있다.

Bausteine-Briest사 상품명 LIAKUSTIK은 경량골재를 코팅한 후 시멘트 결합시켜 성형한 제품

으로 압축강도 125Kgf/, 궤도 중앙부와 측면에 3Piece의 흡음판을 설치하여 3dB의 소음저감

효과가 알려져 있다.

2014년 중국에서 흡음블록 설치에 따른 소음도 측정이 수행되었다. 철로에 적용된 흡음블록

은 시멘트, 골재, 섬유, 첨가제를 주성분으로 제작되었고, 테스트 구간에 설치된 후 선로에서

각각 7.5m, 30m 떨어진 곳에서 소음을 측정하였다. 테스트 구간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시험

결과, 열차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음 성능이 향상되었고, 선로에서 30m 떨어진 지점보다

Page 5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 -

7.5m 떨어진 지점에서의 흡음 성능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결과는 아래의 그래프와 같다.

즉, 이 사례에서는 열차의 속도에 따라 흡음 성능이 증가함과 동시에 열차의 속도가 약

200km/h일 때 최대 약 4 dB(A) 정도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림 2-1-19 중국의 흡음성능 테스트 위치

그림 2-1-20 열차 속도에 따른 흡음성능 추이 변화

EU에서 수행했던 ‘저소음 철로 프로젝트 (Quiet-track Project)’의 일환으로서 철도에서 발

생하는 소음저감에 대한 연구사례가 있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궤도에 프리캐스트 흡음 패

널을 설치한 후 선로에서 7.5m, 25m에서 떨어진 곳에서 각각 소음을 측정하고, 방음벽을 추

가적으로 설치하여 최종적인 흡음 성능을 분석하였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음벽에

대한 내용은 고려하지 않았다. 측정 결과 선로에서 7.5m 떨어진 지점에서는 약 2.1±1.4

dB(A), 25m 떨어진 지점에서는 약 3.0±1.8 dB(A)의 소음저감 성능이 기록되었다. 이 연구 사

례는 첫 번째 사례와는 반대로 선로에서 가까운 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소음저감도가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림 2-1-21 EU 선로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흡음 패널

Page 5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 -

아일랜드에서 수행된 경선로 시스템(Light rail system)에서 발생하는 소음저감에 대한 연구사

례가 있다. 이 연구는 경선로에 고무소재의 흡음매트를 설치하여 어느 정도의 소음 저감이 가

능한지에 대해서 중점을 두었다. 측정 결과, 250Hz – 2,500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약 2.5-4.0

dB(A) 범위를 가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림 2-1-22 아일랜드 경선로에 설치된 고무소재의 흡음매트

(2) 국내 기술 개발 현황

흡음블럭과 관련하여 각 속도별 소음특성을 고려한 흡음블록에 대한 연구로 국외 제품을 대

신할 수 있는 여러 흡음블록이 국내 R&D를 통해 개발되어 여러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2006년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 사업으로 최초의 국산 흡음블럭 기술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10년에 개발 완료된 국산 흡음블럭이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에 8km 납품 및 설치되었다.

이 제품은 토공구간에 적용되어 선로 중심에서 3m 높이 0.5m 위치에서 부설 전/후 소음측정

을 시행한 결과 3~5 dB(A) 정도의 실외소음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2010년 경부 2단계 구간

에 설치된 위의 제품은 7년 이상의 추이 관측결과 차량 운행에 대한 지장 및 특이사항은 발

생 된 바 없다.

그림 2-1-23 고속철도용 흡음블럭 설치 모습(경부2단계구간)

2008년에는 도시철도용 저속도 운행구간용 흡음블럭에 대한 개발 사업이 시작되어 도시철

도 운행 시 발생하는 구간별 소음특성을 파악하고 도시철도에 발생하는 소음이 중 저주파 대

역에서 탁월 주파수 구간임을 확인하고 흡음 주파수 대역을 중저주파 특성에 맞춘 제품이 개

발되었다.

Page 5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 -

그림 2-1-24 도시철도용 흡음블럭의 흡음성능

2011년에 서울메트로 구간에 시험부설이 완료되었으며, 개발품이 이후 서울메트로 구간 및

부산교통공사 구간에 추가 납품이 진행되고 있다. 이 제품은 주로 실외구간 및 터널구간 모두

에 설치되고 있으며, 각 설치 위치에 따른 설치환경, 차량 속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개략적

으로 실외 및 실내소음측정 결과 3dB(A) 이상의 소음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림 2-1-25 도시철도용 흡음블럭 설치 모습 (서울메트로, 부산교통공사)

2011년에는 초고속철도 운행 시에도 내구성과 소음저감성능을 가지는 흡음블럭을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2014년에 호남고속철도 김제구간의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하여 초고속철도 운행

시 발생하는 외부 소음을 3.0dB 이상 저감할 수 있는 흡음블럭의 성능검증을 완료하였다. 이

개발품은 이후 2016년에 호남고속철도 정읍고가 구간에 납품 및 설치가 진행되었다.

그림 2-1-26 초고속철도용 흡음블럭

설치모습(호남고속철도 김제구간)

Page 5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 -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1절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

1.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론

가. 연구개발 추진체계

호남 테스트베드 구간은 건설초기부터 설계정보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국

내 최고속도 400km/h 인프라 기반시설이 건설된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 측정된 다양한 정보

를 바탕으로 향후 고속철도의 고속화 사업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테스트베드의 안정성과 향후 운영속도 향상을 연구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

구는 이러한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운영선구에서 발생되는 노반침하, 궤도틀림 및 작업보수 이

력 등에 대하여 DB를 구축함으로서 사장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지상부에서 측정되고 있는 모니터링 계측데이터와 침하데이터, 그리고 1단계에서

개발된 소음저감장치 방음벽상단장치와 흡음블럭에 대한 장기성능검증과 다양한 계측결과를

포함시킬 수 있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과 DB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고

연구효율성과 연구성과물을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학연의 효과적인 역할 분담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소음, 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장기 모니터링에 대한 기술이전과 상용화를 위하여 1단

계 참여기업을 공동기관으로 참여하였으며, 통합 모니터링 구현과 상세설계, 소음저감장치 안

전관리 지원 및 운영처의 요구사항 분석을 위하여 철도공사 등 연구기관이 참여하였다. 각 분

야별로 연구기관, 운영기관, 산업체 등 다양한 전문기관에서 약 50명의 연구진이 참여하여 연

구를 수행하였다. 1개 주관연구기관, 3개의 공동연구기관, 2개의 위탁연구기관으로 구성하였

으며, 각 기관별 추진체계는 다음과 같다.

그림 3-1-1 연구분야별 추진기관 및 개요

Page 5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 -

그림 3-1-2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나. 연구수행과정 및 내용

본 과제는 과제 진행과 효율적인 공동기관의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총괄 및 인터페이

스, 통합모니터링구축 및 테스트베드 활용방안, 테스트베드 안정화 및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

상단장치 고도화 및 상용화, 흠음블럭 고도화 및 상용화 등의 항목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단계

별 로드맵은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3-1-3 연구단계별 기술로드맵

Page 5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 -

2. 연구과제 총괄 및 인터페이스

가. 연구수행 결과

(1)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가) 세부과제별 진도관리 및 인터페이스 체계 구축

➀ 월간 공정회의

본 연구과제는 환경소음, 토반노반/궤도, 모니터링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어

과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하여 기술 분야간 인터페이스 체계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

여 본 과제에서는 매월1회, 총 18회의 공정회의를 개최하였다. 여기서는 당해연도의 주요한

성과목표 달성현황 및 차월 연구계획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졌으며,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상세설계, 소음저감장치 부설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연구개발 진척사항 및 공동과제간 인터페

이스 사항 등을 점검하였다.

그림 3-1-4 월간 공정회의 개최

Page 5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 -

표 3-1-1 월간공정회의 주요 내용

횟수 개최 일자 장소 주요 내용

1 ‘16.07.26KTX 익산역 3층 국화실

각 기관별 연구과제 방향 및 내용 발표호남테스트베드 모니터링 계획 검토호남고속철도 400km/h 테스트베드 현황 검토통합DB관련 협의 실시 - 1단계 모니터링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 - 향후 진행방향에 관하여 논의1차년도 세부 추진일정 검토

2 ‘16.08.23유니슨테크놀러지 2층 회의실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검토장기모니터링 시험/평가 계획검토소음저감 흡음블럭 고도화 및 상용화 검토고속선 출입 관련 안전교육 실시 누적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 관련 논의

3 ‘16.09.20철도연 5동1층 회의실

테스트베드 재개통을 위한 협의 당월 연구실적 및 차월 연구계획 점검 주요 성과목표 달성현황 및 계획 점검

4 ‘16.10.20제주 휘닉스아일랜드 세미나실

테스트베드 구간 지상부 노이즈 현장 제거 GIS 기반 플랫폼 설계 검토 DB분석 관련 주관/월간 공정표 작성 요청 당월 연구실적 및 차월 연구계획점검

5 ‘16.11.22철도연 5동 3층 중회의실

테스트베드 내 누적통과톤수 계측기 설치현황 검토 테스트베드내 센서 활용 계획 및 현황 점검 당월 연구실적 및 차월 연구계획점검

6 ‘16.12.20철도연 5동 3층 중회의실

HEMU-430x 시운전계획 검토 KTX산천 및 궤도검측차량 GPS측정 점검 당월 연구실적 및 차월 연구계획점검

7 ‘17.04.25한국철도공사정읍시설사무소회의실

5월 해무운행계획 및 각 기관별 측정계획 협의 통합모니터링 구축에 필요한 DB 리스트업 실시 소음저감장치(흡음블럭, 상단장치) 개선제품 현장부설 계획 확인

8 ‘17.05.18부산 컨벤션센터회의실

철도학회 특별세션 참가 및 발표 호남정읍시설사무소 계측자료 분석 및 사무소와 협의 당월 연구실적 및 차월 연구계획점검

9 ‘17.06.27 유니슨 회사 회의실

지상 측정 시스템 보수용 장비 입고 및 망실 센서 보수 방음벽 상단장치 및 흡음블럭 현장부설 계측 모니터링 시스템 점검 및 센서 설치 소음저감 심내 3dB(A) 성능검증 관련 철도연과 진흥원 협의

10 ‘17.07.28 GET-PC 회의실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모니터링 협의 모니터링시스템 현장보수(120k650(접속부노반) 상단장치, 흡음블럭 안정성검증 예정

11 ‘17.08.10철도연 5동 3층 중회의실

세종지오텍 착수보고회 실시 궤도검측 위치동기화 오차 발생 최소화 관련 협의 통합DB 프로그램의 안정화 및 활용도에 대한 검토

12 ‘17.09.26지구환경전문가그룹 회사 회의실

통합DB 관련 협의 1단계 소음저감 상단장치의 시제품 실내 성능검증 17년 8월, 9월 연구실적 및 10월 연구계획 점검

13 ‘17.10.31JBT 회의실(공간 4567)

차량-궤도 상호동적작용 프로그램 운영 방음벽 상단장치 공인기관 평가 교통 신기술 현장실사

14 ‘17.12.21철도연 5동2층 소회의실

각 기관별 정량적 평가지표 달성 여부확인 통합DB 시스템 시연 및 요구사양 검토 연구성과품의 기술 및 가치평가 용역

15 ‘18.01.30정읍 수성동 주민센터2층 회의실

각 기관별 최종평가 대비 연구성과 발표 실시 KSPP 정량적 기술평가

16 ‘18.02.20철도연 5동3층 중회의실

사전평가대비 보고서 관련 협의 향후일정 협의(특별섹션 참가 등)

17 ‘18.04.19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 과제 성과 점검 과제 성과물 합동점검 계획 협의

18 ‘18.05.15철도연 5동3층 중회의실

과제 최종보고서 작성 협의 과제 최종 평가 대비 전략 수립

Page 6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0 -

➁ 연구현장 점검

테스트베드 구간은 현재 운영선구로서 안전관리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소음저감장

치의 경우 개선제품을 현장에 설치하기 때문에 한국철도시설공단(호남본부)과 업무협의를 수

행하여 현장설치를 승인 받았으며, 테스트베드 구간의 유지관리 주체인 한국철도공사 정읍고

속사무소와 업무협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방음벽상단장치와 흡음블럭을 설치하였다. 또한 연약

지반의 잔류침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접 선로구간에 보링시추하여 현장토를 채취

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속선 구간에 현장부설, 시추조사 등 상당히 어려운 작업임에

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등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

이는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약 10회 이상의 사전 현장조사와 안전점검 및 교육

등을 통해 연구성과품을 현장에 부설하여 성능평가를 완료시켰다.

그림 3-1-5 연구현장 점검

Page 6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1 -

표 3-1-2 연구현장 점검 주요 내용

회 점검일자 장소 점검내용

1 ‘16.07.07 정읍역 호남 테스트베드 전기공사 협의

2 ‘16.07.11~12 정읍역 호남테스트베드 현장이동 및 조사 호남 테스트베드 조사 및 협의

3 ‘16.07.26~27 익산역 7월 공정회의 참여 테스트베드 현장조사(익산-정읍)

4 ‘16.09.01시설공단호남본부

테스트베드 현장시험

5 ‘16.09.27철도공사대전

테스트 베드 센서 설치 등 협의

6 ‘16.10.05~06 정읍역 호남테스트베드 현장 안정협의 호남테스트베드 현장 설치 지원 -120K 구간 센서 설치 지원

7 ‘16.10.10~12 정읍역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설치 -109~120k 모니터링 설치

8 ‘16.12.14 광주송정역 KTX 열차 시간동기화 테스트 -차량 시승테스트

9 ‘16.12.27~28 정읍역 궤도검측차량 위치동기화 계측

10 ‘17.01.06 정읍역 테스트 베드 구간내 현장 실험 -109k 계측 장비 정비 및 점검

11 ‘17.01.11 광주송정역 KTX 산천 위치 동기화 계측 -광주송정역-정읍역-익산역 차체 가속도 측정

12 ‘17.01.14~16 정읍역 테스트베드 구간 내 소음측정기 설치 테스트베드 구간 내 소음측정기 철거

13 ‘17.02.10 대전역 궤도검측차량 진동가속도 설치협의(철도공사,대전)

14 ‘17.04.25 정읍역 과제공정회의 참여(철도공사 정읍시설사무소)

15 ‘17.04.28 광주송정역 호남테스트베드 차량진동가속도 측정(광주송정-익산)

16 ‘17.06.20~21 광주송정역 종합궤도시험차량 탑승 및 위치동기화 시험(광주송정-오송)

17 ‘17.07.14 정읍역 호남테스트베드 모니터링개소 센서검증 등 협의(정읍사무소, 정 읍)

18 ‘17.07.25 호남 test-bed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현장점검 - 국토부(이원돈서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최찬용, 이경수), 지구환경전문가그룹(정재현), 한국철도공사(양존희 소장 외 2명)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현장점검 실시

19 ‘17.08.29.~31 정읍역 궤도검측차량 탑승 및 GPS위치동기화 시험 안전교육 및 호남테스트베드 모니터링센서 사전작업

20 ‘17.11.30. 정읍역 흡음블럭 터널 내 선로영향 협의(정읍고속사무소, 정읍)

21 ‘18.01.10~11 서대전,정읍 차상가속도 협의(서대전,배재대) 흡음블럭 현장부설 안전관리(달성터널)

22 ‘18.01.19~20 정읍 흡음블럭 현장부설 안전점검(달성터널)

23 ‘18.01.30~31 정읍역 1월 공정회의 참여 유니슨 소음저감 상단장치 현장 안전지원 실시

24 ‘18.05.03~05.04 정읍역 방음벽 상단장치 시공 완료 후 안전성 검증을 위한 합동점검 상단장치 선로측 도장보수작업

25 ‘18.05.03~05.11 정읍역 흡음블럭 시공 완료 후 안전성 검증을 위한 합동점검 터널내부 콘크리트 작업 보수 및 상단장치 도색 보수

Page 6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2 -

➂ 과제간 정보 공유

연구성과물의 극대화를 위하여 내외부 전문가의 세미나 및 자문회의등을 개최하였으며, 과

제간 정보공유를 위하여 학회 논문발표 및 특별섹션(2회)을 통해 정보공유를 활발히 진행하였

다. 또한 호남테스트베드 현장점검 및 정읍사무소 협의 등 과제간 정보 공유를 실시하였다.

그림 3-1-6 과제간 정보 공유

표 3-1-3 과제간 정보공유 주요 내용

횟수 개최 일자 장소 주요 내용

1 ‘16.12.20철도연 5동 중회의실

외부 전문가 기술세미나 - 제목: IT기술을 활용한 지반공학적 융합기술의 개발 및 활용(실시간 지반 자연재해 예측 및 공간정보화)외부전문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한샘 박사

2 ‘16.12.23한국산학기술

학회

산학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 4편 - GIS 기반 철도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Mapping 기법 방안 - GIS 기반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을 위한 DB 구축방안 기본설계 - 호남고속철도테스트베드의 현황 및 장기모니터링 구축 - 400km/h급 고속철도 운행 시 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장치의 소음저감성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3 ‘17.02.03철도연 2동 2층 교육장

1차년도 평가대비 외부전문가 자문회의자문위원: 임유진교수(배재대), 강상혁교수(인천대), 강태구단장(한국철도공사), 임정빈박사(대우건설기술연구소), 김봉기박사(한국기계연구원), 홍기권박사(대한건설ENG)

4 ‘17.05.18부산 국제여객터미널5층 회의실

철도학회 특별세션 논문 발표 - 주제: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소음저감장치 고도화 -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소음저감장치 고도화 성능평가 등 3편의 논문발표

5 ‘17.06.27유니슨테크놀러

지(주)회의실

외부 전문가 세미나 개최세미나 전문가: 한국 철도공사 강인석, 심광섭성공적인 연구과제 운영을 위한 계획 및 공조체계 구축

6 ‘17.07.14정읍

고속사무소호남테스트베드 모니터링 센서 검증 및 교체 운영기관 협의

7 ‘18.01.23한국철도기술연구원 5동3층 중회의실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및 DB시스템 상세설계 용역 자문회의 - 자문위원: 철도연 이지하 책임연구원, 한국철도공사 원용한 처장, 교통대학교 오정호 교수, 동양대학교 정혁상 교수

8 ‘18.01.23.지구환경전문가

그룹

연약지반 설계정확도 향상 및 모니터링 개발 자문자문위원: 동양대학교 정혁상교수, 한국철도시설공단 최원일처장, 한국철도공사 권세돈박사, 평화엔지니어링 최충락이사, 서현기술단 박성혁상무

9 ‘18.03.09유니슨테크놀러

소음저감장치 고도화 연구성과품 자문회의- 자문위원: 조준호교수(우송대), 임정빈박사(대우건설기술연구소), 이성현박사(한국기계연구원)

Page 6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3 -

➃ 연구성과 홍보

국토교통 기술대전 참가 및 국제 심포지엄 발표, 특허대회 수상 등 여러 방면으로 연구성과

를 홍보하였으며, 언론홍보를 통해 연구성과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10 ‘18.04.20 메종글래드 제주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특별세션 - 호남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철도 궤도, 토공노반 장기 측정 및 성능평가 - 방음벽 상단장치의 내부격자 변경 시 모니터링 및 성능 검증에 대한 연구 - 콘크리트 궤도 유지보수를 고려한 도상흡음블럭 설계 및 제작 - 콘크리트 궤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TQI 분석

11 ‘18.05.15한국철도기술연구원 5동 3층 중회의실

최종평가대비 종합 자문회의 - 자문위원: 임유진교수(배재대), 임정빈 박사(대우건설기술연구소), 최충락 이사(평화엔지니어링), 이종일 부장(한국철도시설공단), 김상수 이사(위세아이텍)

Page 6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4 -

그림 3-1-7 연구성과 홍보

표 3-1-4 연구성과 홍보 주요 내용

횟수 구 분 연구성과 발표실적

1 국토교통기술대전

국토교통기술대전 - 일시 : 2016년 5월 25일 ~ 26일 - 장소 : 서울 코엑스 - 주요내용 :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핵심기술(방음벽 상단장치, 흡음블럭)

2 한국철도시설공단 미래철도 미래철도기술 세미나

Page 6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5 -

➄ 실차운행시험

테스트베드 구간은 현재 개통이후 3년이 경과되고 있으며, 영차기준으로 약 2백만톤 운행되

고 있는 영업노선이다. 이 구간은 콘크리트궤도로 건설되어 보수 작업이 자갈궤도보다는 많지

않지만, 열차의 반복하중과 고속운행에 따른 충격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궤도틀

림이나 레일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구간의 열차의 주행특성과 궤도틀림의 이력 등

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차운행을 첨승하여 시험하였다. 월 1회 KTX36호 차량진동가속도를 측

정하여 UIC518 기준에 의거하여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평가하였으며, 고속검측차를 통해

궤도틀림 등의 정보를 받아 위치를 동기화하여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하였다. 또한 해무

주행시 해당구간에서의 측정된 진동가속도를 분석하여 서로 다른 속도대역에서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39회 실차운행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합모니터링시스템에 위치를 동기화

시켜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발표 - 일시 : 2016년 11월 9일 - 장소 : 철도시설공단 3층 대회의실 - 주요내용 : 400km/h 급 철도건설을 위한 기준

3 인천 미래도시 심포지엄 발표

미래도시 국제 심포지엄 - 일시 : 2016년 10월 28일 - 장소 : 인천대학교 교수회관 - 주요내용 : construction & Technology of korea high speed railway

4 대한민국 특허대전 수상

대한민국 특허대전 출품 및 입상 - 일시 : 2016년 12월 1일 ~ 2016년 12월 4일 - 장소 : 서울 코엑스 - 주요내용 : 내부구조변경이 가능한 방음벽 상단장치 은상 수상

5 태국 국제발명대회 수상

태국 국제발명대회 특허대전 출품 및 입상 - 일시 : 2017년 2월 2일 ~ 2017년 02월 6일 - 장소 : 태국 방콕 - 주요내용 : 소음 장벽 상부에 설치된 소음 저감 장치 금메달 수상

6 KAIA인사이트 게재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소식지 KAIA 과제 소개 - 일시 : 2017년 6월 - 주요내용 : KAIA에 과제 소개 및 홍보 실시

7 건설경제 신문 게재건설경제 신문 게재 - 일시 : 2018년 02월 19일 - 주요내용 : 국토부,‘고속철도 교통소음 저감기술’ 교통신기술 지정

8 홍보 팜플렛 제작소음저감장치(상단장치, 흡음블럭) 홍보 팜플렛 - 일시 : 2018년 05월 15일 - 주요내용 : 소음저감장치 및 연구기관 소개

9 연합뉴스 외 15건흡음블럭, 방음벽상단장치.. 고속철도 소음줄인다. - 일시 : 2018년 06월 15일 - 주요내용: 소음저감장치 기술개발 홍보

Page 6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6 -

그림 3-1-8 실차 운행 시험

표 3-1-5 실차 운행 시험 주요 내용

횟수 운행차량 날짜 측정 내용 비고

1 KTX산천 16.08.09 -GPS차상측정테스트

2 KTX산천 16.12.14 -GPS차상모니터링

3 궤도검측차 16.12.28 -궤도검측차 위치동기시스템 테스트

4 KTX산천 17.01.11 -GPS차상모니터링, 차체진동가속도

5 KTX산천 17.01.13 -GPS차상모니터링, 차체가속도주행시험

6 해무주행 17.01.15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테스트베드 2회왕복(4회측정)

7 KTX 17.01.16 -GPS차상모니터링, 차체진동가속도

8 해무주행 17.02.06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9 해무주행 17.02.27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0 KTX 17.03.16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1 KTX 17.03.28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2 KTX 17.04.03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3 KTX 17.05.08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4 KTX 17.05.22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5종합궤도검측차량

17.06.21-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16 KTX 17.07.02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7 종합궤도 17.07.19 -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

Page 6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7 -

검측차량 -궤도틀림, TQI

18 KTX 17.07.26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19 KTX 17.08.25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0 해무주행 17.08.27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1종합궤도검측차량

17.08.30-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22 해무주행 17.09.18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3종합궤도검측차량

17.09.22-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24종합궤도검측차량

17.10.13-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25 KTX 17.10.14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6 해무주행 17.10.14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7 KTX 17.10.27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28종합궤도검측차량

17.11.09-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29 KTX 17.11.10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0 KTX 17.11.24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1 해무주행 17.11.28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2 해무주행 17.12.04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3 KTX 17.12.08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4종합궤도검측차량

17.12.15-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35 KTX 17.01.05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6종합궤도검측차량

18.01.12-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37 KTX 18.01.12 -GPS차상모니터링, 차량진동가속도

38종합궤도검측차량

18.02.07-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실험-궤도틀림, TQI

39종합궤도검측차량

18.04.13-궤도검측차 위치동기화 시험-궤도틀림, TQI

Page 6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8 -

2절.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선로선형 및 선로구축물 현황

가. 테스트베드 구간의 선형

호남 테스트베드의 선로일람약도는 아래와 같다. 본 구간에는 교량구조물, 터널, 토공 및 연

약지반이 분포되어 있으며 해당구간에 대한 정보를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구현시켰

다.

Page 6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49 -

그림 3-2-1 호남테스트베드의 선로일람약도

호남 고속철도 테스트베드구간의 선형 현황은 표 3-2-1과 표 3-2-2와 같다. 테스트베드 구간

의 곡선구간은 총 3개소가 있으며, 최대곡선반경은 15,000m이다. 표 2는 종곡선 반경과 평면

곡선과의 경합개소이다. 테스트베드구간내의 경합개소는 3개소이며 곡선부의 취약개소로 선정

하여 궤도틀림변화와 차상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3-2-1 테스트베드 구간의 평면선형

구분 No 곡선반경(m) SP PC CP PS 완화곡선 길이(m)원곡선 길이(m) 캔트(mm)

시점

27 13,000 149k461 149k739 150k956 151k233 278 1,217 90

26 13,000 147k034 147k311 147k986 148k264 297 655 90

25 7,000 142k292 142k742 143k790 144k241 450 1,048 150

24 7,000 133k124 133k574 134k437 134k887 450 863 120

23 10,000 128k884 129k247 130k261 130k624 363 834 90

T/B구간

22 10,000 118k739 119k101 121k227 121k589 362 2,126 120

21 15,000 111k196 111k436 112k447 112k687 240 1,011 80

20 10,000 106k828 107k190 108k233 108k596 362 1,043 120

종점

19 7,000 98k126 98k576 98k923 99k373 450 347 150

18 5,000 91k933 92k093 92k960 93k120 160 867 70

17 7.500 90k716 90k820 104 30

Page 7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0 -

표 3-2-2 종곡선 구배 및 평면곡선과 경합개소

구간

기울기 종곡선 평면곡선 경합

변곡점위치 기울기(‰) 길이(m) 반경(m) 길이(m) 형상 경합검토

T/B구간

100.434 L 400 - - 凹- - 凹1 1,175101.309

25,000 250 凹11 1,325102.63425,000 700 凸-17 1,120103.75425,000 525 凹4 1,100104.85440,000 160 凸L 1,020105.87425,000 250 凹10 680

106.55425,000 150 凸4 1,33

107.883 25,000 凸 -8 1,190109.073 25,000 凹-1 1,249110.323 25,000 175 凹0 400110.723 - -1 910111.633 30,000 150 凸 -4 1,462113.095 25,000 275 凹7 1,238114.333 40,000 200 凸2 1,160115.793 25,000 200 凸-6 940116.733 25,000 300 凹6 900117.633 25,000 275 凸-5 940118.573 25,000 175 凹2 1,070119.643 40,000 160 凸 -2 1,090120.733 25,000 275 凹9 1,480122.212 25,000 350 凸-5 1,460123.672 25,000 175 凹2 830124.502 25,000 200 凸-6 1,430125.932 25,000 450 凹12 2,480

나. 테스트베드 구간의 구조물 현황

테스트베드 구간의 구조물 교량과 터널, 방음벽 설치구간은 표 3-2-3~5와 같으며 구조물과

토공구간의 접속부 현황은 표 3-2-3∼표 3-3-6과 같다. 궤도를 지지하는 노반의 강성이 급격

하게 변화할 경우 열차 주행 시 궤도틀림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승차감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노반강성이 변화할 때는 완화구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접속부 처리는 깎기와 돋기의 접속, 구

조물과 토공의 접속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되는 구간은 구조물과 토

공의 접속부이다. 테스트베드구간과 같이 고속의 콘크리트 궤도는 접속부 처리가 매우 중요하

며, 접속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계기준에 따라 콘크리트 궤도용 접속부를 반영하였

다.

Page 7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1 -

표 3-2-3 테스트베드 구간의 교량현황

구간 위치일반교 라멘 및 B(함) 계

비고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시점 96k.5~100k.0 1 2,415.0 0 0 1 2,415.0

T/B 100k.0~128k.0 8 13,410.0 31 242.6 39 13,652.6

종점 128k.0~151k.5 9 7,185.9 28 394.0 37 7,579.9

표 3-2-4 터널현황

구분 시점 T/B 종점 계 비고

상선

위 치 96k.5~100k.0 100k.0~128k.0 128k.0~151k.5 L=55k.0

개 소 0 3 2 5

연장(m) 0 1,098 5,660 6,758

표 3-2-5 방음벽 현황

구분 시점 T/B 종점 계 비고

상선

위 치 96k.5~100k.0 100k.0~128k.0 128k.0~151k.5 L=55k.0

개 소 3 34 11 48

연장(m) 207 6,833.5 3,295.6 10,336.1

구분 위치구조물 (개소)

비 고토피 있는 교량 교량 터널

시점 20.0~54.0 20 10

T/B구간 54.0~82.0 13 34 1

종점

소계 13 54 11

시점 91.0~100.0 5 11

T/B구간 100.0~128.0 25 6 3

종점 128.0~150.0 30 7 2

소계 60 24 5

표 3-2-6 테스트베드와 전후구간의 구조물 접속부 설치 현황

테스트베드구간 및 전후구간의 궤도구조는 Rheda 2000 궤도(Bi-Block 침목+Vossloh System

300-1)가 선정되었으며, 레일절연성 및 유지보수성을 증대시키고 고속에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로 검토되었다.

그림 3-2-2 호남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구조

Page 7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2 -

2.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현황

가.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현황

선행 사업에서 차세대고속철도 차량(HEMU430) 열차의 성능과 인프라 기반 시설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는 곡선반경, 종단기울기 등 선로의 선형조건과 운행열차의 정거장

통과 여부 등 운전조건을 반영하여 TPS분석 결과 바탕으로 결정되었으며, 1단계 사업에서 추

진한 테스트베드 구간은 상선(100k∼128k)와 하선(오송기점 54k∼82k)로 아래와 그림과 같이

구축하였다. 호남고속철도의 설계속도는 350km/h로 계획되었으므로 궤도 및 노반, 시스템 등

은 열차속도 350km/h에 적합한 시설로 시공되었으나,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벽 시설은

300km/h 속도의 KTX열차 기준으로 시공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호남고속철도 개통(15년 4월)에 따라 고속 운영선 구간으로 최우선적으로 안

전을 확보하여 테스트베드를 선정하였으며, 운영선구이기 때문에 이에 부합되도록 모니터링을

재 설계 및 계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사업과 후속사업이 연속적으로 진행이 되지 않아 약

1년간 테스트베드가 방치되어 시스템을 복구하고 재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현

장부설의 경우 고속운영선 구간에 부설되기 때문에 야간작업 등 새로운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운영사 및 연구진의 많은 노력이 소요되었다.

2단계 테스트베드에서 지상 모니터링 개소는 기 매설된 계측기 위치로 표준성토구간, 연약

지반구간, 교대접속부 구간 3개소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테스트베드 구간

내 운영선구의 누적통과톤수 측정을 위한 궤도(윤중 및 횡압) 측정과 지상과 차상의 위치를

동기화를 위한 GPS수신 장치를 설치하였다. 고도화된 소음저감장치인 상단장치와 흡음블럭을

현장설치 여건과 안전을 고려하여 선정하여 야간 차단작업 시간대에 설치하였다. 운행선로 구

간에 현장 부설에 안전성 검증을 위한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등 유관

기관과 업무협의를 통해 안전성을 검증받은 후 현장부설을 완료하였다.

그림 3-2-3 호남 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축현황(2단계)

테스트베드 구간의 초기값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개통이후 운영 선구의 궤도구성품 등의

변화 등을 장기 관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니터링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고속검측차량 운행결과와 차상가속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테스

Page 7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3 -

트베드 구간의 궤도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이를 침하데이터와 연계하여 분석하였으며, 개통이

후 약 3년간의 변화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침하 DB 자료를 바탕으로 테스트베드 구

간의 잔류침하량의 초과개소와 침하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측값과 설계값을 통해 오차율을 계

산하였으며, 오차가 발생된 개소와 연약지반 처리공법 등을 검토하였다. 본 자료를 토대로 연

약지반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기법과 설계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여 향후 콘크리트궤도의 사

용성 증대를 위한 연약지반 설계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지상모니터링은 매설된 노반부에

궤도측정을 위한 윤중, 횡압센서를 설치하였으며, 추가로 누적통과톤수산정을 위한 윤중과 위

치동기화를 위한 GPS수신기를 설치하였으며, 설치위치와 계측항목은 표 3-2-7과 같다.

항 목 설치위치 성능평가 비 고

노반

표준토공 STA.109k231궤도작용력, 탄성, 잔류침하,

노반압력, 가속도, 누적통과톤수, GPS수신기

연약지반 STA.110k000 잔류침하, 소성침하 검증 프리로딩공법 구간

접속부 STA.120k650궤도작용력, GPS수신기, 강성

차이에 따른 하중변화, 접속슬래브 변형 검증

침하측정테스트베드

구간잔류침하량(원지반, 지표, T1,

T2도상 노반침하)

유지보수이력테스트베드

구간유지보수 작업이력

표 3-2-7 지상부 측정시스템 설치위치 및 성능평가

(a) 표준노반 (b) 연약지반 표준단면(Preloading)

(c) 구조물 접속부 표준단면

그림 3-2-4 지상부 모니터링 계측기 설치도

Page 7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4 -

모니터링 위치

구간관련센서

계측항목 관련 설계기준 및 설계지침주센서 보조센서

차상모니터링

테스트베드구간

해무 진동가속도 차체/대차/윤축 주행 안정성평가(UIC518)

KTX36 진동가속도 차체/대차/윤축주행안정성평가 및 승차감

(UIC518/EN)

고속검측차(Roger1000k)

궤도틀림줄, 면, 수평틀림

및 TQI철도안전법 및 선로유지관리지침

109k231

표준성토노반

토압계 - 노반압력 KR C-14030 해설 4. 노반의 허용압력

변위계함수량계강우량계

탄성변위철도설계기준 4.3.4 쌓기 구간의 원지반

층별침하계 - 잔류침하

진동가속도계

- 진동

직선구간궤도

윤중, 횡압 - 윤중, 횡압

110k000연약지반노반

토압계 - 노반 압력 KR C-14030 해설 4. 노반의 허용압력

변위계 - 탄성변위철도설계기준 4.3.4 쌓기 구간의

원지반

층별침하계측방변위계 간극수압계지하수위계

잔류침하

진동가속도계

- 진동철도설계기준 8.6.3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120k650

접속부노반

토압계 - 노반 압력 KR C-14030 해설 4. 노반의 허용압력

변위계함수량계, 강우량계

탄성변위철도설계기준 4.3.4 쌓기 구간의

원지반

층별침하계 - 잔류침하

진동가속도계

- 진동철도설계기준 8.6.3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변형률계 온도계 콘크리트응력KR C-14040 콘크리트궤도 구조

해설5.궤도자재의 허용응력

곡선구간궤도

윤중·횡압 - 윤중·횡압KR C-14040 콘크리트궤도 구조

해설5.궤도자재의 허용응력

116k560 토공구간 마이크로폰 - 열차소음KS I ISO 10847, ISO 3095

Directiv 2001/16/EC

116k780 토공구간 마이크로푼 - 열차소음

109K200 토공구간 소음측정기 - 소음도

109K700 토공구간 소음측정기 - 소음도

표 3-2-8 2단계 모니터링 현황

Page 7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5 -

그림 3-2-5 KP위치별 각 침하 DB 및 장기거동

테스트베드에는 소음 저감장치(방음벽 상단장치, 흡음블록)의 장기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

여 아래와 같이 설치하였다.

항 목 테스트베드 위치 성능평가항목

방음벽 상단장치

소음측정(1단계 제품)

STA.113k620 (설치 전)STA.116k620 (설치 후)

소음저감성능, 육안조사

소음측정(2단계 제품)

STA 132k990~113k340 (설치 전)STA 132k990~113k340 (설치 후)

소음저감성능

흡음블록

개활지 구간STA.109k200 (미부설)STA.109k700 (부설)

소음저감성능, 육안조사

터널구간STA 149k~150k (설치 전)STA 149k~150k (설치 후)

소음저감성능

표 3-2-9 환경소음 분야 측정시스템 설치위치 및 성능평가

Page 7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6 -

그림 3-2-6 DATABASE 구축 트리구조

Page 7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7 -

3.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환경 요구사양

가.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환경

(1) 구축목표 및 요구사양

호남테스트베드는 국내 최초 400km/h급 인프라 기반시설로 건설된 구간으로서 개통이전에

는 차세대고속철도 차량을 대상으로 400km/h 인프라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개통이후에는 고

속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철도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가 건설과 개량 및 유지보수 단계

등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생애주기 측면을 고려한 과학적이며 효율적인 관리가 미흡

한 실정이다. 본 구간은 건설시점부터 모니터링 이력관리가 되어온 구간으로서 운영구간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와 연계하여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현재 시

설물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상개소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

축하는 것이 본 시스템의 목표이다. 본 시스템은 위치정보와 각종 데이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추출 분리 기능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시키고 운영선구에서 발생되는 검측자료를 통

해 인프라 시설물의 안정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설계기술과 연

계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목표를 설정하였다.

시스템은 각 분야별 현장 데이터 수집시스템과 연동하여 계측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DB

와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테스트베드 구간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필요시 상세한 원인 분석

을 위해 Trace Back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일정기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구축하며 아래와 같은 요구사양을 만족되도록 설계하였다.

각 현장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연동하여 표준화된 프로토콜에 의해 이루어지며,

정보의 수집 및 범위에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수집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외

부의 비인가 접속자 및 해킹 등에 대해 안전하도록 인증된 보안 시스템을 가져야 하며, 향

후 연구 기간에 따른 시스템 확장성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 요구사양: 현장데이터 수집시스템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량의 동적/정적 센서 데이터

를 수집 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한 후 이벤트 발생 및 처리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

해 계층화 되고 모듈화 된 공통 구조를 채택한다. 각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하는 대상 구조물에 대한 기반정보와 통합시스템 상에서 중앙 집중 모니터링이

되어야 하며, 장애 발생 시 조기 확인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독립적 운용 및 확장 가능한 플랫폼으로 기능, 인터페이스, 데이터/이벤트/서비스 처리

Rule의 확장이 가능하게 한다.

통합 모니터링을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간 연동이 용이한 구조로 한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목표와 요구사항은 표 3-2-10과 같다.

Page 7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8 -

표 3-2-10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목표 및 요구사항

1)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

2) 기능요구사항

요구사항 분류 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FUR-001

요구사항 명칭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계측데이터 모니터링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지상 / 차상 계측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 제공 - Online 또는 Offline으로 입력된 계측데이터에 대한 계측 결과를 분류 체계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야함. - 계측결과는 Chart를 통해 확인이 가능해야하고, Chart를 구성하는 데이터는 별도로 다운로드가 가능해야함. (CSV, 이미지) - 지상 고정 계측데이터와 차상 이동 계측데이터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해야함. * 표출 정보 유형 및 범위는 주관기관과 협의 후 결정 - 침하 측량데이터의 동일위치 변화량 조회 기능 제공

요구사항 분류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 고유번호 ECR-001요구사항 명칭 공통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시스템 구성 요건 공통사항 - 용역사업자는 본 제안서에 명시된 상용 S/W 일체를 일괄공급방식으로 납품과 설치를 완료하여야 하며, 납품하는 물품은 입찰등록 마감일 기준으로 제조사가 단종하는 물품을 남품할 수 없음 - 설치 중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필요한 방지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피해발생 시 응급조치를 취하고 납품업체의 부담 및 책임하에 원상복구 시켜야 함. - 납품 솔루션의 파손이나 시험운영 중 장애발생 시 A/S는 불허하며 동일 사양 이상의 신규 제품으로 즉시 교체 - 검수 완료 후, 본 납품 품목 구입에 있어 납품업체의 책임으로 발생하는 모든 사고와 그로 인한 손해는 납품업체가 변상 조치 - 도입 시스템 설치 후 서비스 정상가동 등의 여부를 확인

요구사항 분류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 고유번호 ECR-002

요구사항 명칭 하드웨어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하드웨어 구성은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구성 - 용역 사업자는 기 운영중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H/W 인프라를 분석하고,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H/W를 활용해야함. - 기 운영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점이 발생되면 즉시 보고하여 조치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을 해야함.

요구사항 분류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 고유번호 ECR-003

요구사항 명칭 소프트웨어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소프트웨어 구성은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구성 - 용역 사업자는 기 운영 시스템과의 충돌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를 구성해야함. -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S/W를 적절하게 선정하고, 운영해야함. - 별도의 라이선스비용 없이 운영 가능한 검증된 소프트웨어 사용 - 통합DB의 경우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을 염두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고, 5년 이상 운영이 가능하도록 용량에 대한 검토를 해야함. - 서버보안을 위해 FTP, Telnet, Finger 등 불필요한 서비스포트 제거 등 보안 취약점 제거를 실시

Page 7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59 -

요구사항 분류 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FUR-002

요구사항 명칭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추출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데이터 추출 - 모니터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는 조건에 의해 일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계측시각과 위치에 대한 조건 선택이 가능해야함 - 데이터 추출에 대한 조건을 선택 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해야함 - 다운로드시 CSV파일로 저장하고 Excel에서 바로 읽기가 가능하도록 EUC-KR로 인코딩하여야 함.

요구사항 분류 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FUR-003

요구사항 명칭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현황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계측 데이터 연계 기능 - 모니터링 구간의 구조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도식도를 제공해야함 - 누적통과톤수 시스템과 1단계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구성해야함. - 지상과 차상데이터의 연관성을 인지할 수 있는 UI 제공 (모니터링 및 데이터 추출시 연관된 계측 데이터를 제공) 계측 데이터 누적 현황 정보 제공 - 통합DB에 적재된 데이터의 건수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제공

요구사항 분류 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FUR-004

요구사항 명칭 GIS 기반의 데이터 구축 및 지도 서비스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계측데이터에 공간정보에 대한 매핑하여 저장 - KP속성에 대한 공간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 ( 설계 도면, GPS 측정 등 활용) 위치를 시각화 하기 위해 지도 서비스 제공 - 배경 지도 및 항공영상을 표출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확대, 축소, 지도 이동을 위한 지도 조작 기능 제공 - 지도 화면에 맞추어 선로일람약도 상 위치 표시 기능 제공 - 도면 및 계측 위치를 중첩하여 볼수 있는 기능 제공 - 지도서비스는 OGC표준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별도의 플러그인 설치 없이 가시화가 되어야 함. 표준화된 기술 사용 - 서버 시스템 개발에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개발 - 서비스에 사용되는 기술은 개방형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스템 호환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HTML5 기술을 활용하여 표준화, 확장성, 재사용성을 고려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함

요구사항 분류 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FUR-005

요구사항 명칭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을 위한 관리 기능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사용자 인증을 통한 시스템 접근권한 제어 제공 - 관리자 등록 기능 제공 - 관리자 권한 부여 기능 제공 차상 계측데이터 입력 기능 제공 구조물 현황 편집 및 유지보수 이력 입력 기능 제공

3)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요구사항 분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SIR-001

요구사항 명칭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UX를 설계하여 정확한 내용 전달이 가능한 시스템 구성 - 정보의 접근성, 가독성, 편리성을 최대한 고려한 메뉴 체계 수립 -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메뉴 구성도 제시 - 전체 시스템 간의 통일성을 부여하여 UI를 구성하여야 한다 - 화면 UI 기획 및 디자인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발주기관과 협의를 통하여 시행토록 함

Page 8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0 -

요구사항 분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SIR-002

요구사항 명칭 데이터 연계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계측 데이터 연계 - 노반 계측데이터의 수집 및 적재 방안 제시 - 차상 계측데이터의 수집 및 적재 방안 제시

4) 성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분류 성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PER-001

요구사항 명칭 성능 일반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서비스 연속성 보장 -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사전계획 수립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이중화 도입 시스템 구성 요건 -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고려하고, 시스템이 요구하는 요건에 맞게 시스템 도입/설치

요구사항 분류 성능 요구사항

요구사항 고유번호 PER-002

요구사항 명칭 성능 일반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HTML5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에서 원활하게 구동되어야 한다. (Chrome, Firefox, Safari 등) - 대용량 계측데이터에 대해 5분안에 차트를 구성해야함. 데이터 적재 성능 - 지속 계측이 이루어지는 노반 계측이 원할이 적재될 수 있도록 DB 선정 및 기능이 개발되어야 함

5) 보안 요구사항

요구사항 분류 보안 요구사항요구사항 고유번호 SER-001요구사항 명칭 공통 보안 요구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과업수행 중 취득한 주관기관 관련 정보나 자료를 외부로 유출시 주관기관의 허락을 득해야 함

【외부유출 금지 정보】

① 기관 소유 전산시스템의 내․외부 IP주소 현황

② 세부 전산시스템 구성 현황 및 전산망구성도

③ 사용자계정 및 패스워드 등 시스템 접근권한 정보

④ 용역사업 결과물 및 프로그램 소스코드

⑤ 방화벽․IPS 등 정보보호 제품 및 라우터․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비 설정 정보

⑥ 주관기관이 공개가 불가하다고 지정한 자료

요구사항 분류 보안 요구사항요구사항 고유번호 SER-002요구사항 명칭 기술적 보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세부내용

공유자원에 대한 접근제어가 사용자 권한에 따라 이루어져야함 네트워크 관리자 접속용 계정의 패스워드는 기본 패스워드가 아닌 복잡도가 높은 패스워드로 변경하여 사용 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시스템이나 파일이 피해를 입더라도 최근에 백업한 시점의 내용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백업정책 수립 및 실행 서버보안을 위해 FTP, Telnet, Finger 등 불필요한 서비스포트 제거 등 보안 취약점 제거를 실시

Page 8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1 -

4. 호남테스트베드 안전관리 및 운영기관 요구사양분석

가. 테스트베드 구간 안전관리 지원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익산-정읍간 100k000~128k000부근) 구간은 현재 고속열차 운행구간

으로 전기 인입 및 계측기 점검/설치 등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차단공사가 필요하

였다. 따라서 유지관리 부서와의 인터페이스와 안전시공 협조사항, 차단협의 등 안전관리를

지원하였다.

전기인입 지원→

계측기설치 지원→

검측차 첨승 지원→

소음저감장치 시공 지원

‘16.8.31~9.10 ‘16.10.05~10.13 ‘17년 6월~, 월 1회 ‘17.12∼18.2

(1) 전기 인입 지원

우선 테스트베드 구간 전기 인입에 따른 케이블 유도 및 배관, 계측 시스템 점검을 위한 차단

협의 및 안전관리를 지원하였다. 전기 인입에 따른 유지보수부서와의 의견 수렴 결과 연악지

반 구간 전원케이블 설치 시 제초작업 등 유지보수에 지장이 없도록 기존 울타리 상면에 설

치하며, 케이블 보호를 위해 사용재료는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3-2-11 단면 위치별 기존 시설물 점검 결과

단면 위치 STA 기존 시설물 점검 결과

표준노반 단면 109k231 기존 계량기 철거됨 기존 전원케이블 및 배관 활용 가능

연약지반 단면 110k000 기존 계량기, 전신주 철거됨 신규 전원케이블 및 배관(약 300m) 설치 필요

접속부 단면 120k650 기존 계량기, 전신주 철거됨 신규 전원케이블 및 배관(약 100m) 설치 필요

연약지반 단면 : 110k000 접속부 단면 : 120k650

그림 3-2-7 지상모니터링 복구 전경

(2) 계측기 설치 지원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계측기 설치, 측정 및 시스템 점검을 위한 차단협의 및 안전

관리를 지원하였다. 계측기 설치를 위한 안전관리계획 작성 지원 및 차단승인, 안전교육 등

작업자 및 열차 안전 확보를 위한 협의절차 정립과 작업일정 조정 등 안전 확보방안을 지원

하였다.

Page 8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2 -

그림 3-2-8 계측기 설치 작업계획서 예시

(3) 검측차 탑승 지원

호남고속철도를 월 1회 검측하고 있는 궤도검측차(Roger-1000k)에 첨승하여 테스트베드 구

간 내 설치한 지상모니터링 계측정보와 차상 계측정보와의 시간동기화를 시험하고, 테스트베

드 구간의 궤도검측 결과를 통합 DB에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2017년 6월부터 현

재까지 월 1회 검측차 탑승을 지원하였다.

· (운행일정) 익산역(00:20)→광주송정역(01:30)→익산역(02:40)

· (첨 승 자) 철도과학기술연구원 김영철과장,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찬용 박사 외 2명

· (시험장비) 휴대용 GPS수신기 및 노트북

· (시험방법) 호남고속선 테스트베드 구간(익산-정읍 간 100k000~128k000, T2) 통과 시 검측차에서 GPS수신

기를 이용하여 차상 위치정보(위도, 경도) 및 시간측정

그림 3-2-9 궤도검측차 첨승 차수별 업무협조 사항

(4) 소음저감장치 현장시공 지원

개선된 소음저감장치(방음벽상단장치 및 흡음블럭)의 성능

검증을 위해 현장 시공에 따른 안전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

항을 도출을 지원 하였다.

ㅇ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현장 시공에 따른 안전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2017년 11월 08일 유지

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소음저감장치(방음벽상단장치 및 흡음블럭) 현장 시공에 따른 안

전관리 위험요인 및 보완사항 도출을 위한 회의를 시행하여 총 10건의 검토의견이 도출

되었다.(표 3-2-12)

Page 8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3 -

표 3-2-12 검토의견 및 조치사항

구분 검토 의견 조치사항

방음벽상단장치

- 상단장치 시공 시 방음벽 결속장치(클립, 와이어) 등에 하자가 있는지 확인 필요.- 하자 확인 없이 상단장치 설치할 경우 방음벽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여 안전상의 문제 발생 가능.

- 상단장치 시공 전 사전작업 시 개별 방음벽에 대한 육안검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항에 대해 관계기관에 즉시 보고.- 방음벽 결속장치 외 방음벽 지주 등에 대한 검사완료

- 안전성검증자료로 구조해석 결과가 제시되었으나, 구조해석 결과가 만족하더라도 실제현장에 시공된 후 문제가 다수 발생.

- 구조해석과 함께 내하중 시험을 통한 구조안전성 평가 수행.- 공인성적기관 한국도로교통연구원을 통해 11월 9일 내하중 시험을 완료.- 성적서 발급 완료

- 내하중 시험 외 압력/변위 등 테스트베드 현장에서 측정된 측정결과 포함 필요

- 1단계 테스트베드 현장에서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이용해 DIN 4150 - Part 3 Short-term Vibration 기준과 비교 평가.(안전성 검증자료 참조)

- 1단계 테스테베드에 이어 2단계 테스트베드도 토공구간에 설치됨.- 실제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은 교량구간가 다수이므로 교량구간에 대한 시공 및 성능검토 필요.

- 현재 자문회의를 통해 도출된 상단장치 소음저감 성능 검증방법은 ISO 3095를 기본으로 수립되었으며, 교량 하부구조물 진동으로부터 파생되는 방사소음의 영향을 받는 교량구간에서 성능을 검증하기 어려움.- 다만 향후 상용화 과정에서 교량구간 시공이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시공 후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통해 검증완료.

흡음블럭

- 열차 차내소음에는 저주파가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실내소음저감에 효과가 있을지?

- HEMU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2500Hz에서 나타나며, KTX-호남은 88~3150Hz에서 피크주파수가 나타남.- 흡음블럭의 주파수별 흡음계수 200Hz 이상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냄.

- 도상에 설치하는 제품으로 도상점검시 들어내면서 점검이 불가능한데, 설치 후 도상 점검 가능여부?

- 도상 균열 양상을 파악하여, 주로 균열이 시작되는 부분이 오픈되도록 하였으며, 제품 하부에 관통홀을 두어, 이 홀내부로 내시경카메라를 삽입하여 균열 양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음.

- 공사시 트로리 적재량을 감안하여 진행할 것

- 공사시 자재는 파렛트 단위로 트로리에 적재하여, 백호(0.3)에 연결하여 이동하였으며, 백호의 견인력 및 트로리 적재톤수를 감안하여 운반하였음. - 해당구간에 대한 보수완료

- 고속 운행구간에서 설치제품의 비산 우려는 없는지?

- 고속열차 운행에 의한 열차하부의 풍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 풍압에 따른 양력을 검토한 결과, 제품의 자중만으로도 양력을 이겨낼 수 있음.- 또한 열차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제품의 점진적 이동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접착재 도포에 의해서도 일정부분 양력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줌.

Page 8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4 -

ㅇ 안전성검증

철도공사에서 시행하는 “안전성 검증”이란 관련부서가 시행한 안전성 평가결과를 검증부

서의 장이 안전성 평가 및 안전조치가 적절한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하며, 소음저감장치(방음

벽상단장치 및 흡음블럭)의 성능검증은 호남고속철도 운행선 상에 설치하는 공사로써 철도안

전관리 시행세칙 제92조에 의거 “열차운행 및 고객의 안전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사업 또

는 용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철도공사 안전본부에 안전성검증을 요청하였으며, 아래 표와

같이 검토 의견에 따른 조치사항을 도출하여 사용자 입장에서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안전성

검증을 완료하였다.

표 3-2-13 방음벽상단장치 검토 의견 및 조치결과

방음벽상단장치 검토 의견 조치사항

- 상단장치 시공 시 방음벽 결속장치(클립, 와이어) 등에 하자가 있는지 확인 필요.- 하자 확인 없이 상단장치 설치할 경우 방음벽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여 안전상의 문제 발생 가능.

- 상단장치 시공 전 사전작업 시 개별 방음벽에 대한 육안검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항에 대해 관계기관에 즉시 보고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였음.- 방음벽 결속장치 외 방음벽 지주 등에 대한 검사완료

- 안전성검증자료로 구조해석 결과가 제시되었으나, 구조해석 결과가 만족하더라도 실제현장에 시공된 후 문제가 다수 발생.

- 구조해석과 함께 내하중 시험을 통한 구조안전성 평가 수행.- 공인성적기관 한국도로교통연구원을 통해 내하중 시험 완료.- 성적서 발급완료

- 내하중 시험 외 압력/변위 등 테스트베드 현장에서 측정된 측정결과 포함 필요

- 1단계 테스트베드 현장에서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이용해 DIN 4150 - Part 3 Short-term Vibration 기준과 비교 평가.(안전성 검증자료 참조)

- 1단계 테스테베드에 이어 2단계 테스트베드도 토공구간에 설치됨.- 실제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은 교량구간가 다수이므로 교량구간에 대한 시공 및 성능검토 필요.

- 현재 자문회의를 통해 도출된 상단장치 소음저감 성능 검증방법은 ISO 3095를 기본으로 수립되었으며, 교량 하부구조물 진동으로부터 파생되는 방사소음의 영향을 받는 교량구간에서 성능을 검증하기 어려움.- 다만 향후 상용화 과정에서 교량구간 시공이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시공 후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통해 검증 완료

표 3-2-14 흡음블럭 검토 의견 및 조치결과

흡음블럭 검토 의견 조치사항

- 열차 차내소음에는 저주파가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실내소음저감에 효과가 있을지?

- HEMU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2500Hz에서 나타나며, KTX-호남은 88~3150Hz에서 피크주파수가 나타남.- 흡음블럭의주파수별 흡음계수 200Hz 이상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냄.

- 도상에 설치하는 제품으로 도상점검시 들어내면서 점검이 불가능한데, 설치 후 도상 점검 가능여부?

- 도상 균열 양상을 파악하여, 주로 균열이 시작되는 부분이 오픈되도록 하였으며, 제품 하부에 관통홀을 두어, 이 홀내부로 내시경카메라를 삽입하여 균열 양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음.

- 공사시 트로리 적재량을 감안하여 진행할 것- 공사시 자재는 파렛트 단위로 트로리에 적재하여, 백호(0.3)에 연결하여 이동할 예정이며, 백호의 견인력 및 트로리 적재톤수를 감안하여 운반 예정임.

- 고속 운행구간에서 설치제품의 비산 우려는 없는지?

- 고속열차 운행에 의한 열차하부의 풍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 풍압에 따른 양력을 검토한 결과, 제품의 자중만으로도 양력을 이겨낼 수 있음.- 또한 열차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제품의 점진적 이동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접착재 도포에 의해서도 일정부분 양력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줌.

Page 8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5 -

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관련 운영자 입장에서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현재 운영중인 유사 시스템 현황, 차상검측장비 현황, 유지보수 체계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 입장에서의 통합DB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KTMSYS 운영현황

조사 →

궤도검측 현황

조사 →

유지보수 체계

분석 →통합DB 활용방안

‘16.11월~12월 ‘17.1월~6월 ‘17.6월~12월 ‘18.1월∼과제종료

(1) KTMSYS 운영현황 조사

현재 고속선 1단계구간 유지보수는 궤도검측, 레일탐상, 진동가속도, 궤도모니터링 등의 검측

및 유지보수 데이터를 수집, 종합분석하고, 누적 관리하여 궤도 상태를 평가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의사결정지원시스템(KTMSYS)을 구축하여 운영중이며, KTMSYS는 자갈도상구간에 최적화된 유지

관리시스템으로 관련 시스템을 참조하여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통합DB구축에 사용자요

구사항 반영 등 사용자 입장을 고려한 시스템이 구축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그림 3-2-10 궤도유지보수의사결정지원시스템 현장방문 및 사항점검

그림 3-2-11 KTMSYS 운영환경 및 환경

Page 8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6 -

KTMSYS(궤도관리시스템)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2010년에 개발되어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광명~동대구)궤도유지보수에 활용 중이며, 기준정보관리, 궤도검측데이터관리, 궤도틀림

진전예측, 궤도유지 보수일정최적화, 궤도종합작업관리, 통계/분석/보고서 등 총 5개의 주요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호남고속철도는 콘크리트궤도로 건설되어 KTMSYS와 유사한 관리시스

템 구축이 필요한 실정으로 관련 DB구축 시 KTMSYS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준정보관리, 각종

검측 데이터관리, 상태평가 등 DB 구축과 빅데이터화를 통한 상태평가를 지원 할 수 있는 시

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2) 차상검측장비 현황 분석

ㅇ 장비현황 및 주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 베드 구간을 운영중인 차장검측장비는 아래 표와 같으며, 궤도틀림,

전차선, 신호, 통신 등을 종합검측하는 ROGER 1000K와 선로순회, 도상자갈, 체결구 등을 점

검하는 선로점검차가 월 1회 운행중이며, 초음파 레일탐상장비는 분기 1회 점검 중으로 레일

균열 및 내부결함을 검사하고 있다.

표 3-2-15 차상검측장비 현황

장비명 제작사 검측내용 검측속도 사 진

궤도검측차(EM-140K)

PLASSER& THEURER(오스트리아)

궤도틀림, 전차선, 레일마모, 건축한계 등

140

종합검측차(ROGER 1000K)

MERMEC(이탈리아)

궤도틀림, 전차선, 신호, 통신 등

160

레일탐상차(RDC 0501)

SPENO(스위스)

초음파 레일탐상(내부결함, 균열검사)

65

선로점검차성신산업(차체)

MERMEC(시스템)

선로순회(동영상),도상자갈, 체결구,침목, 레일표면

100

표 3-2-16 차상검측장비 점검주기

장비별 고속철도 일반철도 비고

궤도검측차(종합검측차)

월 1회 분기 1회

선로점검차 월 1회 주요선구 : 월 1회, 기타선구 : 반기1회

레일탐상차 분기 1회 년 1회 이상

Page 8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7 -

표 3-2-17 검측차 특성 비교

(3) 궤도유지보수 체계 분석

사용자 입장에서 궤도유지보수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선로 순회, 각종 점검 활동, 검

측결과 분석, 작업현황 관리 등의 수집된 정보를 관리하고 이러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바탕으

로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호남고속철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시

관련 궤도유지보수 체계를 참고하여 콘크리트궤도에 최적화된 통합DB가 구축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통합 DB구축을 위한 사용자 입장에서의 요구사항은 선로점검 결과 각종 DB를

통합관리하고 각각의 점검자료 및 데이터가 누적되어 상태평가를 통한 보수 계획이 수립 될

수 있는 자동화된 궤도유지보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ㅇ 궤도유지보수 체계

궤도유지보수 체계는 그림 3-2-12와 같으며, 유지보수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단계별 시행절차

를 거쳐 철저한 피드백과 검토 사항이 다음 연도 계획 수립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분 종합검측차 EM-140K

전장 23,800mm 19,480mm

차륜 920mm 920mm

대차 2축보기 2축보기

고정축거 2,500mm 2,500mm

전축거 16,860mm 12,000mm

폭 2,830mm 2,800mm

높이 4,300mm 4,100mm

궤간 1435mm 1435mm

운행속도 160km/h 140km/h

검측속도 160km/h 140km/h

중량 60톤 57톤

주행방식 자동유압변속(2단) 자동유압변속(2단)

제동방식 EP디스크제동 EP디스크제동

검측방식 비접촉식 비접촉식

검측현 길이(고저,방향)

20m 비대칭현(4.1m:16.77m) * MTT장비검측과 유사

검측현길이 조정가능(궤도,종합방식 모두 가능)

궤도틀림검측항목

고저, 방향, 궤간, 수평, 뒤틀림, 레일마모고저, 방향, 궤간, 수평, 뒤틀림

레일마모, 건축한계 등

검측방식

Page 8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8 -

유지보수 계획

(연간 작업, 점검 계획 수립)

<일반철도>- 궤도보수 점검 (궤도틀림, 노반점검)- 궤도재료 점검- 선로순회 점검 (도보, 열차)

선로점검

궤도보수 시행 ↓

↑ 점검자료 분석 ,정리 <고속철도>

- 궤도검측차 점검

- 차량진동가속도 측정

- 인력 확인 점검

- 하절기 점검

- 궤도재료 점검

- 선로순회 점검

보수계획 수립

(일일, 주간, 월간)↓

검사결과

(보수대상 개소 파악)

종료

그림 3-2-12 궤도유지보수 체계

ㅇ 점검주기 및 방법

궤도유지보수 점검주기는 점검 장비 또는 인력에 의한 적정 점검주기를 산정하여 시행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로유지관리지침」에 명시되어 있는 궤도점검의 종류 및 시행

기준은 표 3-2-15와 같다.

구분 점검종류 점검주기 비 고

장비

궤도검측차 본선 연 4회우선보수대상은 2주 이내, 계획보수대상은 1개월 이내 가급적 보수 시행

선로점검차주요 선구 (본선) 월 1회

지적개소 1개월 이내 점검 및 보수 시행기타 선구 (본선) 반기별 1회건설선, 전용선 등 필요 시

초음파탐상점검

레일탐상차 전 본선 연 1회 지적개소 7일 이내 재점검(인력탐상)레일탐상기 연 1회 이상 터널, 교량 등 취약개소는 추가 시행

인력

순회점검열차순회 주 2회도보순회 주 1회

분기기 틀림 점검

본선 및 이에 부대하는 분기기

반기 1회 이상검측기록부는 수기 작성 및 보관(2년간) 분기기관리대장(EXCEL)에 데이터 입력관리

측선분기기 반기 1회 이상중점관리대상

분기기2주 1회 점검월 1회 검측

노반점검선로순회자 주 1회 이상

공사감독자건설공사 감독자

업무지침에 따라 시행

궤도재료 점검

레일점검

외관점검 연 1회 이상

해체점검본선이음매 연 1회 이상

장대터널 및 레일의 피로가 심한 구간으로 지역본부장이 지정한 구간은 연 2회 이상

분기기 점검일반점검 연 1회 이상정밀점검 연 1회 이상 측선부대분기기는 2년 1회 이상

PC침목 점검본선부설 연 1회 이상기타 측선 2년 1회 이상

목침목 점검 연 1회 이상도상 점검 연 1회 이상

기타 궤도재료 점검 연 1회 이상

중점관리대상시설물

#8 분기기 연속 구간 등

2주 1회 중점관리대상시설물 지정개소

본부 주의할 곳월 1회

철도운행에 관한 안전지침 및 열차운전 시행세칙상 지정 개소속도제한개소

본부 간 교차점검 반기 1회 매년 6월, 12월 본사 지시에 의해 시행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5), 「선로유지관리지침」

표 3-2-18 궤도점검 종류 및 시행기준

Page 8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69 -

ㅇ 점검 및 보수 체계

궤도유지보수 점검 및 보수체계는 그림 3-2-13 및 그림 3-2-14와 같으며, 도보순회, 열차순회

등과 같이 인력에 의한 경험적 점검방법과 첨단장비를 활용한 검측데이터 누적 및 검측정보를 바

탕으로 데이터 분석과 상태평가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지보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점검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영업개시 전 점검열차 운행(170km/h)

- 승객을 탑승하지 않은 고속열차 운행

주기적 육안검사(주간점검)열차순회 (KTX동력차 첨승)

궤도틀림 동적측정 - 궤도검측 (월 1회) - 궤간, 방향, 비틀림 등 궤도틀림

궤도관리

차량진동가속도 측정 - 시속 300km/h로 검측(2주 1회) - 보수시행

- 보수방법

- 보수수준

- 서행여부판단

레일초음파 탐상 - 레일초음파 탐상차 운행 (분기 1회) - 레일내부결함 탐상

궤도상태 모니터링 - 점검차 데이터 분석 - 체결구상태, 레일표면, 도상단면 등 탐지

보수 계획시달

보 수

그림 3-2-13 궤도보수 점검

선형보수 작업(Tamping)

- 작업 전 선형(틀림)측량 (사전검측)

- 수시보수, 계획보수, 궤도안정화

- 작업결과 확인(검측), 주기적 모니터링

궤도재료 보수

- 레일 결함보수: 레일연마, 육성용접, 국부연마

- 분기기 및 신축이음매 부속품 보수, 조정

- 분기기 마모 삭정, 침목균열․파손보수

장대레일 안전관리

- 장대레일 축력관리 및 재설정

- 도상단면관리, 레일온도관리, 고온 시 특별감시

보수결과궤도관리

↓ 레일연마 관리

- 최적의 열차주행면 제공을 위한 주기적 레일연마

- 주행안전성 확보, 승차감 향상, 레일 수명연장 - 궤도품질관리

- 보수주기 설정

- 보수 계획 수립 궤도재료 교환

- 마모, 피로, 파손 등으로 기능 저하된 재료 교환

- 부분 및 전체교환(레일, 침목, 체결구, 분기기 등)

궤도상태 모니터링 - 점검차 데이터 분석 - 체결구 상태, 레일표면, 도상단면 등 탐지

그림 3-2-14 궤도보수 체계

Page 9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0 -

(4) 통합DB구축에 따른 운영처의 활용계획(안)

현재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을 대상으로 구축한 통합 DB구축 시스템을 콘크리트도상

전 구간으로 확장 할 경우 콘크리트궤도 운영환경에 적합한 궤도관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

이 가능 할 것이라 판단된다.

첫째, 통합 DB구축을 통해 고속선 선로유지관리에 필요한 궤도검측데이터, 진동가속도, 노반계

측, 유지보수 이력 등의 DB 통합은 물론 위치기반 상태평가가 가능 할 것이다.

둘째, 궤도 위치정보 인식 및 궤도틀림 실시간 감시, 다양한 검측 데이터와 관리기준을 저장하

고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각 종 검측데이터의

위치별, 년도별 위치동기화 및 데이터 누적을 통한 장기모니터링과 상태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현재 노반침하에 대한 유지보수는 침하계측자료와 궤도틀림자료를 분석하여 침하개소를

판별, 보수/보강을 시행하고 있으나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 인적오류 등 지속적인 집중관리에 한

계가 있어 이를 해소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넷째, 콘크리트궤도 상태평가 및 틀림진전예측, 작업 전·후 효과 분석, 자원과 작업조건에 따

른 궤도 유지보수작업 최적화 기술 등 웹기반 협업지원이 가능하며, 궤도틀림 발생 시 궤도보수

등 단순 작업 또는 노반복원 등 적정 유지보수작업 판단 및 최적화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 가능하

다.

다섯째, 통합DB구축 시 각종 곡선/구배, 터널, 교량, 노반, 레일, 분기기, 신축이음매, 지반정보

등 기준정보와 각종 검측데이터를 연동 할 경우 다양한 상태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라 판단된다.

여섯째, 육안조사 등 경험적이고 인력중심의 점검/관리를 지양하고자 딥러링, AI, 빅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베이스 연계 기술개발 기반 확보에 활용 가능하며, 향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센싱,

통신 네트워크, 정보처리 등 ICT를 접목한 기술 고도화의 기초가 되는 DB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Page 9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1 -

3절.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구축

1. 시스템 환경

기존 1단계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측데이터에 대한 누적과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UI가 있으나

이에 대한 실제 상세한 데이터의 취득이 어렵고, 차트를 이미지로만 제공하여 활용에 어려움이 있

었다. 또한 각 계측에 대한 기록이 시간과 계측기 별로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특정 지점에 대한 계

측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다소 불편하다. 이에 1단계에서 구축된 통합 DB 시스템에 대해서 확장성

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GIS기반의 통합 UI시스템으로

개선이 필요했다. 통합DB 시스템에 대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확장성과 활용성 측면에서의

DB재설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현재 국내 유지보수 정책방향으로 제안되고 있는 GIS 기반으로

재설계 및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재설계를 통한 시스템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확장성 측면으로 볼 때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증대할 필요

가 있다. 시스템 개발 표준을 전자정부프레임웍을 사용하고, GIS의 인터페이스는 OGC 국제 표준

을 따르도록 하여 개발 생산성, 상호 운용성, 종속성 해소, 정보시스템 품질향상에 기여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규모에 있어 예비율을 포함하여 10년간의 데이터 누적이 가능해야 하

며 계측데이터간의 연계 용이성을 위해 시간, 계측코드, 위치 정보가 모두 저장되도록 해야 한다.

안정성 측면으로 볼 때 데이터베이스는 이중화를 통해 복구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고,

물리적 인프라는 관리되어지는 방화벽 내에 위치하여 외부 침입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또한

임의 조회가 가능한 계측데이터들은 파일 형태가 아닌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추후 추출

기능 구현에 용이하도록 한다.

GIS 기반 시스템으로 각 계측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가 기록되어야 하는데, 철도 분야의 대부분

데이터는 KP로 관리되어있어 이를 위치정보로 매핑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테스트베드 구

간의 설계도면을 통하여 위치정보와 KP간의 정확한 관계테이블을 생성하고 GPS계측 정보에서 추

출된 위치정보와 계측데이터에서 추출된 KP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를 통해 계

측데이터 간의 상호 조회가 가능해야 한다.

2. 시스템 환경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집서버, 통합DB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로 이루어져있다. 수집 서버

에서는 계측데이터를 수집 및 변환 작업을 수행하고, 통합DB서버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적재

및 관리하는 저장소이다.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는 통합DB의 내용을 조회하고 사용자 UI를 구현하

여 실제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용되기

위해 H/W 환경, 보안 및 유비보수성, 저장 용량 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Page 9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2 -

그림 3-3-1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도

가. H/W 환경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H/W 환경은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시범적용 기술개발” 과제에

사용한 운용 환경을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해당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유휴 장비가 있어 이번 과제

에 구축할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자원 구성이 용이하였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

성은 크게 네트워크, 스토리지서버, 응용서버로 구성되어있다. 각 요소들은 전체 시스템이 운용되

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며, 기종과 용도는 아래 표 3-3-1과 같다.

표 3-3-1 하드웨어의 구성 및 운영 상태

(1)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각 서버들과 클라이언트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비로 L3스위치를 통해 랜케이블

로 연결되어있고, 외부와의 인터넷 연결 시 보안을 위한 방화벽이 있다.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운용 환경 또한 서버실에 각각의 서버를 랜선으로 연결하고 중앙의 L3스위치를 통해 모두

연결이 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하도록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에 관리되지 않은 방화

벽을 자체 구성하여 사용하여 외부 침입으로 부터의 대응이 어려웠던 점을 개선하여 철도기술연

구분 사용 목적 기종 용도 운영상태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L3 스위치 네트워크 분배 및 연결 운영중

FDF 광분배기 운영중

Optical to UDP 광변환장치 운영중

보안 주니퍼 SSG 140 방화벽 운영중

저장소 스토리지 HP P2000 G3 스토리지 컨트롤러 운영중

HP P2000 G3 스토리지 컨트롤러 운영중

백업 HP MSL6480 통합 LTO 장비 -

응용서버 계측 Server HP DL380p 2690 계측 데이터 수집 운영중

HP DL380p 2690 계측 데이터 수집 -

WAS Server HP DL380p 2565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서비스 운영중

HP DL380p 2565 웹 부하분산 기능 서버 -

Web Server HP DL380p 2565 웹 클라이언트 구동서버 -

HP DL380p 2565 웹 클라이언트 구동서버 -

DB Server HP DL380p 2765 통합 DB 서버 (Active) 운영중

HP DL380p 2765 통합 DB 서버 (Standby) 운영중

기타 운용 HP DL380p 2565 백업 서버 -

HP DL380p 2565 인증 서버 -

HP DL380p 2650 CCTV 서버 -

Page 9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3 -

구원의 네트워크 영역으로 이관하여 항시 외부 침입으로부터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에서 익명의 사용자가 권한 없이 접속할 수 있는 문제를 포함하여 아래와 같이 IP 및 방화벽

설정을 진행하였다.

표 3-3-2 IP 구성 및 방화벽 설정

(2) 스토리지 서버

스토리지 서버는 통합 DB의 데이터를 적제하기 위한 저장소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비이다. 단순히 저장소이기 때문에 응용서버와 같이 사용하여야 하고, 12개의 HDD Slot 이 있어

대용량으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표 3-3-3 통합DB 스토리지 사용 및 옵션

(3) 응용서버

응용서버는 실제 서비스가 구동하기 위한 서버로 CPU의 처리량과 다량의 RAM을 요구한다. 또한

DB서버의 경우 데이터 저장용량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스토리지 서버와 같이 사용하게 된다.

응용서버는 계측수집서버, DB서버, WAS서버가 있다.

계측수집서버는 계측센서를 외부로부터 수신 받고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정제 과정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이때, 빠른 처리속도를 요구하고 구문해석 및 통계 처리 등의 작업을 위한 서버의 성능

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반의 Data Logger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처리하

는 계측서버#1과 통합DB 수집프로그램을 상주하고 있는 계측서버#2가 할당되어있다.

구분 기존 IP 변경 IP 방화벽 설정

통합DB #1 10.10.40.10 192.168.100.81 외부 접속 불가

통합DB #2 10.10.40.11 192.168.100.82 외부 접속 불가

계측서버 #1 10.10.40.14 192.168.100.84 외부 접속 불가

계측서버 #2 10.10.40.15 192.168.100.85외부 접속 불가

(관리용으로 특정 IP만 접속허용)

WAS #1 10.10.40.16 192.168.100.86 1.241.70.186:80 만 허용(Web)

WAS #2 10.10.40.17 192.168.100.87 1.241.70.187:80 만 허용(Web)

제품명 HP P2000 G3 MSA FC Dual Cntrl LFF Array제조사 HP

전경

옵션

- HP P2000 16TB 6G SAS 7.2K 3.5in MDL HDD- HP P2000 Dual I/O LFF Drive Enclosure

- HP P2000 14TB 6G SAS 7.2K 3.5in MDL HDD- HP Install MSA Array & Enclosure SVC

- HP 3y 4h 24x7 MSA2000 Enclosure HWSupp- HP Install MSA Array & Enclosure SVC- HP 3y 4h 24x7 MSA 2000 G3 HWSupp

- HP 15m Multi-mode OM3 LC/LC FC Cable- HP 82Q 8Gb Dual Port PCI-e FC HBA

용량 12.7TB 중 11TB 사용가능

Page 9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4 -

표 3-3-4 계측서버 사양 및 옵션

DB서버는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 및 조회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 수집된 데이터의 적재, 시스템

UI 표출을 위한 데이터 조회를 빈번하게 수행하는 서버로 하드웨어 사양 및 안정성이 중요하다.

또한 데이터의 저장에 있어 연간 1.3TB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토리지 서버와 같이 운용하도

록 하였다. 특히 1단계 시스템 유지를 위해 Oracle이 기 운용중이고, 추가로 MongoDB를 운용하여

메모리 유휴율과 프로세스 점유율을 검토하였고, 약 40기가의 메모리 유휴가 있어 통합DB 운용에

는 충분하도록 설계하였다.

표 3-3-5 통합DB서버 사양 및 옵션

제품명 HP DL380p Gen8 8-SFF CTO Server제조사 HP

전경

CPU Intel Xeon CPU E5-2690 2.9GHz (16 Core) x 2메모리 64GB 중 idle시 25.1GB 사용 중 38.9GB 사용가능HDD (C:\ 199GB, D:\ 358GB)

사용 서버 DB서버1, DB서버2(백업)주 시스템 프로세스

Oracle DB(idle시 메모리 점유 : 22.5GB)

하드웨어옵션

- Asia Pacific-English Localization- HP DL380p Gen8 E5-2690 FIO Kit- HP DL380p Gen8 E5-2690 Kitd

- HP 64GB 2Rx4 PC3L-10600R-9 Kit- HP 1,500GB 6G SAS 10K 2.5in SC ENT HDD

- HP 12.7mm SATA DVD ROM Jb Kit- HP Ethernet 1GbE 4P 331FLR FIO Adptr– HP 2GB FBWC for P-Series Smart Array

- HP 2U SFF BB Rail Gen8 Kit- HP 460W CS Plat PL Ht Plg Pwr Supply Kit

– HP 3y 4h 24x7 DL38x(p) HW Support

제품명 HP DL380p Gen8 SFF CTO Server제조사 HP

전경

CPU Intel Xeon CPU E5-2665 2.4GHz (16 Core) x 2메모리 32GB 중 idle시 3GB 사용 중 27.5GB 사용가능HDD (C:\ 100GB, D:\ 178GB)

사용 서버 계측1, 계측2주 시스템 프로세스

Logger2DB(idle시 메모리 점유 : 51.8MB)

하드웨어 옵션

- Asia Pacific-English Localization- HP DL380p Gen8 E5-2665 FIO Kit- HP DL380p Gen8 E5-2665 Kit

– HP 16GB 2Rx4 PC3L-10600R-9 Kit- HP 1,000GB 6G SAS 10K 2.5in SC ENT HDD

- HP 12.7mm SATA DVD ROM Jb Kit- HP Ethernet 1GbE 4P 331FLR FIO Adptr– HP 2GB FBWC for P-Series Smart Array

- HP 2U SFF BB Rail Gen8 Kit- HP 460W CS Plat PL Ht Plg Pwr Supply Kit

– HP 3y 4h 24x7 DL38x(p) HW Support

Page 9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5 -

나. S/W 환경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S/W는 서버를 운용하기 위한 운영체제로 Windows Server

2012가 기 설치되어있다. 이는 기 운용중인 1단계 시스템이 ASP.Net을 IIS에서 운용하기 위한 환경

이다. 추가로 DBMS로는 Oracle 11g가 설치되어있다.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은 이와는 별개로 향후 리눅스로도 운용이 가능하고 전자정부프레임웍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개발환경에 맞춰 S/W를 운용하고 있다. 개발 언어로는 Java를 사용하고 있고,

WAS는 Tomcat으로 운용한다. 서비스의 개발 프레임웍은 Spring Framwork를 사용하여 향후 확장

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이도록 했다.

그림 3-3-2 S/W 환경 구성

다. 보안 및 안정성 개선

현재 서버 인프라의 각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망과 제한 없이 연결이 가능한 상태였다. 이

는 기존에 개발 편의성 차원에서 조치된 것이나 외부 침입으로부터의 보호받지 못한 상태였다.

이로 인하여 2건의 침입 시도가 있었다. 먼저 2016년 10월 7일 외부 침입이 인지가 되어 기술정보

분석팀에서 네트워크를 차단하였고, 이후 2016년 10월 10일에 서버실에 입실 후 계정 비밀번호 수

집 프로그램을 제거하고, 데이터 이상유무를 확인하였다. 이에 각 서버들은 허가받은 단말에서만

접속하도록 제한 조치하고, 웹서비스를 위한 포트(80,8080)을 제외한 모든 포트를 제한하였다.

1단계 시스템이 운용중인 서버의 경우 운용일수가 3년이 경과되어 HDD의 고장으로 인해 RAID

를 해제하고, 단일 HDD로 설정 후 시스템을 복구하였다. 이에, 중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DB의

경우는 항시 Active-Standby 형태로 데이터 백업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라. 통합DB 스토리지 용량 산정

통합DB에 구성한 서버 자원은 한정적이고, 용량을 증설이 필요할 시 많은 비용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구성하기 전 필요한 용량을 미리 산정하여 용량 증설에 대한 여부를 확인했다.

계측데이터는 계측 값이 같은 형태로 많은 양이 적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저장에 있어서

되도록 단순한 구조로 저장을 하여야 저장 용량을 절감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계측기의 사향과

측정 단위 등의 정보는 별도의 메타 테이블에 저장하도록 하고, 계측 결과 값은 별도의 저장 공간

에 값만 저장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각 계측의 저장 건수를 산정하면 아래와 같다.

노반 계측 연간 저장 건수 추정

- 장기 측정 : 200건(예상) * 24(시간) * 365일 = 5,568건

- 이벤트 측정 : 50건(예상) * 50회 * 30초 * 1000건(초당) = 75,000,000건

Page 9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6 -

차상 계측 연간 저장 건수 추정

- 월간 10회(예상) * 12개월 * 20분(예상) * 60000건(분당) = 12,000,000건

단위 RAW 당 용량 추정

- 시각(8byte) + 코드(4byte) + 값(16byte) = 28byte

총 연간 건수 및 데이터 용량 산정

- 총합 87,005,586건 * 28byte = 850GB

- RAW데이터 * 파일시스템 여유율(1.1) * 데이터여유율(1.2) * 확장성(1.2)

: 850GB * 1.1 * 1.2 * 1.2 = 1.3TB (연간)

현재 통합DB에 각 서버별로 할당된 용량은 13TB이므로 10년간 누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별도의 용량 증설이나 서버 증설은 수행하지 않았다.

3.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구축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계측데이터 원본을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 구문해석, 후처리 등

을 거쳐 통합DB에 적재한 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추출되어 UI로 표현하는 시스템이다. 시스

템이 운용되기 위해 DB 환경 구축, 데이터베이스 수집 프로그램 개발, 서버 시스템 개발, UI 시스

템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각 시스템 간의 데이터 흐름도는 그림 3-3-3과 같다.

그림 3-3-3 전체 데이터 흐름도

가. 통합DB 환경 구축

(1) DB 선정

통합DB에서 사용할 DB를 선정할 때, 가장먼저 고려한 부분은 입력은 많으나 조회는 적다는 것

이다. 급격한 데이터의 증가를 수용하고 스케일Out을 지원하며, 라이선스 비용에 최적인 DBMS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DBMS를 선정할 때는 ACID성질과 BASE에 의해 선정한다. ACID는 원자성, 일

관성, 고립성, 지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

Page 9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7 -

질을 가리키는 약어이다. ERP나 금융관련 시스템의 경우 단위 트랜잭션의 안전성은 매우 중요하

므로 일반적인 RDBMS의 경우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질이다. 하지만 대용량 계측데이터를 적

재하는 DB에서는 그보다 성능이 더 우선이다. 성능과 가용성 등을 위해서 ACID의 C와 I의 속성을

포기하고 분산 시스템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성질을 정리한 것이 BASE이다.

BASE가 나타내는 성질은 다음과 같다.

- Basically Available : 기본적으로 Available하고,

- Soft-state : 사용자가 관리(refresh, modify)하지 않으면 Data가 expire 될 수도 있으며,

- Eventually consistency :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Data가 일관성을 가진다.

또한 더욱 발전하여 CAP 이론으로 다시 DBMS를 분류 할 수 있다. CAP이론은 분산 시스템에서

3개 속성을 모두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으로 각 속성은 다음과 같다.

- Consistency (일관성) : 모든 노드가 같은 시간에 같은 데이터를 보여줘야 한다.

- Availability (가용성) : 특정 노드가 장애가 나도 서비스가 가능해야 한다.

- Partitions Tolerance (분리내구성) : 노드 간에 통신 문제가 생겨도 동작

통합DB의 특성상 트랜잭션이 완전하지 않아도 되고, 데이터의 양이 많으며, 빨라야 한다. 반면,

이중화 측면에서 볼 때, 네트워크 여건으로 인한 동기화 시간이 걸려 각 서버간의 데이터의 일관

성에 대한 지연이 있더라도 문제 없으나 일관성 유지를 위해 데이터 적재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모되면 안 된다. 또한 계측데이터의 종류나 형태가 다양할 수 있어 데이터를 적재할 때 유연성

이 필요하다. 이를 모두 만족하기 위해 Disk기반의 NoSQL DB여야 하며 Memory 캐시기능을 자체

적으로 지원하며 많은 레퍼런스 지원이 있는 MongoDB를 선정하였다.

MongoDB는 Document 기반의 NoSQL DB로 RDBMS와 같이 필드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작성

이 가능하다. 또한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운용 가능하고, 다양한 개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본

과제의 인프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Windows Server 2012에서는 서비스로 등록하여 항시 백그라운

드에 운용되도록 하였고, 수집프로그램 개발 언어인 C#과 서버 시스템 개발언어인 Java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2) 데이터 이중화

데이터의 적재/조회 성능과 더불어 데이터의 안정성도 중요하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적재하는

만큼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인해 데이터가 유실될 때 복구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MongoDB는 Master-Slave릴 지원한다.

MongoDB의 master는 쓰기 연산을 담당한다. 즉, 일반 Master-Slave 방식과 동일하게 쓰기는

master에서만 이루어진다. 이때, MongoDB는 쓰기 연산을 데이터 저장소와 Oplog라는 두 군데 영

역에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소에는 B+트리로 구성된 데이터 저장소를 ㅂ말하는 것으로, 쓰기 연

산을 수행한 결과를 저장한다. 반면 Oplog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와는 달리 연산 수행

과 관련된 명령 자체를 다임스탬프와 같이 저장한다.

MongoDB의 slave는 아주 빠른 주기적으로 master에게 자신의 optime보다 큰 Oplog를 달라고 요

청한다. Slave의 요청은 master에 Oplog 데이터를 요청할 때, 질의 요청 옵션을

QueryOption_AwaitData으로 보낸다. QuueryOption_AwaitData는 대기하는 일정 시간 안에 응답할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바로 응답하고 응답할 데이터가 없다면, 일정 시간을 대기한다는 것을 의미

Page 9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8 -

한다. 이와 같이 Slave서버에 지속적으로 Master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이로써, Master 데이터를

백업하는 역할과 데이터 조회시 Master 와 Slave를 둘다 사용하여 성능 이중화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3-3-4 MongoDB의 이중화 복제 정책

(3) DB 스키마 구성

MongoDB는 오픈소스 NoSQL DB로, 기존의 관계형DB 관리 시스템(RDBMS)인 Oracle DB, MSSQL

등과 달리 데이터를 문서(Document)형태로 저장하며, 분산서버 운영에 용이하고, Read and Write

성능이 뛰어나며, RDBMS처럼 고정된 Schema가 없고 SQL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테스트베드 시스

템과 같이 대용량의 축적된 데이터를 조회하는 서비스를 운영할 때 효과적이다. 다음 그림은 테스

트베드 시스템에서 사용된 시스템DB ERD이다.

그림 3-3-5 테스트베드 DB ERD

Page 9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79 -

MongoDB의 데이터 구조는 크게 Database – Collection – Document로 분류된다. Database는 기

존의 RDBMS의 Database와 동일하며 Collection은 RDBMS의 Table과 같다. 그리고 MongoDB의 가

장 큰 특징인 Document는 문서 형태로 저장되며 스키마가 없기 때문에 필드가 고정되어 있지 않

다. 따라서 데이터에 따라 존재하는 필드가 달라질 수 있으며 기존의 DB와 달리 필드에 데이터가

없을 경우 필드를 생략할 수 있다. 데이터의 필드의 타입 또한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을 그대로 사용하여 별다른 변환 없이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표는 시스템DB에서 사용중인 Collection의 정의이다.

표 3-3-6 roadbed_info Collection(노반 계측기 정보)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id 계측기 ID String

2 SensorName 계측기 명 String

3 name 계측기 명 String

4 InstrumentName 노반 계측기 종류 String

5 Unit_CAL 측정 단위 String

6 Unit_Raw 측정 단위 String

7 location 계측위치 String

8 isDynamic이벤트 데이터

여부String

9 updatetimestamp 업데이트일 Date

10 lastInsert 마지막 입력일 Date

11 kp KP Double

12 unvisible 사용여부 String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는 1

13 addEnd 마지막 추가일 Date

14 instrumentEL 심도 String

표 3-3-7 roadbed_static Collection(노반 static 데이터)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id 계측기 ID String

2 ts 측정일 String

3 raw 계측값 Double

4 avg 평균 계측값 Double

표 3-3-8 roadbed_event_list Collection(노반 계측기 이벤트 목록)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id 계측기 ID String

2 sts 계측시작 시간 Date

3 ets 계측끝 시간 Date

4 min 최소값 String

5 max 최대값 String

표 3-3-9 roadbed_event_cal Collection(노반 이벤트 데이터)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ts 계측시간 Date

2 id값(*)계측기 ID별

측정값Double

MongoDB에서는 필드명을 특정 값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Page 10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0 -

표 3-3-10 onboard_list Collection(차상 측정 목록)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eventid 계측 ID Integer

2 type 열차 종류 String

3 file 계측 파일명 String

4 import_ts DB 입력일 Date

5 sts 계측 시작시간 Date

6 ets 게측 끝시간 Date

7 skp 시작 KP String

8 ekp 끝 KP String

9 stats 통계일 Date

표 3-3-11 onboard_stats Collection(차상 평균 데이터)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eventid 계측 ID Integer

2 ts 계측시간 Date

3 speed 속도 Double

4 lon 경도 Double

5 lat 위도 Double

6 kp KP Double

7 bodyx 차체x Double

8 bodyy 차체y Double

9 bodyz 차체z Double

10 axley 윤축y Double

11 axlez 윤축z Double

12 bogiey 대차y Double

13 bogiez 대차z Double

14 tqi_level 고저틀림 TQI Double

15 tqi_crosslevel 뒤틀림 TQI Double

16 tqi_algin 방향틀림 TQI Double

17 tqi_gage 궤간틀림 TQI Double

표 3-3-12 onboard Collection(차상 상세 데이터)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eventid 계측 ID Integer

2 ts 계측시간 Date

3 speed 속도 Double

4 lon 경도 Double

5 lat 위도 Double

6 kp KP Double

7 bodyx 차체x Double

8 bodyy 차체y Double

9 bodyz 차체z Double

10 axley 윤축y Double

11 axlez 윤축z Double

12 bogiey 대차y Double

13 bogiez 대차z Double

14 gage 궤간틀림 Double

15 prl10m 고저틀림좌 Double

16 prr10m 고저틀림우 Double

17 all10m 방향틀림좌 Double

18 alr10m 방향틀림우 Double

19 sup 수평 Double

20 twist3m 뒤틀림 Double

Page 10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1 -

표 3-3-13 settle Collection(측량 상세 데이터)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id 데이터 ID Integer

2 FIELDID 계측기 ID Integer

3 계측시각 계측시각 Date 필드명 한글

4 지표침하량 지표침하량 Double 필드명 한글

5 원지반침하량 원지반침하량 Double 필드명 한글

표 3-3-14 settle_info Collection(측량 계측기 목록) 정의

No. 필드명 설명 데이터 타입 비고

1 fieldId 계측기 ID Integer

2 시설물종류 시설물종류 String 필드명 한글

3 선로명 선로명 String 필드명 한글

4 kp KP Double

5 공사명 공사명 String 필드명 한글

6 구간명 구간명 String 필드명 한글

7 노반구분 노반구분 String 필드명 한글

8 지표침하량 지표침하량 Double 필드명 한글

9 원지반침하량 원지반침하량 Double 필드명 한글

MongoDB의 데이터는 JSON 기반의 데이터로 저장되기 때문에 key:value의 형태로 자바스크립의

객체처럼 자유롭게 필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음그림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그림 3-3-6 roadbed_event_cal의 실제 데이터 구조

Page 10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2 -

roadbed_event_cal의 Document들은 필드명을 계측기 ID로 사용하고 필드의 값을 해당계측데이터

로 구성되어있다.

(4) DB 적재 현황

현재 통합DB에는 노반계측데이터, 차상계측데이터, 침하측량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하고 있으

며 적재 현황은 아래와 같다. 각 데이터는 모두 조회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고 있으며,

이중화를 통해 Active와 Standby서버에 모두 동일하게 기록이 되어있다. 또한 실제 저장된 물리

저장량은 데이터베이스의 자체 압축에 의해 650GB로 서버의 여유율은 충분했다.

표 3-3-15 DB 적재 현황 (2018.01.25. 기준)

구 분 사이즈 (KB) 건수 (개) 데이터 구성

노반 계측정보 280 350 계측이름, 심도, 위치, 활성화 여부 등

노반 장기측정 224,335 2,983,733 계측시간, 계측 값

노반 이벤트목록 151,360 1,082,896 계측시작시간, 계측종료시간

노반 이벤트 387,878,222 1,053,283,368 계측시간, 계측 값

차상 계측 3,305,556 18,534,529 계측시간, 계측 값

차상 계측 통계 13,987 83,708 통계구간, 대표 값

침하 계측 목록 5,734 14,388 침하 계측 지점의 KP, 종류

침하 계측 28,283 213,884 계측지점별 계측시간, 침하량

나. GIS 개발 환경 구축

(1) 테스트베드 구간 위성영상 및 도면 데이터 변환

GIS기반 시스템에서 지도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배경지도와 시설물지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

해 철도공사를 통해 테스트베드 구간의 설계도면을 수령 받아 지도의 레이어로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림 3-3-7 시설물 / 항공영상 GIS 데이터 처리

설계 도면에는 테스트베드 구간의 선로와 시설물이 도면형태로 포함되어있고, 도면의 절삭면에

는 KP 정보가 기록이 되어있어 이후 KP와 위치정보의 변환의 기초자료로 가공하여 사용이 가능

했다. 또한 선로의 형상정보는 도면에 있는 측량 좌표를 추출하여 각 도면 파일을 모두 합치고,

이를 다시 GIS에서 처리할 수 있는 ShapeFile 형태로 변환 / 저장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형상정보

Page 10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3 -

는 UI 시스템에서 배경지도 위에 레이어로 표출하여 이상개소 주변 시설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도

록 했다. 배경지도의 경우 철도 시설물 바닥에 표시하는 지도로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산업진흥원에

서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사용하여, 일반지도, 회색지도, 위성지도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2) KP와 위치 정보간 매핑테이블 제작

계측데이터의 대부분은 위치정보값이 없이 KP값으로만 표기되어있어, 실세계 위치와 GPS 위치정

보와 매칭할 수가 없다. 이에, KP와 위치정보값을 매핑할 수 있는 기반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설계 도면에서 선로 중심선을 추출하고 도면에 표기되어있는 기준 KP값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도면상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레이어에서 형상 정보를 추출하고 형상 정보에 수록

하고 있는 X,Y 좌표값을 수집하였다. 이를 조합하여 도면별로 LineString을 구성하고 방향성을 적

용하면 단위 도면당 선로의 선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선형은 다시 WGS84 투영을

적용한 경도, 위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위치정보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각 LineString의 메

타데이터로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KP정보를 추출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하였다.

그림 3-3-8 좌표변환 매핑테이블 생성 과정

표 3-3-16 매핑테이블의 예

KP#1 KP#2 Coordinates (LineString)99.8 100.5 194305.502,361578.254,194221.244,360883.343100.5 101.2 194221.244,360883.343,194136.986,360188.433101.2 101.9 194136.986,360188.433,194052.728,359493.522101.9 102.6 194052.728,359493.522,193968.4700,358798.6118102.6 103.3 193968.4700,358798.6118,193884.2121,358103.7013103.3 104 193884.2121,358103.7013,193799.9541,357408.7908104 104.7 193884.2121,358103.7013,193715.6952,356713.8803104.7 105.4 193715.6952,356713.8803,193701.2481,356594.7209,193631.4383,356018.9698105.4 106.1 193631.4383,356018.9698,193547.1804,355324.0594106.1 106.8 193547.1804,355324.0594,193462.9225,354629.1488

(3) GIS 서버 환경 구축

본 절에서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GIS 개발환경 구축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GIS 시스템

의 개발환경은 OGC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 JBMap Suite의 geoWorks를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아래

그림은 geoWorks GIS엔진의 레이어 화면이다. geoWorks는 JAVA 서버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

발되어 리눅스(LINUX) 또는 윈도우(Windows) 서버에 쉽게 설치되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과 유사한 지리공간 웹(Geospatial Web)을 통해 지리공간 데이터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진이다. 다양한 공간정보 콘텐츠를 지도 위에 표출하고, 스타일링 도구

를 통해 손쉬운 스타일링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도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Page 10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4 -

구성한 내용은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로 즉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3-3-9 geoWorks GIS 엔진 레이어 화면

그림 3-3-10 geoWorks 서비스 개념도

그림 3-3-11 WMS파라미터

사용예시

그림 3-3-12 WFS 파라미터

사용예시

geoWorks는 위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서버의 공간자료를 벡터 기반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OGC 표준의 클라이언트에 바로 지도이미지를 서비스할 수 있는 WMS(Web Map Service)와 클라

이언트에서 직접 렌더링 및 속성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WFS(Web Feature Service) 등의 표준 레

퍼런스 기능을 제공하여 실시간 이미지 및 벡터 지도서비스를 제공한다.

Page 10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5 -

표 3-3-17 geoWorks 특징 및 기능

특징(Features) 기능(Functions)

OGC 표준 적용다중 플랫폼 지원 (Windows, Linux, Unix)한 번의 요청으로 Multi Layer를 처리카토그래픽(Cartographic) CSS 스타일링 기술간편한 GUI 스타일링 도구

그룹(Group)개념의 Layer 관리실시간 지도 생성 스타일링 도구Restful API

위의 표는 geoWorks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geoWorks는 OGC 표준의 WMS와 WFS,

TMS 등의 표준 레퍼런스기능을 제공으로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제공하여, Shape, Geotiff,

NetCDF, ArcGr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응답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Multi Layer, 심플하고

직관적인 Cartographic CSS 스타일링 기술과 GUI 스타일링 도구를 꼽을 수 있다. 확장성이 높은

Restful API 기능도 지원 가능하다.

그림 3-3-13 geoWorks GIS 엔진 API 지원 화면

본 과제에서는 GIS 엔진을 통해 배경지도 서비스, 도면 레이어 표출, 위치기반 검색 등에 활용하

고 있다. 이 때, 기 설명한 CSS를 통해 지도 형상에 대한 스타일링을 통해 이미지 렌더링 설정을

완료하고 실제 지도 뷰어에서 요청 시 WMS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하여 지도에 표출하게 된다.

Page 10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6 -

그림 3-3-14 설계 도면을 GIS에 적용한 화면

다.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은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용할 원시데이터에 대해 ETL(Extract

Transform Load)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ETL프로그램으로는 Dell사의 Boomi, Microsoft 사의

SQL 서버 인티그레이션 서비스, SAP의 비즈니스 오브젝트 데이터 서비스 등이 있다.

모든 계측데이터가 DB화 되어있고 정규화 되어있다면 일반적인 ETL 프로그램으로 수집이 가능

하겠지만 본 과제에서 수집하는 계측데이터는 모두 형태가 달라 전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용

하여야 했다. 따라서 다른 규격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노반과 차상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동기화와 파일기반 구문 해석 모듈이 포함되어있다.

수집 프로그램은 원시데이터에 종속적이고 빠른 처리가 요구되고, Windows Server 2012에서 구

동이 가능하며 응용프로그램으로 개발을 목표로 하여 WinForm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였다.

표 3-3-18 수집프로그램 개발 환경

구 분 내 용 비 고

운용 OS Windows Server 2012 수집서버에 기 설치

개발 IDE Visual Studio 2017 프로그램 개발

개발 언어 C# 7.0 (.NET 4.7) -

UI 프레임워크 WinForm -

라이브러리 종속관리 NuGet -

소스 버전관리 Git (Gitlab) -

사용 라이브러리

ADODBCsvHelperDotSpatialGeoAPIMongoDB

NetTopologySuuiteNewtonsoft.JsonPowerCollectionsTDMSReaderuhttpSharp

노반계측서버접속궤도검측데이터 읽기공간정보 핸들링공간정보 핸들링MongoDB 사용공간정보 핸들링JSON 파일 파서

배열차상데이터 읽기시스템 서버 연계

(1) KP와 위치정보 매핑 알고리즘

수집프로그램에서는 계측데이터에 대한 적재 시에 KP와 좌표를 병행적재가 필수기 때문에 KP와

위치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알고리즘의 구현이 필수이다. 이를 위해 GIS 개발 환경 구축 시 도면을

통해 추출한 좌표변환 매핑테이블을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먼저 KP를 위치정보로 변

Page 10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7 -

환할 때에는 단위 선형의 시점과 종점을 통해 KP가 포함된 단위 선형을 찾는다. 이렇게 선택된

단위 선형에서 시점과 종점 사이의 KP값의 거리기준 위치를 찾고 그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추출한다. 반대로 위치정보로 KP값을 변환할 때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점과 선의 최단 거리가 가

장 가까운 단위 선형을 찾는다. 이후 단위 선형과 점의 최단 교차점을 추출한 후 거리 기준으로

상대 KP값을 추출하면 가장 인접한 KP 값이 추출된다.

그림 3-3-15 점과 선의 매핑

특히, 위치정보를 KP로 변환할 때에는 GPS 등에서 추출된 위치정보가 정확하게 선로선형에 매핑

되지 않기 때문에 가장 인접한 선형으로 매칭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개발된 알고리즘은 C#

으로 먼저 개발되어 수집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서버 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해 Java로 포팅하

여 재구현하였다. 모두 같은 데이터와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하였다.

그림 3-3-16 임의점에서 KP값 추출 과정

(2) 노반 계측데이터

노반계측데이터는 지구환경전문가그룹에서 센서 데이터를 필터처리, 적산처리 등의 분석을 거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후 파일로 저장된다.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 하고 파일로 저장된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집 프

로그램에서 하고 있다. 먼저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계측데이터의 경우 MS-SQL 서버에 저장되고

여기에 저장된 데이터와 통합DB와의 최근 적재 시점을 비교하여 동기화 되지 않은 데이터를 추출

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집계, 정재, 정규화 과정을 거쳐 통합DB에 적재한다. 이는 프로그램이 종료

될 때까지 반복하여 동기화한다. 이때, 이벤트 데이터의 경우에는 계측데이터의 양이 많기 때문에

통합DB의 적재 성능이 높아야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DB에

Write를 할 때, 한꺼번에 모아서 적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MongoDB에서는 이를 지원하는

BulkWrite 기능을 지원하며, 가장 효율이 좋은 200건씩 모아서 Write를 한다.

Page 10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8 -

그림 3-3-17 노반계측 수집 화면

그림 3-3-18 BulkWrite의 Batch Size별 처리시간

또한 MongoDB에 이벤트 계측데이터가 저장되는 Collection에 모든 단위 계측 결과를 Document

로 저장하면 그 양이 방대하여 오는 성능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시간에 동일 위치의 데

이터는 한 Document에 모아서 적재하도록 하였다. 이는 단위시간에 동시에 계측된 데이터가 30개

라면 30개의 값이 모두 하나의 Document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순히 데이터를 Insert

하는 것이 아니라 Update 하는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하였고, Update할 때의 유일키는 시각값이

된다. 이를 통해 전체 Document의 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으로부터 조회 시에 성능 향상할 기대

할 수 있고, 계측데이터의 실제 물리 저장 공간에 대한 개선이 있다.

그림 3-3-19 Document의 최적화

Page 10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89 -

추가로 파일형태로 저장된 오래된 계측데이터의 경우 저장된 파일들을 계측서버로부터 일괄 다

운로드 한 후 구문해석을 통해 통합DB에 적재하도록 하였다. 원시데이터의 적재과정과 함께 트

리거에 의한 이벤트 계측 데이터는 시작시점과 끝시점의 검출을 통해 구간을 명시화 하고 각 구

간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Peek To Peek, RMS를 저장해두어 향후 상태분석에 용이하

도록 하였다.

(3) 차상 계측데이터

차상계측데이터는 차상가속도 계측데이터와 궤도검측데이터를 구문해석을 통해 정규화하여 통

합 DB에 적재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차상가속도의 경우 TDMS(Technical data management

streaming)으로 저장되어 있어 이를 읽는 모듈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차체가속도의 X,Y,Z 축과 윤축가속도 Y,Z축과 대차가속도 Y,Z축을 추출하고 계측시각, 속도, KP

값을 같이 추출한다. 각 단위 파일은 하나의 이벤트로 분류하여 향후 시스템에서 별도 조회가 가

능하도록 분리 저장한다. 또한 원할한 데이터 조회를 위해 100m 간격으로 평균, 표준편차 값 등을

구하여 별도 통계 값으로 저장한다.

궤도검측데이터는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공받은 테스트베드 구간에 대한 Roger-1000k의 검측결

과값에서 TQI 값과 이와 관계가 있는 틀림값을 추출하여 통합 DB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에서

제공하지 않는 시각정보는 동일 시간에 같이 계측한 GPS 계측데이터와 위치동기화를 통해 시각정

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구현하였다.

각 차상 계측데이터는 위치/시각동기화를 통해 계측값과 함께 시각정보, 위치정보(KP, 좌표)를 포

함하므로 노반계측과의 연계와 차상계측간의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가) GPS 계측데이터와 차상계측데이터 동기화

GPS 계측데이터는 NMEA규격으로 저장되어 있어 이에 대한 구문 해석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NMEA(NMEA 0183)은 시간, 위치, 방위 등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으로 미국의 The

National Marine Electronic Association에서 정의한 규격이다. 이 데이터는 자이로컴퍼스, GPS, 나

침반, 관성항법장치(INS)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는 GPS 계측기로부터 시리얼통신을 통해 ASCII방식

으로 전송받으며, GPS Logger를 통해 수신 받아 저장하고 있다.

그림 3-3-20 KTX36호 상행선 계측시 NMEA 계측값 일부

이중 시각값은 표준시를 의미하고, 좌표값은 WGS84 경위도 값이 있어 추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시각, 경도, 위도, KP의 배열로 추출 할 수 있다. 이때, KP는 변환 알고리즘을 통

해 구한다. 차상데이터 계측데이터는 상대시각, 속도, 자체가속도, 대차가속도, 윤축가속도 값을 저

장한다. 이때 상대시각 값은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지난시각을 0.001초 단위로 기록한 값으로 계측

시작시 시작시간을 표준시로 저장한 값과 대입하여 절대시각으로 환산한다. 이때, 계측데이터에

Page 11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0 -

없는 KP값을 구하기 위해 시각동기화를 수행한다. 시각 동기화는 GPS 계측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시각, 좌표, KP과 계측데이터의 시각을 매핑하여 최종적으로 계측데이터에 KP값을 부여하는 것이

다. 이때, GPS 계측데이터의 시각의 간격은 GPS의 장비 사양에 따라 다르며, 본 과제에서는 10hz

장비를 사용하여 시각이 0.1초 간격으로 저장되어있다. 1000hz의 간격으로 저장된 차상계측데이

터는 GPS계측의 단위시간 사이에 값이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 좌표와 KP값은 선형보간법에 의해

보간하게 된다.

(나) GPS 계측데이터와 궤도검측계측데이터 동기화

궤도검측데이터의 경우 거리기준으로 기록하는 데이터로 KP값은 있지만 시각정보를 기록하지 않

는다. 이는 위의 차상계측데이터 동기화와 반대로 위치동기화 처리를 하였다. 위치동기화는 GPS

계측데이터로부터 얻은 시각, 좌표, KP값을 기준으로 KP값(위치값)을 매핑하므로 궤도검측데이터

의 계측시간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고속으로 운행하는 KTX36호에 비해 검측차의 운행 속

도가 느리고(약 130km/h) GPS 센서 오차 및 처리 지연시간에 따른 시각의 오차가 작아 오차범위

가 10m 내외이다.

(4) 시스템 연계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은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축하였다. 관리주

체가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서버 접근에 대한 보

안 강화와 편의성 측면에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먼저, 통합모니터

링 시스템의 관리자메뉴에서 업로드 하고자 하는 계측데이터를 업로드 하면 특정 폴더에 데이터

를 저장하도록 하고, 수집 프로그램에 OpenAPI를 통해 저장된 경로와 메타데이터를 전달하면 수

집프로그램이 원격 작동하여 구문해석 및 적재를 수행한다.

라. 서버 시스템 개발

(1)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기반 시스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란 공공사업에 적용되는 프레임워크 표준으로 각종 기능과 아키텍쳐를 제

공하며 재사용성과 품질향상, 표준화를 위해 개발되었다. 오픈소스 자바 프레임워크인 스프링 프

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외에 UI/UX를 위한 기능과 각종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개

발환경, 실행환경, 관리환경, 운형환경 등이 제공된다. 현재 최신버전은 3.6.0이며 본 시스템에서도

최신버전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다음 표 3-3-19에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가 정리되

어있다.

Page 11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1 -

표 3-3-19 전자정보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구분 기능 및 역할

실행환경전자정부 사업에서 개발하는 업무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공통모듈 등 업무 프로그램 개발 시 화면,서버 프로그램 ,데이터 개발 ,배치처리기능 개발을 표준화가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환경

개발환경

전자정부 업무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환경 제공데이터개발도구, 테스트자동화도구, 코드검사도구, 템플릿 프로젝트 생성도구, 공통컴포넌트 조립도구, 맞춤형 개발환경 구성도구, 서버환경관리도구, 모바일용 표준 소스코드 생성도구, 모바일용 템플릿 프로젝트 생성도구, 모바일용 공통컴포넌트 조립도구, 모바일용 맞춤형 개발환경 구성도구, 서버용 개발환경(Windows, Unix 계열)설치, 배치템플릿프로젝트 생성도구, 배치작업파일 생성도구, 배치실행파일 생성도구 등

운영환경실행환경에서 운영되는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환경제공(모니터링, 배포, 관리시스템 등) 배치환경을 운영하기 위한 환경제공(배치실행, 스케줄링, 결과모니터링 등)

관리환경 개발프레임워크 및 공통서비스를 각 개발 프로젝트에 배포 및 관리하기 위한 모듈

공통컴포넌트전자정부 공통컴포넌트는 전자정부 사업에서 응용SW 개발 시 공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집합

모바일 디바이스 API

CoreAPI : 모바일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자원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과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API 제공가이드 어플리케이션(앱) : 디바이스 API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디바이스 API의 활용 예제

모바일 디바이스 API 실행환경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웹 리소스 기반으로 구현 및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 디바이스API,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 등

모바일 디바이스 API 개발환경Android 기반환경에서의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Eclipse 플러그인과 iOS 환경에서의 개발을 위한 Xcode내의 프레임워크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가) 시스템 구성

서버 시스템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JSP(Java Servlet Page) View, Controller Class,

Service Class, DAO(Data Access Object) Class와 XML Bean 설정파일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표

3-3-20는 구성요소들을 정리한 표이다.

표 3-3-20 시스템 구성 요소별 기능 및 역할

구성 요소 기능 및 역할

Controller Class

컨트롤러 클래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동작하는 클래스로 HTTP 요청을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비스 클래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클래스 별로 API를 위한 클래스와 JSP View를 제공하는 View를 위한 컨트롤러로 나뉘어 있다.

Service Class컨트롤러 혹은 기타 클래스로부터 요청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클래스다. 자바의 인터페이스 형태 기능을 명시한 후 구현클래스를 통해 실제 코드가 구현된다. 구현된 클래스에서는 DAO 클래스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전달한다.

DAO ClassDB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자바의 객체(Object)형태로 제공하는 클래스다. 본 시스템에서는 MongoDB로부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가져와 가공한 뒤 제공된다.

JSP ViewJSP View에서는 화면을 정의하는 HTML과 Javascript, CSS등을 작성하고, 컨트롤러가 처리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출한다.

XML BeanXML로 되어있는 Spring Bean의 설정파일이다. 각종 스프링의 클래스 설정과 DB접속, 페이지 접근관리등을 설정할 수 있다.

위의 표와같이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구성된 서버시스템은 MVC(Model View Controller)라고 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함으로

서 상호간 개발 코드의 영향을 줄이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관리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MVC의 실제 구성은 개발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클라이언트가 특정

페이지(View)혹은 데이터를 요청하면 컨트롤러가 요청을 받아 서비스 클래스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Page 11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2 -

서비스 클래스는 DB와 직접 연결된 DAO클래스를 통해 DB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자바 객체로 변

환하여 전달한뒤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View에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컨트롤러에서 설정이 가능하며 일반 웹페이지(HTML) 혹은 제공 가능한

데이터 포맷에 따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된다.

그림 3-3-21 서버시스템의 요청 프로세스

위 그림처럼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유는 View가 수정되거나 혹은 DAO가 수정되더라도 상

호간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여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보다 체계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 표 3-3-21에서는 실제 서버에 적용된 클래스들의 기능을 정리하였다.

표 3-3-21 클래스별 기능 및 역할

클래스명 기능 및 역할

MainController 페이지 뷰(HTML)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클래스

DataController OpenAPI를 통해 데이터(JSON)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클래스

ExportController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클래스

DataService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

DataServiceImpl 데이터 서비스 구현 서비스 클래스

DataDAO DB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자바 오브젝트화 하는 클래스

컨트롤러의 구성은 3가지로 HTML페이지를 관리하는 MainController클래스와 Open API기능을

제공하는 DataController 클래스, 코드기반 데이터 분석 화면에서 제공하는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담당하는 ExportController클래스로 나뉜다. MainController는 특정 페이지(메인 페이지 등)의 요청

이 URL을 통해 들어오면 JS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요청시에

파라미터가 있을 경우 파라미터를 DataService에 전달하고 DataService는 다시 DataDAO로 전달한

다. DAO클래스에서는 전달된 파라미터를 DB쿼리에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고 이때 데

이터를 정렬하거나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데이터는 자바 객체화 하여 다시 컨

트롤러에 전달하고 컨트롤러에서는 객체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웹 페이지를 작성한다.

DataController에서는 위에 과정중에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대신 JSON포맷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ExportController는 웹브라우저에서 바로 CSV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Page 11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3 -

(2) OpenAPI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해당서비스에서 누구에게나 제공되는 API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API를 이용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웹 브라우저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환경(서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에서 API

를 활용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도 OpenAPI가 적용되어 있으며 DB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가져올

때는 모두 이 API를 사용한다. OpenAPI의 구현은 DataController에 구현 되어있으며 제공되는 데

이터 포맷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 사

용하는 객체이다. 다음 그림 3-3-22는 간단한 API요청과정을 나타낸다.

그림 3-3-22 API요청시 데이터 전달 과정

OpenAPI는 HTTP통신이 가능한 모든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에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므로 본 시

스템에 구현된 UI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다음 표는 시스템에서 제

공하는 API 목록이다.

표 3-3-22 API별 기능 목록

No. API URL 기능

1 /cmm/selectRoadBedInfoList.do 노반 계측기 정보 조회

2 /cmm/selectRoadStaticData.do 노반 Static 데이터 조회

3 /cmm/selectRoadEventList.do 노반 이벤트 목록 조회

4 /cmm/selectRoadEventData.do 노반 이벤트 데이터 조회

5 /cmm/selectOnboardList.do 차상 측정 목록 조회

6 /cmm/selectOnboardStatsData.do 차상 통계 데이터 조회

7 /cmm/selectOnboardStatsCyzData.do 차상 cy, cz 데이터 조회

8 /cmm/selectOnboardStatsTQIData.do 차상 TQI 데이터 조회

9 /cmm/selectOnboardData.do 차상 상세 측정데이터 조회

10 /cmm/selectSettleInfoList.do 측량 계측기 정보 조회

11 /cmm/selectSettleData.do 측량 상세 데이터 조회

12 /cmm/selectOnboardRoadbedData.do 노반, 차상 동기화 데이터 조회

13 /cmm/selectCalendarData.do 차량 운행이력 조회

OpenAPI의 API들은 서버 시스템의 DataController클래스를 통해 정의된다. API요청시에는 요청

URL과 파라미터가 필요하며 HTTP 요청을 통해 서버 시스템에서 요청 내용을 처리하여 반환 한

다. UI 시스템에서는 위 API로 데이터를 요청해 받아온 데이터를 통해 그래프를 표출한다. 다음

표 3-3-23는 API별 상세 파라미터 정보이다. 각 API별로 필수인 파라미터와 옵션으로 존재하는

파라미터가 있으며 일부 파라미터는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을 사용하여 DB로부터 데이터를

Page 11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4 -

쿼리한다. 시간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전부 년, 월,일, 시, 분, 초, 밀리초까지 검색이 가능하며 상

세 데이터 조회시 데이터 컬럼이 많아 데이량이 커지는 데이터들의 경우는 columns라는 파라미터

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만을 조회할 수 있다.

표 3-3-23 API 기능별 파라미터 상세목록

No. 파라미터 명 파라미터 타입필수 여부

역할

1

sensorType String N노반 계측종류 입력(예 : 가속도계)

isDynamicOnly Boolean NEvent 데이터 조회 여부.Event 데이터 만 조회 할 경우 true,기본값 false

2sensorId String Y 노반 계측기 IDs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시작시간e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끝시간

3sensorId String Y 노반 계측기 IDcount Integer N 이벤트 조회 건수

4sensorId String Y 노반 계측기 IDsts Date(YYYYMMDDHHmmssSSS) Y 시작시간ets Date(YYYYMMDDHHmmssSSS) Y 끝시간

5type String N 차상 종류(KTX36, HEMU, 궤도검측)eventid Integer N 차상 계측 IDts Date(YYYYMMDDHHmmssSSS) N 계측일

6

eventid Integer Y 차상 계측 IDoffset Double N 시간 동기화 설정 값s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시작시간e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끝시간

columns String N데이터 필드명 입력,(콤마)로 구분하여 다중입력 가능

7

eventid Integer Y 차상 계측 IDoffset Double N 시간 동기화 설정 값s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시작시간e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끝시간

8

eventid Integer Y 차상 계측 ID

offset Double N 시간 동기화 설정 값

s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시작시간

ets Date(YYYYMMDDHHmmssSSS) N 기간 검색시 끝시간

isAll Boolean N전체 구간 조회여부전구간 조회시 true, 테스트 베드 구간 조회시 false, 기본값 false

9

eventid Integer Y 차상 계측 ID

kp Double Y 입력한 KP의 200m 전후 검색

colunms String N데이터 필드명 입력,(콤마)로 구분하여 다중입력 가능

10 type String N측량 노반구분(지반, 원지반, TCL1, TCL2)

11 fieldId Integer N 측량 계측기 ID

12

eventid Integer Y 차상 계측 ID

columns String N ,(콤마)로 구분하여 다중입력 가능

offset Double N 시간 동기화 설정 값

realKp Double Y 입력한 KP의 200m 전후 검색

13sts Date(YYYYMMDDHHmmssSSS) Y 시작시간

ets Date(YYYYMMDDHHmmssSSS) Y 끝시간

Page 11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5 -

마. UI 시스템 화면구성 시나리오

(1) 메뉴구성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UI System은 기존의 Top-Down 방식이 아닌

화면 왼쪽에서 선택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눠 해당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식의 형태로

변경하였다. 변경된 메뉴 구조는 표 3-3-24와 같다.

표 3-3-24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통합DB 모니터링 시스템 메뉴 구성표

기존의 메뉴리스트를 모두 새롭게 변경하였으며, 메인화면을 제외하고 각 업무파트별로 크게 4

가의 파트로 나눠 구분하였다. 메인화면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의 GIS 기반의 위치

정도, 구조물 현황 및 선로일람약도, 보조프로그램(누적통과톤수 모니터링 시스템, 1차년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링크를 제공하고 통합 모니터링 정보에서는 계측기 및 계측위치별 지상, 차상,

지상/차상의 데이터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검색에서는 통합 모니터링 정보에서 확인

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취득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며, 상태분석에서는 각 파트별로

수집된 데이터를 시간이력으로 분석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통합DB 현황에서

는 수집되고 있는 DB의 현황과 차량운행이력, 작업보수이력을 제공한다.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 로그인

2. 메인화면2.1 누적통과톤수 2.1.1 해당 프로그램 로그인2.2 1단계 Data System 2.2.1 해당 프로그램 로그인

3. 통합모니터링 정보

3.1 지상 모니터링3.1.1 노반3.1.2 측량(침하)

3.2 차상 모니터링3.2.1 운행차량3.2.2 고속검측차(Roger-1000K)3.2.3 위치동기화 검증

3.3 지상/차상 모니터링3.3.1 차상모니터링3.3.2 지상모니터링

4.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

4.1 노반4.1.1 표준성토노반4.1.2 연약지반노반4.1.3 접속부노반

4.2 차상4.2.1 KTX364.2.2 HEMU4.2.3 Roger-1000K

4.3 측량

4.3.1 지표침하4.3.2 원지반침하4.3.3 도상침하(T1)4.3.4 도상침하(T2)

4.4 환경소음4.4.1 방음벽 상단4.4.2 흡음블럭

5. 상태분석

5.1 노반5.1.1 표준성토노반5.1.2 연약지반노반5.1.3 표준성토노반

5.2 측량

5.2.1 지표침하5.2.2 원지반침하5.2.3 도상침하(T1)5.2.4 도상침하(T2)

5.3 궤도

5.3.1 고저틀림5.3.2 방향틀림5.3.3 궤간틀림5.3.4 수평틀림

6. 통합DB 현황6.1 계측데이터 현황

게시판 형태로 확인6.2 열차운행이력6.3 작업보수이력

Page 11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6 -

UI System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조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3-3-23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통합DB 모니터링 시스템 구조도

(2) 메인화면

메인화면 좌측에는 메뉴리스트가 있고, 화면 중앙에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의 지도와

구조물 현황, 선로일람약도를 표기하였다. 지도 상에는 계측지점 위치(K.P)와 주변의 위치정보를

GIS기반으로 위성지도, 일반지도, 회색지도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3-3-24 UI System 메인화면 구성

메인화면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UI System 메뉴트리

② 누적연간통과톤수 모니터링 시스템 Link

③ 1단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Link

④ 로그아웃

⑤ GIS기반의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위치지도

⑥ 지도 변환 기능 (위성지도, 일반지도, 회색지도)

Page 11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7 -

⑦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전체 구조물 현황

⑧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선로일람약도

지도 상단에는 누적통과톤수 모니터링 시스템과 1단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동하여 선택

시 해당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성을 확보하였다.

그림 3-3-25 누적통과톤수 및 1단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메인화면

구조물 현황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의 선형경합개소, 침하량 초과개소, 토공쌓기,

토공깍기, 연약지반, 방음시설, 교량, 터널구간을 표기하여 테스트베드 구간 전체에 대한 사용자

가시성을 확보하였다. 선로일람약도를 오른쪽 하단에 추가하여 테스트베드 구간의 전체 구조물 위

치, 선형 등 모든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통합 모니터링 정보

(가) 지상 모니터링

지상 모니터링 메뉴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의 고정 계측지점인 표준성토노반(109K231),

연약지반노반(110K000), 접속부노반(120K650) 구간에 설치된 계측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가시화하는 메뉴이다. 또한, 고정계측지점 외에 측량(침하) 데이터 정보를 추

가하여 노반 인수인계 시점부터 현재까지 지표침하, 원지반 침하, 도상침하(T1,T2)의 경향을 알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다. 계측위치에서 고정계측지점 3개소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그 지점에 매설되어 있는 계측기 종류가 분리되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계측기

종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계측기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그래프가 표출되고, 계측기 측정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며, 해당 계측시간에 운행한 열차종류도 동시에 표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상

모니터링 노반분야의 구성화면 및 데이터 그래프 예시는 다음 그림과 같다.

Page 1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8 -

그림 3-3-26 통합모니터링 정보 – 지상모니터링 노반(표준성토노반) 화면구성 및 예시

통합모니터링 정보의 지상모니터링 노반분야 화명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계측위치, 계측종류, 계측목록, 측정일 및 측정시간 선택

② 계측기 설치도

③ 해당 구간 계측데이터 그래프 및 통과 시 열차종류 표시

지상모니터링 메뉴의 측량분야에서는 노반 인수인계 시점부터 최근 계측시점까지 노반의 침하

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메뉴이다.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침하의 종류는 지표침하, 원지반침하,

도상침하(T1, T2)가 있으며 4가지 종류의 침하계측에 대해 화면을 분할하여 한눈에 가시화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그래프 아래에는 메인화면에 있는 구조물 현황을 삽입하여 침하초

과개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화면 오른쪽 오래 도면보기에서는 침하계측기 도면(평면도, 종

단면도, 횡단면도)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해당 계측기의 위치를 가시화 하였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그래프 상에서 선택하면 해당 구간의 침하량에 대한 시간이력 그래프를 표출하도록 구성

하였다.

Page 11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99 -

그림 3-3-27 통합모니터링 정보 – 지상모니터링 측량 화면구성

통합모니터링 정보의 지상모니터링 측량분야 화명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측량데이터 그래프 가시화

② 해당위치 시간이력 그래프 표시 (그래프 상 구간 선택 시)

③ 구조물 현황 표기

④ 측량(침하) 계측기 설치도면 표시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나) 차상모니터링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을 지나가는 운행차량인 KTX, HEMU 차량을 선정하여 차량의 진

동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분야이다. 이 메뉴에서는 선정된 운행차량인 KTX36호,

HEMU, 고속검측차인 Roger-1000K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차량 KTX36호, HEMU 차량을 선택하면 수집된 데이터가 날짜별로 자동 추출되어 열차속도

기반의 차량의 차체, 윤축, 대차의 진동가속도가 표출되며, 표출된 그래프에는 차량의 승차감에 대

한 기준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수집된 그래프의 차량 운행시각도 표기되어 있다.

Page 12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0 -

그림 3-3-28 통합모니터링 정보-차상모니터링 운행차량 화면구성

통합 모니터링 정보의 차상모니터링 운행차량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열차종류, 측정목록, KP선택, 가속도 계측종류(대차, 차체, 윤축) 선택 영역

②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KP별 통과 속도 표시 영역

③ 승차감 기준 표시 및 구간별 승차감 지수 표시 영역

④ 선택된 위치 가속도값 그래프

고속검측차 분야를 선택하면 Roger-1000K에서 수집되는 궤도틀림 외에 궤도품질지수(T.Q.I)도

표출된다. 궤도 검측목록에서 고속검측차가 운행하여 검측된 날짜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날짜의

궤도틀림 및 궤도품질지수의 그래프가 표기된다.

Page 12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1 -

그림 3-3-29 통합 모니터링 정보-차상모니터링 고속검측차 화면구성

통합 모니터링 정보의 차상모니터링 고속검측차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궤도검측목록, 검측종류, 선택KP 선택

② 검측일자의 고저, 수평, 방향, 궤간의 T.Q.I 그래프 표시

③ 선택된 검측종류별 궤도틀림 데이터 그래프 표시

고속검측차량(Roger-1000K)에서 검측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궤도품질지수(T.Q.I)와 궤도

틀림 데이터 그래프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검측종류로는 고저틀림, 수평틀림, 방향틀림, 궤간틀림

4가지의 틀림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궤도품질지수(T.Q.I) 그래프 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선택하면 해당 구간의 궤도틀림 데이터 그래프가 표출된다.

(다) 지상/차상 모니터링

지상/차상 모니터링 분야에서는 차상에서 계측된 진동 가속도와 고정지점인 노반에서의 위치를

GPS로 동기화하여 차량의 거동에 대한 노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차상모니터링

과 지상모니터링을 서로 연계하여 차량의 동적거동특성과 노반에서의 궤도틀림, 침하의 데이터 상

관관계 분석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지상/차상 모니터링 메뉴에서는 차상 데이터 분야의 메뉴

를 먼저 선택하고 차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상 데이터의 위치와 날짜, 계측기 종류, 측량데이터

등 자동으로 분리되어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동시에 가시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12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2 -

그림 3-3-30 통합 모니터링 정보-지상/차상모니터링 화면구성

통합 모니터링 정보의 지상/차상모니터링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열차종류, 측정구간, KP선택, 시험종류, 궤도검측목록 선택

②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KP별 통과 속도

③ 차상데이터와 연계된 궤도검측(틀림데이터) 표시

④ 차상데이터와 연계된 노반분야의 침하측량 모니터링

(4)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 메뉴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에서 계측되어 수집되는 모든 데이

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형태로 추출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통합모니터링 정보에서 가시화 되

었던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인가받은 사용자에 한해서 수집된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합DB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자 할 때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통합DB에 저장시 데이터 코드명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통합DB의 코드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특성

과 위치정보, 계측기정보, 역할정도 등을 지정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를 구성하

였다. 여기서 의미하는 데이터 코드화랑 데이터의 분류 및 조합이 쉽고 용이하게 수행하고 취득하

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사용기호이며, 일정한 규직에 따라 정의된다. 이러한 코드의 오류를 방

지하기 위한 몇 가지 지침이 있다.

① 코드체계를 기억하고 입력하기 쉽게 설계

② 코드 책자를 명확하고 자세하게 작성하여 활용

③ 코드입력 담당자를 충분히 교육시키고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함

④ 입력할 코드수가 많으면 전문적으로 코딩하는 사람을 활용

일반적인 코드설계의 순서와 정보의 흐름은 다음 그림과 같다.

Page 12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3 -

그림 3-3-31 코드 설계 순서와 정보의 흐름도

데이터 코드화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①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편의성 제공

② 차량의 연속데이터를 중심으로 지상과 측정위치 및 선로정보를 손쉽게 구별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체계

③ 지상부 측정 모니터링은 지속적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 요구시 데이터추출 가능

위 코드설계 순서에 따라 통합DB에서 활용하는 대상 항목들을 결정하여 영문화를 약어로 표현

하는 연상코드방법과 약자식 코드를 병행하여 쓰는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지상분야 고

정계측위치에서의 노반은 노반의 영문명인 “Road Bed”의 약자를 따서 “RB”라고 표현했다. 아

래 표는 지상분야, 차상분야, 모니터링분야 3가지로 나누어 코드 정의서를 작성한 표이다.

표 3-3-25 통합DB 코드 정의서

대분류 중분류  중⦁소분류 소분류 코드명 비고

1. 지상        

 

1.1 계측위치 (노반)

    RB Road Bed

 

1.1.1 표준성토   RB-S Standard

1.1.2 연약지반   RB-P Poor

1.1.3 접속부   RB-C Connect

1.1.4 측량(침하)   LS Settlement(Sinking)

 

1.1.4.1 지표침하 LS-G Ground Surface

1.1.4.2 원지반침하 LS-N Natural Ground

1.1.4.3 도상침하 (T1) LS-T1 T1

1.1.4.4 도상침하 (T2) LS-T2 T2

1.2 구조물     SCStructureConstruction

 

1.2.1 토공   EW Earthwork

1.2.2 교량   BR Bridge

1.2.3 터널   TN Tunnel

Page 12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4 -

노반, 차상, 측량, 환경소음의 4가지의 형태에서 사용자가 클릭하여 다운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

으로 노반은 계측지점, 차상은 운행차량, 측량은 침하의 종류, 환경소음은 방음벽 상단장치와 흡음

블럭 2가지로 나눠서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 시 자동으로 해당되는 파일이 생성되어 오른쪽 하

단 데이터 다운로드 박스를 선택하면 다운로드 가능하다. 데이터 검색 분야에서는 데이터값이 있

는 문서형태로만 추출 할 수 있고 선택된 데이터를 그래프형태로 UI System 상에 표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2.4 궤도   TK Track

1.3 계측기     SS Sensor

 

1.3.1 표준성토   RB-S  

 

1.3.1.1 토압계 EPR

계측기 약어 사용

1.3.1.2 가속도계 ACC

1.3.1.3 변형률계 (윤중) BSG-WL

1.3.1.3 변형률계 (횡압) BSG-LF

1.3.1.4 변위계 DIS

1.3.1.5 층별침하계 SSK

1.3.1.6 강수량계 RAM

1.3.1.7 함수량계 WTC

1.3.1.8 온도계 SYT

1.3.2 연약지반 RB-P  

 

1.3.2.1 토압계 EPR

계측기 약어 사용

1.3.2.2 가속도계 ACC

1.3.2.3 변위계 DIS

1.3.2.4 층별침하계 SSK

1.3.2.5 간극수압계 WPR

1.3.2.6 지하수위계 WLM

1.3.2.7 지중경사계 IPI

1.3.3 접속부   RB-C  

1.3.3.1 토압계 EPR

계측기 약어 사용

1.3.3.2 가속도계 ACC

1.3.3.3 변형률계 (윤중) BSG-WL

1.3.3.3 변형률계 (횡압) BSG-LF

1.3.3.4 부등침하계 DIS

1.3.1.5 층별침하계 SSK

1.3.1.6 강수량계 RAM

1.3.1.7 함수량계 WTC

1.3.3.8 궤도침하계 TRS

Page 12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5 -

(가) 노반

그림 3-3-32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노반 화면구성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의 노반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노반종류, 장기/이벤트 측정, 계측항목, 계측날짜 및 시간 선택 영영

② 연관데이터 검색 및 데이터 다운로드 영역

③ GIS기반의 위치정보 및 해당 계측항목 데이터 취득 현황

(나) 차상 및 측량

그림 3-3-33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차상 및 측량 화면구성

Page 12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6 -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의 차상 및 측량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차상데이터 검색 영역 (차량, 검측종류, 검측위치, 날짜 및 시간)

② 측량데이터 검색 영역 (침하종류, 검측위치, 날짜 및 시간)

③ 각 분야별 연관데이터 검색 및 다운로드 영역

(다) 환경소음

그림 3-3-34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 환경소음 화면구성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의 환경소음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환경소음분야 (방음벽 상단장치, 흡음블럭) 선택

② GIS기반의 방음벽 상단장치, 흡음블럭 설치 위치지도

③ 측정 및 분석보고서 개요

④ 방음벽 상단장치, 흡음블럭 소음 측정 및 분석시트(보고서) 표시

⑤ 분석시트(보고서) 다운로드

(5) 상태분석

상태분석 메뉴에서는 노반⦁궤도의 장기측정 DB를 확보하기 위한 성능평가를 위해 대푯값을 선

정하고 표출하는 분야이다. 계측기별로 로우데이터, 측정데이터, 분석항목을 도출하여 대푯값으로

선정할 수 있는 항목을 도출하였고 해당 계측위치에서 구간별 시간이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였다. 상태분석의 노반분야의 대푯값 선정을 위한 단계별 분석표는 표 3-3-26과 같다.

Page 12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7 -

표 3-3-26 노반분야 대푯값 선정을 위한 단계별 분석자료

구분 로우 데이터 측정 데이터 1차 분석데이터 2차 분석자료 비고

이벤트데이터

윤중 센서 윤하중윤하중(LFP, Zero)

누적통과톤수윤중 변동률열차종류열차속도

횡압 센서 횡압횡압(LFP, Zero)

탈선계수

토압계 토압노반압력(LFP, Zero)

깊이별 노반압력 KR C-14040 콘크리트궤도

변위계 탄성변위탄성변위(LFP, Zero)

깊이별 탄성변위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가속도계 진동가속도진동가속도(LFP, Zero)

깊이별 진동가속도철도설계기준(2011) 8.6.3 참고치

장기데이터

지중경사계

경사량측방변위(변위 환산)

깊이별 측방변위

변위계 잔류침하량잔류침하량(누적변위량)

깊이별 잔류침하량

함수량계 함수비 함수비(무처리) 위치별 함수비간극수압계지하수위계

간극수압지하수위

간극수압(무처리)지하수위(무처리)

깊이별 간극수압지하수위

강우량계 강우량 강우량(적산) 강우량 고속철도 운전취급 세칙

EL-BEAM 변위/꺽임각부등침하량(변위환산)

접속부 단차(부등침하) KR C-08050 처짐

궤도 및 노반의 대푯값 산정에 대한 근거자료로 UIC 719R 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 열차

하중으로 인한 탄성변위는 일반적으로 0.1 ~ 0.2mm 사이로 예측하고 있어 별도로 설계 또는 관리

기준을 두지 않고 있다. 다만, RTRI에서는 열차의 처짐각을 고려하여 허용치를 2.5mm로 제시하고

있다. 궤도 및 노반의 대푯값 산정의 근거는 다음 표와 같다.

표 3-3-27 궤도 및 노반 대푯값 산정 근거

측정항목 센서종류 측정항목 대푯값 대푯값 선정근거 관리기준치 관련근거

궤도

윤하중 윤중계최댓값의 일평균

균열을 고려한 재료의 허용

응력≦200kN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횡하중 횡압계최댓값의 일평균

균열을 고려한 재료의 허용

응력≦68kN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탄성변위

변위계최댓값의 일평균

콘크리트의 허용 휨응력

≦1mm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성토체(강화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

토압계 노반압력최댓값의 일평균

에 따른

허용압력

≦133.0kPa(강화노반)≦88.7kPa(상부노반)≦66.5kPa(하부노반)

KR C-14040 Rev0 4.(1)

층별침하계,측량

층별침하량 일평균레일체결장치의 고저조절 최대

허용폭≦25mm 철도설계기준 (2011) 4.3.4

가속도계 진동가속도최댓값의 일평균

슬래브의 공진 들림 방지를 위한 최대 진동값

≦9.8m/s철도설계기준 (2011) 8.6.3 참고치

원지반간극수압계

- 일평균`지하수위 변동으로 인한

자연침하- -

Page 12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8 -

노반에 작용하는 최대허용압력은 최대값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허용

한계치는 레일 체결장치에 의한 고저변위 조정대를 고려한 기준이다. 철도설계기준에서는 교량의

연직가속도 최대 허용기준을 0.5g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교량 상판이 교각, 교대에서 들리

는 가능성에 대하여 안전율을 고려한 값이다. 토공노반은 교량과 경계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슬

래브의 틀림을 고려하여 1g(9.8m/s2)로 제시한다. 노반의 대푯값 산출방안은 아래 그림과 같다.

윤중센서

횡압센서

토압계

변위계

가속도계

지중경사계

함수량계

지하수위계간극수압계

강우량계

EL-BEAM

센서데이터(로우데이터)

측정데이터(1차분석데이터)

윤하중

횡압

탄성변위

①필터처리(LPF,BSP)

②제로셋팅

함수비

지하수위/간극수압

강우량(시간당)

측방변위

부등침하량

적산처리

분석데이터(2차분석데이터)

통과톤수

윤중변동율

충격계수

열차종류

열차속도

축중계산통과톤수계산처리

깊이별탄성변위

깊이별노반압력

깊이별진동가속도

노반압력

진동가속도

위치별센서조합

통과톤수(열차별)

대푯값

깊이별노반압력

충격계수(열차별)

누적통과톤수

깊이별탄성변위

깊이별노반진동

위치별함수비

위치별간극수압/지하수위

시간강우량

깊이별측방변위

접속부부등침하량

측량자료

잔류침하계산

침하량측량데이터

원지반침하량(중심선)

지표침하량(중심선)

TCL설계시공오차(상선,하선)

지표+TCL침하량((중심선)

위치별 TCL처짐량

위치별지표면침하량

그림 3-3-35 노반 계측기 및 분석 데이터별 대푯값 도출 방안

산정된 노반의 대푯값을 계측위치와 계측종류 기반으로 분석된 시계열 그래프 형태로 표출하여

관리기준 대비 최근 계측일까지의 계측데이터 경향에 대해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고정지점 3곳 (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접속부노반)을 기반으

로 계측종류를 최대 4개의 그래프를 동시에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깊이별로 다르게 매설된 계측기를 분류하여 계측기 매설 심도에 따라 취득되는 데이터값의

경향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 노반

상태분석 메뉴의 노반분야에서는 노반(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접속부노반), 측량(지표침하,

원지반침하, 도상침하T1,T2)로 나누어 각각의 대푯값을 선정하여 해당 계측위치에서 구간별 시간

이력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림 3-3-36 상태분석-노반 화면구성

Page 12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09 -

상태분석의 노반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계측위치와 계측종류 선택

② 사용자 필요시 그래프 추가 선택

③ 상태분석 노반분야 데이터 그래프 표출 (범례포함)

계측위치에는 고정지점 3곳(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접속부노반), 계측종류에는 계측기별로

분석된 시계열 그래프와 각각 다른 위치에 매설되어 있는 계측기의 심도별 그래프를 선택할 수

있다.

(나) 측량

측량분야에서는 노반 인수인계 시점부터 현재까지 침하량을 시계열로 분석하여 나타내는 것으

로 철도설계기준에 맞는 각각의 기준치를 삽입하여 사용자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

다. 호남 테스트베드에서 시행중인 측량은 지표침하, 원지반침하, 도상침하(T1, T2)이며, UI

System 상에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사용자 가시성을 확보하였고 사용자가 원하는 침하량의 기준

값을 텍스트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표출된 그래프에서 원하는 지점 선택 시 해당 구

간에 대한 시간이력의 그래프를 팝업형태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3-3-37 상태분석 – 측량 화면구성

상태분석의 측량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지표 침하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② 원지반 침하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③ 도상침하(T1)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④ 도상침하(T2)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⑤ 침하량 그래프 상 원하는 지점 선택시 표출되는 시간이력 그래프 영역

초기화면에서는 현장에서 계측되어 수집된 침하항목 4가지의 그래프가 동시에 표출되며 사용자

가 원하는 침하량을 텍스트로 기입하면 기입한 침하량보다 큰 값의 침하량이 강조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그래프 상에서 선택하게 되면 해당 위치의 시간이력 그래프가

Page 13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0 -

팝업형태로 가시화되어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완공 시 매설했던 시기부터 가장 최근 계측일까

지의 침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다) 궤도

궤도분야에서는 궤도에서 검측되는 4개소(고저틀림, 방향틀림, 수평틀림, 궤간틀림)의 궤도품질

지수(T.Q..I)를 기반으로 도상침하(T1, T2), 가속도값(대차, 차체, 윤축), 해당 궤도품질지수(T.Q.I)의

궤도틀림값을 동시에 표출하여 같은 구간에서의 데이터 값에 대한 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다. 관련 기준이 있는 데이터에는 기준선을 삽입하여 기준값 초과에 대한 여부도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값도 텍스트 형태로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출된 그래

프 상에서 원하는 구간 선택 시 그 구간에 대한 시간이력의 그래프를 팝업형태로 구현하여 데이

터값이 증가 또는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 판단이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특히, 향후 주행안정

성 데이터와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해당 구간의 대차, 차체, 윤축 가속도를 표출하였다.

그림 3-3-38 상태분석 – 궤도 화면구성

상태분석의 궤도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검측종류(고저, 방향, 궤간, 수평틀림), 검측목록(궤도), 계측종류(가속도), 계측목록(가속도),

KP(해당 위치) 선택

② 차트정렬 선택

③ 검측종류 선택 시 해당 검측종류의 T.Q.I 그래프 표시

- 기준치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④ 구조물 선택(선형경합개소, 침하량초과개소, 토공쌓기, 토공깍기, 연약지반, 방음시설, 교량, 터

널)

– 선택 시 그래프 상에 표시됨

⑤ 도상침하(T1, T2) 선택

⑥ 계측종류 선택 시 그래프 표시 (가속도값)

⑦ 검측종류 선택 시 해당 검측종류의 궤도틀림 그래프 표시

- 기준치 사용자 텍스트 기입

⑧ 표출된 그래프 상 원하는 구간 선택 시 해당 구간 시간이력 그래프

Page 13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1 -

(6) 통합DB 현황

통합DB 현황 메뉴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에 설치된 모든 계측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수

량과 차량운행이력, 작업보수이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메뉴이다.

(가) 계측데이터 현황

계측데이터 현황에서는 계측기가 설치된 모든 분야의 데이터의 총계를 나타내며 각 분야별 마

다 계측되어 수집된 데이터의 개수가 하단에 표출되어 있다. 전체 현황판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3-3-39 통합DB 현황-계측데이터 분야 화면구성

현재까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계측되어 수집된 모든 데이터의 축적현황이 표출

되며 날짜 및 시간별로 상세현황을 가시화하도록 구성하였다. 통합DB 현황의 계측데이터 분야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수집되고 있는 계측데이터 현황 (분야별 총계)

② 차상에서 계측되고 있는 시간별 데이터 현황

(나) 차량운행 이력

통합DB 현황메뉴의 차량운행 이력 분야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을 운행한 모든 차

량의 날짜 및 시간별 이력을 가시화하였고 각각의 차량종류는 색상으로 구분하였다. 빨간색은

HEMU, 파란색은 KTX, 초록색은 KTX-산천, 검정색은 검측차량, 연두색은 기타로 나타내었다. 운

행일지 형태로 테스트베드 구간을 통과한 차량의 종류와 횟수를 알 수 있는 분야이다. 차량운행

이력에 대한 화면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운행이력 날짜 선택

② 색상별 차량종류 및 운행이력

- 빨간색 : HEMU

- 파란색 : KTX

- 초록색 : KTX-산천

- 검정색 : 검측차량

- 연두색 : 기타

Page 13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2 -

그림 3-3-40 통합DB현황-차량운행 이력 분야 화면구성

(다) 작업보수 이력

통합DB 현황의 작업보수 이력에서는 게시판 형태로 현재까지 작업보수를 진행한 이력을 사용자

가 확인할 수 있는 분야이며, 작업보수를 진행한 기관에서 직접 보고서 형태로 업로드하도록 구성

하였다. 이 분야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보수를 진행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으

며 작업보수 내역을 DB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 통합DB에 수집하고자 하는 작업보수 이력은 표

3-3-28과 같다.

표 3-3-28 통합DB 현황-작업보수이력 분야 작업보수 내역 구성

작업보수 내역

1. 장대레일 재설정 2. 레일체결장치 보수 3. 침목보수 4. 콘크리트도상 균열보수

5. 시공기면 정리 6. 비탈면 보수 7. 구조물 전후 보수 8. 낙석우려개소 보수

9. 수해우려개소 보수 10. 배수 11. 배수로 정비 12. 제조

13. 도보순회 14. 보안 15. 조사 16. 궤도검측 인력점검

17. 노반점검 18. 콘크리트침목 균열점검 19. 선로구조물 점검 20. 콘크리트도상 균열점검

21. 레일점검 22. 기타 선로점검 23. 기타 작업

바. UI 시스템 개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접근성이 용이하게 개발하기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계측

시스템 운용 시에 대부분 응용프로그램으로 개발을 하거나, ActiveX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Internet

Explorer에 올려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HTML5 표준으로 개발을 할 경우 운영체제와 브라우저

에 상관 없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모니터링 시스템에 접근시 추

Page 13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3 -

가로 설치하는 어떠한 프로그램도 없다. 이를 위해 UI 시스템은 HTML5, Javascript, CSS3를 이용

해 반응형 웹으로 제작되었으며 사용된 핵심 UI 프레임워크들로는 전체적인 화면구성에 사용되는

Bootstrap과 GIS기능과 지도 표출을 위한 Openlayers, 그래프 표출을 위한 AmChart가 사용되었다.

본 절은 각 각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명하고, 화면 구성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1) 프레임 워크 및 라이브러리

(가) Bootstrap

부트스트랩은 트위터에서 사용되는 디자인과 기능들을 CSS와 자바스크립트 기술을 구현한 집합

체로 웹 디자인 프레임워크이다. 화면배치를 위한 레이아웃과 버튼, 이미지, 아이콘 등의 요소와

각종 웹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이 구현되어 있는 프레임워크이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디자인과 기

능수정이 용이하고 가장 큰 장점은 반응형 웹을 빠르게 구현이 가능하다. 다음 그림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화면이다.

그림 3-3-41 부트스트랩을 통한 화면구성

반응형 웹은 웹에 장점은 접속하는 기기에 맞춰 화면이 구성되는 웹 디자인 기법으로 PC와 모

바일기기 별로 페이지를 따로 만들지 않고 구성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별 화면구성이

가능하고 거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들을 지원한다. 다음 그림들은 다른 기기에서 위 그림과 같은

화면을 봤을 때 모습이다.

Page 13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4 -

그림 3-3-42 저해상도(노트북) 화면에서 본 화면구성

그림 3-3-43 모바일 기기(안드로이드)에서 본 화면구성

이처럼 화면크기에 맞춰 UI가 변화되도록 디자인하여 접속한 디바이스에 맞춰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것이다. 반응형 웹을 처음부터 제작할 경우 여러 디바이스와 웹브라

우저 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Bootstrap 프레임워크에서는 이러한

Page 13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5 -

반응형 웹 구성을 위한 기본 구성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반응형 웹을 구축할

수 있다. UI 시스템은 Bootstrap을 활용하여 개발되어 별도의 화면사이즈의 제약을 최소화 했다.

(나) Openlayers

Openlayers는 웹에서 지도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소스 Javascript 라이브러리다. Bootstrap과

마찬가지로 반응형 웹을 지원하여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지도를 표출 할 수 있으며 GIS와 관련된

각종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GIS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원하는 스타일을 설정하여 지

도에 데이터를 표출 할 수 있다.

그림 3-3-44 HTML5와 Javascript를 사용한 Openlayers 웹맵 라이브러리

본 시스템에서는 GIS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 데이터를 통해 노선 설계도 표출 및, 센서

의 실제 위치 표출 기능을 구현하였다. 다음 그림은 시스템에서 사용한 데이터 표출화면이다.

이처럼 측정데이터의 측정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출하여 실제 측정위치를 바로 확인이 가능하

다. 즉, 차트와는 다르게 2차원 위치정보를 가시화하는 모듈이다. GIS 서버 환경 구축 시 미리 생

성해놓은 설계 도면 자료와 노반계측기의 각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분석보고서에 첨부되어있는

KP 정보 등에서 얻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위치의 지도와 설계도면을 확인할 수 있어 모니터

링하는 위치에 대한 지리적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다) AmChart

AmChart는 웹에서 차트를 볼 수 있게 해주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다.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그림 3-3-45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지도 표출 예

Page 13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6 -

를 지원하며 그래프 확대, 축소 및 그래프의 원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차트를 이미지 형태

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른 차트 라이브러리보다 대용량 그래프 표출이 용이하고 성능이 뛰어

나다. 다음그림들은 본 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한 차트들이다. 그림 3-3-46의 시리얼 차트는 주

로 통합 모니터링 정보에서 사용되었으며 각종 계측정보를 표출하는데 사용하였다. 그림 3-3-47의

XY 차트는 상태분석에서 시계열 정보를 표출하는데 사용하였다. 그림 3-4-48의 간트차트는 구조

물 현황 정보를 표출하는데 사용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표출이 가능하며

AmChart 또한 반응형 웹을 지원하여 디바이스에 맞춰 그래프를 표출할 수 있다.

그림 3-3-46 AmChart 시리얼 차트

그림 3-3-47 AmChart XY 차트

그림 3-3-48 AmChart Gantt 차트

(라) GridStackJS

GridStackJS는 웹에서 레이아웃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다. 정

해진 영역 내에서 레이아웃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UI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분석 결과를 한 화면에 비교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태분석 화면에서 사용되었고 Bootstrap의

레이아웃에 결합하여 사용되었다. 또한 버튼을 통해 정렬기능을 추가로 구현하였다.

Page 13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7 -

그림 3-3-49 GridStackJS를 사용한 화면

(2) 그래프 조회 프로세스

각각 화면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그래프에 표출하는 프로세스는 크게 파라미터 선택, 서버 API

에 데이터 요청, 서버 시스템이 DB로부터 데이터를 조회 및 가공, 요청자에 데이터 전달, 데이터

표출로 5가지로 볼 수 있다. 데이터 요청 시에는 Javascript의 AJAX기술을 사용하여 API 통해 데

이터를 요청하며 응답받은 데이터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행태로 AmChart에서 차트를

그릴 때 이 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림 3-3-50 API요청을 통한 그래프 출력 프로세스

이러한 프로세스는 서버로부터 웹기반 UI시스템의 예시이며, 응용 프로그램이나 모바일에서도 동

일한 과정을 거쳐 계측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형태이다.

(가) 노반 계측데이터 조회

노반 모니터링에서는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계측위치의 KP값을 파라미터로

selectRoadBedInfoList API에 노반 계측기 정보 목록을 조회하여 해당 위치의 계측기 정보 목록을

Page 13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8 -

가져온다. 이때 이벤트 데이터가 존재하는 데이터의 경우와 아닌 경우로 나뉘는데 각각 요청하는

API의 URL이 다르다. 이벤트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가져온 계측기 정보에서 id값을 파라미터

로 selectRoadEventList API에 이벤트 목록을 조회하면 해당하는 계측기의 측정 이벤트 목록을 받

을 수 있다. 원하는 측정이벤트의 시작 시간값과 끝시간 값을 계측기 id와 함께

selectRoadEventData API에 요청하면 해당되는 실제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벤트

데이터가 없는 계측기의 경우에는 selectRoadStaticData API에 계측기 id를 파라미터로 보내면 일

별 측정데이터를 조회한다. 데이터는 오름차순 정렬하여 전달되며 AmChart로 차트 그래프를 그리

게 된다.

그림 3-3-51 selectRoadEventData API 프로세스

측량 모니터링은 selectSettleInfoList API를 통해 KP별 측량 계측 정보를 가져와서 각각 지표, 원

지반, TCL1, TCL2로 노반구분에 따라 데이터를 나눈뒤 KP별 측정데이터를 차트에 표출하고 화면

에 표출된 차트를 클릭하면 클릭된 위치의 KP값으로 측량 계측 정보에서 일치하는 값을 찾아 해

당 계측 정보의 fieldid 값을 파라미터로 selectSettleData API를 통해 요청하면 해당 지점에 해당하

는 일별 계측 정보를 받아서 그래프로 표출한다.

운행차량 모니터링에서는 KTX, HEMU중에 type 파라미터를 선택해 selectOnboardList API를 통해

측정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고속검측차 모니터링은 type 파라미터를 고속검측으로 조회한다. 측

정(혹은 검측) 목록별로 eventid가 존재하며 이것을 파라미터로 selectOnboardStatsData API를 통해

서 데이터를 조회하는데 데이터는 평균데이터로 테스트 베드 구간(100K00~128K000)을 조회하며

그래프는 KP별 속도 그래프를 그린다. 화면상에서 이 속도 그래프를 클릭하거나 KP를 직접 입력

하여 해당 KP의 앞뒤 200m의 상세 데이터를 selectOnboardData API를 통해 조회한다. 요청 파라

미터로는 eventid, ts, kp, colums가 있고 ts값은 앞서 가져온 평균데이터에서 해당 kp에서의 측정

시간 값이며, colums는 상세데이터에서 가져올 DB 필드명이며 화면상에서는 계측 종류에서 선택

한 값이 포함된다.

지상/차상 모니터링에서는 평균데이터를 통해 속도 그래프를 그리는 과정 까지는 동일하다. 대신

속도 그래프에서 KP를 선택할 때 selectOnboardData API 대신 selectOnboardRoadbedData API를

이용하며 파라미터는 동일한데 offset파라미터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KP값이 노반계측지점

(109K231, 110K000, 120K650)과 인접한 지점이면 추가로 노반그래프를 표출하는데 이때 offset파라

Page 13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19 -

미터를 하고 침하그래프 또한 가장 가까운 KP값을 찾아 표출한다.

코드기반 데이터 검색에서는 측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에 요청이 들어오

면 설정한 데이터를 조회하면서 바로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UI에서 파라미터 설정후 다운로드 버

튼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 상에서는 다운로드 창이 나타나며 서버에서는 조회하면서 데이터 읽

어 즉시 요청자에게 보낸다.

그림 3-3-52 selectForRoadbedExport API 프로세스

데이터 검색에 사용하는 API는 CSV파일을 전달하며 노반의 경우 selectForRoadbedExport API를

사용하며 파라미터로 kp와 이벤트 데이터 여부, 계측목록, 열차운행 목록과 측정일을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측량의 경우 selectForSettleExport API를 사용해 노반구분, 날짜, kp를 파라미터로 사용

한다. 차상의 경우 selectOnboardExport API를 사용해 차량구분, 계측종류, 계측일, kp를 파라미터

로 사용한다.

통합DB현황의 계측데이터 현황에서는 각 계측기 별 측정건수를 계산하는데 노반의 경우는 이벤

트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발생한 이벤트를 건수로 계산한다. 차량 운행 이력에서는 실제 운행

되는 차량이력을 조회 가능하다. 운행여부의 판단은 표준성토노반(109k231)의 통과톤수의 값을 가

지고 판단한다. 값이 명확하지 않아 판단이 불가능한 값의 경우에는 기타로 표기한다. UI상에서

운행이력을 선택할 경우 노반측정이력과 차상측정이력의 목록을 보여준다. 노반의 경우 목록에서

보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해당 날짜의 노반모니터링 화면으로 넘어가며 이때 파라미터로 계측기

id와 계측시간의 timestamp값을 추가해 노반 모니터링 페이지에 접속하면 해당 계측기 정보를 확

인할 수 있다. 노반 모니터링에서는 차량운행이력이 존재할 경우 화면에 표시되며 차량 운행이력

페이지에 id와 계측시간 timestamp값을 파라미터로 추가하면 UI상에서 해당 날짜로 화면이 전환되

고 파라미터로 입력한 노반측정 정보가 표시된다. 차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차량 운행이력에서

선택한 시간과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보기 버튼을 클릭해 차상 모니터링으로 이동하며 열

차종류와 eventid를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해당 측정목록을 바로 보여준다. 차상 모니터링에서도

운행이력이 표출되며 클릭시 eventid와 계측시간 timestamp값을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해당날짜에

관측목록이 표출된다.

Page 14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0 -

절 지상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장기거동 평가4 . /

1. 개요

선행 연구사업에서는 호남고속선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급 인프라의 성능검증과 이 400km/h

를 통해 설계기준 안 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하였다 이후 본 연구( ) .

기간에서는 고속선 운영구간이기 때문에 기존 설치된 노반 모니터링 개소와 운영중에 연속적

으로 계측되는 궤도검측데이터와 차상가속도 등을 추가로 계측하여 장기적 변화거동을 평가

하였다 차적으로 기존 지상에 설치된 지상모니터링 시스템을 복구시키고 매설된 센서를 기. 1

반으로 궤도노반에 대한 장기거동을 평가하였으며 현장 침하 를 분석하여 현 설계기준으로 , DB

건설된 시스템의 성능을 장기적으로 평가하고 침하 관련 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포인트 측.

정방법 은 일부 개소에서의 궤도 성능평가 및 취약개소를 평가하는 방법으(Point measuring)

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테스트베드 전 구간에 대한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 구간을

연속적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열차주행안전성 평가를 하고 있는 차상 진동가속도 계측과

고속검측차량을 통해 궤도틀림 정보를 이용하여 궤도의 상태변화를 측정하였다 .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2.

가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복구 및 구축.

토공노반 궤도 장기 모니터링의 목적은 노반 궤도 장기 측정 확보 및 성능평가 설계 / · DB ,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에 있다 성능평가 항목은 침하 변위 압력 진동 함수비 등이다. , , , , .

또한 노반모니터링 개소에 윤중게이지를 통한 누적통과톤수 산정과 차상측정시스템과 다른

다양한 시스템과의 위치동기를 위하여 지상부에 수신기를 설치하고 서버에 표준시GPS DAQ

간으로 세팅하여 열차 응답신호로부터 오차율을 산출하여 이를 위치 와 동기화할 수 있(KP)

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표 은 건설당시에 설치한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이다 토공 노반의 성능평가를 3-4-1 .

위해 사용된 측정 시스템은 사에서 제작한 개 개 등이CAMPBELLSCI CR9000X 3 , CR1000 3

다 인입 전원은 이며 통신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이다 측정. AC220V , KT LTE .

방식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 자동화 모니터링이다 측정 즉시 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어 .

저장되고 분석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표 기존 토공노반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3-4-1

측정위치

데이터 수집 장치

통신방식 측정 방식모델명

제조사( )수량

표준성토노반

(109k231)

CR1000

(CAMPBELLSCI)

CR9000X

(CAMPBELLSCI)

1

1

유선 인터넷

인터넷 사용(KT )

원격 자동화 모니터링

측정즉시 통신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저(

장됨 분석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

이용하여 수행)

연약지반노반

(110k000)

CR1000

(CAMPBELLSCI)

CR9000X

(CAMPBELLSCI)

1

1

무선 인터넷 LTE

망 사용(SK )

접속부노반 CR1000 1 유선 인터넷

Page 14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1 -

표준노반은 건설공정과 접근가능여부 등을 고려하여 중 108k620 110k368(L=1748m)∼

을 선정하였다 해당 표준노반은 현재 고속철도 표준단면으로 성토높이 이며 109km231 . 9.20m

원지반의 구성은 이상 풍화토의 두께는 이다N>10 , 5.6m .

표준성토 노반 단면에 설치된 센서는 그림 과 같다 표 는 표준성토노반의 3-4-1 . 3-4-2

센서위치와 수량이다 토압계 가속도계 함수량계는 외측 레일 직하부에 매설되어 있으며 변. , , ,

위계 및 층별침하계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TCL .

137

389

606

2345

800

풍화암 1,000이상확보

9209

2000

3000

풍화암 1,000이상확보

9209

3000

하부노반

상부노반

강화노반HSBTCL

원지반

6000 2000

6000

도 면 명 분야별책임자 실무책임자 실 무 자 축척 1:100 도면번호(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한 상 재 김 기 수 신 상 범

전답토

풍화토

풍화토

0.5

5.6

21.0

13/3015/3020/3020/3022/30 8/3014/3016/3026/3030/3035/3037/3038/3034/3042/3042/3045/3048/3050/2350/1650/15

가속도계(0.5g) 3ea 상부 노반

RM-001

(GP)

EL=119.1EL=118.6EL=118.2

EL=116.106

2000

2000

설 치 위 치기 호

토 압 계

가속도계(2.5g)

수 량계측항목

5ea

층별침하계

함수량계

변위계

강우량계

2ea

3ea

2ea

1ea

1ea

상부 노반

강화 노반

상부 노반, 하부노반, 강화노반

상부 노반

HSB층

사면 법면

크로스홀 1회 성토부(강화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

1:1.8 1:1.8

LC LCLC하선 상선

상부노반

하부노반

표준성토 노반 계측기 설치도(3-4공구 109km231 상선)

평면도

종단면도

A

A

A-A 단면도

LC상선

TCL

신호트레일

보조도상

HSB

입도조정쇄석

RAIL

그림 표준성토노반 계측기 설치도3-4-1 (109k231)

표 표준성토노반 센서 설치 수량3-4-2 (109k231)

표시 센서 모델명 제조사( ) 수량(ea) 설치위치층( )

토압계SWP-2(ZISINC)

KDJ-200KPA(TML)5 상부노반(5)

가속도계 393B31(PCB), 393C(PCB) 5 강화노반 상부노반(2), (3)

층별침하계 500HCA(Measurement) 3 상부노반 원지반(1), (1)

함수량계 CS616(CAMPBELLSCI) 2 상부노반 노반 사면부(1), (1)

변위계 500HCA(Measurement) 1 층HSB (1)

강수량계 WDR-205(wedaen) 1 노반 사면부(1)

합 계 17

자동화 구성장비 개 개 상시전원 인터넷[ ] CR9000X 1 , CR1000 1 , , KT

연약지반 단면은 성토고가 로 상대적으로 성토고가 낮으며 하부노반이 없으 (110k000) 3.97m

며 원지반은 사질토층으로 구성되며 이하의 연약지반이 까지 분포된 구간이, N<10 GL-11.08m

(120k650)

(CAMPBELLSCI)

CR9000X

(CAMPBELLSCI)

1 인터넷 사용(KT )

<http://rbm.egeit.co.kr>

Page 14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2 -

다 설계 시 해석 잔류침하량이 으로써 허용잔류침하량을 초과하여 연약지반 . 46.2mm(>25.0mm)

대책공법으로 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성토높이 을 고려한 해석 잔류침하량이 Preloading , 1.5m 1

로써 호남고속철도 허용잔류침하량 기준 이내로 설계된 구간이다 센서 4.3mm(<25.0mm) .

설치 도면 및 수량은 그림 및 표 과 같다 토압계 가속도계는 외측 레일 직하3-4-2 3-4-3 . ,

부에 매설되어 있으며 변위계 및 층별침하계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TCL .

설 치 위 치기 호

토 압 계

수 량계측항목

4ea

층별침하계

간극수압계

3ea

2ea

상부 노반

상부 노반, 연약지반, 풍화암

상부 노반, 연약지반

지하수위계 1ea 성토부(강화노반, 상부노반, 연약지반)

TCLHSB강화노반

상부노반

연약지반(풍화토 N<10)

연약지반 노반 계측기 설치도(3-4공구 110km000 상선)

평면도

종단면도A

A-A 단면도

3000

5100

1356

8000

8000

800

2345

606

389

TCL 137

신호트레일

보조도상

HSB

입도조정쇄석

RAIL

도 면 명 분야별책임자 실무책임자 실 무 자 축척 1:100 도면번호한 상 재 김 기 수 신 상 범

상부노반

110 000.00km

1:1.8 1:1.83000

LC LCLC하선 상선

8000

2000

2000

4000

4000

21.0

6/30 9/30 7/30 7/30 8/30 8/30 7/30 8/30 8/30 7/30 6/30 5/3011/3011/3011/3015/3017/3027/3050/1550/ 750/ 4

19.0

풍화암

가속도계(0.25) 1ea 연약지반

변위계 1ea HSB층

액상침하계 1ea 원지반

8000

지중경사계 1set 원지반 측방유동(심도 20m, 센서

(풍화암 상단 1m 이상 확보)

(풍화암 상단 1m 이상 확보) (풍화암 상단 1m

그림 연약지반 노반 계측기 설치도3-4-2

표 연약지반 노반 센서 설치 수량3-4-3

표시 센서 모델명제조사( ) 수량(ea) 설치위치

토압계SWP-2(ZISINC)

KDJ-200KPA(TML)4 윈지반 상부노반(1), (3)

가속도계 393B31(PCB), 393C(PCB) 1 연약지반(1)

변위계 500HCA(Measurement) 1 층HSB

침하계 500HCA(Measurement) 3 상부노반 원지반(1), (2)

간극수압계 CS616(CAMPBELLSCI) 2 상부노반 노반 사면부(1), (1)

지하수위계 SPP-2(ZISINC) 1 노반 중앙부

지중경사계 IPI(DAS) 20 사면 하부 원지반 내부(20)

액상침하계 500HCA(Measurement) 1 원지반(1)

측방변위계

지중경사계( )IPI(DAS) 1 원지반

합계 34

자동화 구성장비[ ]

개 개 상시전원 인터넷 - CR9000X 1 , CR1000 1 , , SK

그림 과 같이 접속부 노반 단면 은 연약지반 구간인 3-4-3 (120k650) 120k654 ~ 121k720

으로 성토높이 이며 원지반의 구성은 이하인 전답토 및 퇴적층이 두께 (L=65.5) 8.5m N<10

로 구성되어 있어 설계 시 잔류침하량이 으로써 허용잔류침하량을 2.0m 1.12mm(<25.0mm)

초과하지 않지만 공법을 적용하여 교통하중을 성토체로 환산한 성토높이 으Preloading 2.64m

로 설계하였으나 빠른 공정 진행을 위하여 치환공법으로 시공되었다.

Page 14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3 -

풍화암 1,000이상확보

5514

3000

어프로치 블럭

풍화암 1,000이상확보(VAR)

5514

3000

8550 이상

137

389

606

2345

800

VAR.

12000 6000

600012000

4000 4000

40004000

도 면 명 분야별책임자 실무책임자 실 무 자 축척 1:100 도면번호(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한 상 재 김 기 수 신 상 범

접속부 노반 계측기 설치도(4-1공구 120km650 상선)

설 치 위 치기 호

토 압 계

수 량계측항목

7ea 상부 노반

가속도계(2g) 3ea

EL 119.26

상부 노반가속도계(0.5g) 2ea

상부 노반가속도계(5g) 1ea

입도조정층(20cm)보조도상층(50cm)

RM-003

시멘트 3%

시멘트 3%

(GW)

EL 118.26

EL 114.46

EL 110.77

3.8m

3.7m

17506400

평면도A-A 단면도

LC상선

TCL

신호트레일

보조도상

HSB

입도조정쇄석

RAIL

접속슬래브

종단면도

A

A

가속도계(2.5g)

층별침하계

온 도 계

함수량계

변형율계

변위계

강우량계

4ea

7ea

4ea

4ea

11ea

3ea

1ea

상부 노반

어프로치 슬래브, 강화노반

상부노반, 강화노반

상부노반

상부노반

어프로치 슬래브

HSB층

사면법면

End Sporn1:1.8 1:1.8

120km650

LC LCLC하선 상선

그림 접속부노반 계측기 설치도3-4-3 (120k650)

표 접속부노반 모니터링 센서 수량3-4-4 (120k650)

다 측정 및 시험조건.

측정위치 및 평가항목(1)

토공노반 궤도 분야의 측정대상과 범위는 표 와 같다 측정 위치는 개소에서 수행하 / 3-4-5 . 3

였으며 노반 및 궤도에 센서를 부착 또는 매설하여 측정하였다 성능평가 내용은 노반의 침하.

변위 압력 함수비 등이며 궤도는 윤하중 횡하중 변위 등 설계기준 항목에 따른 장기 안정성 / / / / /

평가이다.

표 노반 궤도 현장측정내용과 설계기준 평가항목3-4-5 /

표시 센서 모델명 제조사( ) 수량(Ea) 설치위치

토압계SWP-2(ZISINC)

KDJ-200KPA(TML)7 상부노반(7)

가속도계 393B31(PCB), 393C(PCB) 10 강화노반 상부노반 접속슬래브(3), (6), (1)

층별침하계 500HCA(Measurement) 7 상부노반 원지반(1), (1)

함수량계 CS616(CAMPBELLSCI) 4 상부노반 노반 사면부(2), (2)

변위계 500HCA(Measurement) 3 층HSB (3)

강수량계 WDR-205(Wedaen) 1 노반 사면부(1)

온도계 KT-110A(TML) 4 상부노반 대기 온도(3), (1)

변형율계SGT-100(ZISINC)

KM-100B(TML)11 접속슬래브(8), Endsporn(3)

합 계 47

자동화 구성장비[ ]

개 개 상시전원 인터넷 - CR9000X 1 , CR1000 1 , , KT

구 분 연구내용 모니터링위치 성능평가항목(K.P), 성과물

현장

측정

실측

검증

노반

분야

토공노반 장기 측정 확보 및 - DB

성능평가

표준노반 연약지반, ,

교대 접속부노반 등 개소 3

표준노반 (109K231)

탄성 소성 침하량 허용노반압력 - , /

호남고속철도 궤도 노반 성능평가 - ·

절차서 준용

노반 침하 궤도 변위 노반 압력 - , ,

등 설계기준 항목에 따른 장기 안정

성 평가

연약지반 (110K000)

압밀도 잔류 침하량 소성 침하량 - , ,

연약지반개량 효과 지반진동평가 - ,

교대접속부 노반 (120K650)

강성차에 따른 탄성 소성 침하량 - , /

Page 14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4 -

측정 기간 및 위치(2)

측정을 수행 기간 및 내용은 표 과 같다 단계 측정은 년 월 이후 장기측정을 3-4-6 . 1 2013 10

하였으며 단계 측정은 년 월 이후 지상에서 차량 응답측정 열차진행시 이벤트 측정 을 2 2016 10 ( )

하였다.

표 노반 궤도 측정 기간 및 위치3-4-6 /

측정단계 측정기간 측정위치 측정목적 시험항목

단계12013.10~2015.03

일(711 )

109k231

110k000

120k650

궤도부설부터 개통까지 노반 및

궤도의 성능검증 시험

급 궤도노반 400kph /

성능평가

단계2

해당과제( )

2016.10~2018.05

일(704 )

109k231

110k000

120k650

개통이후 노반 및 궤도의 장기 안정성

모니터링

궤도노반 장기안정성 /

모니터링

시험조건(3)

측정 시험조건은 표 과 같다 대상차량은 호남고속철도의 정읍 익산 구간의 상행 3-4-7 . ~

산천 작업차량과 해무차량을 모두 포함하였다 모니터링 구간의 통과속도는 약 KTX, KTX- , . 3

수준이다 장기측정은 단계를 포함하여 단계까지 총 일 측정하였으며 열250~300km/h . 1 2 1415

차통과시 궤도 노반 응답측정은 차량 대의 실측 측정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모든 데이터/ 30619 .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으며 통합시스템에 전송되어 노반 궤도의 장기 안정성 평가에 활

용하였다.

표 노반 궤도 측정 시험 조건3-4-7 /

측정 구분 대상열차 측정빈도 측정항목 측정 확보 결과DB

장기측정

호남KTX, KTX- ,

HEMU-430X,

작업차량

시간 간격 측정1

함수비 층별침하, ,

간극수압 지하수위, ,

측방변위 강우 등,

2013.10~2015.03

등 총 2016.10~2018.05

일1415

열차통과시

응답측정

호남KTX, KTX- ,

작업HEMU-430X,

차량

열차통과시

초 동안 측정30

윤하중 횡하중 가속도, , ,

탄성변위 토압노반압력, ( )

차량 대 30619

측정

라 지상 측정시스템 보완 및 보수.

전기 및 통신 복구(1)

그림 와 같이 모니터링 개소에 대하여 전기 및 통신을 복구 하였다 전기는 전기사 3-4-5 3 .

용신청서를 한국철도공사의 공문을 첨부하여 한국전력공사에 제출하였다 선로상의 전기는 교.

류로써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용전력 를 인입하였다 표 220V .

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과 복구한 시스템과의 비교표이다 전원이나 통신은 크게 변3-4-8 .

허용노반압력

궤도

분야

궤도 장기 측정 확보 및 성능평 - DB

직선 곡선 구간 등 개소, 2

궤도직선 ( 109k231)

곡선 (120k650)

레일 윤하중 횡하중 - ,

호남고속철도 궤도 노반 성능평가 - ·

절차서 준용

노반 변형에 따른 레일 윤하중 횡하- ,

중에 따른 궤도 성능평가

Page 14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5 -

동은 없으나 추가로 접속부노반 연약지반노반 표준성토노반에 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 GPS .

는 차상 측정 자료와 시각 동기화하여 측정 데이터를 동기화를 시켜 지상모니터링과 차GPS

상모니터링의 계측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그림 전기사용신청서 및 계량기3-4-5

그림 데이터로거 측정 슬롯 상태3-4-6

표 토공노반 모니터링 시스템 전원통신 복구 결과3-4-8

측정위치

기존 시스템 복구된 시스템복구후

변동사항모델 수량 통신 모델명 수량 통신

표준성토노반

(109k231)

CR1000

CR9000X

1

1

유선 인터넷

인터넷 사용(KT )

CR1000

CR9000X

GPS

1

1

1

유선 인터넷

인터넷 사용(KT )

추가GPS

측정슬롯 개중 4

개 교체4

연약지반노반

(110k000)

CR1000

CR5000

1

1

무선 인터넷 LTE

망 사용(SK )

CR1000

CR9000X

GPS

1

1

1

무선 인터넷 LTE

사용(LGT )

로거 교체

통신사변동

추가GPS

접속부노반

(120k650)

CR1000

CR9000X

1

1

유선 인터넷

인터넷 사용(KT )

CR1000

CR9000X

GPS

1

1

1

유선 인터넷

인터넷 사용(KT )

추가GPS

측정슬롯 개중 4

개 교체4

센서 점검결과(2)

표 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센서점검 결과이다 총 개 센서중 이상센서는 3-4-9 . 99 23

개 정상센서는 개로 나타났다 표준성토노반은 개 센서중 이상센서는 개 정상센서는 , 66 . 25 3 ,

개이고 연약지반노반은 센서 개중 이상센서가 개 정상센서가 개이며 접속부노반은 22 20 3 , 17

개의 센서중 이상센서가 개 정상센서가 개이다 측정항목별 이상센서는 노반압력 50 17 , 33 . 8

개 잔류침하 개 탄성변위 개 진동가속도 개 함수비 개로 분석되었다 매설센서는 보, 1 , 2 , 10 , 2 .

수가 불가능하여 망실 처리하였으며 각 측정항목의 이상센서와 정상센서는 한 안에 중, STA

복 설치되어 이상센서를 망실 처리하여도 정상센서만으로 노반 성능 장기 평가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4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6 -

표 센서점검 결과표3-4-9

No 측정항목

이상 센서정상 센서/호남고속철도 모니터링 프로그램 기반 , GIS

통합DB

표준성토노반

(109k231)

연약지반노반

(110k000)

접속부노반

(120k650)

연간통과

톤수소계

1 윤중 0/4 0/4 0/4 0/4 0/16

2 횡압 0/4 0/4 0/4 0/12

3 노반압력 0/5 3/4 5/7 8/16

4 잔류침하 0/3 0/3 1/7 1/13

5 탄성변위 1/1 0/1 1/3 2/5

6 진동가속도 2/5 0/1 8/10 10/16

7 측방변위 - 0/1 - 0/1

8 함수비 0/2 - 2/4 2/6

9 수위수압/ - 0/2 - 0/2

10 강우 0/1 - 0/1 0/2

11 부등침하 - - 0/10 0/10

소 계 3/25 3/20 17/50 0/4 23/99

센서 교정(3)

매설 센서는 회수가 불가하기 때문에 교정이 불가하다 따라서 부착센서에 대하여 현장 시 .

험을 통하여 교정을 실시하였다 교정 대상은 윤중횡압 센서 등 개 조 를 진행하였다 시. 16 (8 ) .

험결과로 얻어진 교정계수는 신호를 물리량으로 변환하는 식에 적용하게 사용하였다.

표 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사용된 센서 모델 및 사양에 대한 표이다 매설 센서가 3-4-10 .

대부분이며 매설전에 공인교정 검사기관에서 교정을 수행하였다 다만 지중 매설 센서는 회수.

가 불가하여 재교정이 불가함으로 현재로써는 센서측정범위 측정값 유효성 검토 정도로 센서,

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고 있다.

표 센서 교정 및 시험결과3-4-10

계측기모델명

제조사( )센서 시험결과 비고

변위계500HCA

(Measurement)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관(KOLAS )

불확도 - :FS0.18%(0.045mm)

신뢰수준 약 - 95%,k=2

시험절차 - :CP801-10210-1,KTL

가속도계393B31(PCB),

393C(PCB)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관(KOLAS )

불확도 - : 1.3~1.9%

신뢰수준 약 - 95%,k=2

시험절차 - :CP801-60304-1,KTL

온도계KT-110A

(TM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관(KOLAS )

불확도 - :0.04

신뢰수준 약 - 95%,k=2

시험절차 - :CP801-50103-2,KTL

Page 14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7 -

마 지상 측정시스템 사양 설치 운영 가이드라인. · ·

노반 궤도 장기 모니터링은 단기측정과 다르게 고속철도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유지보수성 /

향상 노이즈 저감 대책 계절에 따른 센서 교정 백업 대책 등이 필요하다 특히 선로 출입 , , , .

및 작업시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모든 시스템은 높은 내구성과 백업 대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

다 또한 원격으로 전원 등을 제어하면 선로 출입 없이 재부팅이 가능하여 장애시 비상 대응.

이 가능하다.

기술요구사양(1)

표 는 계측기기의 일반 및 특별 기술 요구사양을 정리한 표이다 일반기술사양은 철 3-4-11 .

도 노반 및 궤도 계측 분야에서 요구되는 측정범위 매설조건 노이즈 등의 일반적인 최소요, ,

구사양을 기술한 것이며 특별기술사양은 고속철도의 특수성을 고려한 요구사양을 기술한 것,

이다 고속철도는 출입이 까다롭고 보수작업시간이 시간 이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성. 4

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특별요구사양을 도출하였다 센서는 측정항목별로 정리하였으며 측정 . ,

로거는 데이터로거 및 측정 주변기기로 분류하였다 이외에 전원 통신 기타 등 등으로 . , , (GPS )

구분하였다.

표 고속철도 센서 및 계측기기 요구사양3-4-11

계측기모델명

제조사( )센서 시험결과 비고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SPP-2

(ZISINC)

인증 시험기 보유ZIS(KOLAS )

교정기 압력교정기 - : PGC-20

비직진성 이내 - : 1.0% R.O

- Hysteresis

이내 : 1.0 % R.O.

토압계

SWP-2

(ZISINC)

KDJ-200KPA

(TML)

인증 시험기 보유ZIS(KOLAS )

교정기 압력교정기 - : PGC-20

비직진성 이내 - : 1.0% R.O

- Hysteresis

이내 : 1.0 % R.O.

변형률계

SGT-100

(ZISINC)

KM-100B

(TML)

인증 시험기 보유ZIS(KOLAS )

교정기 변형률교정기 - : SC-100

비직진성 이내 - : 1.0% R.O

함수량계CS616

(CAMPBELLSCI)

현장 시험

현장조건 및 흙 종류 따라 상이하게 나옴으로 -

현장 시험 필수

설치

위치

예상범위 요구사양

모델명 산출근거

측정 범위Frequen

cy측정범위

Sample

rate

중 윤중 600Δ με이1.2khz

하1500Δ με

1.0kHz

이상

FCA-5-

11-1L

열차 최대윤중 과 윤중시험결과를 감안하여 200kN

측정범위 산출최대 이내( 600 )Δ με

Page 14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8 -

설치

위치

예상범위 요구사양

모델명 산출근거

측정 범위Frequen

cy측정범위

Sample

rate

압횡압 600Δ με

이0.2khz

하1500Δ με

어프로치

슬래브

이1.8mm

이1.2khz

±12.70

mm

1.0kHz

이상500HCA

상단에서 최대 약 예상해석결과 TCL 1.8mm ( )

최대 잔류침하량 고려하여 측정 범위로 20mm 25mm

선택성토체 즉시침하 이후( )강화노반

상단

이1.8mm

이0.2khz

±12.70

mm

TCL

연직방향

0.001%

=10με

( = 200σ Δ

이하kPa )

0.6kHz

이하

±5000μ

ε

1.0kHz

이상

SGT-100

,KM100B

층 최대응력 변형률 예상 TCL 200kPa, 0.001% Δ

경부고속선 실측결과 윤중하중 KTX Δ

으로 축방향 변형률은 148kPa(Mean+4.5 ) 0.001%σ

이하임

콘크리트 타설전 센서를 설치함으로 양생시의 수축량

을 고려하여 으로 함5000 .με

HSB0.6kHz

이하

±5000μ

ε

1.0kHz

이상

어프로치

블록

0.6kHz

이하

±5000μ

ε

1.0kHz

이상

강화노반

30kPaΔ

이내

최대 (

75kPa)

이250hz

하 200kPa

이1.0khz

SWP-2

KDJ-200

kPa

이일화 수치해석 및 주행시험결과 이하 (2006) 20kPaΔ

토압 발생

최찬용 실대형시험결과 이내 (2008) 30kPaΔ

일본 궤도하부로부터 약 지점에서 증가토압 RTRI 3M

이내로 감소10%

높은 측정 범위를 가지는 토압계는 상대적으로 분해능

이 저하되기 때문에 로 선정200kPa

상부노반

20kPaΔ

이내

최대 (

115kPa)

이100hz

하 200kPa

1.0kHz

이상

하부노반

115kPa+

Hx20kPa

/H

- - -

TCL,HSB 2g 600hz 4g1.0kHz

이상

4810A,

ES-U2

열차속도 변화에 따른 심도별 변위속도 변 위가속도 , (1

차년도 수치해석결과)

보조도상층이 약 이하 - 20mm/sec, 0.25g

층은 침목에서의 최대가속도가 이하임으 TCL, HSB 2g

로 가 적절한 범위로 판단됨 경 부 실측4g . ( KTX )

지중에 가속도계가 매설됨으로 방수형으로 선택 .

어프로치

슬래브0.5g 250hz 2g

1.0kHz

이상

강화노반 0.25g 250hz 2g1.0kHz

이상

상부노반 0.25g 250hz 2g1.0kHz

이상

원지반 0.1g 250hz 0.25g1.0kHz

이상

침목TCL,

최대

이25mm

정적±12.70

mm회1 /hr

ACE-RT

M

노반 최대 허용 잔류 침하량 수직 및 수평방향 25mm,

측정

상부노반 이하50% 정적 50% 회1 /hr CS616

센서 위치에서 이론적으로 최대 측정될 수 있는

최대값 수압 물의단위중량( = GL * )

원지반

천공최대15M 정적 200kPa 회1 /hr SPP-2

원지반

천공

0~200kP

a정적 200kPa 회1 /hr SPP-2

Page 14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29 -

표 은 사용된 센서의 주요 사양을 나열한 표이다 매설센서는 이상의 방수성능을 3-4-12 . IP68

갖춘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동적계측은 전기저항식 타입을 사용하였다 동적계측, ICP, MEMS .

은 이상의 속도로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적계측 전용 측정방식인 진동현식1kHz , TDR

측정방식에는 적용 할 수 없다 측정범위는 기술요구사양과 제품라인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

표 센서 사양 및 주요특성3-4-12

설치

위치

예상범위 요구사양

모델명 산출근거

측정 범위Frequen

cy측정범위

Sample

rate

센서측정

개소

-30~80

도정적

-20~60

도정적측정

KT-110

A온도 도 = -30~80

시스템

박스

선로(

연변)

센서 개를50

동시에 이상 동시 1.0kHz

측정필터링트리거저장전송 할 수 / / / /

있는 사양

CR9000X

측정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필터 트리거 저 장 기능 , ,

탑재

임베디드 로 없이 독립구동 OS PC

측정데이터는 로 서버 전송 FTP, TCP/IP

열차운행시 데이터는 내장 트리거에 의해 파일로

저장되고 손실 없이 서버전송

열차운행이 없을시 데이터는 형태로 네트워크 TCP/IP

최대속도로 측정 데이터 전송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시각동기화 지원 GPS

GP

S

시스템박

지상 차상 측정데이터를 동시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시각동기화 이내(0.01s )

GPS16X-

HVS

데이터로거와 로컬통신하여 시각동기화 수행

인터넷을 이용한 표준시 동기화는 시각동기화에 GPS

비해 네트워크 지연으로 인한 오차가 일정치 않아 비추

HERON, Vol.45, No.1 (2000) ISSN 0046-7316

레일 최대 - Frequency(pined-pined) :

약 이하 = 1.2khz

레일 패드 - Frequency : 200~600hz

강화노반 이하 상부노반 이하 공통 적용 - Frequency : 200hz , Frequency : 100hz (1kHz )

궤도부 레일 공진 주파수 의 배 이론인 적용 - Sample Rate : 1.2kHz 2 (Nyquist ) 2.4khz

노반부 노반 공진 주파수가 이나 스텍트럼 유실을 최소화 배 이상 - Sample Rate : 100~200hz (5 )

하고 측정 이산개수를 통일하기 위하여 공통 적용 , 1.0kHz

계측

항목계측기 모델명 사 양 주요특성 사 진

윤중횡압/ 변형률계FCA-5-

11-1L

형 식 전기저항식:

측정범위 : ±1500με

노이즈에 강함

현장 설치 운영 다수

변위 변위계 500HCA

형 식 전압타입:

측정범위 : ±12.7mm

방수 : IP 68

측정범위 대비 정밀도 우수

설치용이 및 내구성 우수

고내구성 산업용 센서 ( )

응력 변형률계

SGT-10

0

KM-100

B

형 식 전기저항식:

측정범위 : ±5,000με

방수 : IP 68

정 동적 측정가능

부재와의 일체화 우수

측정폭 넓고 정밀도우수

Page 15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0 -

모니터링 및 센서 설치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2)

표 는 궤도 노반의 모니터링 위치 선정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모니터링 위치 선정 3-4-13 / .

에 고려할 항목은 원곡선 종곡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 열차속도가 최대로 예상되는 구간/ , ,

연약지반구간 교대 터널 접속부 구간 궤도 틀림 발생 구간 등이다 센서 설치 위치는 센서종, / , .

류 및 측정 결과 검토내용에 따라 레일 강화노반 상부노반 원지반 등에 설치된다 특, TCL, , , .

히 매설 센서는 열차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레일 및 침목 직하부에 설치

하여야 작용하중의 최대값을 측정 할 수 있다 레일 위치는 노반 시공시에 측량을 통해 예측.

을 할 수 있으나 침목의 정확한 위치는 현실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궤도 시.

공사에 긴밀하게 협조하여 침목이 매설센서 위치에 설치 되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

다 침목위치 조정은 철근 조립 전에 협의하면 반영될 수 있다. TCL .

표 모니터링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3-4-13

계측

항목계측기 모델명 사 양 주요특성 사 진

토압 토압계

SWP-2

KDJ-20

0KPA

형 식 전기저항식:

측정범위 : 0~200kPa

방수 : IP 68

정 동적 측정가능

국내 사용실적 및 내구성 우수

진동

가속도가속도계

4810A,

ES-U2

형 식 : ICP, MEMS

측정범위 : ±0.25g, ±2g, ±4g

방수 주문제작형: IP 68( )

측정범위 대비 정밀도 우수

설치용이 및 내구성 우수

중국고속철도 시험시공구간 사용

함수비 함수량계 CS616

형 식 방식: TDR

측정범위 : 0~50%

방수 : IP 68

국내 지반분야도로포장 외 사용( )

실적 다수

정밀도 및 내구성 우수

궤도침하궤도침하

ACE-RT

M

형 식 전기저항식:

측정범위 : ± 10°

국내 궤도침하 실적보유

신뢰성 및 안정성 확보

내구성 우수 및 센서견고

레일 상하

층별침하

변위계 500HCA

형 식 : LVDT

측정범위 : ±12.7mm

방수 : IP 68

국내 장기계측실적 다수

내구성 및 정밀도 우수

온 도 온도계KT-110

A

형 식 열전대:

측정범위 : -30 ~80

방수 : IP 68

측정범위 대비 정밀도 우수

설치용이 및 내구성 우수

지중경사

계Tilt IPI

형 식 : MEMS

측정범위 : -30 ~80

방수 : IP 68

측정범위 대비 정밀도 우수

설치용이 및 내구성 우수

궤도침하궤도침하

ACE-RT

M

형 식 전기저항식:

측정범위 : ± 10°

측정범위 대비 정밀도 우수

설치용이 및 내구성 우수

구분 검토항목 검토내용

위치선정시 고려사항

모니터링 위치 센서위치

윤중 윤중 횡압 측정, 윤중변동율 탈선계수 , 종 원곡선이 급격히 변경· 레일 좌우 쌍 설치2

Page 15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1 -

운영시 장애 및 조치내용(3)

표 은 계측기기별 장애 및 조치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센서 설치 이후 약 년 동안 3-4-14 . 5

다양한 센서 계측기기 통신 및 전원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조치 방법 등, ,

을 정리 하였다 첫 번째로 운영시 가장 문제가 되었던 부분은 열차통과시 아크 노이즈로 인.

한 센서 노이즈 처리 부문이다 접지저항을 이하로 확보 하고 접지봉은 선로와 이상 . 10 30m

이격을 두고 설치 하여야 한다 또한 하드웨어 필터링 사용 등은 노이즈 저감에 . , 24bit ADC

도움이 된다 이외에 내부 합선으로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센서도 과감하게 망실처리 하여야 .

한다 두 번째로 전원 및 통신 장애이다 특히 설치류 쥐 가 통신 및 전원선을 갉아 먹는 경우. . ( )

가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구리선은 강관으로 보호하고 매설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데이.

터로거의 다운 증상이다 시스템 박스가 고온으로 상승할 경우 데이터로거가 다운되는 증상이 .

발생되었다 재부팅 하면 정상작동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 파워. IoT

메니저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으로 원격에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계측기기별 장애 및 조치 이력3-4-14

구분 기기명 모델명 장애 점검항목 조치내용

센서

변위계

층별침하계500HCA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접지저항체크

공통전압체크

공급전원안정성체크

데이터로거 전원 사용공통전압통일( )

접지저항 보강

가속도계393B31,

393C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접지저항체크

공통전압체크

공급전원안정성체크

수동지시계로 측정 후 망실 여부 결정

온도계 KT-110A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센서케이블별

저항체크

공통전압체크

센서 선별 저항 이상일 경우 350 ± 3%

망실

수동지시계 측정 후 망실 여부 확인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SPP-2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센서케이블별

저항체크

센서 선별 저항 이상일 경우 350 ± 3%

망실

횡압 등 열차속도 최대 구간

변위

탄성변위량 탄성변위량종 원곡선이 급격히 변경·

열차속도 최대 구간상단 TCL

침하량궤도부설 후

잔류침하량연약지반 구간

원지반 강화노반 상단 , , TCL

층별침하

노반

압력

토(

압)

노반의 응력 및

변형수준허용노반압력토압계( )

종 원곡선이 급격히 변경·

열차속도 최대 구간

강화노반 및 상부노반 상단의

레일과 침목 직하부

정밀 측량 필요( )

지지 강성에 따른

하중 변화

강성차이에 따른 응력,

변형 수준

교대터널 접속부구간/ -

접속부 토공구간-

어프로치슬래브 하단

강화노반 상단

진동

가속

진동가속도 노반진동

교대터널 접속부 구간/

연약지반 구간

궤도틀림 발생구간

강화노반 등, TCL

궤도

침하

부등침하 꺽임각 교대 접속부 구간교대 상단부터 간격TCL 1m

으로 이상 설치10m

함수

비함수비 배수배제 효과 접속부 구간 상부노반 사면측 등,

지하

수위

간극

수압

압밀도변화

수위변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침하영향 평가연약지반 구간 원지반 설치

Page 15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2 -

바 측정데이터의 유효성 평가방안.

측정 및 분석항목(1)

표 은 센서별 측정항목 및 분석항목표이다 센서의 데이터를 이벤트데이터 장기데 3-4-15 . ,

이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데이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벤트데이터에는 윤중 .

센서 횡압 센서 토압계 변위계 진동가속도계로 분류하고 장기데이터는 지중경사계 변위계, , , , , ,

함수량계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강우량계 로 분류하였다 이벤트 데이터는 센, , , , EL-BEAM .

서의 로우데이터를 취득한 후 를 사용하여 차 신호처리 하였다 차 LPF(Low Pass Filter) 1 . 1

처리된 데이터는 차 분석으로 누적통과톤수 윤중변동율 탈선계수 등에 사용하였다 장기데2 , , .

이터는 센서 로우데이터를 취득한 후 차 분석으로 지중경사계는 변위환산 변위계는 누적변1 ,

위량 강우량계는 강우량 적산 은 변위환산 함수량계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는 처, , EL-BEAM , / /

정격출력범위 초과 공통전압체크 수동지시계 측정 후 망실 여부 확인

토압계

SWP-2

KDJ-200KP

A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센서케이블별

저항체크

공통전압체크

센서 선별 저항 이상일 경우 350 ± 3%

망실

수동지시계 측정 후 망실 여부 확인

변형률계SGT-100

KM-100B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센서케이블별

저항체크

공통전압체크

센서 선별 저항 이상일 경우 350 ± 3%

망실

수동지시계 측정 후 망실 여부 확인

함수량계 CS616

과다 노이즈

센서 측정값이

정격출력범위 초과

데이터로거 측정값

체크수동지시계 측정 후 망실 여부 확인

계측

기기

데이터로거CR9000X

CR1000

과다 노이즈

접지저항 확인 및

조치 이내(10 )

확인Ground Loop

접지시설 강화 이내가 되도록 선로와 (10

최대한 떨어져 설치)

입력 전압 강하

입력전압 가 ( DC 12V

측정시 이하로 11V

저하됨)

작동전압전류 측정/모든 센서 분리 후 순차 연결 후 전압 테스트

문제센서 제거( )

데이터로거 다운 원격접속 수행기반 전원 제어 모듈 추가스마트폰으로 IoT (

데이터로거 전원 재부팅ON/OFF )

인터넷 통신 장애 테스트PING, TELNET

인터넷 통신이 장애가 있어도 데이터로거는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충분한

메모리 확보 필요 이상(2Gbyte )

전원장치

분전함,

아답터 등츨력 전압 불안정 작동전압전류 측정/

무부하 테스트

모든 센서 분리 후 순차 연결 후 테스트

케이블 전원 끊김전원상태

확인데이터로거( )

쥐 등이 케이블을 갉아 먹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강관으로 보호함

접지장치 - 과다 노이즈 접지저항 확인 접지저항 이내가 되도록 접지시설 강화10

통신장치모뎀ADSL

모뎀LTE

통신 품질 저하 테스트PING 통신사 하자 보수 요청

통신 끊김 통신상태 확인쥐 등이 케이블을 갉아 먹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강관으로 보호함

분전함체 주문제작 도 이상 온도 상승70 데이터로거 온도확인팬보강 통풍이 잘 되도록 함체 내 기기 위치 ,

변경

Page 15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3 -

리하지 않았으며, 차 분석자료로 깊이별 측방변위 깊이별 잔류침하량 위치별 함수비 등에 사2 , ,

용하였다.

표 센서별 측정항목 및 분석항목표3-4-15

측정 대푯값 산정 절차(2)

그림 은 대푯값 산정 순서도이다 이벤트 데이터의 대푯값 절차는 윤중 횡압 노반 3-4-7 . , , ①

압력 탄성변위 가속도 등의 이벤트 데이터에 대하여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검증이 , , . ②

완료된 데이터에 대하여 열차별로 통계처리 최대 최소 평균 하고 일일 데이터로 통계 ( , , , RMS)

처리 최댓값 평균 최솟값 평균 하였다 일일 통계 데이터는 로컬 에 저장하며 로컬 ( , ) . DB , ③ ④

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통합 에 전달하였다DB DB .

장기 데이터의 대푯값 절차는 침하 간극수압 함수비 강우 측방변위 등의 장기 데이터 , , , , ①

에 대하여 유효성 평가하고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데이터에 대하여 일일 데이터로 통계 처, ②

리 평균값 한다 일일 통계 데이터는 로컬 에 저장한다 로컬 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 ) . DB . DB③ ④

하여 통합 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였다DB .

구분 로우데이터 측정데이터 차 분석데이터1 차 분석자료2 비고

이벤트

데이터

윤중 센서 윤하중 윤하중(LFP, Zero)

누적통과톤수

윤중변동율

열차종류

열차속도

횡압 센서 횡압 횡압(LFP, Zero) 탈선계수

토압계 토압 노반압력(LFP, Zero) 깊이별 노반압력 콘크리트궤도KR C-14040

변위계 탄성변위 탄성변위(LFP, Zero) 깊이별 탄성변위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진동가속도계 진동가속도 진동가속도(LFP, Zero) 깊이별 진동가속도철도설계기준(2011) 8.6.3

참고치

장기

데이터

지중경사계 경사량 측방변위변위 환산( ) 깊이별 측방변위 -

변위계 잔류침하량 잔류침하량누적변위량( ) 깊이별 잔류침하량

함수량계 함수비 함수비무처리( ) 위치별 함수비 -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간극수압

지하수위

간극수압무처리( )

지하수위무처리( )

깊이별 간극수압

지하수위-

강우량계 강우량 강우량적산( ) 강우량 고속철도 운전취급 세칙

EL-BEAM 변위꺽임각/ 부등침하량변위환산( ) 접속부 단차부등침하( ) 처짐KR C-08050

Page 15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4 -

그림 대푯값 산정 순서도3-4-7

측정값 유효성 평가방안(3)

그림 은 대푯값 유효성 평가순서도이다 유효성 평가는 이벤트 측정 데이터의 측정 3-4-8 . ①

범위 초과 데이터 이상치 또는 오류 데이터 노이즈 제외를 위해 영역에 개 이상 존재하는 , , C 1

경우 이상데이터 통계처리 제외 로 처리한다 열차하중에 반응하지 않는 데이터를 제외 통계( ) . (②

에 왜곡 발생 하기 위해 최댓값 또는 최솟값 이 영역에만 존재하는 경우 이상 데이터로 처리) ( ) B

통계처리 제외 한다 최댓값 또는 최솟값 이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유효성 통과자료로 처( ) . ( ) A③

리한다 그림 는 측정데이터의 유효성 검증 방안 예시이다 대푯값 유효성 평가방안에 . 3-4-9 .

따라 영역 영역 영역을 나누어 유효성 검증 방안을 제시하였다A , B , C .

그림 대푯값 유효성 평가 순서도그림 측정데이터의 유효성 검증 방안 윤중3-4-8 3-4-9 ( )

센서별 유효성 체크에서 측정값은 과 범위안에 있어야한다 범위 초과시 LimitMin LimitMax .

엔 유효성 통과를 시키지 않는다 측정값의 최댓값은 보다 커야하고 최솟값은 . SaveConfMax

보다 작아야 데이터 유효성을 통과하여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SaveConfMin .

호남고속철도의 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군데에 윤중 횡압 센서 설 (109k231), (110k000) 2 ·

Page 15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5 -

치 및 검증을 하였다 각 구간마다 윤중 개 횡압 개씩을 설치하였다 그림 윤중. 4 , 4 . 3-4-10 ·

횡압센서 설치 및 검증시험 전경이다 윤중 횡압 센서는 레일상 설치 위치가 중요하여 레일. ·

에 맞는 틀을 제작해 설치 정확도를 높였다 설치가 완료된 후는 윤중 횡압 검증 시험기를 . ·

설치하여 검증 시험을 수행하였다.

윤중횡압 센서 설치 과정(a) 윤중횡압 검증 시험기 설치(b)

윤중횡압 센서 전경(c) 윤중횡압 검증 시험(d)

그림 윤중 횡압 센서 설치 및 검증3-4-10 ·

아 열차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

지상모니터링 시스템은 노반모니터링 시스템과 별도로 차상과 지상간의 위치동기화 및 테

스트베드 구간에 통과하는 열차의 통과톤수 등을 자동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구축하였다 열.

차의 통과톤수는 유지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인자로 평가하고 있으나 현재에는 열차의 운행횟

수를 영차와 공차 중량으로 개략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테스트베드 구간은 고속선 전용구간으.

로 기존 방식에 큰 문제는 없지만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열차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두 번째는 차상과 지상과의 위치 파악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차년도에는 수신 . 1 GPS

기를 이용한 위치동기화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수신기만으로 위치를 동기화하는 것은 . GPS

수신기와 대기층의 신호산란 고압 전력에 의한 노이즈 등으로 일관성 있는 정도의 수신GPS ,

율 확보가 어려움이 있어 차년도에는 수신기 기반으로 고정개소의 서버 표준시 차량의 2 GPS ,

표준시 고정개소의 윤중신호 특성 등을 분석하여 위치동기화를 구현하였다 차년도에 GPS , . 2

구현시킨 방법은 보다 일관성 있는 오차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위치를 조정하여 지상

과 차상의 신호파형 등을 분석하였다 새로이 구축된 지상시스템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

다.

열차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1)

테스트베드 구간의 고속선 전용구간으로 열차운행은 와 산천 가 운행 중에 있 KTX KTX , SRT

으며 영차와 공차기준으로 누적통과톤수를 대략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현재 호남고속철도구, .

간의 일 통과되는 열차는 평일 주말 차량의 횟수가 다르며 가 개통된 시점에서 운행조1 , , SRT

Page 15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6 -

건이 변경되고 특별수송기간의 운행조건이 변경되지 않으면 거의 현재 운행조건으로 운행되

고 있다 그러나 본 구간은 개략적인 방법으로 산정된 통과톤수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열차통.

과톤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윤중 신호특성을 통해 차축의 수와 윤중으로 누적통과톤수를 산정

하는 방법으로 구축하였다 일반적으로 윤중을 측정하여 통과톤수를 평가하는 것은 열차하중.

이 직접 레일에 발생되는 하중으로 환산하기 때문에 내구성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

비 접촉식 방법으로 제안된 레이저방식 또는 고속카메라 등은 설치비용과 선로의 먼지 등으,

로 인한 전파의 간섭문제 등으로 현장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현.

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윤중 측정방법을 통해 측정된 신호파형을 통해 차축에 따른 윤중을

누적하여 계산하였다 시스템 구성은 그림 과 같다. 3-4-11 .

그림 누적통과톤수 자동화 시스템 산정 흐름도3-4-11

신호성분의 정확한 하중산정을 위하여 유효범위를 검사하고 고주파저감과 특정주파수 저감

을 통해 신호처리를 완료한 후 윤하중의 값을 보간법을 사용하여 축하중에 따른 Peak Spline

통과톤수를 계산하고 열차 축개수 정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별 월별 연도별로 적산할 수 , ,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는 현장에 설치된 윤중게이지 설치시스템과 자동산정 프로그. 3-4-12

램의 초기화면을 나타내었다.

그림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연간통과톤수 모니터링 시스템 초기화면3-4-12

Page 15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7 -

그림 은 현장에 설치하는 윤중게이지의 부착과 윤중검증기 교정값을 구하는 사진이다 3-4-13 .

윤중게이지는 차년도와 차년도 회 부착하였으며 표준노반에 구축된 를 이용하여 신호1 2 2 , DAQ

파형을 분석하였다 윤중 신호파형의 예시는 그림 과 같다 그림 에서와 같이 신호파. 3-4-13 . 2

형에 따라 차축으로 열차의 종류를 추출하고 차축을 누적하여 회 열차통과톤수를 산정하였1

다 일 회 운행되는 조건으로 일 로 누적하였으며 야간에 비 정기운행차량. 1 23 1 (00:00 24:00) , ∼

보수차량 등에 대한 통과톤수도 계상하였다( ) .

그림 일별 월별 년도별 누적통과톤수 그래프3-4-13 , ,

표준시 윤중 신호를 이용한 위치동기화 (2) - GPS-

지상과 차상의 위치동기화는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차상의 데이터를 통해 지상부의 이상개소를 파악하고 이를 현장에서 보수를 하기 위.

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

간에 차상모니터링은 현재 유지보수 차원에서 운행하고 있는 개의 차량 호 고속검측2 (KTX36 ,

차 과 해무차량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간) DB .

의 위치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변경 및 추가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서 최대한

위치를 동기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설치 .

용이하고 기존 시스템을 방해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위치동기화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차상 측정은 호에서 측정된 진동가속도 해무 차세대고속열차를 KTX36 ,

통한 진동가속도와 고속검측차에서 측정된 궤도틀림 데이터이다 각 시스템은 별도로 운영되.

는 시스템으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위치가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시스.

템으로 위치가 정의되는 것을 일률적인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선정하여야 각 위치의

이상개소 추출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호 차량과 궤도. KTX36

검측차 는 차량을 직접 탑승하여 신호를 획득한 후 시간을 표준시간으(Roger1000k) GPS GPS

로 동기화시켜 의 위경도 좌표를 테스트베드의 킬로정 로 환산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GIS (KP) .

중요한 인자는 노반에 설치된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표준시간으로 동GPS

기화 시켜 약 초로 항상 일정하게 오차를 보정하고 열차 차축의 신호파형 성분의 표준시0.1

와 측정위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시간의 오차를 운행속도로 거리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동기

화를 구현시켰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차상 측정은 호에서 측정된 진동가속도 해무 차세대고속열차를 KTX36 ,

통한 진동가속도와 고속검측차에서 측정된 궤도틀림 데이터이다 각 시스템은 별도로 운영되.

는 시스템으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위치가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시스.

템으로 위치가 정의되는 것을 일률적인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선정하여야 각 위치의

이상개소 추출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호 차량과 궤도. KTX36

Page 15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8 -

검측차 는 차량을 직접 탑승하여 신호를 획득한 후 시간을 표준시간으로 (Roger1000k) GPS GPS

동기화시켜 의 위경도 좌표를 테스트베드의 킬로정 로 환산하였다GIS (KP) .

본 시스템에서 중요한 인자는 노반에 설치된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GPS

표준시간으로 동기화 시켜 약 초로 항상 일정하게 오차를 보정하고 열차 차축의 신호파형 0.1

성분의 표준시와 측정위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시간의 오차를 운행속도로 거리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동기화를 구현시켰다.

데이터로거의 시각동기화를 위한 안테나를 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접속부노반에 GPS , ,

설치하였다 설치 목적은 시각을 기준시각으로 차상데이터와 지상데이터를 정합하여 분. GPS

석하기 위함이다 기존 설치한 모델은 데이터로거용 전용모델로 초 간격으로 시간동기화를 . 1

한다 시간동기화는 열차 통과 직전까지 이루어지고 열차 통과시는 측정 시각오류를 회피하기 .

위해 동기화를 하지 않는다 열차 통과시에 시각동기화를 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하여 열차 통.

과시에도 시각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멀티스레딩이 가능한 시각동기화 향상모듈GPS

을 테스트하고 현장에 설치하였다 는 기존 연약지반노반에는 설치되지 않았(SDM-SIO4A) . GPS

으나 시각동기화 향상 모듈설치와 함께 추가 설치하였다 시각동기화 속도 향상으로 차상 지. -

상과의 측정 데이터 비교의 정확도가 오차 초 이내로 향상되었다0.01 .

그림 는 차상 지상과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상의 시각정확도를 향상하 3-4-14 -

기위한 방법이다 표준시 동기화 방식은 통신지연 예측불가 등으로 인하여 시각동기화 지연이 . ( )

발생된다 시각오차는 약 초로 일정하지 않다 반면에 시각동기화 방식은 장치 . 0.1~0.5 . GPS GPS

및 로거 연산에서 시각지연 발생하여 보정 후 시각동기화를 한다 오차는 약 초로 일정하. 0.3

다 따라서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각동기화 방식을 현장 적용하였다 현재 오차는 약. GPS .

초 이내이다0.01 .

그림 표준시 시각동기화 및 시각동기화3-4-14 GPS

그림 고속검측차 운행에서의 위치동기화 자동조정 예시 통합모니터링시스템3-4-15 (Roger1000K) ( )

Page 15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39 -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3.

가 호 차상가속도 측정 시스템 구축 및 모니터링. KTX36

철도 차량의 진동은 차량과 레일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레일면의 거칠기 또는 궤도

틀림에 의해 발생하여 대차를 통해 차체에 전달하게 된다 레일면의 거칠기 등에 의한 영향으.

로는 차량의 고주파 진동 또는 소음으로 나타나고 궤도틀림에 의한 영향은 차량의 승차감이,

나 주행안전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차량의 주행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영향과 진동을 저감시

키기 위하여 유지관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관리기준 이내로 관리하여 열차의 안전성을 확

보하고 있다 궤도틀림은 열차의 반복운행 혹은 외부 환경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서 횡 .

또는 상하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주행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 특히 고속선으로 운행되는 선로는 궤도평탄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보.

수를 수행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진동가속도 측정은 궤도검측차량 또는 호에 설치된 가속도 측정을 통해 유 KTX36

지관리 주체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사무소로 이상개소를 통보하는 방식으로 유지관리가

되고 있다 궤도검측차에서 수행하는 고기능 다항목 검측과는 달리 호 영업차량에 부착. KTX36

된 소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실제 영업 운행하는 동안 측정하고 있다 영업차량에 의한 진동가.

속도는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영업운행 횟수만큼 궤도검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출력 신호는 가속도량이기 때문에 이로부터 변위량을 산.

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신호처리가 필요하고 가속도 신호만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기법은 매

우 중요한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에 의한 진동가속도와 검측차에. KTX36

서 분석되는 다양한 궤도틀림과 테스트베드 구간의 상태변화를 보기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

였다.

가 차상가속도 설치 및 계측방법 ( )

열차에 차축 대차 및 차체에 진동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열차주행시 발생되는 진동가속 KTX ,

도를 측정하며 이와 동시에 정확한 주행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설치 및 차륜GPS

에 타코메터를 설치하여 위치정보도 동시에 수집 가능하도록 계측하였다 차량의 진동가속도 .

계측에 따른 흐름은 다음과 같다 차상가속도 측정시스템은 주행안정성을 평가할 수 . UIC518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계측시스템의 구성과 센서는 표 과 같다, 3-4-16 .

표 계측시스템 구성 및 센서3-4-16

구 분 제품명 규 격 제조회사

센 서

축 진동가속도3 8395A(2g) 스위스KISTLER( )

축 진동가속도1 8315A(10g, 50g) 스위스KISTLER( )

광센서 E3S-AD11 일본OMRON( )

수신기GPS AKA250(10Hz) 한국Ascen( )

계측기기

데이터로거 DAQ NI-9239 미국NI( )

판넬메터 K3HB-RNB-L2AT11 일본OMRON( )

노트북 Windows7 중국Lenovo( )

차축 진동가속도계는 차축 위치에 횡 축 및 연직 축 방향으로 진동가속도를 측정할 수 y( ) z( )

있도록 차축위치에 마운트를 고정하여 횡 축 연직 축 방향 축 진동가속도계 를 개 y( ) , z( ) 1 (50g) 2

Page 16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0 -

설치하였다 대차진동가속도계는. 대차 상단 위치에 횡 축 및 연직 축 방향으로 진동가속 y( ) z( )

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대차 상단에 마운트를 고정하여 축 진동가속도계 개를 설치1 (10g) 2

하였다. 차체 진동가속도계는 열차의 객실내부 바닥에 종 축 횡 축 및 연직 축 방향으 x( ) , y( ) z( )

로 진동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객실내부 바닥에 마운트를 고정하여 축 진동가속도계3 (2g)

개를 설치하였다 차량의 주행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차량내부에 수신기와 차륜에 반사테1 . GPS

이프 및 광센서를 이용한 타코메터 광센서 를 설치하여 측정위치의 위도 경도 속도 및 ( ) , , KP

등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림 차축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 3-4-16

그림 대차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 3-4-17

그림 차체 진동가속도계 설치위치3-4-18

그림 및 타코메터 부착위치3-4-19 GPS

그림 센서 및 데이터로거 설치광경3-4-20

Page 16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1 -

나 신호처리 방법 및 평가기준( )

철도차량의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평가하는 방법 및 절차

는 및 선로유지관리지침에 명시되어 있으며 에 규정된 신호처리 후 UIC518, EN12299 , UIC518

규정 및 선로유지관리지침에 따라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평가를 수행하였다EN12299 .

의 신호처리 방법은 정규법 과 간편법 으로 구분되 UIC518 (Normal Method) (Simplified Method)

며 본 연구에서는 탈선계수를 계측하지 않았으므로 간편법에 따라 평가를 수행하였다 차체, .

가속도는 주행안전성평가와 승차감평가에 모두 활용이 되며 이때에 각각의 신호처리 기준은 ,

서로 상이하다.

규정의 평가는 차체의 횡방향 및 연직방향 축 진동가속도 EN12299 Continuous comfort y( ) z( )

결과를 초 단위로 평균하여 얻어진 결과값을 이용하여 승차감을 평가하였고 얻어진 초 평5 5

균 데이터를 하여 분 데이터의 값에 해당되는 결과도 같이 도출하였RMS 5 95% Mean Comfort

다 선로유지관리지침 횡가속도 평가시 보수기준 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초과개소를 파. (AV)

악하였으며 이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최대 진동값이 어느 정도의 관리단계 수준인지를 명시

하였다 표 표 에 에 규정된 신호처리 방법 및 허용기준을 각각 나타내. 3-3-17 3-3-19 UIC518∼

었다.

표 에 규정된 신호처리 방법3-3-17 UIC518

구 분

Cutoff Frequency (Hz)

비 고

Normal Method Simplified Method

횡 압 이상LP 20Hz -이상 이동평균2m

샘플링0.5m

탈선계수 이상LP 20Hz -이상 이동평균2m

샘플링0.5m

대차 가속도(safety) LP 10Hz 횡방향 : LP 10Hz

차체 가속도 (safety) 횡방향 : LP 6Hz횡방향 : LP 6Hz

연직방향 : BP 0.4~4Hz

차체 가속도(Running behavior) BP 0.4~10Hz BP 0.4~10Hz

주) 1. LP : LowPass Filtering, 2. BP : BandPass Filtering

표 평가기준3-3-18 Continuous Comfort (EN12299)

승차감 기준 안락도

0.2 < Very Comfortable

0.2 ≤ 0.3 < Comfortable

0.3 ≤ 0.4 < Medium

0.4 ≤ Less Comfortable

주) 차체 횡방향 가속도 평균값 : , 차체 연직방향 가속도 평균값 :

Page 16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2 -

표 선로유지관리지침 횡가속도 허용기준3-3-19

관리단계횡가속도 한계값

(m/s2)

준공기준(CV)

Construction Value건설 후 요구되는 값

ATc 0.8≤

ATb 2.5≤

목표기준(TV)

Target Value다른 경우

ATc 1.0≤

ATb 3.5≤

주의기준(WV)

Warning Value

이 값의 의미 :

-결함의 원인 및 특성의 확인

-줄맞춤 결과의 감시

1.0 < ATc 2.5≤

3.5 < ATb 6.0≤

보수기준(AV)

Action Value

다음의 최대 한계시간 안에 수행되어야 하는 유지보수운영에 필요한 값

- 일불안정한 구간15 ( )

- 개월그 외의 구간1 ( )

ATc > 2.5

ATb > 6.0

속도제한기준(SV)

Speed Reduction

Value

속도감속을 의미하는 값

속도제한 = 230 /h2.8 ATc 3.0≤ 〈

8.0 ATb 10.0≤ 〈

속도제한 = 170 /hATc 3.0≥

ATb 10.0≥

속도제한 < 160 /h 관리 안됨

주 차체 횡가속도차체가속도의 기준선과 의 차) ATc : ( Peak )

대차 횡가속도차체가속도의 기준선과 의 차 ATb : ( Peak )

진동가속도 분석결과 그래프 작성시 축은 정읍 익산구간 값으로 작성하여 주행안전성 x - KP

및 승차감 기준을 초과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참조( 3-4-21 ).

구 분 내 용 비 고

Speed(km/h)①

차륜에 광센서를 이용한 타코메터 결과를 이용하여

및 차량의 속도 분석KP

Comfort_N_MV(m/s② 2

) 분간 데이터를 한 결과Continuous Comfort 5 RMS

C③ CZ(m/s2

) 축 초 평균 데이터z Continuous Comfort(5 ) 승차감

Body_Z④ q(m/s2

) 기준 신호 처리된 차체 축 진동가속도UIC518 z

Bogie_Z(m/s⑤ 2

) 기준 신호 처리된 대차 축 진동가속도UIC518 z

C⑥ CY(m/s2

) 축 초 평균 데이터y Continuous Comfort(5 ) 승차감

Body_Y⑦ q(m/s2

) 기준 신호 처리된 차체 축 진동가속도UIC518 y 주행안전성

Bogie_Y⑧ s(m/s2

) 기준 신호 처리된 대차 축 진동가속도UIC518 y 주행안전성

그림 진동가속도 분석결과 그래프 일례3-4-21

Page 16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3 -

표 현장계측 항목 및 시험일자3-4-20

차 수 시험일자 시험열차 계측구간 계측항목

차1 2017. 04. 28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2 2017. 05. 12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3 2017. 05. 19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4 2017. 06. 09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5 2017. 07. 02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6 2017. 07. 22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차7 2017. 08. 11 KTX익산 정읍→

정읍 익산→

차축 대차 차체 진동가속도, ,

위치정보수집 타코메터(GPS, )

승차감 분석결과①

규정에 따른 차체 횡 및 연직 진동가속도를 이용한 승차감 분석결과 횡가속도는 EN12299 ,

최대 0.12m/sec2

연직가속도는 최대 (Very Comfortable), 0.41m/sec2

것으로 나타났다(Medium) .

차체 횡가속도 차체 연직가속도(a) (b)

그림 규정 승차감 분석결과3-4-22 EN12299

표 규정 승차감 분석결과3-4-21 EN12299

단위 ( : m/sec2

)

차 수 계측구간 횡방향( 최대치) 연직방향( 최대치) 비고

차1

익산 정읍→ 0.08 0.27

정읍 익산→ 0.10 0.36

차2

익산 정읍→ 0.09 0.32

정읍 익산→ 0.11 0.37

차3

익산 정읍→ 0.10 0.33

정읍 익산→ 0.11 0.34

차4

익산 정읍→ 0.12 0.38

정읍 익산→ 0.11 0.41

차5

익산 정읍→ 0.10 0.28

정읍 익산→ 0.10 0.37

차6

익산 정읍→ 0.11 0.25

정읍 익산→ 0.11 0.30

차7익산 정읍→ 0.11 0.24

정읍 익산→ 0.12 0.25

Page 16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4 -

주행안전성 분석②

선로유지관리지침에 따른 횡가속도 분석결과 대차에서 최대 , 2.67m/sec2

목표기준 이내 차( ),

체에서 최대 0.64m/sec2

준공기준 이내 인 것으로 나타나 보수기준 이내의 결과가 확인되었다( ) .

대차 횡가속도 차체 횡가속도(a) (b)

그림 선로유지관리지침 기준 횡가속도 분석결과3-4-23

표 선로유지관리지침 기준 횡가속도 분석결과3-4-22

단위 ( : m/sec2

)

차 수 계측구간 대차 최대 횡가속도 차체 최대 횡가속도

차1익산 정읍→ 1.86 0.27

정읍 익산→ 1.64 0.43

차2익산 정읍→ 1.85 0.33

정읍 익산→ 2.10 0.49

차3익산 정읍→ 2.24 0.35

정읍 익산→ 2.40 0.49

차4익산 정읍→ 2.34 0.43

정읍 익산→ 2.67 0.64

차5익산 정읍→ 1.50 0.30

정읍 익산→ 2.20 0.42

차6익산 정읍→ 1.84 0.35

정읍 익산→ 2.02 0.55

차7익산 정읍→ 1.80 0.44

정읍 익산→ 2.06 0.55

호남고속선 정읍 익산 구간에 대하여 차량의 차축 대차 및 차체에 진동가속도계를 설 ~ KTX ,

치하고 회에 걸쳐 현장계측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계측결과는 기준 신호7 . UIC518

처리 후 규정 및 선로유지관리지침에 의거하여 승차감 및 주행안전성을 분석하였으EN12299

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차량 진동가속도 분석결과3-4-23

구 분익산 정읍-

하선( )

정읍 익산-

상선( )판 정

승차감 분석

(EN12299)

횡방향 0.08 ~ 0.12 0.10 ~ 0.12 Very Comfortable

연직방향 0.24 ~ 0.38 0.25 ~ 0.41Medium ~

Comfortable

횡가속도 분석

선로유지관리지침( )

대차 0.15 ~ 2.34 1.64 ~ 2.67 목표기준 이내(TV)

차체 0.27 ~ 0.44 0.42 ~ 0.64 준공기준 이내(CV)

Page 16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5 -

1. 해무차량 안전 계측 시스템 (HEMU-430X)

가 차량 안전계측 시스템 개요 .

차세대고속열차 의 안전계측시스템은 각 차량마다 계측장치를 분산화 하여 데 (HEMU-430X)

이터를 수집하고 전체적인 계측시험에 대해 총괄적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

로써 차량계측장치 팬터계측장치 모니터링장치 통신계측장치 영상장치 중앙제어장치 전원, , , , , ,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남고속선 테스트베드 시운전시 지상 계측시스템과 차상 계.

측시스템과의 동기화를 위하여 의 계측시스템과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HEMU-430X HEMU

정밀위치검측시스템과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목적으로 분산화 된 계측시스템 네트워크에

정밀위치검측시스템과 데이터 동기화화한 모듈을 별도의 통신계측장치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추가구성 하여 정밀위치검측시스템의 시간데이터를 통해 전체계측 데이터의 시간동기화를 위

한 동기화 기능 모듈 및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

그림 차세대고속열차 계측시스템 구성도3-4-24

나 동기화 시스템 구조 및 기능 .

동기화 시스템 구조(1)

분산화 된 계측시스템 네트워크에 정밀위치검측시스템과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모듈을 동

일한 네트워크에 추가 구성하여 별도의 통신계측장치로 차량에 설치된 스위칭 허브에 연M2

결하여 구성한다 정밀위치검측시스템과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모듈을 라고 명명하고 . GPS-KP

다른 차량용 계측장치들과 동일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Page 16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6 -

그림 계측 시스템 추가 개념도3-4-25

동기화 시스템 주요 기능(2)

모듈도 다른 차량용 계측장비와 동일하게 중앙제어장치에 제어 하는 계측 시작 GPS-KP

저장 저장종료 각 시점을 동일하게 제어 하며 장비 동작 상태 여부를 (START), (Save), (Stop)

중앙제어장치 프로그램에 현시되도록 한다.

정밀위치검측장치와의 통신 및 동기화TCP/IP

중앙제어프로그램 동기 저장 계측/

중앙제어프로그램 동기화 모듈 동작 상태 모니터링 통신

다 동기화 모듈 사양 및 기능 .

차상 계측 시스템 동기화 모듈 사양(1)

표 차상 계측 시스템 동기화 모듈 사양3-4-24

Page 16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7 -

그림 동기화 모듈 사진3-4-26

동기화 모듈 기능(2)

정밀위치검측시스템 통신Ethernet (TCP/IP)

중앙제어장치 연결

계측 시간 동기화

라 동기화 모듈 현장 설치.

차량 계측 시스템 설치 적용(1) HEMU-430X M2

동기화 모듈 를 차량의 계측 시스템 내부 공간에 추가하여 그림 GPS-KP HEMU-430X M2

과 같이 설치를 완료하였다3-4-27 .

그림 동기화 모듈 설치 차량 계측시스템 내부3-4-27 (M2 )

설치 구성(2) GPS-KP

그림 차량 내부 구성도 추가3-4-28 M2 (GPS-KP )

차량 내 내부에 장비 설치 후 번의 스위칭 허브와 네트워크를 M2 Rack 1 GPS-KP Rack 2

연결 하고 위치 검측 과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결선하여 설치 완료하였다Rack .

Page 16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8 -

마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1)

가 통신계측 프로그램은 기존 계측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기반 기반에서 설치 ( ) Window OS

및 운영되어야 한다.

나 정밀위치검측장치에서 수신되는 가 기존 종합계측시스템과 동기화되도록 프로그램이 ( ) data

구성하며 저장되는 은 기존 계측시스템과 완벽하게 호환한다, data file format .

다 통신계측 프로그램은 정밀위치검측장치에서 로 수신되는 를 기존계측시스템의 ( ) 10Hz data

인 로 저장되도록 기능을 가진다sampling rate 1000Hz data interpolation .

라 기존 계측시스템의 프로그램은 통신계측시스템을 인식한다( ) .

마 통신계측모듈 및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장된 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 ) data post

및 분석 프로그램과 호환되도록 한다processing .

전체 프로그램 개발 (2)

가 중앙제어장치 프로그램 기능 추가( )

그림 중앙제어 장치 프로그램 수정 화면3-4-29

기본 중앙제어장치 프로그램에 계측장비의 제어 신호부분을 추가하여 기존 계측 GPS-KP

장비와 동일하게 동기화 신호 시작 저장 정지 를 생성하여 동작하도록 프로그램을 추가하였( , , )

계측 차량 선택 항목에 추가GPS-KP

통합 상태 추가Connect GPS-KP

종합 계측 시스템 상태 정보에 추가GPS-KP

통합 계측 및 저장 명령 신호에 추가GPS-KP

Page 16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49 -

나 프로그램 작성( ) GPS-KP

그림 메인 계측화면3-4-30 GPS-KP

2. 테스트베드 구간 본선시운전시험

차세대고속열차 운행을 위한 관련 기관 협의 결과 본선시운전시험 방안에 따라 년 월 2017 1

일 본선시운전시험을 수행하였다 최초 시험은 오송 영곡 구간 에서 주행 사황 8 . , 200km/h ↔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안전성 확인 이후 호남고속선은 광주송정까지시운전 구간을 확대하였,

다 테스트 베드 총 시운전 시험 현황은 표 와 같다. 3-4-25 .

표 정읍 익산구간 본선 시운전 현황3-4-25 -

회수 일 시 구 간 비고

1 월 일1 16 오송 정읍 익산 정읍 오송

2 월 일2 06 오송 광주송정

3 월 일2 07 광주송정 오송 광주송정 오송 주간

4 월 일2 27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5 월 일3 20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6 월 일3 27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7 월 일4 03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8 월 일4 10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9 월 일4 21 광주송정 익산 모암 오송IEC 분기기통과

10 월 일5 06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11 월 일5 08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12 월 일5 14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13 월 일5 15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14 월 일 5 21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15 월 일 5 22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16 월 일5 24 오송 광명 광주송정 오송

17 월 일5 28 오송 모암 오송IEC 분기기통과

18 월 일7 24 광주송정 오송 층고속열차2

19 월 일7 26 오송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층고속열차2

20 월 일7 27 광주송정 오송 층고속열차2

21 월 일 8 13 오송 모암 광주송정IEC

22 월 일 8 14 광주송정 익산 오송

23 월 일 8 20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Page 17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0 -

가 측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가공 및 추출 분류( ) /

계측데이터의 구성①

계측 데이터는 호차와 에서 매달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차상 가속 KTX 36 Logger 1000k

도 데이터와 궤도틀림 데이터이다 호차에서 측정한 원데이터 는 차체 축. KTX 36 (Raw Data) (3 ;

대차 축 윤축 축 의 진동가속도와 속도 및 위치 데이터로 구X, Y, Z), (2 ; Y, Z), (2 ; Y, Z) (KP, GPS)

성된다 에서 측정된 궤도틀림 원데이터 는 기준 거리 속도 궤간틀. Roger 1000k (Raw Data) KP , ,

림 줄틀림 면틀림 고저틀림 캔트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 , , .

취득 데이터 추출을 통한 분석 Roger1000K TQI ②

로 취득한 궤도 틀림데이터를 이용하여 궤도품질지수 를 산정하였음 이는 Logger 1000K (TQI) ,

각 틀림 데이터를 표준편차 방법으로 구한 것으로서 지수와 동일한 방법이다 지UK . UK SD

수는 궤도 품질 매개 변수와 연관된 개의 표준 편차 7 σi 로 구성되며 식 = 1, 2, ..., 7

과 같이 궤도 세그먼트 국내 기준 에 대한 매개 변수의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다3-4-1 ( 200m ) .

지수가 클수록 궤도의 품질은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3-4-1)

(3-4-2)

여기서 는 품질 매개 변수의 표준 편차 는 궤도 세그먼트의 번째 샘플링 지점 i (mm), xij j σ

에서 매개 변수의 측정값 은 궤도 세그먼트의 샘플링 지점수이다 영국 호주 등의 궤(mm), n . ,

도 품질 지수는 지수와 유사하다 기준 세그먼트의 길이가 다르다SD . .

국외에서 지수와 외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궤도 품질지수는 지수이다 UK SD FRA TGI .

는 궤도 세그먼트의 품질 매개 변수에 대한 측정값과 이론값의 길이차 를 사용하여 식 TGI Li

24 월 일8 21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25 월 일8 27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26 월 일9 09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27 월 일9 10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28 월 일 9 11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29 월 일9 17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30 월 일9 18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31 월 일9 21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32 월 일9 24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33 월 일9 25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34 월 일9 29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35 월 일9 30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36 월 일 10 14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37 월 일10 15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38 월 일 10 16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오송 대전IEC IEC

39 월 일11 26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40 월 일11 28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41 월 일12 03 오송 모암 익산 모암 익산 광주송정IEC IEC

42 월 일12 04 광주송정 익산 모암 익산 모암 오송IEC IEC

Page 17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1 -

과 같이 궤도 세그먼트의 품질을 정량화한다 가 클수록 트랙 세그먼트의 품질이 나3-4-3 . TGI

빠진다.

(3-4-3)

(3-4-4)

여기서, Li는 궤도 세그먼트의 품질 파라미터에 대한 측정값과 이론값의 길이 차, L0은 궤

도 세그먼트의 길이, yj는 궤도 세그먼트상의 번째 샘플링 위치j

정읍 익산 구간에서 측정한 궤도 틀림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표준편차 방식과 - FRA TGI

지수를 구하여 각각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림 는 동일 구간의 줄 . 3-4-31

틀림에 대한 지수와 지수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대부분 유사한 패턴의 궤도UK SD FRA TGI .

품질지수를 보이지만 약 구간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122~123 km .

그림 은 동일 구간의 고저 틀림에 대한 국내 지수와 지수를 비교하였 3-4-31 TQI FRA TGI

다 값의 편차는 있지만 대부분 유사한 패턴의 궤도품질지수를 보이고 있으며 표준편차 . TQI ,

방식이 방식보다 전반적으로 적게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FRA .

10

8

6

4

2

0

Lev

el T

QI

1801751701651601551501451401351301251201151101051009590

KP

SD_Korail FRA

그림 지수와 지수 비교3-4-31 TQI FRA TGI

거리 공간주파수 해석을 통한 이상개소 추출기능③

푸리에 변환은 신호처리에 있어 가장 널리 쓰이는 강력한 기법으로서 계측된 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 성분을 갖는 여러 개의 정현파로 나누는 방법이다 이러한 변환기법은 계측된 신.

호의 총 주기 내에서 평균적인 주파수 특성을 평가하게 되므로 시간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신호에 대해서는 시간 정보를 손실하게 된다 즉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 특성.

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호의 시간 정보 .

및 주파수 정보를 동시에 능동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시간 주파수 해석 기법이 도입되었다-

(Gabor, 1946; Santamarina & Fratta, 1998; etc.).

시간 주파수 해석 기법은 기법 중 을 사용하 - Wavelet Short-Time Fourier Transform(STFT)

였다 는 시간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시간 대역별로 윈도우 함수를 적. STFT

용하여 구간화 및 필터링된 함수를 얻고 그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는 윈도우 함수가 적용된 영역의 신호에 대한 주파수 성분만을 구하게 되고 윈도우 함STFT

수 시간대역을 옮겨감으로써 시간에 따른 주파수 성분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

윈도우 폭의 결정은 시간 주파수 해석의 중요한 요소이다- .

Page 17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2 -

윈도우의 폭이 좁을수록 신호의 국부적인 주파수 특성만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윈도우내에 포함된 시간 신호 정보의 양 및 주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주파수 해상도가 감소되

는 경향을 나타낸다 반면 윈도우 폭이 넓을수록 평가하는 시간의 대역이 늘어남으로 국부적.

인 시간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반면 주파수의 해상도는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시간 영역을 거리 위치 영역으로 변환하여 처리 후 공간주파수 를 획 ( ) FFT (Spatial Frequency)

득하였다 또한 시간 주파수 해석 기법을 이용한 거리 공간주파수 해석을 실시하여 . - - Wavelet

변환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철도 차량에 부착된 가속도센서로 획득한 진동 신호를 및 . FFT

변환하는 절차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Wavelet .

그림 및 변환3-4-32 FFT Wavelet

차상 가속도와 궤도틀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리영역 해석 공간주파수 영역 해석을 수행하 ,

였고 측정된 신호의 총 주기에 대하여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 중심에서 32 ~ 1024 256

개의 윈도우 데이터 포인트에 대하여 거리 공간주파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거리 공간주파수 - . -

해석으로 획득되는 파워스펙트럼 밀도 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의 (Power Spectral Density)

변화율을 나타낸다 스펙트럼 밀도함수는 전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영역 신호의 평균 제곱값을 .

적분한 것이며 단위는 단위주파수당 파워를 의미한다, .

lim→∞

(3-4-5)

여기에서, S(f)는 파워스펙트럼 밀도, E는 에너지 기대값, T는 시간, XT(f)는 퓨리에변환 값을

의미한다.

Page 17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3 -

그림 처리 및 변환 순서도 3-4-33 FFT Wavelet

호차에서 계측한 차상가속도 데이터와 에서 계측한 궤도 틀림 데이터 KTX 36 Logger 1000K

의 추출 및 분류를 위하여 그림 와 같이 기반의 는 개발하였다3-4-34 Matlab GUI .

데이터의 추출 및 분류용 의 구성은 크게 부분으로 구성된다 의 구성은 데이터 GUI 4 . GUI ①

추출을 위한 최소최대 구간 설정창 원데이터의 종류 궤도틀림데이터 및 차상가속도 KP , (②

데이터 선택창 데이터 추출 구간의 공간주파수 그래프 데이터 추출 구간의 ) , , Wavelet ③ ④

그래프로 구성된다 공간주파수 는 거리 의 원데이터를 고속푸리에변. (Spatial Frequency) Domain

환 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결과를 (FFT; Fast Fourier Transform) . FFT

의 값으로 표현하였다 변환은 위의 결과와 거리 PSD(Power Spectral Density) . Wavelet FFT

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축의 값을 컬러 컨투어로 나타내어 값Domain z PSD

의 고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의 궤도틀림 데이터는 간격으로 측정되어 이상의 구간단위로 추출 Logger 1000K 25cm 1Km

을 하여야 의 해상도가 좋으며 호차의 차상가속도의 경우 이하의 구간 Wavelet , KTX 36 100m

단위로 추출하여야 의 해상도가 좋다Wavelet .

그림 데이터의 추출 및 분류 3- 4- 34 GUI

Page 17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4 -

지상모니터링을 통한 안정성 및 장기성능 평가4.

가 궤도노반 구조 안정성 및 장기성능 평가.

표준성토노반 궤도 노반 분석(1) /

표 은 표준성토노반 궤도 노반 분석결과이다 표준성토노반을 차량별 3-4-26 / . (KTX, KTX-

산천 산천중련 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의 윤중 최대값 은 , KTX , HEMU) . KTX ( )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72.82kN 36.4% , ( ) kN 5.4%

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은 , ( ) 0.006mm 0.6% , ( )

1.248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산천 호남 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참12.7% . KTX ( ) ( ) 74.76kN

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약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 최37.3% , ( ) 6.91kN 10.1%, (

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 0.015mm 1.5% , ( ) 1.157로 참고기준

치의 약 이다 산천중련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11.8% . KTX ( ) 78.30kN 39.1% ,

횡압 최대값 은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 ) 5.153kN 7.5%, ( ) 0.005mm

준치의 약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0.5%, ( ) 1.644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16.7% . HEMU

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 ) 78.03kN 39% , ( ) 6.67kN

준치의 약 이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이내 진동가속도 최9.8% , ( ) 0.014mm 1.4% , (

대값 는 ) 1.288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분석결과 모두 참고기준치를 만족하13.1% .

였다.

표 표준성토노반 궤도 노반 분석결과3-4-26 /

나 연약지반노반 궤도 노반 분석. /

표 은 연약지반노반 궤도 노반 분석결과이다 연약지반노반을 차량별 3-4-27 / . (KTX, KTX-

산천 산천중련 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의 윤중 최대값 은 , KTX , HEMU) . KTX ( )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94.85kN 47.4% , ( ) 10.12kN

이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14.8% , ( ) 0.052mm 5.2% , ( )

은 0.532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산천 호남 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5.4% . KTX ( ) ( ) 93.117kN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약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46.5% , ( ) 6.16kN 9.0%,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 ) 0.028mm 2.8% , ( ) 0.522로 참고기

윤중최대값( ) 횡압최대값( ) 침하최종값( ) 탄성변위최대값( ) 진동가속도최대값( )

비고

참고기준치 200kN 68kN 30mm 1mm 9.8

KTX 표준 72.820kN 3.684kN 14.050mm 0.006mm 1.248 PASS

KTX

산천

호남( )

표준 74.763kN 6.914kN 13.715mm 0.015mm 1.157 PASS

KTX

산천

중련

표준 78.304kN 5.153kN 14.050mm 0.005mm 1.644 PASS

HE

MU-430

X

표준 78.032kN 6.674kN 13.729mm 0.014mm 1.288 PASS

Page 17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5 -

준치의 약 이다 산천중련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5.3% . KTX ( ) 98.99kN 49.4% ,

횡압 최대값 은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 ) 7.6kN 11.1%, ( ) 0.054mm

치의 약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5.4%, ( ) 0.40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의 윤4.0% . HEMU

중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 ) 81.97kN 40.9% , ( ) 8.80kN

의 약 이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12.9% , ( ) 0.080mm 8.0% , (

값 는 ) 0.41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분석결과 모두 참고기준치를 만족하였다4.2% . .

표 는 연약지반노반 분석결과 시트이다3-4-26

.

표 연약지반노반 분석결과3-4-27

다 접속부노반 궤도 노반. /

표 는 접속부노반 궤도 노반 분석결과이다 접속부노반을 차량별 산 3-4-28 / . (KTX, KTX-

천 산천중련 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의 윤중 최대값 은 , KTX , HEMU) . KTX ( ) 100.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7kN 50.3% , ( ) 7.2kN 10.5%

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 ( ) 0.005mm 0.5% , ( ) 0.19

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산천 호남 의 윤중 최대값 평균은 으로 참고1.9% . KTX ( ) ( ) 114kN

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약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 최대56.9% , ( ) 5.39kN 7.9%, (

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 0.1mm 10.0% , ( ) 0.057로 참고기준치

의 약 이다 산천중련의 윤중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0.5% . KTX ( ) 111.4kN 55.6% ,

압 최대값 은 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 ) 4.08kN 6.0%, ( ) 0.087mm

의 약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8.7%, ( ) 0.77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의 윤중2.7% . HEMU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 횡압 최대값 은 으로 참고기준치의 약 ( ) 88kN 43.9% , ( ) 4.69kN

이내 탄성변위 최대값 는 이고 참고기준치의 이내 진동가속도 최대값 는 6.9% , ( ) 0.075mm 7.5% , ( ) 0.2

63이고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분석결과 모두 참고기준치를 만족하였다2.6% . .

표 접속부노반 분석결과3-4-28

윤중 최대값( ) 횡압 최대값( ) 침하 최종값( ) 탄성변위 최대값( ) 진동가속도 최대값( )비고

참고기준치 200kN 68kN 30mm 1mm 9.8

KTX 접속 100.7kN 7.2kN 6.046mm 0.005mm 0.191 PASS

윤중최대값( ) 횡압 최대값( ) 침하최종값( ) 탄성변위최대값( ) 진동가속도최대값( )

비고

참고기준치 200kN 68kN 30mm 1mm 9.8

KTX 연약 94.851kN 10.119kN 9.270mm 0.052mm 0.532 PASS

KTX

산천

호남( )

연약 93.117kN 6.163kN 10.770mm 0.028mm 0.522 PASS

KTX

산천

중련

연약 98.986kN 7.595kN 9.096mm 0.054mm 0.400 PASS

HE

MU-430

X

연약 81.970kN 8.801kN 10.156mm 0.080mm 0.412 PASS

Page 17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6 -

열차별 궤도노반 응답 특성(4)

그림 는 열차 종류별 윤중 횡압 노반 탄성변위 및 진동을 동일지점 최댓값 대비 백 3-4-35 , ,

분율로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와 같은 이유는 측점개소별로 센서 위치 및 심도가 조금씩 상이.

하기 때문에 물리량으로 서로를 비교하기는 어려워 동일 개소에서 측정된 값의 최댓값에 대

한 비율로 정규화 하여 개소별 및 열차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궤도 윤중의 경우 가 가장 적게 측정되었으며 호남중련이 근소한 차이로 가 HEMU-430X KT-

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횡압의 경우 열차별로 큰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은 이유는 모니터링 . .

측정개소가 직선구간 또는 완화곡선 끝구간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노반 탄성변위의 경우 .

호남 중련이 가장 크게 측정 되었으며 가 가장 작게 측정되었다 노반 진동KTX- HEMU-430X .

은 열차별로 차이는 거의 없으나 호남중련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호남중련이 전KTX- . KTX-

체적으로 윤중이 가장크기 때문에 탄성변위가 가장 컸으며 노반진동 또한 가장 컸다 횡압은 .

측정개소가 곡선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값이 유사하였다.

열차별 윤중(a) 열차별 횡압(b)

열차별 노반 탄성변위(c) 열차별 노반진동(d)

그림 열차별 궤도노반 응답 특성3-4-35

동적할증계수 검토(1)

궤도구조 안정성 검토는 궤도를 구성하는 각 부재 레일 침목 체결구 도상 에 대하여 각각 ( , , , )

의 허용응력을 만족하여야 하고 하나의 구조체로서도 안정성이 확보되어야한다 궤도의 각 , .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열차 수직하중 선로 종 횡하중을 포함하는 수평하중이 있으며 동, · ,

적 충격에 따른 수직 윤하중 는 다음과 같이 적용 해설 한국철도시설공(KR C-14030 2,

KTX

산천

호남( )

접속 113.94kN 5.384kN 6.467mm 0.100mm 0.0251 PASS

KTX

산천

중련

접속 111.36kN 4.08kN 6.045mm 0.087mm 0.266 PASS

HE

MU-43

0X

접속 87.99kN 4.69kN 6.101mm 0.075mm 0.263 PASS

Page 17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7 -

단 하고 있다, 2014) .

× (3-4-6)

여기서 , 정적 유효윤하중 설계 축하중의 : (kN), 1/2 × 1.2, 동적할증계수:

동적할증계수는 식 와 같다3-4-2 .

∙ (3-4-7)

여기서 , : 신뢰도 지수 레일응력 변위 슬래브 기층 응력 ( / , / : 3.0), φ : 궤도품질에 좌우되는

계수이다.

호남테스트베드 개통이후의 열차하중 장기 계측을 통해 얻은 하중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적

할증계수의 분포를 계산하고 설계지침의 동적 할증계수 산정식과 비교하였다 설계지침에서의 .

동적할증계수 관계식은 정규분포를 가정하여 윤중변동 표준편차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구한 것이다.

그림 은 연약지반 구간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통계분석한 결과이다 콘크 3-4-37 .

리트궤도(t=3, 에서 속도에 따른 동적할증계수 보다 대부분으로 낮은값으로 분포되고 있=0.1)

는 것을 알 수 있다 궤도에 작용하는 동적할증계수는 설계지침에서 제시한 동적할증계수.

산정식이 적절하게 동적하중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약지반 표(DAF) . ,

준성토 교대 접속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동적할증계수를 분석한 결과 교대접속부 구간에서 가,

장 큰 동적할증계수가 발생하였으며 모든 구간에서 설계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 값보다 ,

낮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0 100 200 300 4000.9

1

1.1

1.2

1.3

1.4

1.5

278.5~288.5 km/h

← µ = 1.1133

← µ+1σ = 1.1457

← µ+2σ = 1.1781

← µ+3σ = 1.2106

σ = 0.0324

Speed (km/h)

Impact Fact

or (-

)

Data

DAF (t=3, φ = 0.1)

1 1.1 1.2 1.3 1.40

50

100

DAF

µ = 1.113σ = 0.032CV = 2.911%

Normal fit

1 1.1 1.2 1.3 1.40

50

100

DAF

Location paramter = 0.107Scale paramter = 0.028

Log-normal fit

1 1.1 1.2 1.3 1.40

50

100

DAF

Shape paramter = -0.033Scale paramter = 0.026Location paramter = 1.1

GEV fit

그림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 표준성토 구간3-4-36 ( )

Page 17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8 -

그림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 연약지반 구간3-4-37 ( )

0 100 200 300 4000.9

1

1.1

1.2

1.3

1.4

1.5

263.2~273.2 km/h

← µ = 1.1751← µ+1σ = 1.1873← µ+2σ = 1.1995← µ+3σ = 1.2117

σ = 0.0122

Speed (km/h)

Impact Factor (-)

Data

DAF (t=3, φ = 0.1)

1 1.1 1.2 1.3 1.40

10

20

30

40

DAF

µ = 1.175σ = 0.012CV = 1.038%

Normal fit

1 1.1 1.2 1.3 1.40

10

20

30

40

DAF

Location paramter = 0.161Scale paramter = 0.01

Log-normal fit

1 1.1 1.2 1.3 1.40

10

20

30

40

DAF

Shape paramter = -0.479Scale paramter = 0.013Location paramter = 1.172

GEV fit

그림 지상 모니터링 지점에서의 윤중 측정값의 확률분포 교대 접속부 구간3-4-38 ( )

설계기준 검증5.

가 설계기준항목 및 기준치.

표 는 설계기준항목 및 기준치이다 측정항목을 궤도 성토체 강화노반 상부노반 3-4-29 . , ( , ,

하부노반 원지반으로 구분하여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 . UIC719R

우 열차 하중으로 인한 탄성 변위 범위는 일반적으로 사이로 예측하고 있어 별도0.1~0.2mm

로 설계 또는 관리기준을 두지 않는다 에서는 열차의 처짐각을 고려하여 허용치를 . RTRI

로 제시하고 있다 노반에 작용하는 허용압력은 콘크리트궤도 구조 에서 2.5mm . KR-14040( )

허용값을 제시하고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의 노반에 작용하는 허용압력은 식 에 . 3-4-8

의한다.

log

(3-4-8)

Page 17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59 -

노반의 허용압력 : (), 평판재하시험의 두 번째 하중 단계에서 취한 탄성계수: ,

하중 사이클의 반복수 백만 회를 표준 이다: (2 ) .

허용압력은 최댓값을 취해야 한다 콘크리트궤도의 침하 허용 한계치는 레일 체결장치에 의 .

한 고저변위에 대한 조정대를 고려한 기준이다 철도설계기준에서는 교량의 연직가속도 최대.

허용기준은 이다 이 기준은 교량상판이 교각 교대에서 들리는 가능성에 대하여 안전율을 0.5g . /

고려한 값이다 토공노반은 교량과 경계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슬래브의 들림을 고려하여 .

1g(9.8m/s로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

표 설계기준 항목 및 기준치3-4-29

나 장기 측정결과 분석 .

윤하중(1)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의 윤하중 시계열 및 빈도 통계 그래프이다 표준성토 3-4-39 (109k231) ( ) .

노반의 최대 윤중값은 이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110.4kN .

가 제시하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3.10) 200kN 55.2% .

이며 빈도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94.7kN 3 ( 1/370) 104.4kN , 6 ( 1/506,842,372) 114.1kNσ σ

다.

측정항목 센서종류 측정항목 선정근거 관리기준치 관련근거

궤도

윤하중 윤중균열을 고려한 재료의

허용응력200kN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횡하중 횡압균열을 고려한 재료의

허용응력68kN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탄성변위 변위 콘크리트의 허용휨응력 1mm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3.10)

성토체

강호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

토압계 노반압력 에 따른 허용압력

강화노반133.0kPa( )

상부노반88.7kPa( )

하부노반66.5kPa( )

KR C-14040 Rev0 4.(1)

층별침하계,

측량층별침하량

레일체결장치의 고저조

절 최대 허용폭25mm 철도설계기준(2011) 4.3.4

가속도계 진동가속도슬래브의 공진 들림 방

지를 위한 최대진동값9.8m/s

철도설계기준 참고(2011) 8.6.3

원지반 간극수압계 -지하수위 변동으로 인

한 자연침하- -

Page 18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0 -

윤하중 시계열(a) ( ) 윤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표준성토노반 윤하중 3-4-39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윤하중 시계열 그래프이다 연약지반노반의 최대 윤중값은 3-4-40 ( ) .

로 측정되었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가 제시100.1kN . (‘3.10)

하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200kN 15.7% . 92.2kN 3 (σ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다1/370) 106.5kN , 6 ( 1/506,842,372) 122.9kN . σ

윤하중 시계열(a) ( ) 윤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연약지반 윤하중 3-4-40

그림 은 접속부노반 의 윤하중 시계열 그래프이다 접속부노반의 최대 윤중 3-4-41 (120k650) ( ) .

값은 으로 측정되었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111.3kN . (‘3.10)

가 제시하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200kN 55.7% . 101.5kN

빈도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다3 ( 1/370) 118.5kN , 6 ( 1/506,842,372) 135.5kN . σ σ

Page 18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1 -

윤하중 시계열(a) ( ) 윤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접속부 노반 윤하중3-4-41

횡하중(2)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의 횡하중 시계열 그래프이다 표준성토노반의 최대 3-4-42 (109k231) ( ) .

횡하중은 이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가 제시하9.4kN . (‘3.10)

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68kN 13.8% . 4.3kN 3 (σ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다1/370) 12.9kN , 6 ( 1/506,842,372) 21.6kN . σ

횡하중 시계열(a) ( ) 횡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표준성토노반 횡하중 3-4-42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 의 횡하중 시계열 그래프이다 연약지반노반의 최대 3-4-43 (110k000) ( ) .

횡하중은 으로 측정되었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10.5kN .

가 제시하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3.10) 68kN 15.7% . 9.29kN

이며 빈도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다3 ( 1/370) 14.1kN , 6 ( 1/506,842,372) 18.8kN . σ σ

Page 18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2 -

횡하중 시계열(a) ( ) 횡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연약지반노반 횡하중 3-4-43

그림 은 접속부노반 의 횡하중 시계열 그래프이다 접속부노반 최대 횡하중은 3-4-43 (120k650) ( ) .

으로 측정되었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가 제10.3kN . (‘3.10)

시하는 참고기준치 에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68kN 15.1% . 8.9kN 3 (σ

값은 이며 빈도 는 으로 분석되었다 측정개소가 직선구1/370) 17.0kN , 6 ( 1/506,842,372) 25.5kN . σ

간 또는 완화곡선구간이기 때문에 횡압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하중 시계열(a) ( ) 횡하중 빈도통계(b) ( )

그림 접속부 횡하중 3-4-44

노반압력(3)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의 노반압력 시계열 그래프이다 표준성토노반의 최대 노반압력3-4-45 ( ) .

은 로 측정 되었다 관련근거 코드에서 제시하는 참고기준치는 하부노반 상7.8kPa . KR 66.5kPa,

부노반 강화노반 이다 표준성토노반의 강화노반 토압계는 참고기준치 대비 88.7kPa, 133.0kPa .

약 이내 상부노반은 참고기준치 대비 약 이내 하부노반은 참고기준치 대비 약 5.8% , 8.7% , 11%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값은 이며 빈도 . 4.4kPa 3 ( 1/370) 10.5kPa , 6 ( 1/σ σ

는 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화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의 압력에 대하여 506,842,372) 16.6kPa . , ,

안정성이 확보 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림 은 표준성토노반 심도별 노반압력이다 등분. 3-4-46 .

포하중식을 이용하여 그린 추세선과 심도별 노반압력의 추세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8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3 -

노반압력 시계열(a) ( ) 노반압력 빈도통계(b) ( )

그림 표준성토노반 노반압력 3-4-45

그림 표준성토노반 노반압력 심도별3-4-46 ( )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노반압력 시계열 그래프이다 연약지반노반의 최대 노반압 3-4-47 ( ) .

력은 로 측정 되었다 관련근거 코드에서 제시하는 참고기준치는 하부노반 5.7kPa . KR 66.5kPa,

상부노반 강화노반 이다 연약지반노반의 토압계는 강화노반에 위치해 기준88.7kPa, 133.0kPa .

치 대비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값은 이4% . 5.4kPa 3 ( 1/370) 6.8kPaσ

며 빈도 는 로 분석되었다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심도별 노, 6 ( 1/506,842,372) 8.3kPa . 3-4-48σ

반압력이다 등분포하중식을 이용한 추세선을 보아 노반압력은 설계값 이내로 측정된다. .

노반압력 시계열(a) ( ) 노반압력 빈도통계(b) ( )

그림 연약지반 노반압력 3-4-47

Page 18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4 -

그림 연약지반노반 노반압력 심도별3-4-48 ( )

그림 는 접속부노반 노반압력 시계열 그래프이다 접속부노반의 최대 노반압력은 3-4-49 ( ) .

로 측정 되었다 관련근거 코드에서 제시하는 참고기준치는 하부노반 상부6.7kPa . KR 66.5kPa,

노반 강화노반 이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값은 88.7kPa, 133.0kPa . 4.4kPa 3 ( 1/370)σ

이며 빈도 는 로 분석되었다 접속부노반의 토압계는 강화노반에 6.7kPa , 6 ( 1/506,842,372) 9kPa . σ

위치해 참고기준치대비 약 에 해당한다 따라서 강화노반압력에 대하여 안정성이 확보 되5% .

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림 은 접속부노반의 심도별 노반압력 그래프이다 등분포하중식. 3-4-50 .

을 적용한 추세선과 비교해보면 노반압력이 설계값 이내로 측정되었다.

노반압력 시계열(a) ( ) 노반압력 빈도통계(b) ( )

그림 접속부노반 노반압력3-4-49

그림 접속부노반 노반압력 심도별3-4-50 ( )

Page 18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5 -

진동가속도(4)

그림 은 표준성토노반 진동가속도 시계열 그래프이다 표준성토노반의 최대 진동가3-4-51 ( ) .

속도는 1.7로 측정되었다 노반의 허용 진동치는 철도설계기준과 에서는 제시하. KR-CODE

고 있지 않는다 다만 철도설계기준에서는 교량의 연직 가속도 허용 기준을 . 0.5g(4.9 로 )

제시하고 있다 토공 노반의 경우 교량과 경계조건이 교량과 상이하기 때문에 . 9.8로 참고

치를 설정하였다 표준성토노반은 설정 참고치 대비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 17.3% .

값은 0.89이며 빈도 값은 3 ( 1/370) 1.8σ 이며 빈도 는 , 6 ( 1/506,842,372) 2.7σ 로 분석되

었다.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의 심도별 진동가속도 그래프이다3-4-52 .

진동가속도 시계열(a) ( ) 진동가속도 빈도통계(b) ( )

그림 표준성토노반 진동가속도3-4-51

그림 표준성토노반 진동가속도 심도별3-4-52 ( )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진동가속도 시계열 그래프이다 연약지반노반의 최대 진동 3-4-53 ( ) .

가속도는 1.1으로 측정되었다 노반의 허용 진동치는 철도설계기준과 에서는 제. KR-CODE

시하고 있지 않는다 설정한 참고기준치 . 9.8 대비 약 이내에 해당된다 통계분석결 11.2% .

과 대푯값은 0.65이며 빈도 값은 3 ( 1/370) 1.14σ 이며 빈도 는 , 6 ( 1/506,842,372) 1.64σ

로 분석되었다 그림 는 연약지반노반의 심도별 진동가속도이다 열차 진동은 원지. 3-4-54 .

반 까지 전달됨을 알 수 있었다.

Page 18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6 -

진동가속도 시계열(a) ( ) 진동가속도 빈도통계(b) ( )

그림 연약지반노반 진동가속도3-4-53

그림 연약노반 진동가속도 심도별3-4-54 ( )

그림 는 접속부노반의 진동가속도 시계열 그래프이다 접속부노반의 최대 진동가속 3-4-55 ( ) .

도는 3.4으로 측정되었다 설정 참고기준치인 . 9.8대비 약 에 해당한다 통계분석34.6% .

결과 대푯값은 1.27이며 빈도 값은 3 ( 1/370) 4.97σ 이며 빈도 는 , 6 ( 1/506,842,372) 8.66σ

로 분석되었다 그림 은 접속부노반의 심도별 진동가속도 그래프이다 접속부 구간. 3-4-56 .

의 강화노반이 진동가속도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진동가속도 시계열(a) ( ) 진동가속도 빈도통계(b) ( )

그림 접속부노반 진동가속도3-4-55

Page 18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7 -

그림 접속부노반 진동가속도 심도별3-4-56 ( )

탄성변위(5)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탄성변위 시계열 그래프이다 표준성토노반의 탄성변위는 3-4-57 ( ) .

망실로 인해 측정이 되지 않았다 연약지반노반의 최대 탄성변위는 이다 관련근거 호. 0.12mm .

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의 참고기준치 대비 연약지반노반의 탄성(‘3.10)

변위는 참고기준치의 약 에 해당한다 에서는 열차 하중으로 인한 탄성 변위 범12% . UIC 719 R

위는 일반적으로 사이로 예측하고 있다 탄성변위에 대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0.1~0.2mm .

으로 평가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값은 이며. -0.05mm 3 ( 1/370) 0.053mm , 6σ σ

빈도 는 로 분석되었다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심도별 탄성변위 ( 1/506,842,372) 0.16mm . 3-4-58

그래프이다 참고기준치대비 전 구간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탄성변위 시계열(a) ( ) 탄성변위 빈도통계(b) ( )

그림 연약지반노반 탄성변위3-4-57

그림 연약지반노반 탄성변위 심도별3-4-58 ( )

Page 18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8 -

그림 는 접속부노반의 탄성변위 시계열 그래프이다 접속부노반의 최대 탄성변위는 3-4-59 ( ) .

이다 관련근거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운영 계획 시험절차 의 참고기준치 대0.18mm . (‘3.10)

비 접속부노반은 참고기준치의 약 이내이다 에서는 열차 하중으로 인한 탄성 18% . UIC 719 R

변위 범위는 일반적으로 사이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토공노반은 탄성변위에 대0.1~0.2mm .

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통계분석결과 대푯값은 이며 빈도 . -0.05mm 3 (σ

값은 이며 빈도 는 로 분석되었다 그림 은 접1/370) 0.082mm , 6 ( 1/506,842,372) 0.22mm . 3-4-60σ

속부노반의 심도별 탄성변위 그래프이다 깊이별 탄성변위는 구간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 TCL

다.

탄성변위 시계열(a) ( ) 탄성변위 빈도통계(b) ( )

그림 접속부노반 탄성변위3-4-59

그림 접속부노반 탄성변위 심도별3-4-60 ( )

침하(6)

그림 은 표준성토노반의 침하량 시계열 그래프이다 측정 단계 년 침하값은 3-4-61 ( ) . 1 (‘14 )

원지반상단 은 상부노반상단 는 강화노반상단 은 SSK-01( ) 5.88mm, SSK-02( ) 4.46mm, SSK-03( )

로 측정되었었다 측정 단계 침하값은 원지반상단 은 상부-5.65mm . 2 SSK-01( ) -8.14mm, SSK-02(

노반상단 은 은 로 측정되었다 의 추가 침하량은 ) -10.81mm, SSK-03 -13.73mm . SSK-01 2.26mm,

강화노반상단 는 은 의 추가 침하가 이루어졌다 참고기SSK-02( ) 6.35mm, SSK-03 5.16mm .

준치 에 비해 최대 약 로 측정되었다 그림 은 표준성토노반의 심도별 -25mm 38.7% . 3-4-61

침하량이다 침하량은 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심도가 깊어질수록 침하 .

진행이 느린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8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69 -

그림 표준성토노반 침하량 시계열3-4-61 ( )

그림 표준성토노반 침하량 심도별3-4-62 ( )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은 침하량 시계열 그래프이다 측정 단계 구간의 침하량은 3-4-63 ( ) . 1

원지반상단 은 치환체상단 는 강화노반상단 은 SSK-01( ) -1.53mm, SSK-02( ) -2.16mm, SSK-03( )

로 측정되었다 측정 단계 침하량은 원지반상단 은 치환체-1.14mm . 2 SSK-01( ) -6.75mm, SSK-02(

상단 는 강화노반상단 은 로 측정되었다 각 추가 침하량은 ) -8.76mm, SSK-03( ) -9.24mm . SSK-01

원지반상단 은 치환체상단 는 강화노반상단 은 로 측정( ) 5.22mm, SSK-02( ) 4.59mm, SSK-03( ) 8.1mm

되었다 참고기준치 에 비해 최대 약 로 측정되었다 그림 는 연약지반노반. -25mm 36% . 3-4-64

의 심도별 침하량 그래프이다 심도별 침하량은 층이 강화노반 하부노반에 비해 침하량. TCL ,

이 다소 크게 발생하였다.

그림 연약지반노반 침하량 시계열3-4-63 ( )

Page 19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0 -

그림 연약지반노반 잔류침하량 심도별3-4-64 ( )

그림 은 접속부노반 잔류침하량 시계열 그래프이다 단계 측정시 최대침하량은 3-4-65 ( ) . 1

였으나 단계 측정시 최대 침하량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더 이상 추가침하가 발생되지 7.8mm 2 .

않고 수렴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 3.4.53는 접속부노반의 심도별 침하량 그래프이다 그림 .

3-4-64의 는 교량 접속부 구간 는 접속부 토공구간이다 단계 측정이후 추가침하는 (a) - , (b) . 1 (a)

구간의 층 침하는 어프로치슬래브는 흙채움부는 로 측정되었다TCL 3.06mm, 4.54mm, 3.41mm .

구간의 층 침하는 강화노반 침하는 하부노반 침하는 로 측정되(b) TCL 3.88mm, 4.26mm, 2.6mm

었다 침하량은 구간 유사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접속부의 심도별 침하 특징은 원지반 . (a), (b) .

침하가 주요하게 진행되어 지표침하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접속부노반 잔류침하량 시계열3-4-65 ( )

교량 접속부 구간(a) - 접속부 토공구간(b)

그림 접속부노반 침하량 심도별3-4-66 ( )

Page 19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1 -

표 은 층별 침하량 분석표이다 분석표는 년 월 기준 개통후 년을 기준으로 3-4-30 . ‘18 1 2.8

분석되었다 원지반 침하와 성토체 압축은 지속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성토체. .

와 치환체 도 침하되기 때문에 설계시 침하검토(s=5.6mm, H=11.8m) (s=2.0mm, H=11.2m)

를 하여야한다.

표 층별 침하량 분석3-4-30

표 은 모니터링 위치별 잔류침하량 비교표이다 표준성토노반은 의 설계 3-4-31 . DIN4019

침하량은 현재 침하량은 이다 연약지반노반은 설계침하량은 현재 32.6mm, 26.7mm . 23.9mm,

침하량은 이다 접속부노반은 설계침하량은 현재 잔류침하량은 이다14.2mm . 17.4mm, 9.3mm .

그림 은 를 이용한 침하산정시트이다3-4-66 DIN0419 .

표 모니터링 위치별 잔류침하량 궤도부설 후 비교3-4-31 ( )

구분 STA 층두께(m) 절대침하량(mm) 층별압축량(mm) 비고

표준성토노반

(109k231)

강화노반 0.4 13.72.9 성토체압축량: 5.6mm (H =

11.8m)상부노반 2.2 -

하부노반 9.2 10.8 2.7

원지반(N>10) 21 8.1 8.1원지반침하량: 8.1mm

(H=21m)

연약지반노반

(110k000)

강화노반 0.4 9.2

0.5성토체압축량: 0.5mm

(H=4.7m)상부노반 4.3 -

하부노반 0 -

치환체 11.2 8.7 2.0치환체압축량: 2.0mm

(H=11.2m)

원지반(N>10) 9.8 6.7 6.7원지반침하량: 6.7mm

(H=9.8m)

접속부노반교대(

토공부)

(120k650)

어프로치슬래브 0.5 - -

뒷채움 7.5 5.3 0.8교대뒷채움압축량:

0.8mm(H7.5m)

원지반(N>10) 13.7 6.1 6.1원지반침하량:

6.1mm(H=13.7m)

접속부노반

토공부( )

(120k650)

강화노반 0.5 6.0

1.8성토체압축량: 1.8mm(H=

8.0m)상부노반 2 -

하부노반 5.5 -

원지반(N>10) 13.7 4.2 4.2원지반침하량:

4.2mm(H=13.7m)

실시설계

DIN4019

(Cv=0.03)

궤도구축후 최종( ~ )

지표면측량

궤도구축후( ~’14.05)

계측모니터링

(‘14.05~’18.01)

측량TCL

현재(‘15.04~ )비고

표준성토

노반

-mm

검토없음( )

32.6mm

(109k231)

13mm

(109k190)

26.7mm

(13+13.7mm)

(109k231)

33mm

( 10mm)

(109k230)

연약지반

노반

-mm

치환공법( )

23.9mm

(110k000)

5mm

(110k030)

14.2mm

(5+9.2mm)

(110k000)

21mm

( 10mm)

(109k997)

접속부

노반

-mm

치환공법( )

17.4mm

(120k650)

4mm

(110k660)

9.3mm

(4+5.3mm)

(120k650)

14mm

( 7mm)

(120k653)

Page 19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2 -

표준성토노반(a) 연약지반노반(b) 접속부노반(c)

그림 를 이용한 침하산정시트3-4-67 DIN4019

원지반 측방변위(7)

그림 은 연약지반노반의 원지반 측방변위 그래프이다 원지반의 측방변위는 개통 후 3-4-68 .

가 발생하였다 이 같은 이유는 원지반 침하가 발생되는 경우 측방변위도 함께 발생되8.9mm .

기 때문이다 측방변위가 발생되면 노반의 사면 안정성이 저하되며 원지반에 말뚝이 있으면 .

말뚝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또한 교대에까지 측방변위가 전파될 경우 교량 슈에도 좋.

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림 연약지반노반 측방변위 심도별3-4-68 ( )

다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노반 성능영향 평가.

개요(1)

본 장에서는 장기 침하에 따른 노반의 탄성변위진동 등의 상관성 분석 및 성능영향 평가,

장기 침하에 따른 궤도의 윤중 처짐 등의 상관성 및 성능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침하가 발, .

생되면 일반적으로 궤도 틀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충격계수가 커져 궤도 및 노반에 악영향

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ge 19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3 -

장기침하에 따른 탄성변위 변화량(2)

그림 는 장기침하에 따라 열차하중에 대한 노반의 탄성 변위 대푯값을 정규화하여 3-4-69

도시한 그래프이다 단계 측정에서는 잔류침하가 진행되고 있는 단계로 점진적으로 정규화 . 1

침하폭이 감소하고 있으며 개통 후 점진적으로 탄성변위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 .

세분석결과 침하가 수렴될 때까지 최대 의 노반탄성변위가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57.7% .

이유는 노반 침하가 진행됨에 따라 지반강성이 상승하여 열차하중에 대한 지반 응답 변위가

작아져서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통초기에서 탄성변위가 가장 크며 개통 후 열차 반.

복하중에 의한 성토체 압축 성토체 크리프 등이 발생되어 추가로 탄성변위가 발생되지 않게 ,

됨으로써 안정화되어 탄성변위도 수렴된 것으로 추측될 수 있다.

그림 장기침하에 따른 탄성변위 변화량3-4-69

장기침하에 따른 노반진동가속도 변화량(3)

그림 은 장기침하에 따른 노반진동 변화량을 정규화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개통 3-4-70 .

후 장기침하가 진행되어 가면서 탄성변위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추세분석결과 침하가 진행됨.

에 따라 노반진동의 변동량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반 진동은 및 층을 . TCL HSB

통과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열차속도 궤도 구조가 변하지 않는 이상 노반 진동이 크게 변하지 ,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장기침하에 따른 노반진동가속도 변화량3-4-70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4)

그림 는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을 정규화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노반침하가 3-4-71 .

진행되어도 윤중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이와 같은 이유는 노반 침하가 진행되어도 콘크리트 .

Page 19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4 -

슬래브의 강성이 높아 침하로 인한 처짐이 상대적으로 낮고 침하가 종단으로 균등하게 TCL

발생할 경우 레일 고저 틀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국부침하라 하더라도 체결장치를 이용

하여 레일고저틀림을 보정하기 때문에 노반 침하에 따른 윤중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

된다 다만 기준치를 넘는 상당한 침하가 발생되어 과도한 궤도 처짐이 발생할 경우 윤중 변.

화량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나 모니터링 지점에서 침하량이 기준치이내이기 때문에 현재로써

는 확인을 할 수가 없다.

그림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3-4-71

장기침하에 따른 처짐량 (5) TCL

그림 는 접속부노반에 대하여 장기침하에 따른 처짐량을 정규화하여 도시한 그 3-4-72 TCL

래프이다 노반침하가 진행되면서 처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는 . TCL .

노반이 침하됨에 따라 층도 함께 연동침하 되어 처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처짐량은 TCL . TCL

노반 침하 대비 로 분석되었으며 노반침하가 로 에 반영되지 않는 이유는 콘크89% 100% TCL

리트 궤도층은 상선과 하선이 층으로 일체거동하고 의 경우 철근이 보강되어 종단방HSB TCL

향으로 강성이 높은 이유로 보인다 그러나 노반이 침하가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경우 결국은 .

층의 처짐은 노반 침하량과 같은 값으로 수렴할 것으로 사료된다TCL .

그림 장기침하에 따른 윤중 변화량3-4-72

Page 19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5 -

라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 분석.

개요 (1)

장기침하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된다 침하요인은 원지반 차침하 차침하 크리프침 . 1 , 2 ,

하 성토체의 차침하 크리프침하 열차하중으로 인한 침하 등이다 이러한 침하요인은 설계, 2 , , .

단계에서 어느 정도 예측 할 수 있지만 이외에 함수비변화로 인한 침하 지하수위 변화로 인,

한 침하 등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침하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환경 변화로 인한 침.

하는 설계단계에서 계산하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장에서는 실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침

하 영향인자의 침하기여도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함수비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분석(2)

그림 은 접속부의 함수비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변화 추세이다 모든 구간에서 함수 3-4-73 .

비 변화에 따른 침하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침하율이 구간에서 함수비가 급격하0.55~0.8

게 저하됨에 따라 침하가 발생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때 함수비 대비 침하량 변화폭 비

율은 이었다 함수비가 저하되면 최종 침하량 대비 최대 가 추가 침하가 발생될 1.6 . 1% 1.6%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침하가 수렴되면 함수비 저하에 따른 추가침하는 발현되지 .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림 함수비 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3-4-73

노반 함수비는 강우 및 콘크리트 궤도의 배수배제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강우 함수. -

비의 관계를 분석하여 콘크리트 궤도의 배수배제 성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림 은 3-4-74

표준성토노반 강우 함수비 시계열 그래프이다 설치위치에 따라 사면과 노반으로 구분하여 분- ( ) .

석하였다 표준성토노반 사면부의 최솟값은 최댓값은 로 변화량은 약 이다 노. 4.9%, 12.1% 7.2% .

반부의 최솟값은 최댓값은 로 변화량은 약 이다 사면부의 함수비는 강우에 따라 1.9%, 3.1% 1.2% .

즉각적인 함수비 상승이 보이는 반면에 노반부의 함수비는 강우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노반내 강우 침투로 인한 함수비 상승은 거의 없어 콘크리트 슬래브의 배수배제 효과는

유효하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9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6 -

그림 표준성토노반 강우 함수비 시계열3-4-74 - ( )

그림 는 접속부노반 강우 함수비 시계열 그래프이다 설치위치에 따라 사면표면과 3-4-75 - ( ) .

상부노반에 설치되어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접속부노반은 사면표면의 최솟값은 최댓값. 3.0%,

은 로 변화량은 약 이다 상부노반의 최솟값은 최댓값은 로 변화량20.4% 17.4% . 4.1%, 13.9%

은 이다 접속부의 경우 상부노반에 매립된 센서가 외부 강우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9.8% . .

와 같은 이유는 교대로 인하여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된 문제로 사료된다 따라서 표.

준성토노반에 비해 접속부 노반이 함수비 변화폭이 크기 때문에 함수비 변화로 인한 침하발

생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접속부노반 강우 함수비 시계열3-4-75 - ( )

지하수위변화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분석(3)

그림 은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 3-4-76 .

그래프에서 지하수위가 저하되는 경우 침하가 약 발생하였고 다시 수위가 상2.1m 2mm 1m

승하여 경우 융기가 발생하였다 지하수위가 내려가면 지하수위 하단에서 받는 상재하0.5mm .

중이 증가되기 때문에 즉시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수위가 다시 상승하면 하강할 때의 .

침하량에 대한 회복은 아니지만 융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수위 변화가 반복적으로 일어100% .

날 경우 전체 침하는 점차 증가되고 결국은 수렴하게 된다.

Page 19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7 -

그림 지하수위저하에 따른 장기침하 영향3-4-76

라 설계기준에 따른 측정결과 비교.

차량별 궤도노반 성능평가(1)

표 는 차량별로 궤도노반 응답 분석결과이다 분석방법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3-4-32 .

운영 계획 시험절차와 시설물검증시험방법을 준용하였다 모든 측정항목에서 설계 기준치를 .

만족하였다.

표 차량별 궤도 노반 분석결과3-4-32 /

구분 윤중 최댓값( ) 횡압 최댓값( ) 침하 최종값( ) 탄성변위

진동가속도

최댓값( )기준치

비교

위치 차량종류 200kN 68kN 30mm 1mm 9.8

표준성토

노반

(109k231)

KTX 72.820kN 3.684kN 14.050mm 0.006mm 1.248 PASS

호남KTX- 74.763kN 6.914kN 13.715mm 0.003mm 1.157 PASS

호남 KTX-

중련

78.304kN 5.153kN 14.050mm 0.010mm 1.644 PASS

HEMU-430X 78.032kN 6.674kN 13.729mm 0.002mm 1.288 PASS

연약지반

노반

(110k000)

KTX 94.851kN 10.119kN 9.270mm 0.052mm 0.532 PASS

호남KTX- 93.117kN 6.163kN 10.770mm 0.028mm 0.522 PASS

KTX-

호남 중련

98.986kN 7.595kN 9.096mm 0.054mm 0.400 PASS

HE

MU-430X

81.970kN 8.801kN 10.156mm 0.080mm 0.412 PASS

교량 토-

접속부노

(120k650)

KTX 100.660kN 7.196kN 6.046mm 0.106mm 0.191 PASS

호남KTX- 113.939kN 5.3839kN 6.467mm 0.100mm 0.251 PASS

호남KTX-

중련

111.355kN 4.081kN 6.045mm 0.087mm 0.266 PASS

HEMU-430X 87.989kN 4.694kN 6.101mm 0.075mm 0.263 PASS

Page 19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8 -

그림 은 열차별 윤중 노반 탄성변위에 대한 최댓값 대비 백분율이다 궤도 윤중의 3-4-77 , .

경우 가 가장 적게 측정되었으며 호남중련이 근소한 차이로 가장 큰 것으로 HEMU-430X KT-

나타났다 노반 탄성변위의 경우 호남 중련이 가장 크게 측정 되었으며 가 . KTX- HEMU-430X

가장 작게 측정되었다 또한 노반 진동은 열차별로 차이는 거의 없으나 호남중련이 가장 . KTX-

크게 측정되었다 횡압은 측정개소가 곡선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값이 모두 유사하였다. .

열차별 윤중(a) 열차별 횡압(b)

그림 열차별 궤도노반 응답 특성3-4-77

궤도노반 장기 성능평가(2)

표 은 위치별 장기침하에 따른 측정결과 요약표이다 측정결과는 년 개통 후 3-4-33 . ‘15

년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이다 침하는 원지반 최대 성토체 최대 2.8 . ( 8.1mm), ( 5.6mm)

에 대하여 개통 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진행중이다 표준성토노반의 잔류침하량은 .

로 기준치의 약 연약지반노반의 잔류침하는 로 기준치의 약 접속26.7mm 89%, 14.2mm 47%,

부노반의 잔류침하는 로 기준치의 약 로 측정되었다9.3mm 31% .

표준성토노반 각 항목의 측정값대비 기준치비율은 윤하중은 약 횡하중은 노반 47.3%, 6.3%,

압력 진동가속도는 이내로 측정되었다 연약지반노반 각 측정항목의 측정값대비 기11%, 9% .

준치 비율은 윤하중은 횡하중은 노반압력은 탄성변위는 이내로 측정46.1%, 13.6%, 4.0%, -5%

되었다 접속부노반 각 항목의 측정값대비 기준치비율은 윤하중은 횡하중은 노. 50.8%, 13.0%,

반압력은 진동가속도는 탄성변위는 이내로 측정되었다3.3%, 12.9%, 8.2% .

분석결과 윤하중 횡하중 노반압력 진동가속도 탄성변위는 구간 모두 기준치 이내로 측정, , , , 3

되었다 접속부노반의 경우 함수비 변화량이 표준성토노반에 비하여 최대 배가량 큰 것으로 . 8

측정되었다 연약지반노반의 경우 지하수위 변동량이 최대 발생하였고 측방변위는 최대 . 8.9m

발생하였다9.4mm .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항목은 접속부의 노반 함수비와 성토체 및 치환체의 잔류침하량

이다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배수배제가 되도록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하나 접속부의 경우 강우.

에 따른 함수비 변화가 발생하여 강우침투에 대하여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9.8%

로 파악된다 철도설계기준에서는 열차하중으로 인한 성토체 침하량을 로 가정하고 있으. 5mm

나 표준성토노반같이 성토높이가 인 경우 로 측정되어 기준치를 초과하였11.8m 5.6mm 0.6mm

다 따라서 이상의 고성토인 경우 별도의 구조계산을 통해 성토체 압축량을 계산하는 것. 10m

이 적절하다 치환체의 경우 설계기준에서는 침하에 대하여 관련기술이 없다 그러나 실측할 . .

경우 연약지반을 치환한 치환체도 약 의 침하가 발생되어 치환체도 별도 구조계산을 통2mm

Page 19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79 -

해 잔류침하를 고려함이 적절하다.

모니터링개소에서는 원지반 침하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모두 토질이 사질토이다 철도설 .

계기준에서는 사질토에 대한 잔류침하계산을 명시 하고 있지 않아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않

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크리프침하계산 차압밀침하계산 방법을 사질토 원지반에 . DIN4019, , 2

적용하여 잔류침하량 계산에 포함하도록 설계기준에 분명하게 기술하는게 필요하다.

표 궤도노반의 장기 성능평가 결과3-4-33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 노반 성능평가(3) /

표 와 같이 장기 침하에 따른 노반의 탄성변위진동 등의 상관성 분석 및 성능영향 3-4-34

평가 장기 침하에 따른 궤도의 윤중 등의 상관성 분석 및 성능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

장기침하에 따른 변화는 처짐 탄성변위 등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처짐은 침하와 TCL , . TCL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모니터링 개소에서는 노반 침하량 대비 처짐량 비율이 였다TCL 0.89 .

탄성변위는 침하가 수렴될 때까지 최대 감소 할 수 있다57.7% .

위 분석결과를 토대로 설계기준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장기침하에 따른 의 TCL

처짐량이다 노반 침하의 약 는 처짐량으로 연계되고 레일 고저 틀림에 반영된다 레. 90% TCL .

일 고저틀림의 보수기준은 콘크리트궤도의 토공노반 허용잔류침하량의 분지침하 국부22( )~43(

침하 수준임으로 궤도유지보수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침하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본)% .

의 경우는 년에 회 궤도 보수 수준으로 잔류침하량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로 사10 1 .

용기간내에 약 회의 궤도보수를 목표로 잔류침하량이 설정되어 있다2~3 .

위치

표준성토노반

(109k231)

연약지반노반

(110k000)

교량 토공 접속부노반-

(120k650)

성토고 12.2m 3.9m 8.5m

항목 대푯값( )μ +3μ σ +6μ σ 대푯값( )μ +3μ σ +6μ σ 대푯값( )μ +3μ σ +6μ σ

잔류침하량[mm]

기준치비율( )

26.7

(89%)

- -

14.2

(47%)

9.3

(31%)

윤하중[kN]

기준치비율( )

94.7

(47.3%)

104.4

(52.2%)

114.1

(57.0%)

92.18

(46.1%)

106.5

(53.3%)

122.9

(61.4%)

101.5

(50.8%)

118.5

(59.3%)

135.5

(67.8%)

횡하중[kN]

기준치비율( )

4.3

(6.3%)

12.9

(18.9%)

21.6

(31.7%)

9.29

(13.6%)

14.1

(20.7%)

18.8

(27.6%)

8.9

(13.0%)

17.0

(25%)

25.5

(37.5%)

노반압력[kPa]

기준치비율( )

4.4

(3.3%)

10.5

(7.8%)

16.6

(12.4%)

5.4

(4.0%)

6.8

(5.1%)

8.3

(6.2%)

4.4

(3.3%)

6.7

(5.0%)

9

(6.7%)

진동가속도[]참고치비율( )

0.89

(9.0%)

1.8

(18.3%)

2.7

(27.5%)

0.65

(6.7%)

1.14

(11.6%)

1.64

(16.7%)

1.27

(12.9%)

4.97

(50.7%)

8.66

(88.3%)

탄성변위[mm] - - -

-0.05

(-5%)

0.053

(5.3%)

0.16

(16%)

-0.05

(-5%)

0.082

(8.2%)

0.22

(22%)

함수비[%] 1.2 - 9.8

측방변위[mm] - +9.4 -

지하수위[m] - 8.9 -

Page 20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0 -

표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노반 성능영향3-4-34

장기침하의 외부환경 영향인자 분석(4)

표 와 같이 장기침하의 외부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측정 로부터 확인 할 수 있 3-4-35 . DB

는 외부환경 영향인자는 함수비 및 지하수위 등이다 지하수위가 저하되는 경우 침하가 발생.

하였으며 함수비가 저하되어도 추가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설계기준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지하수위 영향으로 인한 추

가 침하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현재 수준에서의 철도 연약지반설계는 지하수위 .

하강에 대하여 잔류침하계산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설계기준에도 명확한 언급이 없다.

표 장기침하의 외부영향인자3-4-35

테스트베드 구간의 궤도틀림지수 변화6.

궤도틀림이 발생한 장소에 대해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 파형이 필요하다 횡방 .

향 궤도틀림인 줄틀림과 수직방향의 궤도틀림인 면틀림은 차량의 주행안전성과 승차감에 직

접 영향을 주므로 특히 중요한데 이를 검측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종거법(chord offset

과 관성법 가지가 있다method) (inertial method) 2 .

종거법은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한 레일 변위의 차를 이용하여 궤도틀림을 구하는 방법이다 .

이 방법은 복수 이상의 점에서 레일 변위를 추출하기 때문에 대차 간격 등의 차체 제원이 검

측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레일 변위를 검출하는 점은 점 이상이면 가능한데 특히 측정점이 . 2

점인 경우를 편심종거라 하며 편심종거에 대하여 개의 측점점 간격이 각각 같은 경우 중앙3 3

종거라고 한다 손기준 국내에 운영 중인 은 중앙종거법을 사용하고 사( , 2003). EM-120 Mermec

의 는 편심종거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일윤Roger1000k ( , 2010).

종거는 다음과 같이 각각의 측정점에서 검출된 레일 변위량에 대해 가중값을 주어 계산한

다 서사범( ,2005).

부재 평가항목 장기침하에 따른 영향 비고

궤도

윤중 영향 없음 기침하량이 기준치이내일 경우

처짐TCL 영향 있음 노반 침하량 대비 처짐량 TCL : 0.89

노반

탄성변위 영향 있음 침하가 수렴될때까지 최대 탄성변위 감소57.7%

진동

가속도

영향 없음

차량 종류 및 속도 궤도 형식에 따라 ,

진동가속도 변화

부재 평가항목 장기침하에 영향내용 비고

노반

함수비

영향

영향 있음

함수비가 저하되면 최종 침하량 대비 최대 1%

가 추가 침하가 발생될 수 있음1.6%

지하수위

영향

영향 있음

지하수위가 저하되는 경우 침하가 약 2.1m 2mm

발생

Page 20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1 -

⋯ (3-4-9)

여기에서, 는 번째 측정점에서의 레일 변위이고 는 그 점에 적용되는 가중값이다.

가중값은 다음에 나타내는 식을 만족하는 값을 이용한다.

⋯ (3-4-10)

⋯ (3-4-11)

여기에서, 는 최단부 측정점에서 번째 측정점까지의 거리이다.

그림 그림 는 현재 운용 중인 궤도검측차들의 파장 응답함수를 보여준다 국 3-4-78, 3-4-79 .

내 고속철도 검측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은 현대칭 종거법을 사용하고 는데EM-120 10m ,

이 방법은 과 같이 이상 파장대역에서는 검측배율이 급격하게 떨어져서 원래 궤도3-4-78 25m

틀림의 정도만 측정이 가능하다 편심종거법을 사용하는 검측차 는 에50% . ROGER-1000K 25m

서 원래 궤도틀림의 정도를 측정하므로 보다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보100% EM-120

다 큰 파장의 경우에는 역시 측정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을 사용하는 . 30~40m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강기동 이 방법은 승차감과 주행안정성과 관련되는 영역( , 2005), 10~25m

의 파장에 대한 검측배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관성법.

을 이용한 궤도검측이 제안되었다.

측정방법 주파수 응답함수(a) (b)

그림 중앙 종거법 최일윤3-4-78 ( ,2010)

측정방법 주파수 응답함수(a) (b)

그림 편심 종거법 최일윤3-4-79 ( ,2010)

관성법은 가속도가 변위의 차 미분으로 되어있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회 2 2

Page 20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2 -

적분하여 궤도틀림을 구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주행속도가 느린 경우 검측정도가 나쁜 점과 .

회 적분의 불안정이 단점이다 그러나 한 대차만으로 검측이 가능하며 특별한 차체를 필요로 2 .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1995; , ,2004)竹下 未 竹下 未 先澤 治관성법에는 그림 과 같이 두 종류의 방식이 있다 하나는 가속도계만을 이용하는 방 3-4-80 .

식으로 축상에 가속도계를 설치하고 그 가속도계로부터 얻어지는 가속도를 회 적분하여 레2

일의 변위를 구하며 검지필터처리를 행하여 궤도틀림을 구한다 다른 하나는 가속도계와 변, .

위계를 같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가속도계를 차체에 설치하고 측정한 가속도를 회 적분하여 2

차체의 변위를 구한 뒤 차체와 레일의 상대변위는 별도의 변위계로 측정 및 가산하여 궤도틀

림을 구한다.(Takeshita,K.,1992).

방식 축상에 가속도계를 설치 방식 차체에 가속도계 및 차체와 축상사이에 (a) 1: (b) 2:

변위계를 설치

그림 관성법 3-4-80 (Takeshita, K., 1992)

가 평가 방법. TQI

궤도틀림의 진전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궤도의 속성이나 특성별로 동질성이 확보될 수 있도

록 각각의 구간별로 분할하여 장기적인 궤도품질 상태를 관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궤도.

의 동질성이 확보된 분할구간을 각각의 세그먼트 로 정의하고 이 세그먼트 단위‘ (Segment)’ ,

의 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궤도품질지수 를 관리하게 된다‘ (TQI; Track Quality Index)’ .

궤도의 틀림진전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궤도품질지수 평가방법중에 미연방철도국

에서 제안한 궤도 길이기반 품질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FRA;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샘플구간의 궤도품질지수 를 산출하였다 또한 세그먼트별 궤도품질지수 값에 대한 시계(TQI) . ,

열 분석 을 통해 해당 구간의 보수이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궤도틀림 진(Time Series Analysis)

전예측 모델 제시하였다.

궤도품질평가 방법들 외에 미연방철도국 에서는 궤도의 실측길이를 활용하여 궤도품질 , (FRA)

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본개념은 일정한 주기별로 측정되는 궤도검측데이터. (track

를 이용하여 궤도 세그먼트의 이론상 길이에 대한 실측길geometry data, track induction data)

이의 비 로 궤도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그림 에 보인 것과 같이 세그먼트 (ratio) . 3-4-81 ,

의 양 끝단 사이의 거리는 서로 같지만 각각을 계측하여 그 길이를 비교하면 표면이 거1,2,3

칠거나 굴곡이 많을수록 즉 궤도틀림이 많을수록 총 실측길이는 더 길어지게 된다, .

그림 궤도 길이기반 접근법3-4-81 TQI

Page 20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3 -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절대적인 값이 아닌 상대적인 값으로써 궤도품질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에서는 세그먼트 길이의 단위를 . FRA 528ft(1/10 mile≒ 로 정하고 다음과 같은 간160.9m) ,

단한 삼각형 공식을 이용하여 각 측정 부분에서의 길이의 합으로 총 실측길이를 계산하였다.

(3-4-12)

여기서 , 는 총 실측길이, 는 두 점사이의 이론치와 실측치 차이, 는 측정간격 두 점 (

사이의 거리 을 나타낸다) .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총 실측길이가 구해지면 이론상 길이와의 차이를 구해 궤도의 틀림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선로의 구간별 궤도품질을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다음, .

은 에서 정의한 궤도품질지수 산출식이다FRA (TQI) .

× (3-4-13)

여기서 , 는 세그먼트의 이론상 길이를 나타낸다.

이상의 궤도 길이기반 품질평가 방법에서 알 수 있듯이 는 궤도의 품질상태가 좋을수록 , TQI

즉 궤도틀림 개소와 양이 적을수록 또는 계산된 실측길이가 짧을수록 작은 값을 갖게 되며, ,

이에 반해 궤도의 품질상태가 나쁘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게 된다TQI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속철도의 궤도틀림 관리기준은 표 과 같다 기준은 3-4-36 .

크게 단계로 나누어지며 준공기준 은 신선 건설시 준공기준으로 유지보수시는 적용하지 5 (CV)

않는다 다음을 유지보수작업 후 완료기준인 목표기준 와 주의관찰 및 예방보수를 시행 . (TV)

할 수 있는 기준으로 주의기준 이 있다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은 보수기(WV) .

준 이며 열차의 운행속도 제한이 필요한 속도제한기준 이 있다(AV) , (SV) .

표 국내 고속철도 궤도틀림 관리기준3-4-36

수평 뒤틀림1) ,

기 호 정 의 비고

dp설정 캔트

적용된 캔트값

dA점에서 실제캔트값A

점에서 검측된 캔트값 A

g3기선에서의 뒤틀림3m

떨어진 두지점에서 측정된 캔트값의 차3m

Ed

현의 기준선과 중앙점의 캔트 차이10m

지점의 캔트와 전후로 각 떨어진 지점 캔트값의B 5m C, D

평균과의 차이. Ed = dB - 1/2(dC+dD)

Page 20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4 -

관 리 단 계

한 계 값( )

뒤틀림3m 현10m

캔트차

캔트틀림

dp-dA| |

준공기준(CV)

Construction

Value

새로운 궤도부설시 요구되는 값 g3 3≤ Ed 3≤ dp-dA < 3| |

목표기준(TV)

Target Value그외 경우 g3 3≤ Ed 4≤ dp-dA < 3| |

주의기준(WV)

Warning Value

이 단계의 의미

-결함의 원인 및 특성의 확인

-수평틀림의 진행상황 감시

5<g3 7≤ 7<Ed 9≤ 5< dp-dA 9| |≤

보수기준(AV)

Action Value

이 단계는 틀림이 측정된 날로 부터 다음 기간

내에서 유지보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

- 일 불안정한 구간7 ( )

- 일 그외의 구간15 ( )

g3>7 Ed>9 dp-dA >9| |

속도제한기준(SV)

Speed Reduction Value

이 값은 속도감속과 틀림이 정정

되기 전 상시 감시를 해야 함을

의미함

속도제한 = 170 /h 15<g3 21≤ 15<Ed 18≤ 관리하지 않음

속도제한 < 160 /h g3>21 Ed>18 관리하지 않음

궤간2)

기 호 정 의 비 고

Emin최소 궤간

해당 궤도구간의 최소 궤간값

Emax최대 궤간

해당 궤도구간의 최대 궤간값

Eavg평균 궤간

궤도 구간의 궤간 평균값100m

관 리 단 계 한 계 값( ) 분기기( )

준공기준

(CV)

새로운 궤도부설시

요구되는 값

Emin 1433≥

Emax 1440≤

1434 Eavg 1438≤ ≤

Emin 1434≥

Emax 1438≤

목표기준

(TV)

궤도 유지보수 작업후 요구되는 값

(L<100m)

1432 Emin 1432≥ ≥

Emax <1440

1434 Eavg 1440≤ ≤

Emin 1434≥

Emax 1438≤

주의기준

(WV)

로 분류된 궤도 정의WV

이단계 값들중 하나만 해당되어도 로 WV

분류

1430 Emin<1432≤

직선 1440<Emax 1441≤

곡선 1440<Emax 1445≤

1433 Eavg<1434≤

직선 1440<Eavg 1441≤

곡선 1440<Eavg 1445≤

1432 Emin 1434≤ ≤

1438 Emax 1440≤ ≤

보수기준

(AV)

개월 내에 유지보수를 시행해야함3

이 단계 값들중 하나만 해당되어도 로 AV

분류

Emin < 1430

직선 Emax > 1441

곡선 Emax > 1445

Eavg < 1433

직선 Eavg > 1441

곡선 Eavg > 1445

Emin < 1432

Emax > 1440

속도제한기준

(SV)

이 값은 속도감소를 의미함

속도제한 = 230 /h1426 Emin<1428≤

1428 Eavg<1431≤

1430 Emin<1432≤

1440<Emax 1455≤

속도제한 = 170 /h1422 Emin<1426≤

1455<Emax 1462≤

1428 Emin<1430≤

1455<Emax 1465≤

속도제한 < 160 /h

Emin < 1422

Emax > 1462

Eavg < 1428

Eavg > 1451

Emin < 1428

Emax > 1465

Page 20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5 -

고저3)

기 호 정 의 비 고

N_10m이하 현정시법으로 측정한 고저틀림 10m

측정된 고저틀림과 기준선주 의 차이 ( 1)

N_20m비대칭 현정시법 으로 측정한 고저틀림 20m (4.1m, 16.8m)

측정된 고저틀림과 기준선간의 차이

Nall기선에서 측정한 궤도 국부 고저 30m

기록된 틀림값의 측정값 Peak-Peak

N_SD_10m현 고저틀림의 구간의 표준편차 10m 200m

측정된 고저틀림과 기준선 차이값의 표준편차 200m

N_SD_20m현 고저틀림의 구간의 표준편차 20m 200m

측정된 고저틀림과 기준선 차이값의 표준편차 200m

관 리 단 계

한 계 값

비고고저틀림

(mm)표준편차

준공기준

(CV)

새로운 궤도부설시

요구되는 값

N_10m 2≤

N_20m 3≤

Nall 5≤

N_SD_10m 1.0≤

N_SD_20m 1.3≤

목표기준

(TV)

궤도 유지보수 작업후 요구되는 값

(L<100m) (1)

N_10m 3≤

N_20m 4≤

Nall 7≤

N_SD_10m 1.3≤

N_SD_20m 1.7≤

주의기준

(WV)

이 단계의 의미:

결함의 원인 및 특성의 확인 -

수평틀림의 진행상황 감시 -

5 N_10m<10≤

7 N_20m<14≤

10 Nall<18≤

N_SD_10m 1.9≥

N_SD_20m 2.6≥

보수기준

(AV)개월내에 유지보수를 시행1 .

N_10m 10≥

N_20m 14≥

Nall 18≥

관리 않음

속도제한기준

(SV)

이 값은 속도감소를 의미함

속도제한 = 230 /h

15 N_10m<18≤

20 N_20m<24≤

24 Nall<30≤

관리 않음

속도제한 = 170 /h

18 N_10m<22≤

24 N_20m<28≤

Nall 30≥

관리 않음

속도제한 < 160 /hN_10m 22≥

N_20m 28≥관리 않음

주 고저틀림의 기준선은 측정값 전후 구간 즉 총 구간의 고저틀림 측정치의 ( 1) 100m , 200m

이동평균을 사용한다 .

Page 20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6 -

관리단계한 계 값

방향틀림( ) 표준편차 횡가속도(m/s2)

준공기준

(CV)건설후 요구되는 값

D_10m 3≤

D_20m 3≤

Dall 6≤

D_SD_10m 0.8≤

D_SD_20m 1.1≤

ATc 0.8≤

ATb 2.5≤

(2)

목표기준

(TV)다른 경우

D_10m 4≤

D_20m 4≤

Dall 7≤

D_SD_10m 1.0≤

D_SD_20m 1.4≤

ATc 1.0≤

ATb 3.5≤

(2)

주의기준

(WV)

이 값의 의미:

-결함의 원인 및 특성의 확인

-줄맞춤 결과의 감시

6 D_10m < 7≤

8 D_20m < 9≤

12 Dall< 16≤

D_SD_10m 1.5≥

D_SD_20m 2.1≥

1.0<ATc 2.5≤

3.5<ATb 6.0≤

보수기준

(AV)

다음의 최대 한계시간 안에 수행되어야 하는

유지보수운영에 필요한 값

- 일 불안정한 구간15 ( )

- 개월그외의 구간1 ( )

D_10m 7≥

D_20m 9≥

Dall 16≥

관리안됨ATc>2.5

ATb>6.0

속도제한기준

(SV)

속도감속을 의미하는 값

속도제한 = 230 /h

12 D_10m<14≤

13 D_20m<15≤

20 Dall<24≤

관리안됨2.8 ATc 3.0≤ 〈

8.0 ATb 10.0≤ 〈

속도제한 = 170 /h

14 D_10m<17≤

15 D_20m<19≤

Dall 24≥

관리안됨ATc 3.0≥

ATb 10.0≥

속도제한 160 /h〈 D_10m 17≥

D_20m 19≥관리안됨 관리 안됨

주 방향틀림의 기준선은 측정값 전후 구간 즉 총 구간의 방향틀림 측정치의 ( 1) 100m , 200m

이동평균을 사용한다 .

주 가속도 측정 및 분석방법은 다음 규정을 따른다 샘플링 조건 필터링 등 ( 2) .( , )

측정주파수 이상 : 200Hz

신호처리방법 :

차체가속도 - : 0.4-10Hz Band-pass filter at -3dB, gradient 24dB/octave≥

대차가속도 - : 10Hz Low-pass filter at -3dB, gradient 24dB/octave≥

나 테스트베드 구간의 평가. TQI

현재 궤도검측차 점검은 궤도의 선형상태 궤간 수평 줄맞춤 면맞춤 뒤틀림 등 를 신속하고 ( , , , , ) ,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검측결과를 통해 불량개소를 도출하고 원인분

석 및 대책을 수립하는 등 열차안전운행과 승차감 향상을 위한 선로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궤도품질지수 는 구간의 틀림값을 표준편차 평균으로 지수화하여 장기간의 , TQI( ) 200m

궤도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로유지관리지침에서는 고저와 방향에 대한 표준편차 관

리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베드 구간 의 궤도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통이후 년 (100~128km) 2015 4

월 년 월까지 월 회 운행 중인 궤도검측차 또는 종합검측차 의 궤도품질지~2017 12 1 (EM140K ) TQI(

수 를 분석하였다 궤도검측 측정방식은 고속선의 승차감 향상을 위해 년 월부터 현) . 2016 6 10m

방식에서 현방식으로 관리기준을 강화하였으며 노반침하에 취약한 콘크리트궤도 특성을 반20m ,

영하여 궤도틀림 중 고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TQI .

표 관리기준 선로유지관리지침3-4-37 TQI ( )

구분

현방식10m 현방식20m

주의기준 목표기준 준공기준 주의기준 목표기준 준공기준

고저 1.9 1.3 1.0 2.6 1.7 1.3

방향 1.5 1.0 0.8 2.1 1.4 1.1

Page 20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7 -

표 관리기준 선로유지관리지침3-4-38 TQI ( )

상태평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 분석고저값TQI ( )

상하구분 T1 T2

측정방식 현10m 현20m 현10m 현20m

분산분석

분석을 통한 테스트베드 구간의 상태평가(1) TQI

가 분석( ) T1_TQI

현방식을 이용한 변화10m TQI ①

그림 는 고저틀림 검측월별 상태진전도 결과이다 년 월 년 월까지 3-4-84 TQI . 2015 4 ~2016 5 10m

현 방식으로 측정한 고저 는 목표기준 이하로 관리되고 있으나 값은 매월 조금씩 상TQI( ) (1.3) TQI

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는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변화양상이다. 3-4-85 TQI . 전체적

으로 목표기준 이하로 관리되고 있으나 테스트베드 구간 중 부근 부근 부근은 (1.3) 103km , 110km , 117km

상대적으로 값이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TQI .

표 상태평가 고저 현방식-3-4-39 TQI ( _T1_10m )

구분

년2015 년2016

월4 월5 월6 월8 월9 월10 월11 월12 월2 월3 월4 월5

N 140 139 14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평균 0.53 0.54 0.54 0.55 0.56 0.56 0.58 0.58 0.60 0.58 0.61 0.60

그림 3-4-84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 현방식TQI (T1_10m )

Page 20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8 -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분석 현방식3-4-85 TQI (T1_10m )

현방식을 이용한 변화 20m TQI ③

그림 는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결과이다 측정기간은 년 월 년 월까 3-4-86 TQI . 2016 6 ~2017 12

지 측정결과이며 현방식으로 측정한 고저 는 주의기준 이내로 관리되고 있으나 20m TQI( ) (2.6)

목표기준 을 초과하는 몇몇 개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값은 매월 지속적으로 (1.7) . TQI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년 월 이후 목표기준 초과개소 증가가 뚜렷하다, 2017 5 .

그림 는 검측위치별 현방식으로 년 월 년 월까지 측정한 고저 의 3-4-87 20m 2016 6 ~2017 12 TQI( )

변화양상곡선이다 테스트베드 구간의 목표기준 초과개소는 부근 부근. (1.3) 104km , 110km ,

부근으로 평가되어 정밀조사가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다115km .

표 상태평가 고저 현방식3-4-40 TQI ( _T1_20m )

구분

년2016 년2017

월6 월7 월8 월9 월10 월12 월1 월2 월3 월4 월5 월6 월7 월8 월9 월10 월11 월12

N 140 140 127 128 280 140 140 259 140 140 280 140 140 280 140 140 140 280

평균 0.77 0.78 0.87 0.91 0.90 0.93 0.91 0.89 1.05 1.01 0.97 1.03 0.97 1.02 1.07 1.10 1.08 1.15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 현방식3-4-86 TQI (T1_20m )

Page 20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89 -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분석 현방식3-4-87 TQI (T1_20m )

나 분석( ) T2_TQI

현방식을 이용한 변화10m TQI ①

년 월 년 월까지 현방식으로 측정한 고저 는 목표기준 이하로 관리 2015 4 ~2016 5 10m TQI( ) (1.3)

되고 있으며 값은 년 월에 다소 높게 측정되었고 매월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TQI 2015 8 , .

표 상태평가 고저 현방식3-4-41 TQI ( _T2_10m )

구분년2015 년2016

월4 월5 월6 월8 월9 월10 월11 월12 월2 월3 월4 월5

N 141 141 141 141 141 141 141 141 141 141 141 141

평균 0.56 0.60 0.59 0.61 0.62 0.61 0.58 0.61 0.60 0.62 0.62 0.66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 현방식3-4-88 TQI (T2_10m )

검측위치별 현방식(10m )②

그림 는 검측위치별 현 방식으로 년 년 월까지 측정한 고저 의 변 3-4-89 10m 2015 ~2016 5 TQI( )

화양상다 전체적으로 목표기준 이하로 관리되고 있으나 테스트베드 구간 중 부근. (1.3) 103km ,

Page 21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0 -

부근 부근은 상대적으로 값이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110km , 117km TQI .

그림 는 검측위치별 현 방식으로 년 월 년 월까지 측정한 고저 3-4-90 20m 2016 6 ~2017 12 TQI( )

는 년 월에 주의기준 을 초과한 개소가 개소 있으나 월 이후로 재검측 되지 않아 2017 3 (2.6) 1 4

검측오류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값은 매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년 . TQI , 2017 4

월 이후 목표기준 초과개소 증가가 뚜렷하다.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분석 현방식3-4-89 TQI (T2_10m )

그림 는 년 월 년 월까지 현방식으로 측정한 고저 의 변화양상 3-4-91 2016 6 ~2017 12 20m TQI( )

결과이다 테스트베드 구간의 목표기준 초과개소가 상당수 존재하며 특히 . (1.3) , 104km, 109km,

부근은 정밀조사가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다115km, 122km, 128km .

표 상태평가 고저 현방식3-4-42 TQI ( _T2_20m )

구분

년2016 년2017

월6 월7 월8 월9 월10 월12 월1 월2 월3 월4 월5 월6 월7 월8 월9 월10 월11 월12

N 141 141 141 141 282 141 141 281 129 134 282 141 141 144 141 141 141 282

평균 0.84 0.86 0.96 0.97 0.93 0.99 0.94 0.94 0.12 1.06 1.05 0.10 1.03 1.14 1.14 1.16 1.13 1.19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 현방식3-4-90 TQI (T2_20m )

Page 21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1 -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위치별 분석 현방식3-4-91 TQI (T2_20m )

다 분석( ) T1, T2 TQI

검측월별 비교 분석T1, T2 ①

년 월부터 년 월까지 테스트베드 구간 의 분석결과 궤도품질지수가 지속 2015 4 2017 12 T1 TQI

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궤도품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특히 년 월 이후 검측방식이 , 2016 6 20m

현방식으로 강화되어 검측기준 초과개소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특.

히 구간은 에 비해 값이 높게 측정되어 정밀조사가 필요하다T2 T1 TQI .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3-4-92 TQI (T1)

그림 고저틀림의 검측월별 분석3-4-93 TQI (T2)

Page 21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2 -

검측차종별 비교 분석T1, T2 ②

년 월부터 테스트베드 구간을 운행한 검측차 에 따른 는 2015 4 (EM-140K, ROGER1000K) TQI

가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나 이는 운행초기 검측방식이 현방식을 채택하였기 때EM-140K 10m

문으로 분석되며 두 검측차량의 표준편차는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또한 과 비교하여 구, . T1 T2

간으로 검측이상치가 많이 발견 되었다.

표 상태평가 고저 검측차종별3-4-43 TQI ( _T1_ )

구분 데이터수 평균 표준 편차 비고

EM-140K 2,939 0.7136 0.2522

ROGER1000K 1,914 1.0173 0.2616

그림 의 값 비교3-4-94 EM-140K : ROGER1000K TQI (T1)

표 상태평가 고저 검측차종별3-4-44 TQI ( _T2_ )

구분 데이터수 평균 표준 편차 비고

EM-140K 2,820 0.7438 0.2668

ROGER1000K 1,957 1.0757 0.2920

그림 의 값 비교3-4-95 EM-140K : ROGER1000K TQI (T2)

Page 21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3 -

검측방식별 비교 분석T1, T2 ③

년 월부터 현방식을 채택하여 검측을 시행한 결과 현방식과 비교하여 테스트 2016 6 20m 10m

베드 구간의 의 평균과 표준편차값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특히 구간 현방식에서 검TQI , T2 20m

측이상개소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는 현방식에 비해 현방식으로 더 많은 궤도틀림을 . 10m 20m

검측 할 수 있으며 표준편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 할 경우 궤도품질 향상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상태평가 고저 검측방식별3-4-45 TQI ( _T1_ )

구분 데이터수 평균 표준 편차 비고

현방식10m 1,679 0.5698 0.1247

현방식20m 3,174 0.9728 0.2634

표 상태평가 고저 검측방식별3-4-46 TQI ( _T2_ )

구분 데이터수 평균 표준 편차 비고

현방식10m 1,692 0.6064 0.1300

현방식20m 3,085 1.0297 0.2961

그림 현방식 현방식 값 3-4-96 10m : 20m TQI

비교(T1)

그림 현방식 현방식 값 3-4-97 10m : 20m TQI

비교(T2)

시스템을 활용한 분석(2) UI TQI

앞서 분석한 내용들은 사용자가 별도 시스템 없이 궤도검측결과를 엑셀 통계분석 프로그램 ,

등을 활용하여 를 분석한 결과이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 기반 통합 모니터TQI , UI (GIS

링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개발버전으로 를 분석하여 기존 분석방법과의 차별성을 조사) TQI

하였다 테스트베드 구간 궤도에 대한 분석 기본화면은 그림 과 같으며 화면구성. TQI 3-4-98 ,

은 검측종류, 검측 월 정보 구조물 등 검측데이터 검색기능과 위치별 고저틀림 및 , KP , KP TQI

침하량에 대한 그래프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거리에 따른 지수를 파악할 수 있TCL TQI

다.

Page 21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4 -

그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 화면3-4-98 TQI

년 월 일 측정한 고저틀림에 대한 주의기준 초과개소를 검색한 결과 2018 1 12 (2.6) 105k060,

부근 총 개소가 확109k857, 110k657, 114k858, 115k658, 122k858, 123k458, 126k657, 127k457 9

인되었다 또한 . 그림 과 같이 각각의 초과개소를 마우스로 선택할 경우 최대값과 3-4-99 TQI KP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그동안 검측데이터의 누적을 통해 값의 증감현황 등 상태평가 , TQI

가 가능하다.

그림 이상개소에 대한 상세 이력을 통한 상태평가3-4-99 TQI

그림 은 3-4-100 105k060, 109k857, 110k657, 114k858, 115k658, 122k858, 123k458,

부근 총 개에 대한 지난 년 월부터 월 회 측정한 검측데이터 시126k657, 127k457 9 2017 6 1

계열 분석 결과이다 전반적으로 모든 개소에서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TQI ,

특히 부근은 정밀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105k060 .

이상개소의 추출이 용이하고 이상개소에 대한 진전도 평가 등이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Page 21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5 -

부근105k060 부근109k857 부근110k657

부근114k858 부근115k658 부근122k858

부근123k458 부근126k657 부근127k457

그림 이상개소별 진전도 상태평가3-4-100 TQI

부근의 노반상태는 터널과 교량사이 구조물접속부로써 토공쌓기 구간이며 연약 105k060 ,

지반 구간으로 향후 노반 강성차이에 따른 침하 궤도틀림 등이 우려되는 주의개소로 지속,

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개소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부근 외 초과개소 또한 연약지반 구조물 접속부 등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으 105k060 TQI ,

며 현재 궤도검측차가 최고속도 에서 현방식으로 검측하고 있어 부근, 140km 20m 105k060

처럼 국부적인 궤도틀림 검측에는 높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밖의 초과TQI TQI

개소는 장파장 진동가속도 등에 추가 분석으로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평가 할 필요가 ,

있다.

Page 21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6 -

표 상태평가 고저 검측차종별3-4-47 TQI ( _T2_ )

구간 그래프

침하

초과

개소

연약

지반

토공

쌓기

토공

깍기

교량

구간

터널

구간

테스트베드 구간 침하량은 구간 구간 TCL 104k143~104k764 , 109k430~109k987 , 구간 113k378~114k388

으로 대표되며 지난 년 월부터 현재까지 누적데이터를 보면 , 2015 2 전반적으로 침하량 증가TCL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Page 21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7 -

그림 차상가속도 비교 분석3-4-101

부근104k260 부근109k857 부근113k658

부근114k058 부근114k458 부근122k858

그림 차상가속도 위치별 상세 분석3-4-102 TQI

가 분석결과 종합( )

운영자 입장에서 콘크리트궤도의 최적 유지관리는 의 속도로 운행중인 고속열차의 300km/h

주행안정성과 승차감 확보에 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인 궤도검측 노반측량 등 사전 검측과 , ,

상태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누적 자동 분석 등 콘크리트궤도의 상태를 평가 . ,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테스트베드 구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시. (UI

스템 을 구축하여 상태평가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분석방법과 시스템을 활) . UI

용한 분석을 비교한 결과 기존 분석방법은 월별 위치별 등 분석방법이 제한적인 반면 시, , UI

스템은 다양한 검측자료를 위치동기화 함으로써 분석은 물론 궤도틀림 근본원인과 상관성TQI

을 찾을 수 있는 구조물 침하량 진동가속도 등과 연계하여 종합적이고 다양한 상태평가가 , ,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age 2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8 -

지상 및 차상모니터링을 통한 궤도노반 성능평가6.

가 테스트베드에서의 침하초과개소 및 선형경합개소 .

종곡선 반경을 고려한 침하초과개소 평가 (1)

종곡선과 관련된 속도제약은 종곡선의 반경과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경합시 속도제한을 하

고 있다 종곡선 반경과 관계되는 문제는 차체의 상하방향 가속도에 의한 승차감과 주행안전.

성이 있으나 승차감에 따른 연직 가속도 한계 값으로 국가별로 를 적용하고 있다, 0.02g 0.1g . ∼

인프라 속도 향상을 위한 종곡선의 최소곡선 반경은 차량의 부상을 고려한 0.1g(0.98m/sec2

)

적용하여 검토하고 있으며 또한 종곡선의 길이도 직곡선의 최소 길이와 같이 속도제약의 요, ,

인이 될 수 있으며 속도와 종곡선의 길이의 관계는 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설계되, L=0.5V .

어 있는 호남고속철도 노선의 본선 상 최소 원곡선 길이는 곡선 간 최소 직선 길이 295m,

로 열차 증속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471m .

종곡선 반경에 의한 기울기 변화점 허용 통과속도는 시험열차인 본 운행열차의 특성을 고

려하여 상하가속도 값은 sec을 적용할 경우 종곡선 , Rv = 구간의 가25,000m

능속도는 이론적인 산술식에 따라 ×× 가 되므로 이라고 Vmax=563km/h

할 수 있다.

노반 침하는 궤도의 변위를 유발하므로 노반의 침하방지를 위한 설계기준 또는 시방서 등

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궤도 구간의 노반침하는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고 , ,

있다 국내 기준은 원지반과 하부노반 및 상부노반의 총 허용잔류침하를 궤도 침하 . 30mm(

열차하중으로 인한 침하 로 제시하고 있으며 다만 열차 주행성능과 경제성 등을 25mm, 5mm) , ,

고려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분지모양의 침하가 발생할 경우 침하구간에 종곡선을 설치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총 침하량 까지 허용하고 있다 토공으로 60mm .

연속된 구간에서 종곡선으로 보정될 수 있는 분지형 침하는 까지 허용할 수 있으나 토60mm ,

공구간 중 교량 구교 등 구조물이 있을 경우 구조물 접속부의 침하는 침하곡선이 대부분 급,

한 꺾임각을 형성하게 되며 침하발생 구간의 구조물 접속부에 대한 종곡선 설치도 검토할 필

요가 있으며 이 때 침하부분의 종곡선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구조물 접속부 종곡선과의 영향,

도 검토하였다.

그림 분지모양의 잔류침하 3-4-103

Page 21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199 -

침하길이

침하량(mm)

L (m)

100 125 130 135 140 145 150 155 160 165 170

30 41,667 65,104 70,417 75,938 81,667 87,604 93,750 100,104 106,667 113,438 120,417

35 35,714 55,804 60,357 65,089 70,000 75,089 80,357 85,804 91,429 97,232 103,214

40 31,250 48,828 52,813 56,953 61,250 65,703 70,313 75,078 80,000 85,078 90,313

45 27,778 43,403 46,944 50,625 54,444 58,403 62,500 66,736 71,111 75,625 80,278

50 25,000 39,063 42,250 45,563 49,000 52,563 56,250 60,063 64,000 68,063 72,250

55 22,727 35,511 38,409 41,420 44,545 47,784 51,136 54,602 58,182 61,875 65,682

60 20,833 32,552 35,208 37,969 40,833 43,802 46,875 50,052 53,333 56,719 60,208

원곡선 형태로 보정된 종곡선을 기준으로 함※

표 분지모양의 궤도 침하에 따른 침하량과 가능속도3-4-48 (km/h)

침하길이

침하량(mm)

L (m)

100 125 130 135 140 145 150 155 160 165 170

30 322 403 419 435 451 467 484 500 516 532 548

35 298 373 388 403 418 433 448 463 478 493 507

40 279 349 363 377 391 405 419 433 447 461 475

45 263 329 342 355 368 382 395 408 421 434 447

50 250 312 325 337 350 362 375 387 400 412 425

55 238 297 309 321 333 345 357 369 381 393 405

60 228 285 296 308 319 330 342 353 365 376 387

원곡선 형태로 보정된 종곡선을 기준으로 함※

표 분지모양의 궤도 침하에 따른 침하량과 가능속도3-4-49 (km/h)

선로유지관리지침에서는 노반의 침하보수와 관리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제 조 노반의 침하 보수127 ( ) 콘크리트궤도에서 노반침하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태에 따라

적절한 노반침하 보수를 시행하고 내역을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다만 열차의 주행안전성이 확보. ,

되는 경우 이를 조정할 수 있다.

노반침하 구간의 길이가 이상인 경우의 침하량에 따른 침하보수한계는 다음 각 목의 식을 이 1. 20m

용하여 검토한다.

가. 또는 노반침하 복원 :

나. ≤ 또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궤도틀림 보수 다만 체결장치를 이용한 보수한계 : ( ,

는 궤도틀림보수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한계값( 보다 낮게 조정 할 수 있다) .)

여기서, 노반침하량 : (mm)

체결장치의 보수한계값 : (mm)

침하구간의 길이 : (mm)

다 노반. 침하량이 보수한계 이내라도 궤도 공용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노반침하 구간의 길이가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슬래브 하부 콘크리트궤도 저면 와 노반사 2. 20m ( )

이에 대한 틈 의 유무를 다음 각 목의 방법 등을 활용하여 확인하여야 한다(gap) .

가 탐상. GPR(ground penetration radar)

나 콘크리트슬래브 가속도 측정.

다 비파괴포장표면처짐시험 등. (FWD,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노반침하가 수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지반보강을 검토한다 3. .

Page 22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0 -

테스트베드 전 구간의 최종 도상침하량 곡선은 그림 과 같다 그림에서와 같이 구조 3-4-104 .

물을 제외하고 토공부에는 도상부에서 측량을 실시하고 통합모니터링 에서 측량자료TCL DB

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은 테스트베드 전 구간 에서의 에서 측정된 노. 3-4-104 (T2) TCL

반 침하곡선이다 그림에서와 상단의 그래프는 최종 도상침하량이며 중간 그래프는 기준점. , (0)

을 기준으로 침하량을 양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점을 기준으로 기준점보다 . 0

큰 구간은 빨간색으로 낮은 구간은 파란색 구간으로 표기하였다 마지막 하단의 그래프는 선.

로유지관리지침 제 조 노반의 침하보수 기준 에 의거하여 체결장치의 보수한계값(2013) 127 “ ”

( 와 ) 노반침하 복원 조건과 ( ) ≤ 체결장치를 이용한 궤도틀림 보수 만족( )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하단 그림에서 기준값 은 체결장치의 보. “0”

수한계값( 으로 이 값에 가까울수록 보수한계값에 가깝기 때문에 보수를 하여야 한다 그림) .

에서와 같이 값이 클수록 보수한계값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

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선형적으로 평탄성이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

그림 테스트베드 전 구간의 도상침하 패턴 및 침하보수 3-4-104 (T2)

그림 는 테스트베드 전 구간에서 토공부의 침하량의 변화가 가장 큰 구 3-4-105 108k 110k ∼

간을 추출하여 에 대한 노반침하 보수기준치와 비교한 그림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T1, T2 . T1,

의 T2 ≤으로 값이 로 의 변동값을 보이고 있으며 가장 큰 지점은 -30 -20mm 10mm , ∼

지점에서 한계값 에 근접한 상태로 분석되어 이 구간은 향후 궤도보수가 다른 구간보109.81 (0)

다 빠르게 진행되어 보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22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1 -

그림 노반 침하 한계값의 비교3-4-105

선형경합개소에서의 차상 및 궤도틀림 분석(2)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추출된 차상가속도와 궤도틀림의 자료를 바탕으로 선형 GIS

경합개소의 궤도상태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대상구간은 선형경합개소 직선 완화곡선시점 침. ( / ),

하개소 구조물 토공 토공 터널 이며 차상가속도와 궤도틀림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 ( / / ) , .

로 횡방향 틀림이 차량의 주행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궤도틀림은 방향틀림과

횡방향 대차가속도 및 윤축가속도를 비교하였다.

가 선형경합개소( ) (106k894.216 108.663.083)∼

구분 No곡 선

반경(m)SP PC CP PS

완화곡선

길이(m)

원곡선

길이(m)

캔트

(mm)

시점

27 13,000 149k461 149k739 150k956 151k233 278 1,217 90

26 13,000 147k034 147k311 147k986 148k264 297 655 90

25 7,000 142k292 142k742 143k790 144k241 450 1,048 150

24 7,000 133k124 133k574 134k437 134k887 450 863 120

23 10,000 128k884 129k247 130k261 130k624 363 834 90

T/B

구간

22 10,000 118k739 119k101 121k227 121k589 362 2,126 120

21 15,000 111k196 111k436 112k447 112k687 240 1,011 80

20 10,000 106k828 107k190 108k233 108k596 362 1,043 120

종점

19 7,000 98k126 98k576 98k923 99k373 450 347 150

18 5,000 91k933 92k093 92k960 93k120 160 867 70

17 7.500 90k716 90k820 104 30

Page 22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2 -

그림 은 선형경합개소의 선로일람약도와 이 구간의 도상침하 양상과 기준값과 3-4-106 (T2)

비교한 그림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구조물 구간에서는 침하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기준점에.

서 변동이 없으나 토공구간에서는 침하에 따라 변화량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토공구간.

에서는 기준점대비 약 수준까지 변동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선형80mm .

경합개소의 침하발생구간에서의 차상가속도에 의한 수직 가속도와 궤도틀림 자료를 보면 모

든 구간에서 궤도틀림 보수관리기준과 차상가속도 기준값 이내로 측정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측정결과를 볼 때 현재 호남고속철도의 경우 선형경합개소임에도 불구하고 문.

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콘크리트궤도의 큰 장점이 선형적으로 매우 유리한 구조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최적화된 설계기법 등으로 발전. ,

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형경합개소의 선로일람약도 평면선형 종곡선 경합개소(a) ( + )

선형경합개소구간의 거리별 도상침하 와 기준점 대비 침하량 (b) (T2)

그림 선로일람약도 및 노반침하 그래프3-4-106 (TCL)

6

4

2

0

-2

-4

-6

Acc

eler

atio

n, m

/sec

2

109.0108.8108.6108.4108.2108.0107.8107.6107.4107.2107.0

KP

Y Axle acceleration

차상가속도 수직 축가속도(a)

6

4

2

0

-2

-4

-6

Tra

ck I

rreg

ular

ity, m

m

109.0108.8108.6108.4108.2108.0107.8107.6107.4107.2107.0

KP

Allignment

고속검측에서 추출된 줄틀림(b)

Page 22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3 -

6

4

2

0

-2

-4

-6

Tra

ck I

rreg

ular

ity, m

m

109.0108.8108.6108.4108.2108.0107.8107.6107.4107.2107.0

KP

Profile

고속검측에서 추출된 면틀림(c)

그림 선형경합개소에서의 차량진동가속도와 궤도틀림 비교3-4-107

구조물 접속부 구간의 진동가속도 특성(3)

대표적인 노반 취약개소중에 하나인 구조물 접속부에 대한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물

접속부를 선정하여 진동가속도 등을 검토하였다 구조물 접속부에서는 탄성거동과 특히 침하.

거동이 매우 다른 상부구조물이 만나게 됨으로 주행안전성이 떨어지고 궤도파괴가 가속화되

어 속도 증속 시 제약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서는 접속부의 설계 및 . KR C 14080

관리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는 접속부 지지계수 변화율에 대한 설계속도. KR Code

를 다음 그림과 같이 까지 제시하고 있으며 증속 시 의 허용지350km/h , 400km/h KR C-14080

지탄성비 그래프를 그대로 따를 경우 선형 보간을 통하여 에 대한 허용기준은 약 400km/h 1.5

로 가정하였다 현재 호남고속철도 궤도공사 공구의 콘크리트 자갈 접속부는 아래 표와 같이 . 2 /

완충구간을 두었으며 궤도지지계수 변화율은 이내가 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접속부 구, 1.5

간을 로 증속하여 운행하여도 궤도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400km/h .

항 목 기준 값 근 거

차체 상하 진동

가속도(m/sec )1.3

주행안전 관리목표 값 : 2.45m/sec

편진폭 계수 적용 3/4 : 1.8m/sec

궤도틀림 경합 고려 : 1.3 m/sec

윤중 변동율 0.13 관리목표치 궤도틀림 경합 고려0.19 × 75% ( )

레일 응력

(N/mm )220

평균 기준 값 90Mpa

레일 피로 고려 ( 130MPa × 70%)

레일 상향 압력 체결력의 이하70% 경계부 지지강성 불균일에 따른 상향압력대응

표 접속부의 설계 및 관리기준 3-4-50

그림 설계속도에 따른 접속부 궤도지지계수 변화3-4-108

Page 22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4 -

구분자갈궤도

일반구간(k1)

자갈궤도

완충구간(k2)

자갈궤도

보강레일구간(k3)

교량상

콘크리트궤도(k4)

레일패드 100 60 40 22.5

도상 200 200 200 -

매트 4500 4500 4500 -

합성 65.7 45.7 33.1 22.5

표 이론식에 의한 접속부 강성변화3-4-51

구분 k1/k2 k2/k3 k3/k4 비고

궤도지지계수변화율 1.44 1.38 1.47 약 1.5

표 궤도지지계수 변화율3-4-52

그림 는 구조물 접속부 구간에서 측정된 지상부에 매설된 노반가속도와 접속부 구간 3-4-109

도상침하 의 침하데이터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추출된 결과이다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은 (T2) .

위치동기화를 구현하여 지상부와 차상모니터링의 위치동기화를 실현하여 각 구조물의 특성들을

상호분석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통합 자료의 구조물 접속부 거동3-4-109 DB

그림 은 구조물 접속부 구간에서 도상침하와 이 구간에서 측정된 차상가속도와 궤 3-4-110

도틀림을 거리별로 나타낸 것이다 교량부와 접속부 구간에서 기준점 대비 도상침하가 급격하.

게 변동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수직가속도와 궤도틀림 관리기준 이내로 측정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0

-30

-20

-10

0

10

20

30

40

Set

tlem

ent a

t TC

L, m

m

120.90120.85120.80120.75120.70120.65120.60120.55120.50120.45120.40

KP

TCL settlement

노반 침하곡선(a) TCL

4

3

2

1

0

-1

-2

-3

-4

Acc

eler

atio

n, m

/sec

2

120.90120.85120.80120.75120.70120.65120.60120.55120.50120.45120.40

KP

Transitional zoneBridge zone Earthwork zoneY Axle Bogie

대차 가속도(b)

Page 22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5 -

6

4

2

0

-2

-4

-6

Tra

ck I

rreg

ular

ity,

mm

120.90120.85120.80120.75120.70120.65120.60120.55120.50120.45120.40

KP

Allignment

궤도틀림 방향틀림(c) ( )

6

4

2

0

-2

-4

-6

Tra

ck I

rreg

ular

ity,

mm

120.90120.85120.80120.75120.70120.65120.60120.55120.50120.45120.40

KP

Profile

궤도틀림 고저틀림(d) ( )

그림 구조물 접속부 구간에서의 차상 및 궤도틀림 분석3-4-110

궤도틀림품질지수 초과개소의 진동가속도 평가(4) (TQI)

테스트베드 구간의 궤도틀림지수 초과개소에 대한 진동가속도 및 노반침하 등과의 관 (TCL)

계를 보기 위하여 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태평가 항목에서 추출된 데이GIS DB “ ”

터를 통해 궤도상태를 평가하였다 현재 방향틀림과 고저틀림의 는 선로유지관리지침에서 . TQI

기준값 관리기준 보다 초과한 개소는 그림 와 같다 그림에서와 같이 두 기준이 모( 1.0) 3-4-111 .

두 초과한 개소는 지점으로 해당구간에서의 차량의 대차진동가속도는 다른104.860 105.080 ∼

구간보다 큰 진폭을 보이고 있으며 이 구간의 노반침하량은 교량접속부 구간으로 예측, TCL

되었다 기존 접속부 구간에 대한 취약개소에 대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인 .

할 수 있었다 그림 는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초과개소에 대한 전체 . 3-4-114 GIS TQI

화면 구성 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와 같이 통합모니터링시스템에서는 기준초과 개Layout .

소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구간에 대한 상세한 계측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

위치지정 등을 통해 이력곡선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TQI .

그림 테스트베드구간에서의 방향틀림 기준 초과개소3-4-111 TQI

Page 22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6 -

그림 위치별 차상가속도 이력곡선3-4-112 KP

-60

-40

-20

0

20

40

Settl

emen

t at T

CL

, mm

105.4105.2105.0104.8104.6104.4104.2104.0

KP

Transitional zone Bridge zoneEarthwork zone

Present Initial

그림 초과 개소 부근에서의 노반침하3-4-113 TQI TCL

그림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3-4-114 GIS

방식을 적용한 이상개소 평가(5) Wavelet

호남고속철도의 테스트베드 구간인 정읍 익산구간 중 교량접속부 표준성토노반 및 연약지 ~ ,

반구간에 대한 데이터 추출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림 는 교량접속부 구간에서의 . 3-4-115(a)

고저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Spatial Frequency) Wavelet

다 공간주파수가 에서 공진이 발생하였으며 결과로부터 교량구간에서 집중. 0.03[1/m] Wavelet

적으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교량구간인 약 에서 공간주파수 이. KP 120.55 km 0.02[1/m]

하 구간에 가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이상의 장파장 고저틀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PSD . 50m

다 그림 는 교량접속부 구간의 줄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3-4-108(b) (Spatial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정위치 의 공간주파Frequency) Wavelet . (KP 120.1, 120.9km)

Page 22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7 -

수 구간에서 공진이 발생하였다0.03~0.1[1/m] .

고저틀림(a)

방향틀림(b)

그림 교량접속부 구간에서의 궤도틀림 자료를 이용한 변환3-4-115 Wavelet

그림 는 교량접속부 구간의 축 수직가속도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3-4-116 (Spatial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및 에서 공진이 Frequency) Wavelet . 17 25[1/m]

발생하였으며 결과로부터 교량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축상가Wavelet .

속도는 고저틀림과 반대로 이하의 저주파수에서 간격으로 진동이 발생한 것을 25[1/m] 10m

알 수 있다.

차체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a) ( : Y , : Z )

대차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b) ( : Y , : Z )

그림 교량접속부에서의 진동가속도로 추출한 변환3-4-116 Wavelet

그림 는 3-4-117 (a) 표준성토노반 구간의 고저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Spatial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에서 공진이 발생Frequency) Wavelet . 0.02[1/m]

Page 22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8 -

하였으며 결과로부터 약 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Wavelet KP 109.45km .

이상의 장파장 고저틀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구간50m . 3-4-117(b)

의 면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Spatial Frequency) Wavelet

다 특정위치 의 공간주파수 구간에서 공진이 발생하였. (KP 109.2, 109.7, 109.9km) 0.1~0.16[1/m]

다.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구간의 줄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3-4-117(c) (Spatial Frequency)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정위치 의 공간주파수 Wavelet . (KP 109.2, 109.9km)

구간에서 공진이 발생하였다0.02~0.05[1/m] .

고저틀림(a)

면틀림(b)

방향틀림(c )

그림 표준성토노반 구간 고저틀림 결과3-4-117

그림 은 표준성토노반 구간의 축 수직가속도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3-4-118 (Spatial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및 에서 공진이 Frequency) Wavelet . 6 20[1/m]

발생하였으며 결과로부터 약 의 주파수에서 간격의 진동이 발생하였다Wavelet 6[1/m] 10m .

또한 약 구간에서 약 및 의 공간주파수에서 의 진폭이 크게 발생109.48km 10, 20 24[1/m] PSD

하였다.

Page 22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09 -

차체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a) ( : Y , : Z )

대차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b) ( : Y , : Z )

그림 표준성토노반 구간 축 수직가속도 결과3-4-118

그림 는 연약지반 구간의 고저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및 3-4-119 (Spatial Frequenc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에서 공진이 발생하였으며 Wavelet . 0.03[1/m]

결과로부터 약 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상Wavelet KP 110.3km . 33m

의 장파장 고저틀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구간의 면틀림 . 3-4-119(b)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정위(Spatial Frequency) Wavelet .

치 의 공간주파수 구간에서 공진이 발생하였다(KP 109.7, 109.9km) 0.08~0.16[1/m] .

그림 는 표준성토노반 구간의 줄틀림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3-4-119(c) (Spatial Frequency)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정위치 의 공간주파수 Wavelet . (KP 109.9, 110.4km)

구간에서 공진이 발생하였다0.04~0.1[1/m] .

연약지반 구간 고저틀림 결과(a)

연약지반 구간 면틀림 결과(b)

Page 23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0 -

연약지반 줄틀림 결과(c )

그림 연약지반 구간에서의 궤도틀림3-4-119

그림 는 연약지반 구간의 축 수직가속도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3-4-120(a) (Spatial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및 에서 공진이 발Frequency) Wavelet . 3 6[1/m]

생하였으며 결과로부터 약 의 주파수에서 간격의 진동이 발생하고 약 Wavelet 3[1/m] 10m ,

의 주파수에서 간격의 진동이 발생하였다 그림 는 연약지반 구간의 대6[1/m] 15m . 3-4-120(b)

차 수직가속도 데이터에 대한 공간주파수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Spatial Frequency) Wavelet

것이다 공간주파수가 에서 공진이 발생하였다. 5~6[1/m] .

차체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a) ( : Y , : Z )

대차진동가속도 상 축 하 축(b) ( : Y , : Z )

그림 연약지반 구간 축 수직가속도 결과3-4-120

Page 23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1 -

차원 차량 궤도 동적상호작용해석 기법7. 3 -

가 좌표들시스템의 정의 및 관계. (Wheel/Rail Coordinate systems and their relationship)

차량 궤도 상호작용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좌표축은 그림 -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4-121, 3-4-122 .

평형좌표 좌표의 원점은 정지한 차축중심높이를 유지하면(1) O-XYZ: (Equilibrium coordinate),

서 궤도 중심선을 따라 열차속도 로 이동한다 축은 궤도중심선을 따라 열차진행방향을, v . X- ,

축은 열차진행방향을 바라볼 때 우측을 축은 수직하향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정의한다Y- , Z- .

(2) O1-X1Y1Z1 평행이동좌표 좌표의 원점은 이동하는 차축의 중심: (Parallel moving coordinate),

에 고정되어 있다 평형좌표의 원점으로부터 차축 중심의 변위( (,, 만큼 이동 축 방향) ).

은 평형 좌표와 동일하다.

(3) O2-X2Y2Z2: 중간 프레임 좌표 좌표의 원점은 이동하는 차: (Intermediate frame coordinate),

축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좌표원점과 동일 좌표축은 (O1- ). Z1 축에 대하여 - 각으로 회전하

며 레일에 대하여 차축의 요잉 모션 를 나타낸다, (Yawing motion) .

(4) O3-X3Y3Z3: 물체 좌표 좌표의 원점은 이동하는 차축의 중심에 고정되어 : (Body coordinate),

있다 좌표원점과 동일 좌표축은 (O1- ). X2 축에 대하여 - 각으로 회전하며 레일에 대하여 차축,

의 롤링 모션 를 나타낸다(Rolling motion) .

(5) 1 2 3R R R RCO e e e−우측 차륜 접촉점 좌표 좌표의 원점은 우: (Right wheel contact coordinate),

측 차륜 레일 접촉점에 고정되어 있다/ . , 축은 접촉면에 있으며- , 접촉면에 수직이다 그(

림3-4-122).

(6) 1 2 3L L L LCO e e e−좌측 차륜 접촉점 좌표 좌표의 원점은 좌측 : (Left wheel contact coordinate),

차륜 레일 접촉점에 고정되어 있다/ . , 축은 접촉면에 있으며- , 접촉면에 수직이다 그림(

3-4-122).

(7) R R R RR R R RO X Y Z−우측 레일 좌표 좌표의 원점은 우측 레일의 질량중: (Right rail coordinate),

심선을 따라 열차속도로 이동하며 좌표축의 방향은 좌표축 방향과동일하다, O- .

좌측 레일 좌표 좌표의 원점은 좌측 레일의 질량중심선을 따라 열차속도(Left rail coordinate),

로 이동하며 좌표축의 방향은 좌표축 방향과동일하다 그림 , O- ( 3-4-123).

(8) L L L LR R R RO X Y Z−좌측 레일 좌표 좌표의 원점은 좌측 레일의 질량중심: (Left rail coordinate),

선을 따라 열차속도로 이동하며 좌표축의 방향은 좌표축 방향과동일하다 그림 , O- ( 3-4-123).

좌표축들사이의 회전 변환 방정식 은 다음과 같다(Rotation transformation equation) .

2 1

2 21 1 21

2 1

cos sin 0

, sin cos 0

0 0 1

i i

j j

k k

ψ ψψ ψ

= = −

T T(3-4-15)

Page 23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2 -

3 2

3 32 2 32

3 2

1 0 0

, 0 cos sin

0 -sin cos

i i

j j

k k

φ φφ φ

= =

T T(3-4-16)

1 3

2 3 3 3

33

1 0 0

, 0 cos sin

0 sin cos

R

R R R

R

C C R R

R R

e i

e j

ke

δ δδ δ

= = −

T T

(3-4-17)

1 3

2 3 3 3

33

1 0 0

, 0 cos sin

0 sin cos

L

L L L

L

C C L L

L L

e i

e j

ke

δ δδ δ

= = −

T T

(3-4-18)

각각의 변환행렬에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3-4-19)

(3-4-20)

한편 본 논문에서 는 이 벡터인 경우 벡터의 번째 요소를 이 행렬인 경우 행렬의 M[k] M k- , M

번째 행벡터 를 나타낸다k- (row vector) .

그림 좌표시스템들의 정의3-4-121

그림 물체좌표시스템과 접촉점 좌표시스템들의 관계3-4-122

1ij ji

−=T T

ik ij jk=T T T

Page 23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3 -

나. Stiffness matrix derivation for Hertzian contact force(Wheel rail normal interaction)

질량중심에서 종방향 변위 와 (Longitudinal displacement) 축에 대한 명목상 각속도 -

(Nominal angular velocity) 로부터 변동 각 변위 를 (Perturbation angular displacement)

무시할 경우 차축은 횡 및 수직뱡향 병진변위와 요잉 및 롤링 등 회전변위 등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TW W W W WV W φ ψ=< >U (3-4-21)

물체좌표시스템 O3-X3Y3Z3에서 우측 접촉점의 좌표를 라 하면 그림 (

참조 윤축의 회전 3-4-123 ) 및 에 의한 접촉점에서 차륜 변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13CW wψφ =U T R (3-4-22)

따라서 우측 접촉점에서 전체 차륜 변위는 차축의 평행 변위 성분와 회(Parallel displacement)

전 변위 성분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otation displacement) .

(3-4-23)

여기서 0, ,u TCW W WV W=< >U

식 으로부터 우측 접촉점에서 차륜의 변위 증분벡터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3-4-23 .

CW CW CW CWCW W W

W W

V WV W

δ δ δ δφ δψφ ψ

∂ ∂ ∂ ∂= + + +

∂ ∂ ∂ ∂U U U U

U

(sin sin cos sin ) ( sin cos cos sin cos )

( sin cos cos cos ) (cos cos sin sin sin )

(cos sin )

W W W W W

W W W W W W

W W W

Y Z X Y Z

V Y Z X Y Z

W Y Z

φ ψ φ ψ δφ ψ φ ψ φ ψ δψδ φ ψ φ ψ δφ ψ φ ψ φ ψ δψ

δ φ φ δφ

+ + − − + = + − − + − + + − (3-4-24)

한편 레일변위를 횡변위( 및 수직변위) ( 와 ) -축에 대한 회전변위( 등으로 나타낼 때 )

우측 접촉점의 변위는 레일의 병진 및 회전 변위 성분의 합으로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RuCR CR CR

φ= +U U U (3-4-25)

여기서 병진변위성분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지고

0, ,u TCR R RV W=< >U (3-4-26)

회전변위성분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0, cos sin , sin cosR TCR R R R R R R R RY Z Y Zφ φ φ φ φ=< − + >U (3-4-27)

식 로부터 우측 접촉점에서 레일의 변위증분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3-4-25 .

0 0

( sin cos )

(cos sin )CR R R R R R R R R R

R R R R R R R R R

V Y Z V Z

W Y Z W Y

δ δ φ φ δφ δ δφδ φ φ δφ δ δφ

= + − − ≅ − + − +

U(3-4-28)

식 와 식 으로부터 우측 접촉점에서 차륜과 레일의 상대변위 증분은 다음 식으로 3-4-24 3-4-28

uCW CW CW

ψφ= +U U U

Page 23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4 -

타나내지므로 아래 식 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3-4-29 .

CWR CW CRδ δ δ= −U U U (3-4-29)

우측 접촉점 좌표시스템 1 2 3R R R RCO e e e− 에서 접촉점의 차륜 레일 상대변위증분은 다음 식으/

로 구해진다.

1RC CWRCδ δ=U T U

(3-4-30)

접촉면에 수직인 차륜 레일 상대변위증분 수직 변형은 / , 벡터의 번째 요소로서 다음 식3

으로 나타내진다.

1 2 3 4 5 6 7Hz W W R R RU C V C W C C C V C W Cδ δ δ δφ ψ δ δ δφ= + + + + + +(3-4-31)

여기서

1 2 3 4

5 1 6 2 7

sin( )cos , cos( ), cos sin , sin( )

, , cos( ) sin( )cosR R R W R W R W

R R R R

C C C Y Z C X

C C C C C Y Z

φ δ ψ φ δ δ δ φ δφ δ φ δ ψ

= − − = − = − = − −= − = − = − − − −

본 연구에서는 차륜과 레일의 접촉은 가 적용되며 이 nonlinear elastic Hertz contact theory

경우 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내진다Hertz force .

3Hz H HzF C U= (3-4-32)

헤르쯔안 힘의 증분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23( )

2Hz H Hz Hz Hz HzF C U U K Uδ δ δ= =(3-4-33)

여기서 는 헤르쯔안 상수 이며(Hertzian force constant) ,

1/ 2( 3/ 2 )Hz H HzK C U= 는 선형화된 헤르쯔

안 강성 이다(linearized Hertzian stiffness) .

평형좌표시스템 및 물체좌표시스템에서에 있어서 우측 차륜레일 접촉점에서 Hretzian

의증분벡터는 각각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forces .

1

10, 0,R

O THz HzC

Fδ δ= < − >F T(3-4-34)

33

0, 0,RO THz HzC

Fδ δ= < − >F T(3-4-35)

물체 좌표시스템에서 에 의하여 윤축에 작용하는 모멘트 증분 벡터는 모멘 Hretzian forces

트 팔의 벡터와 하중증분벡터의 외적 로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Cross) .

3 3xO OHz W Hzδ δ=M R F (3-4-36)

한편 레일에 작용하는 축에 대한 모멘트 증분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x- (Moment) .

1 1[3] [2]O OR Hz R Hz RM Y Zδ δ δ= − +F F (3-4-37)

Page 23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5 -

여기서

1 1[ ]O OHz Hzkδ δF F는 의 번째 요소를 나타낸다k- .

차륜 레일 접촉점이 놓여 있는 레일요소의 절점을라 / 할 때 그림 참조 차륜위치에서 레( 3 )

일변위들는 절점변위들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2 3 4

1 2 3 4

1 2

, , , , , ,

, , , , , ,

, ,

i i k k TR R R R R

i i k k TR R R R R

i j TR R R

V f f f f V V

W f f f f W W

g g

ψ ψϕ ϕ

φ φ φ

=< >< >

=< >< >

=< >< > (3-4-38)

여기서 1 2 3 4 1 2, , , ,f f f f g g< > < >및 은 변위형상함수 벡터들이다.

차륜과 레일의 접촉점에서 의 변동분은 윤축과 레일절점의 변위변동분으로 나Hretzian forces

타낼 수 있다 윤축과 레일절점의 변위변동분벡터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고.

, , , , , , , , , , , , ,i i j j i i j j i j TW W W W R W R W R R R R R RV W V V W Wδ δ δ δ φ δψ δ δψ δ δψ δ δ ϕ δ δϕ δ φ δ φ=< >U

)

(3-4-39)

변위변동분벡터에 대응하는 의 하중변동분벡터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때Hertzian forces

, , , , , , , , , , , , ,i i j j i i j j i jW W W W R W R R RR W R R R

THz V W V WV W

F F F F F F F F F F F F F Fφ ψ ψ ϕ φψ ϕ φ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F(3-4-40)

의 각 요소는 식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3-4-34~3-4-37 .

1 13 3

1 2 3 4

1 2 3 4

1 2

[2], [3], [1], [3]

, , ,

, , ,

,

W W W W

i i j jR W R W W WR R

i i j jR W R W W WR R

i jR R

O OHz HzV W

V V V V VV

W W W W WW

R R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g M F g M

φ ψ

ψ ψ

ϕ ϕ

φ φ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 = = =

= − = − = − = −

= − = − = − = − = − = −

F F M M

(3-4-41)

식 로부터 변동분과 변위변동분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3-4-41 Hertzian forces

다.

Hzδ δ=F K U) )

(3-4-42)

여기서 K)는 접촉 강성행렬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14x14

K)=

Page 23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6 -

11 12 13 14 1 11 2 11 3 11 4 11 1 12 2 12 3 12 4 12 1 15 2 15

22 23 24 1 12 2 12 3 12 4 12 1 22 2 22 3 22 4 22 1 25 2 25

33 34 1 13 2 13 3 13 4 13 1 23 2 23 3 23 4 23 1 3

K K K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g K g K

K K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g K g K

K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g K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35

44 1 14 2 14 3 14 4 14 1 24 2 24 3 24 4 24 1 45 2 452 2

1 11 1 2 11 1 3 11 1 4 11 1 12 1 2 12 1 3 12 1 4 12 1 1 15 1 2 152 2

2 11 2 3 11 2 4 11 1 2 12 2 12 2 3 12 2 4 12 2 1 15 2 2 15

g K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f K g K g K

f K f f K f f K f f K f K f f K f f K f f K f g K f g K

f K f f K f f K f f K f K f f K f f K f g K f g K

f

−− − − − − − − − − −

2 23 11 3 4 11 1 3 12 2 3 12 3 12 3 4 12 3 1 15 3 2 15

2 24 11 1 4 12 2 4 12 3 4 12 4 12 4 1 15 4 2 15

21 22 1 2 22 1 3 22 1 4 22 1 1 25 1 2 25

22 22 2 3 22 2 4 22 2 1 25 2 2 25

23 22 3 4 22 3 1 25 3

K f f K f f K f f K f K f f K f g K f g K

f K f f K f f K f f K f K f g K f g K

f K f f K f f K f f K f g K f g K

f K f f K f f K f g K f g K

f K f f K f g K f

SYM

2 252

4 22 4 1 25 4 2 252

1 55 1 2 552

2 55

g K

f K f g K f g K

g K g g K

g K

(3-4-43)

여기서

2 211

12

13

214

222

23

224

cos sin ( )

1/ 2 cos sin 2( )

cos sin( )( cos sin )

cos sin ( )

cos ( )

cos( ) (cos sin )

1/ 2 cos sin ( )

R Hz

R Hz

R R W R W Hz

R W Hz

R Hz

R R W R W Hz

R W Hz

K K

K K

K Y Z K

K X K

K K

K Y Z K

K X K

ψ φ δ

ψ φ δ

ψ φ δ δ δ

ψ φ δ

φ δ

φ δ δ δ

ψ φ δ

= −

= − −

= − − +

= −

= −

= − −

= − −

233

34

244

15

25

35

(cos sin )

sin( )( cos sin )

sin( ) sin

cos sin( )cos( ) cos sin( )

cos( )cos( ) cos sin( )

(cos sin

R W R W Hz

R R W R W W Hz

R R W Hz

R R R R R Hz

R R R R R Hz

R W R

K Y Z K

K Y Z X K

K X K

K Y Z K

K Y Z K

K Y Z

δ δ

φ δ δ δ

φ δ δ

ψ φ δ φ δ ψ φ δ

φ δ φ δ ψ φ δ

δ δ

= −

= − − +

= − −

= − − − + −

= − − + −

= −

45

255

)cos( ) cos sin( )

sin cos( ) cos sin( )

cos( ) cos sin( )

W R R R R Hz

R R R R R W Hz

R R R R Hz

Y Z K

K Y Z X K

K Y Z K

φ δ ψ φ δ

δ φ δ ψ φ δ

φ δ ψ φ δ

− + −

= − + −

= − + −

Page 23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7 -

그림 차륜 레일 접촉점과 관련된 차륜 및 레일의 자유도3-4-123 .

접촉기하학 으로부터 접촉면에서 수직 변형 (Contact geometry) 이 구해진 경우 식 로부3-4-32

터 가 구해지므로 차륜 및 레일 절점에 작용하는 하중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Hertzian force

내진다.

, , , , , , , , , , , , ,i i j j i i j j i jW W W W R W R R RR W R R R

THz V W V WV W

F F F F F F F F F F F F F Fφ ψ ψ ϕ φψ ϕ φ=< >F(3-4-44)

여기서

cos sin( )

cos( )

( cos sin )

W

W

W

R HzV

R HzW

R W R W Hz

F F

F F

F Y Z Fφ

ψ φ δ

φ δ

δ δ

= −

= −

= − +

1

2

3

4

1

2

3

4

sin

cos sin( )

cos sin( )

cos sin( )

cos sin( )

cos( )

cos( )

cos( )

cos( )

cos(

W

iR

iW

jR

jW

jW

iR

iR

jR

iR

R W Hz

R HzV

R Hz

R HzV

R Hz

R Hz

R HzW

R Hz

R HzW

F X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ψ

ψ

ψ

ψ

ϕ

φ

δ

ψ φ δ

ψ φ δ

ψ φ δ

ψ φ δ

φ δ

φ δ

φ δ

φ δ

φ δ

= −

= − −

= − −

= − −

= − −

= −

= −

= −

= −

= − 1

2

) cos sin( )

cos( ) cos sin( ) jR

R R R R Hz

R R R R Hz

Y Z g F

F Y Z g Fφ

ψ φ δ

φ δ ψ φ δ

+ −

== − + −

Page 23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8 -

다. Derivation of Creep damping matrix

윤축의 각속도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내진다 .

21 31 21[1] ( ) [2] [3]W φ ψ= + −Ω +ω T T T& &(3-4-45)

여기서 은 행렬의 번째 행 을 나타낸다k- (Row) .

윤충중심에 대한 우측 차륜 레일 접촉점의 상대속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 진다/ .

xCW W Wφψ =V ω R (3-4-46)

따라서 우측 접촉점에서 전체 차륜 변위는 차축의 평행 변위 성분와 회전 변(Parallel velocity)

위 성분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otation velocity) .

uCW CW CW

ψφ= +V V V (3-4-47)

여기서 , , , ,u T TCW W W W W WU V W v V W=< > =< >V & & & & &

열차속도, v=

한편 우측 접촉점에서 레일 속도는 레일의 병진 및 회전 속도 성분의 합으로 다음 식으로 나

타내진다.

RuCR CR CR

φ= +V V V (3-4-48)

여기서 병진변위성분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지고,

0, ,u TCR R RV W=< >V & &

(3-4-49)

회전변위성분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0, ,R TCR R R R RZ Yφ φ φ=< − >V & &

(3-4-50)

우측 차륜 레일 접촉점에서 절대속도차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

CWR CW CR= −V V V (3-4-51)

우측 접촉점 좌표시스템 1 2 3R R R RCO e e e− 에서 접촉점의 차륜 레일 상대속도는 다음 식으로 나/

타내진다.

1RC CWRC=V T V

(3-4-52)

크리피지 의 정의에 따라서 우측 차륜 레일 접촉점에서 종 횡 크리피지는 다음식과 (Creepage) / ,

같이 얻어진다.

1[1]/ v vcos ( cos sin ) sin ( )/ vR C W W W W R R Re

Z Y Z V V Zξ ψ ψ φ φ ψ φ= = − Ω + − + + − +V && &&(3-4-53)

2[2]/ v vcos( )sin cos( )

sin ( ) cos sin( )( )/ v

R C R R We

R W W R W R W R R R

X

X Y Z W W Y

ξ φ δ ψ φ δ ψ

δ φ δ φ φ δ φ

= = − − + − −

Ω + − + − − −

V &

& & && & (3-4-54)

스핀 크리피지 의 정의에 따라서 우측 차륜 레일 접촉점의 스핀 크리피지는 다(Spin creepage) /

음 식과 같이 얻어진다.

Page 23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19 -

3( [3] [3]) / v cos( ) sin sin sin( ) / vR W R R R R Re

ϕ φ δ ψ δ ψ φ δ φ= − = − − Ω − −ω ω &&(3-4-55)

여기서 은 우측레일에서 절대 각속도로서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진다.

, 0, 0 TR Rφ=< >ω &

(3-4-56)

의 로부터 크립하중 과 크립피지 사이의 관 Kalker Linear creep theory (Creep force) (Creepage)

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 1

2 2

3 3

11

22 23

23 33

0 0

0

0

R R

R R

R R

e e

e e

e e

F f

F f f

f fM

ξ

ξ

ϕ

= −

(3-4-57)

여기서 그리고 는 크립계수들 로서 전단탄성계수(creep coefficients) (Material shear

포아송비 그리고 타원 접촉면의 반경 들의 함수이modulus), (Poisson’s ratio), (contact ellipse semi-axes)

다 큰 크립피지 에 대하여 크립하중의 포화 는 의 이론을 적용. (Creepage) (Saturation) Shen-Hedrick-Elkins

하여 고려된다 이 경우 크립계수들은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

( , 1, 2, 3)ij M ijf f i jα= ∈(3-4-58)

여기서 은 크립하중 축소계수 로서 다음과 같다(creep force reduction coefficient) .

2 3 , 3[ / 1/ 3 ( / ) 1/ 27 ( / )1/

, 3T HzHz T Hz T Hz T Hz

M TT Hz

F FF F F F F F FF

F FF

µµ µ µ µαµµ

≤ − += > (3-4-59)

여기서 는 마찰계수 이고(Friction coefficient) , 1 3

2 2( ) ( )R RT e eF f f= +

전체좌표시스템 물체좌표시스템에서 우측 차륜레일 접촉점에서 크립하중은 각각 다음 식으

로 나타낼 수 있다.

1 2

1

1, , 0R R R

O TCp C e e

F F= < >F T(3-4-60)

1 2

33

, , 0R R RO TCp C e e

F F= < >F T(3-4-61)

물체 좌표시스템에서 크립피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멘트는 전단 크립하중 (Tangential

의한 모멘트Creep force) (

3OCp ξ−M

와 스핀 모멘트 에 의한 모멘트) (Spin moment) (

3OCp ϕ−M

의 합으로 )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 3 3O O OCp Cp Cpξ ϕ− −= +M M M

(3-4-62)

여기서

3 3xO OCp W Cpξ− =M R F

(3-4-63)

3

33

0, 0,R RO TCp C e

Mϕ− = < >M T(3-4-64)

한편 절대좌표시스템에서 스핀 모멘트 에 의한 모멘트 는 다음 식으로 (Spin moment) (Moment)

나타내진다.

Page 24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0 -

3

1

10, 0,R R

O TCp C e

Mϕ− = < >M T(3-4-65)

차륜 레일 점촉점에서 레일의 속도도 식 에서 나타낸 변위의 경우와 절점속도로 나타/ 3-4-38

낼 수 있다 속도벡터를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내고.

, , , , , , , , , , , , ,i i j j i i j j i j TC W W W W R W R W R R R R R RV W V V W Wφ ψ ψ ψ ϕ ϕ φ φ=< >U

)& & && & & &&& & & & & &&(3-4-66)

속도벡터에 대응하는 의 벡터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때Creep forces

, , , , , , , , , , , , ,i j i jj ji i jiW W W W W RW RR RR R R R

TCp V W V V W W

F F F F F F F F F F F F F Fφ ψ ψ ϕψ ϕ φ φ=< >F & & & & & &&& & & && && (3-4-67)

의 각 요소는 식 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3-4-60~3-4-65 .

1 1 3 3

1 2 3 4

1 2 3 4

11

[2], [3], [1], [3]

, , ,

, , ,

( [1]),

W W W W

i jjiW W W W WWR R

i jjiW R W W WRR R

iW WR

O O O OCp Cp Cp CpV W

V V V VV V

W W W WW W

OR R CpV W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F g F Z F Y F

φ ψ

ψ ψ

ϕ ϕ

φ

= = = =

= − = − − = − = −

= − = − = − = −

= + −

F F M M

M

&& & &

& && & & && &

& && & & && &

& & &

12 ( [1])j

W WR

OR R CpV W

g F Z F Yφ

= + − M& & &

(3-4-68)

식 으로부터 크립하중벡터와 절점속도벡터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4-69 .

Cp =F CU) )&

(3-4-69)

여기서 C)

는 의 접촉 감쇠행렬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14x14 .

C)

=

11 12 13 14 1 11 2 11 3 11 4 11 1 12 2 12 3 12 4 12 1 15 2 15

22 23 24 1 12 2 12 3 12 4 12 1 22 2 22 3 22 4 22 1 25 2 25

33 34 1 13 2 13 3 13 4 13 1 23 2 23 3 23 4 23 1 3

C C C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g C g C

C C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g C g C

C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g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35

44 1 14 2 14 3 14 4 14 1 24 2 24 3 24 4 24 1 45 2 452 2

1 11 1 2 11 1 3 11 1 4 11 1 12 1 2 12 1 3 12 1 4 12 1 1 15 1 2 152 2

2 11 2 3 11 2 4 11 1 2 12 2 12 2 3 12 2 4 12 2 1 15 2 2 15

g C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f C g C g C

f C f f C f f C f f C f C f f C f f C f f C f g C f g C

f C f f C f f C f f C f C f f C f f C f g C f g C

f

−− − − − − − − − − −

2 23 11 3 4 11 1 3 12 2 3 12 3 12 3 4 12 3 1 15 3 2 15

2 24 11 1 4 12 2 4 12 3 4 12 4 12 4 1 15 4 2 15

21 22 1 2 22 1 3 22 1 4 22 1 1 25 1 2 25

22 22 2 3 22 2 4 22 2 1 25 2 2 25

23 22 3 4 22 3 1 25 3

C f f C f f C f f C f C f f C f g C f g C

f C f f C f f C f f C f C f g C f g C

f C f f C f f C f f C f g C f g C

f C f f C f f C f g C f g C

f C f f C f g C f

SYM

2 252

4 22 4 1 25 4 2 252

1 55 1 2 552

2 55

g C

f C f g C f g C

g C g g C

g C

(3-4-70)

여기서

sin cosO yR R zR RR R Rδ δ= +

Page 24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1 -

2 2 211 11 22

12 22

13 22

214 23 11

15 23 22 11

222

sin cos cos ( ) / v

cos sin 2( ) /(2v)

cos cos[ ] / v

cos cos ( ) sin ( cos sin ) / v

2cos sin 2( )(sin ) 4v / v

sin ( )

R

R

R O

R yR zR

R RR RR

R

C f f

C f

C f R

C f R R f

C f Y f C Z

C

ψ ψ φ δ

ψ φ δ

ψ φ δ

ψ φ δ ψ φ φ

ψ φ δ ψ

φ δ

= + −

= −

= − −

= − + − +

= − − + +

= − 22

23 22

24 23

225 23 22

233 22

34 23

35 23 22 22

244

/ v

sin( ) / v

sin 2( ) / v

sin ( )(sin ( cos cot( ) ) / v

/ v

cos( ) / v

(sin( )(sin ) cos cos( ) ) / v

cos (

R O

R

R RR R RR

O

R O

O R RR R RR

R

f

C f R

C f

C f Y Z f

C R f

C f R

C R f Y f Z f

C

φ δ

φ δ

φ δ ψ ψ φ δ

φ δ

φ δ ψ ψ φ δ

φ δ

= − −

= −

= − − + − −

=

= − −

= − + − −

= − 233 11

45 33 23 23 11

2 255 33 23 22

23 22 11

) (cos sin ) / v

cos sin[( )](sin ) (cos cos( )cos sin ) / v

sin ( )(sin (2sin ))

cos sin[2( )](sin ) v ( )

yR zR

R R RR R R yR RR

R RR RR

R RR RR RR

f R R f

C f Y f f R f Z

C f Y f Y f

f Y f Z C Z

φ φ

δ φ δ ψ ψ φ δ δ ψ

φ δ ψ ψψ φ δ ψ

+ −

= − − + + − −

= − + + −

− + + 2/ v

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는 롤링 과 요잉 변위들 3-4-70 creep damping matrix (rolling) (Yawing)

의 함수로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소 속도변동에 대하여 . C)

은 일정하게 유지

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립하중변동과 속도변동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

있다.

Cpδ δ=F C U) )&

(3-4-71)

라. Wheel/rail contact geometry

레일을 포함하여 레일의 대부분은 차륜이 접촉하는 레일답면은 반경이 다른 몇 개의 UIC 60

원호로 연결되어 있다 한국의 고속철도에서 투입되고 있는 차량인 의 차륜답면은 그림 . KTX

와 같이 몇 개의 직선과 원호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일답면이 몇 개의 원호로 3-4-124 .

연결되어 있고 차륜답변이 몇 개의 직선들과 원호들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또한 차축의 ,

헌팅 에 의한 차륜의 운동 이 무시하면 매 순간 접촉 기하학(Hunting) (motion) (Contact geometry)

Page 24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2 -

은 매우 빠르게 계산될 수 있다 정지 평형상태에서 차륜과 레일의 답면의 곡선 방정식이 주.

어질 경우 차축 및 레일의 운동 에 의하여 이동된 차륜 및 레일단면의 방정식은 차축 (motion)

및 레일 변위들의 함수로 주어진다 차륜 및 레일이 각각답면을 구성하는 단일 곡선 내에서 .

접촉할 때 이동된 곡선 방정식들을 토대로 접촉 기학 은 표 과 (Contact geometry) 3-4-53

같이 계산된다 그림 ( 3-4-125).

차륜 또는 레일이 그림 과 같이 곡선반경이 다른 곡선들에 연속되어 접촉할 때는 3-4-126

이들 곡선들은 하나의 등가 원으로 대치되는데 등가 원을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먼저 차륜과 레일 접촉지점에서 차륜과 레일의 답면곡선들이 교차하는 두 점 ,를 찾는다

그림 다음으로 ( 3-4-126). , 를 잇는 직선을 수직 이등분하는 선이 차륜 및 레일답면곡선

과 만나는 점을 각각,

찾는다 찾아진 점 , . 3 ,과 을 통과하는 원을 차륜의 등가

원으로 하고, ,과 을 통과하는 원을 레일의 등가 원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차륜과 레일이 다점 접촉 이 고려되는데 접촉점을 찾고 접촉 기(multi contact) , ,

하학 을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Contact geometry) .

주어진 차축 및 레일변위들에 대하여 이동된 차륜 및 레일 답면들을 구한 후 이들 답(moved)

면이 교차하는 점들을 찾는다 찾아진 점들은 차례로 점씩 하나의 접촉점 을 . 2 (contact point)

결정한다 이때 교차점이 없는 경우는 차륜과 레일은 분리되는 을 의미한다 개. no contact . 2

의 교차점이 차륜 또는 레일 답면의 하나의 곡선 위에 있는 경우 해당 곡선을 여러 곡선에 ,

걸쳐 연속되어 접촉하는 경우는 앞서 제시한 방법에 의하여 계산된 등가 원곡선을 Contact

의 계산에 적용한다geometry .

그림 차륜 답면형상3-4-124 KTX

Page 24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3 -

표 접촉기하학 계산 식3-4-53

Type of wheel profile

curveLinear Circle

Equation of curve in static

equilibrium stateaY+bZ+c=0

2 2 2( ) ( )O OW W WY Y Z Z R− + − =

Moved center of a circle

of wheel profile

cos sin

sin cos

M O OW W W W

M O OW W W W

Y Y Y Z

Z Z Y Z

φ φφ φ

= + −

= + +

Moved center of a circle

of rail profile

( )cos ( )sin

( )sin ( ) cos

M C O C O CR R R ir R R R R R R

M C O C O CR R R ir R R R R R R

Y Y V V Y Y Z Z

Z Z W W Y Y Z Z

φ φφ φ

= + + + − − −

= + + + − + −Here andarelateralandverticaltrackirregularityrespectively.

Equation of moved curve

a1Y+b1Z+c1=0

here

1

1

1

cos sin

sin cos

( ) cos

( )sinW W

W W

a a b

b a b

c c aV bW

bV aW

φ φφ φ

φφ

= −= += − + +

2 2 2( ) ( )M MW W WY Y Z Z R− + − =

Normal deformation at

the contact point 2 21 1 1 1 1/

Hz R

M MR R

U R

a Y b Z c a b

= −

+ + +

For convex circle

Hz W RU R R D= + −For concave circle

Hz W RU R R D= − + +

Here

2 2( ) ( )M M M MW R W RD Y Y Z Z= − + −

Contact angle1 1tan ( / ), tan ( / )R La b a bδ δ− −= = −

1tan ( ) /( )M M M MW R W RY Y Z Zα −= − −

,R Lδ α φ δ α φ= + = − −

Contact point in the

equilibrium coordinate()

2 2 21 1 1 1 1 1 1

2 2 21 1 1 1 1 1 1

( ) /( )

( ) /( )

M MCt R R

M MCt R R

Y a c b Y a b Z a b

Z b c a b Y a Z a b

= − − + +

= − + + +

2 2

2 2

2 2

2 2

( ) ( )

( )/(2 )

( ) ( )

( )/(2 )

M M M MCt W R W R R W

M MR W

M M M MCt W R W R R W

M MR W

Y R Y Y R Y Y

D Y Y D

Z R Z Z R Z Z

D Z Z D

= − + − + +

+

= − + − + +

+

Contact point in the rail

coordinate ( or )

( )

( )

CR Ct R R ir

CR Ct R R ir

Y Y Y V V

Z Z Z W V

= − + +

= − + +

Contact point in the body

coordinate ()

( )cos ( )sin

( )sin ( ) cos

W Ct W Ct W

W Ct W Ct W

Y Y V Z W

Z Y V Z W

φ φφ φ

= − + −

= − − + −

그림 차륜 레일 접촉 기하학3-4-125 /

Page 24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4 -

그림 다 원곡선 접촉시 등가 원곡선 산정방법3-4-126 (Multi)

마 차량과 궤도의 모델링. (Modelling of Vehicle and Track)

그림 은 휠 레일 인터페이스에 의해 공간적으로 결합 된 차원 차량 궤도 상호작 3-4-127 3 -

용 해석에 사용된 모델을 나타낸다 차량의 스펙 은 을 . (specification) secondary lateral bumpstop

제외한 을 토대한다 이 모델은 전통적인 차량 모델로서 기Manchester benchmark vehicle #1 .

존 연구에서 사용된 바가 있다.

각 차량은 차체 개의 대차 개의 휠 세트 휠 세트를 대차에 연 (carbody), 2 (bogie), 4 (wheelset),

결하는 차 현수장치 대차를 차체에 연결하는 차 현수장치1 (primary suspension), 2 (secondary

로 구성된다 현수장치는 모델에서 여러 스프링 댐퍼 요소suspension) . (spring-dampers

로 간주되며 이들 요소는 선형 스프링과 점성 댐퍼elements ) , (linear springs and viscous

로 구성된다 차체 및 대차들은 각각 횡 및 수직 변위 롤링dampers ) . (lateral) (vertical) , (Rolling),

피칭 및 요잉 회전 등 자유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바퀴 세트 는 (pitching) (Yawing) 5 . (wheelsets)

각각 횡 및 수직 변위 롤링 및 요잉 회전 등 자유도를 가(lateral) (vertical) , (Rolling) (Yawing) 4

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은 총 자유도 를 모델에 가지고 있다 차량은 일정한 주행 . 31 (DOF) .

속도로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된다.

궤도 서브모델 은 그림 과 같이 자갈궤도를 대상으로 구축되었다 궤도서 (submodel) 3-4-127 .

브시스템은 두개의 레일 체결장치 침목 그리고 자갈 블록 노반 으로 , , , (ballast block), (subgrade)

구성된다 레일은 티모센코 보요소 을 사용하여 모델링되며. (Timoshenko beam element) [ ] ,

요소 의 절점 은 횡 및 수직 변위와 축에 대한 회전 등 개의 자(element) (a node) 3- (rotations) 5

유도 를 갖는다 그림 침목들은 질량을 갖는 강체보 로 고려되며 하(five DOFs ) ( ). (rigid beams) ,

나의 침목당 횡 및 수직 변위와 길이 방향 축에 대한 회전 등 개의 자유로 나타내진다 자갈3 .

블록은 질점 으로 모델링되며 수직변위 자유도만을 갖는다(concentrated mass) , .

레일과 침목 그리고 침목과 자갈블록의 연결은 그림 과 같이 스프링 댐퍼 유닛 3-4-127 -

로 모델링된다 레일을 지지하는 스프링 댐퍼 유닛의 강성과 감쇠는 레(spring-dashpot uints) . -

일패드의 점탄성이 고려되어 등가적으로 결정된다 자갈과 노반의 특성은 문헌 에서 제시한. []

피라미드 모델을 적용하여 결정되는데 여기서는 자갈블록의 질량 침목과 자갈블록을 지지하, ,

Page 24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5 -

는 스프링 댐퍼 유닛의 강성들이 특정지어진다 자갈 및 노반층의 연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전- .

후 자갈블록들사이 좌우 자갈블록들사이가 스프링 댐퍼 유닛으로 연결된다, - .

(a) side view

(b) Top view (c) end view

그림 차원 차량 궤도 상호작용 해석모델 3-4-127 3 /

바 수치 해법 . (Numerical solution)

차량과 궤도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Hz Cp+ + = + +MU CU KU F F U F U) )&&& &

(3-4-72)

여기서 U&& ,U& ,U 는 그리고 는 차량과궤도의 질량 감쇠 그리고 강성행렬이고M, C, K , , , U)

U)&는 차륜과 레일의 접촉과 관련된 자유도에 해당하는 변위 및 속도벡터이며 는 작용하는 , F

외력이고, ( )HzF U)

및 ( )CpF U)&

는 각각 헤르쯔안 및 크립 하중들이다(Hertzian) (Creep) .

식 로부터 번째 에서 차량과 궤도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 (1) i time step

다.

0 0 0 0 0( ) ( )i i i i Hz i Cp ii+ + = + +MU CU KU F F U F U) )&&& &

(3-4-73)

또한 번째 의 번째 에서 운동방정식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i +1 time step 1 iteration

다.

1 1 1 1 11 1 1 1 1 11( ) ( )i i i i Hz i Cp ii+ + + + + +++ + = + +MU CU KU F F U F U

) )&&& &(3-4-74)

헤르쯔안 및 크립 하중의 증분은 식 과 (Hertzian) (Creep) 3-4-70 3-4-71로 나타내지므로 식

의 번째 의 번째 에서 헤르쯔안 및 크립 하중들3-4-72 i +1 time step 1 iteration (Hertzian) (Creep)

은 각각 근사적으로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age 24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6 -

여기서 0

1i+U)

및 0

1i+U)&

는 각각 번째 변위i time step (

0iU 및 속도) (

0iU& 로 주어지는 번째 ) i+1

의 차륜 레일 접촉위치에서 접촉점과 관련한 변위 및 속도벡터이다 또한 time step / .

01i+K

)

01i+C

)

은 각각 번째 에서 구해진 와 번째 i time step contact geometry parameters i +1 time step

의 접촉점 위치들로 나타내지는 접촉 강성 및 감쇠행렬이다 식 및 에서 . 3-4-73 3-4-74

11i+∆U 및

11i+∆U& 은 각각 번째 에서 변위 및 속도벡터의 증분으로서 i +1 time step 1-th iteration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1 1 01 1i i i+ +∆ = −U U U

(3-4-75)

1 1 01 1i i i+ +∆ = −U U U& & &

(3-4-76)

식 를 식 3-4-73, 3-4-74 3-4-7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 1 1 0 0 1 0 0 11 1 1 1 1 1 1 11 1 1( ) ( )i i i i H i i i C ii i i+ + + + + + + ++ + ++ + = + + ∆ + + ∆MU CU KU F F U K U F U C U

)) ) )&&& & &(3-4-77)

식 3-4-77에서 식 3-4-73을 빼면 번째 번째 에서 차량과 궤도의 i+1 time step 1 iteration

의 은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진다coupled system incremental equation of motion .

1 0 1 0 11 1 1 1 1

0 0 0 01 1 11( ) ( ( ) ( )) ( ( ) ( ))

i i i i i

i i H i H i C ii C ii

+ + + + +

+ + ++

∆ + ∆ + ∆ =

− + − + −

M U C U K U

F F F U F U F U F U

&& &

) ) ) )& &(3-4-78)

여기서

1 1 01 1i i i+ +∆ = −U U U&& && &&

(3-4-79)

0 01 1i i+ += −C C C

)

(3-4-80)

0 01 1i i+ += −K K K

)

(3-4-81)

으로부터 다음의 가정들이 사용된다 Newmark integration scheme .

1 1 0 01 6 1 3 4i i i ic c c+ +∆ = ∆ − −U U U U& & &&

(3-4-82)

1 1 0 01 5 1 1 2i i i ic c c+ +∆ = ∆ − −U U U U&& & &&

(3-4-83)

식 을 식 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3-4-82, 3-4-83 3-4-78 .

0 0 1 0 0 0 0 05 6 1 1 1 2 1 1 4 3

0 0 0 01 1 11

( ) ( ) ( )

( ) ( ) ( ) ( ) ( )

i i i i i i i i

i i H i H i C ii C ii

c c c c c c+ + + +

+ + ++

+ + ∆ = + + + +

− + − + −

M C K U M U U C U U

F F F U F U F U F U

&& & && &

) ) ) )& & & &(3-4-84)

식 를 풀무로써 를 3-4-84

11i+∆U구할 수 있고 차례로 변위, (

11i+U및 속도벡터) (

11i+U&가 얻어지므)

로,

11i+K

)

,

11i+C

)

, 등이 계산된다.

번째 의 일 때 번째 에서 운동방정식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내진다i +1 time step k- iteration .

1 11 11( ), ( )H i C ii+ ++F U F U

) )&

Page 24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7 -

2 2 2 1 1 2 1 1 21 1 1 1 1 1 1 11 1 1( ) ( )i i i i H i i i C ii i i+ + + + + + + ++ + ++ + = + + ∆ + + ∆MU CU KU F F U K U F U C U

)) ) )&&& & &(3-4-85)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차량과 궤도의 의 은 다 coupled system incremental equation of motion

음 식과 같이 주어진다.

2 1 2 1 21 1 1 1 1

1 1 0 0 1 0 0 11 11 1 1 1 11 1 1( ) ( ) ( ) ( )

i i i i i

H i C ii H i i i C ii i i

+ + + + +

+ ++ + + + ++ + +

∆ + ∆ + ∆ =

+ − − ∆ − − ∆

M U C U K U

F U F U F U K U F U C U

&& &

)) ) ) ) )& & & (3-4-86)

≥ 대하여 다음 식들이 성립하므로

1 6 1k ki ic+ +∆ = ∆U U&

(3-4-87)

1 5 1k ki ic+ +∆ = ∆U U&&

(3-4-88)

식 및 를 식 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3-4-87 3-4-88 3-4-86 .

1 15 6 1 1 1

1 2 1 2 2 1 2 11 1 11 11 1 1 1 1

( )

( ) ( ) ( ) ( )

k k ki i i

k k k k k k k kH i H i C ii C ii i i i i

c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C K U

F U F U F U F U K U C U)) ) ) ) )& & & (3-4-89)

번째 최종 번째 후 변위 속도 그리고 가속도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i- time step n- iteration , ,

다.

0 0 01 1 1 1 1 1

1 1 1

, ,n n n

n k n k n ki i i i i i i i i

k k k+ + + + + +

= = =

= + ∆ = + ∆ = + ∆∑ ∑ ∑U U U U U U U U U& & & && && &&

(3-4-90)

사 해석방법의 검증.

차량 및 궤도 모델링(1)

해석방법의 검증은 멘체스터 벤치마킹 차량 및 궤도와 동일한 모 (Manchester Benchmarks)

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차량 제원은 그림 과 같으며 물성 및 상세제원은 표 . 3-4-128 3-4-54

와 같다.

측면도 단면도(a) (b)

그림 해석 대상 차량의 제원3-4-128

표 해석대상 차량의 제원 및 물성3-4-54

Masses and Inertias

WheelsetsMass 1813 kg

Roll inertia 1120 kgm2

Page 24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8 -

Pitch inertia 112 kgm2

Yaw inertia 1120 kgm2

bogies

Mass 2615 kg

Roll inertia 1722 kgm2

Pitch inertia 1476 kgm2

Yaw inertia 3067 kgm2

body

Mass 32000 kg

Roll inertia 56800 kgm2

Pitch inertia 1970000 kgm2

Yaw inertia 1970000 kgm2

Suspension Characteristics

Primary suspension

(4 per bogie)

Longitudinal stiffness 31391 kN/m

Nominal damping in parallel 15 kNs/m

Damping series stiffness 60000 kN/m

Lateral stiffness 3884 kN/m

Nominal damping in parallel 2 kNs/m

Vertical stiffness 1220 kN/m

Secondary springs

(2 per bogie)

Longitudinal shear stiffness 160 kN/m

Lateral shear stiffness 160 kN/m

Vertical stiffness 430 kN/m

Bending stiffness 10.5 kNm/rad

Secondary roll bar (1 per bogie) Stiffness 940kNm/rad

Secondary longitudinal traction rod

Stiffness (1 per bogie)

Nominal damping in parallel 25 kN/m

Damping series stiffness 10000 kN/m

Damper characteristics

Primary vertical damper (4 per bogie)Damping rate 4 kNs/m

Series stiffness 1000 kN/m

Secondary lateral dampers (2 per bogie)Damping rate 32 kNs/m

Series stiffness 6000 kN/m

Secondary vertical dampers

(2 per bogie)

Damping rate 20 kNs/m

Series stiffness 6000 kN/m

Vehicle Dimensions

Bogie semi pivot spacing 9500 mm

Bogie semi wheelbase 1280 mm

Wheel radius 46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bogie cg 60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body cg 1800 mm

Longitudinal and lateral offset of body cg from body center 0 mm

Suspension Geometry

Primary springs

(if using elements with a fixed line of

action)

Longitudinal semi spacing, (xl) 1280 mm

Lateral semi spacing, (yl) 1000 mm

Height above rail level, (h1) 460 mm

Primary springs

(if using elements with variable line

of action)

Longitudinal element:

Wheelset end semi-spacing, (x1)1280 mm

Longitudinal element: Bogie frame end semi-spacing, (x2) 830 mm

Lateral element:

Wheelset end semi-spacing, (y1)1000 mm

Lateral element: Bogie frame end semi-spacing, (y2) 600 mm

vertical element: Height of wheelset end, (h1) 460 mm

vertical element: Height of bogie frame end, (h2) 880 mm

Secondary springs

Longitudinal semi spacing, (x3) 9500 mm

Lateral semi spacing, (y3) 100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top, (h3) 113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bottom, (h4) 525 mm

Secondary longitudinal traction rod

Height above rail level, (h5) 600 mm

Longitudinal semi-spacing bogie end, (x4) ,

(if using elements with variable line of action)9500 mm

Longitudinal semi-spacing body end, 8300 mm

Primary vertical dampersLongitudinal semi spacing, (x1) 1280 mm

Lateral semi spacing, (y1) 1000 mm

Page 24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29 -

해석 대상 궤도의 해석 파라메타는 표 와 같으며 궤도모델은 그림 와 같 3-4-55 3-4-129

다 또한 해석에서 고려된 궤도틀림은 그림 과 같이 파장이 이고 진폭이 . 3-4-130 10m 7mm

인 주기 사인파 형상을 갖는 줄틀림이 양쪽 레일에 동일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였3

다.

그림 해석대상 궤도모델 그림 해석에서 고려된 궤도틀림 줄틀림 3-4-129 3-4-130 ( )

표 해석대상 궤도 파라메타3-4-55

Parameter Value

Track gauge 1425mm

Rail cant (inward inclination) 1:40

Rail type UIC 60

Rail mass 60kg/m

Sleeper mass per 500kg

Wheel profile KTX wheel profile

Coefficient of friction 0.4

Lateral Stiffness

Rail-Sleeper 43.0 MN/m

Sleeper-Ground 37.0 MN/m

Lateral Damping

Rail-Sleeper 0.24 MNs/m

Sleeper-Ground 0.24 MNs/m

Veritcal Stiffness 50 MN/m per rail

Vertical Damping 0.2 MNs/m per rail

Roll Stiffness 5.0 MNm/rad per rail

Roll Damping 0.2 MNms/rad per rail

해석결과(2)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기법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차량동역학 전용 해석프로그램인 VI-Tail

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림 와 는 각각 첫번째 차축에서 윤중과 . 3-4-131 3-4-132

횡압을 비교한 것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기법과 전용 해석프로그램인 .

해석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차량 각부의 횡방향변위를 나VI-Tail .

타낸 그림 으로부터 두 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3-4-133 .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기법은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Height above rail level of wheelset end, (h1) 46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bogie frame end, (h2) 880 mm

Seconday lateral dampers

Lateral semi spacing of bolster end, (y4) 665 mm

Lateral semi spacing of bogie end, (y5) 230 mm

Height above rail level, (h7) 700 mm

Secondary vertical dampers

Lateral semi spacing, (y6) 1300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top, (h8) 925 mm

Height above rail level of bottom, (h9) 400 mm

Page 25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0 -

(a) Left wheel (b) right wheel

그림 첫번째 차축에서의 윤중 해석결과3-4-131

(a) Left wheel (b) right wheel

그림 첫번째 차축에서의 횡압 해석결과3-4-132

(a) Car body (b) Frount bogie (c) First Wheelset

그림 차량 각부에서 발생하는 횡방향 변위3-4-133

시뮬레이션에 의한 윤중 및 횡압 평가8.

가 정적 윤중 및 횡압 평가.

원심력에 의한 윤중의 증감(1)

곡선통과시의 차량에는 곡선반경 캔트 및 속도에 의존한 원심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내 , ,

측과 외측 레일의 정상적인 윤중증감이 생긴다 그림 주행속도가 균형속도이하 캔트( 3-4-134). (

초과 의 경우에는 외측레일 윤중은 정지윤중 보다도 작아지고 균형속도 이상 캔트부족 의 경) , ( )

우에는 역으로 커진다 이와 같은 원심력에 의한 윤중증감의 메커니즘을 고려한 바깥레일 윤.

중정상분 및 내측 레일 윤중정상분의 추정식은 식 및 로 나타낼 수 있다3-4-91 3-4-92 .

Q i W

gR

v⋅G

C GHg gR

v G

C

(3-4-91)

Page 25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1 -

Q o W

gR

v⋅G

C GHg gR

v G

C

(3-4-92)

RmV 2

R

mV 2

≈ sCwo

s

Wo=mg

C

중력중심

Qo

Qi

Ho

Hi

HG

HG

*

RmV 2

R

mV 2

≈ sCwo

s

Wo=mg

C

중력중심

Qo

Qi

Ho

Hi

HG

HG

*

그림 곡선부 윤중 및 횡압 변화 3-4-134

여기서

Qo : 외측 레일 윤중정상분(kN)

Q i : 내측 레일 윤중정상분(kN)

γ : 외측 레일 차륜의 정지윤중비

: 정적축중(kN)

: 주행속도(m/s)

: 궤간(m)

: 캔트(m)

: 곡선반경(m)

: 중력가속도(9.8 )

* :차량유효중심높이 비진자차량의 경우 실제차량 중(m)( ,

심 높이의 배로 한다1.25 )

안쪽레일의 마찰력에 의한 곡선 전향횡압(2)

곡선 통과 시 대차 전축의 바깥레일 쪽 차륜은 그림 와 같이 플랜지가 레일에 접촉 3-4-135

함에 따라 안쪽차륜은 레일 상면을 미끄러지며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주행하게 되고 따라서 ,

안쪽 레일쪽에 마찰력 윤중 마찰계수 이 작용한다 이에 대한 반력으로서 바깥 레일쪽에는 ( × ) .

횡압 즉 곡선전향횡압이 작용한다.

Page 25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2 -

횡압 TxH

H'

Fy

FyQ'

H'

Q

H

차축운행의 횡방향력

전후접선력

내궤측횡압윤중비

H=H' +Fy

내궤측의 마찰계수와 윤중이 커지면외궤측의 횡압은증가함.

T 'x

H‘= κ Q'

차륜attack각

외궤측차륜은프렌지 접촉에의해좌측을 누른다.

횡압 TxH

H'

Fy

FyQ'

H'

Q

H

차축운행의 횡방향력

전후접선력

내궤측횡압윤중비

H=H' +Fy

내궤측의 마찰계수와 윤중이 커지면외궤측의 횡압은증가함.

T 'x

H‘= κ Q'

차륜attack각

외궤측차륜은프렌지 접촉에의해좌측을 누른다.

그림 곡선전향횡압 발생 메커니즘3-4-135

안쪽 레일의 차륜 레일간의 마찰계수 안쪽 레일측 횡압윤중비 가 클수록 곡선 전향횡압은 - ( )≒

커진다 이 마찰력 곡선전향횡압 에 상당하는 안쪽 레일측 횡압정상분은 다음 식과 같다. ( ) .

κ (3-4-93)

시각력 시뮬레이션에 의한 계산결과 및 실측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륜답면형상별 기본과 원(

호 또는 수정원호 로 곡율에 따른 레일측 횡압윤중비) κ는 그림 과 같다3-4-136 .

0.000 0.002 0.004 0.0060.0

0.1

0.2

0.3

0.4

0.5

0.6

안안

레레측

횡압윤중비

K

기기기면

1/500 1/200

그림 안쪽 레일측 횡압윤중비 설정 모델3-4-136

원심력에 의한 윤축횡압(3)

곡선통과시의 차량에는 곡선반경 캔트 및 속도에 의존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것에 의해 , ,

정상적인 윤축횡압이 생긴다 주행속도가 균형속도이하 캔트초과 의 경우에는 바깥 레일측에 . ( )

대해서는 마이너스 횡압이 되고 균형속도이상 캔트 부족 의 경우에는 플러스의 횡압이 된다, ( ) .

Page 25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3 -

차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고려한 횡압정상분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HAS W gRv

GC (3-4-94)

여기서 Δ 는 윤축횡압정상분이다.

설계윤축횡압예측식은 식 과 같다3-4-95 .

(3-4-95)

나 동적 윤중 평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축중이 이동하므로 정지하여 있는 체결장치에는 하중은 순간적으로

지나가므로 시간영역에서 차량 궤도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할 경우 여러 위치에서 다양하게 변/

하는 하중을 통계적으로 해석하기 어렵다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궤도구조 조건이 동일하다고 .

가정될 때 주파수영역에서의 차량 궤도 상호작용해석이 가능하고 이때 궤도틀림을 로 입/ , PSD

력하여 불규칙 진동해석 을 수행하면 체결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Random vibration analysis)

확률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가 차륜 레일 상호작용력 계산. /

윤중을 계산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동을 수직방향만 고려할 때 차량 궤도 상호작용에 대한 /

해석모형은 그림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3-4-137 .

K , C

y

yw4 w3

2b

s s yc

Car body

Ballast

Sleeper

Rail

K , C

K : Hertzian Spring

Bogie

y

2yw y

H1w

b1

p p

b12b

c

kfp

y

Subballast

cfp

kbl cbl

csbksb

ksg csg

da

db

Ms

Mbl

Msb

그림 차량 궤도의 수직방향 동적상호작용 해석모형3-4-137 /

차량 궤도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차륜이 레일에 작용하는 윤중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3-4-96)

Page 25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4 -

여기서 및 , 는 차륜 접촉점에서의 레일 차륜 그리고 차륜 레일의 상대표면조/ , , /

도의 변위벡터들이고, 는 차륜과 레일의 접촉면에서의 헤르쯔안 스프링상수이(Hertzian)

다.

차륜 접촉점에서 작용하는 조도하중과 이에 따른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

의 정의로부터 차륜 및 레일변위는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dmittance) .

(3-4-97)

(3-4-98)

여기서 , 는 각각 차륜 접촉점에서 차륜 및 레일의 어드미턴스 행렬이다/ .

식 으로부터 상호작용력과 레일 차륜 상대조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3-4-96, 3-4-97, 3-4-98 /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4-99)

여기서 는 단위행렬이다I 4x4 .

식 로부터 상호작용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3-4-99 .

(3-4-100)

차륜 레일조도와 레일변위와의 관계는 식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3-4-99, 3-4-100 .

ω (3-4-101)

여기서 ω 은 단위 차륜 레일 조도에 대한 레일응답을 나타내는 전달함수/ (Transfer

행렬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Function) .

ω (3-4-102)

궤도 각부의 동적거동은 차륜 및 궤도 어드미턴스와 차륜 레일 상대조도가 주어지면 식 / (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3-4-101) .

본 연구에서는 상기에서 소개한 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주파수영역에서의 차량 궤도 상호작 /

용해석기법을 이용하여 레일에 작용하는 윤중과 횡압을 평가하였다 차량은 차체 대차 윤축. , , ,

현수장치 등 자유도로 모델링하였으며 궤도는 스프링 및 댐퍼로 연속하여 지지되는 보10 ,

로 모델링하였다 차량 궤도 상호작용에서 윤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는 차량(Beam) . -

과 궤도의 제원 및 물성치와 궤도틀림 관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영향인자들 중 궤도틀.

림은 윤중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정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

엇보다도 궤도틀림을 정확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주파수영역에서 차량궤도 상호작용해석을 수.

행하기 위해서는 입력으로서의 궤도틀림은 주파수응답 또는 주파수영역(Frequency response)

에서의 가 사용될 수 있다 궤도틀림은 위치마다 그 발생양상이 PSD(Power spectral density) .

매우 다르므로 전체구간의 궤도틀림을 대표하는 궤도틀림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궤도틀림을

Page 25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5 -

통계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궤도틀림 는 궤도틀림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 PSD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차량 궤도 동적상호작용해석의 입력으로서 궤도틀림 를 사용하였- PSD

다 다음 절은 궤도틀림을 를 모델링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PSD .

다 궤도틀림 모델링.

궤도검측시스템의 검측 원리 및 특징 (1)

궤도검측시스템은 관성법과 종거법으로 분류된다 한국형고속열차 궤도검측시스템은 관성법 .

을 사용하며 그림 와 같이 한 측정점에서 레이저로 비쳐진 레일의 형상을 이미지화 3-4-138

하여 레일의 답면과 내측 레일점 궤간 기준점 을 간격으로 측정하게 된다 관성장치를 , ( ) 0.25m .

장착 카메라 및 레이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궤도의 선형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형상은 , .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처 레일의 선형 및 불규칙을 구하게 된다.

그림 관성법 검측 원리3-4-138

고저틀림 방향틀림 수평틀림 궤간틀림 평면성 틀림 등 개 항목의 궤도틀림을 측정할 수 , , , , 5

있는 궤도검측시스템은 계측장비 신호처리장치 연산장치 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시, , , .

스템은 그림 와 같이 한국형고속열차의 종합계측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하고 종합3-4-139 ,

계측시스템의 데이터와 동기화 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그림 궤도검측시스템과 종합계측시스템의 동기화3-4-139

고저틀림 은 가지 파장 별로 표 과 같이 레일의 상하 궤도 (Longitudinal Level) 3 ( ) 3-4-56λ

Page 25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6 -

틀림이 측정된다.

표 파장별 고저 궤도틀림 측정범위 반복정확도 및 감도3-4-56 ,

구분 파장 최소측정범위 반복정확도 감도(Resolution)

D1 3m< <25mλ ±50 mm 이내±1 mm 이내 ±0.5 mm

D2 25m< <70m,λ ±100 mm 이내±3 mm 이내±0.5 mm

D3 70m< <150mλ ±300 mm 이내±5 mm 이내±0.5 mm

궤도틀림 계산(2) PSD(Power Spectral Density)

그림 은 한국형고속열차 궤도검측시스템으로 고속철도구간에서 검측한 궤도틀림의 3-4-140

원형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궤도틀림 크기는 같은 고속철도. 3-4-140

구간이더라도 노반조건 터널 토공 교량 및 궤도범주 자갈궤도 콘크리트궤도 에 따라 차이가 ( , , ) ( , )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궤도 구간에서 궤도틀림을 추출하였.

다.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60 280 300

-80

-60

-40

-20

0

20

40

60

80

콘콘콘콘궤콘콘콘

연연선연연선고고선

Ve

rtic

al

tra

ck

irr

eg

ula

rity

(m

m)

KM 정

Right rail

Left rail

고고선

그림 콘크리트궤도구간에서 검측한 궤도틀림 고저틀림3-4-140 ( )

궤도틀림 검측 시 차상에서 기록된 선로위치와 실제 선로위치와의 차이를 고려하여 동일조

건의 노반범주 및 궤도범주가 선정될 수 있도록 구간 시점 및 종점에서 각각 씩을 제외100 m

하였다 개의 궤도틀림 샘플링 구간은 이다 그림 은 각각 고속철도 . 1 (Sampling) 1 km . 3-4-141

자갈궤도구간 및 콘크리트구간에서 샘플링한 궤도틀림을 주파수분석하여 얻은 를 나타낸 PSD

것이다.

Page 25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7 -

0.01 0.1 1

1E-10

1E-9

1E-8

1E-7

1E-6

1E-5

1E-4

1E-3

0.01

0.1

1

Average x2

Average

Po

we

r spe

ctr

al de

nsity (

m2/(

1m

))

Space frequency (1/m)

그림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구간 궤도틀림 고저틀림3-4-141 ( ) PSD

다 궤도틀림 의 회귀분석. PSD

궤도틀림은 체결장치 범주 그리고 궤도범주에 따라 발생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들 ,

특성을 고려하여 궤도틀림을 차량 궤도 상호작용해석에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

궤도 상호작용해석에 있어서 궤도틀림 는 그 구간을 대표할 회귀식으로 모델링한다 세- PSD .

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궤도틀림 회귀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중 프랑스에서 제시한 회

귀식이 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궤도틀림 발생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

검측된 궤도틀림의 을 회귀분석함으로써 체결장치 범주 및 궤도범주를 반영할 수 있는 새PSD

로운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궤도틀림을 검측한 검측시스템은 이상의 파장을 갖는 궤도틀림에 대하여 신뢰성을 확보 3m

하고 있다 한편 차량과 궤도의 상호작용해석에 영향을 주는 궤도틀림은 이하의 파장을 . 30m

갖는 궤도틀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궤도틀림의 회귀분석은 에서 . 3m 40m

의 파장을 갖는 궤도틀림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회귀식은 .

다음 식 과 같다( 4.12) .

(3-4-103)

여기서 은 상수이며, 는 공간주파수 이다(Spatial frequency) .

회귀분석은 횡축의 공간주파수와 종축의 를 각각 상용 를 취하여 영역에서 PSD Log Log-Log

이루어졌다 그림 는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의 궤도틀림의 를 상수 . 3-4-142 PSD 을 달리해가

면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수 ( 이 달라질 경우 상수 도 연동되어

달라짐 표 은 회귀분석 상수 ). 3-4-57 에 따른 파장별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표로.

부터 회귀분석 상수 은 따라서 대역의 장파장 표준편차는 차이가 별로 없지만 3.0~30.0 m

대역의 단파장 표준편차는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의 파장을 갖는 0.3~ 3.0 m . 3 m

궤도틀림도 차량은 스프링하질량 과 궤도강성과의 상호작용에 매우 큰 영향을 (Unsprung mass)

준다 현재 국내에서 검측한 이하의 단파장 궤도틀림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는 확보. 3 m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단파장 궤도틀림을 고려한 구간 특성에 맞는 적절한 궤도틀림 .

Page 25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8 -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상수 값을 달리해가면서 차량 궤도 상호작용해석으로 수행한 -

윤중 계산과와 현장에서 계측한 윤중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값을 포함한 회귀식을 선

정할 필요가 있다.

표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회귀식에서 상수 3-4-57 에 따른 파장별 표준편차

=3 =3.5 =4 =5

파장: 0.3~ 3.0 m 0.057 0.049 0.043 0.035

파장: 3.0~30.0 m 0.448 0.452 0.456 0.462

0.1

0.001

0.01

0.1

1

10

100

검측궤콘검림 PSD

7.69501E-4/(0.01008+x)3

4.65017E-4/(0.0272+x)3.5

2.95434E-4/(0.04444+x)4

1.384E-4/(0.07934+x)5

0.025 0.333

Space frequency (1/m)

Po

wer

spe

ctr

al de

nsity (

m2/(

1m

))

그림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의 회귀분석결과3-4-142 PSD

윤중 측정 및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9.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윤중을 해석하기 위한 차량의 물성 및 제원은 표 과 같고 3-4-58 ,

콘크리트궤도의 물성치 및 제원은 표 과 같다 그림 은 콘크리트궤도구간3-4-59 . 3-4-143

에서 측정 및 시뮬레이션하여 얻은 윤중의 표준편차를 속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들 그림.

으로부터 이하의 파장을 갖는 궤도틀림 상수 3 m 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에 있어서 차이

가 크게 발생하지만 적절한 상수 을 선정하면 측정 및 시뮬레이션 결과가 잘 일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들로부터 차량 궤도 동적 상호작용 해석 시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에서. -

는 정도를 적용하면 실측보다 다소 큰 윤중의 표준편차가 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3.5 .

표 고속철도 차량의 제원 및 물성치 레일당 즉 차량편측당3-4-58 ( , )

Parameter Value

Car body mass (loaded) 27.48 ton

Car body mass moment of inertia about Y axis 565.95 tonm2

Page 25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39 -

표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제원 및 물성치3-4-59

50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275 300 325

0

2

4

6

8

10

12

14

측정연측 J

시시레이시 연측 n=3

n=3.5

n=4

n=5

Sta

na

rd d

evia

tio

n o

f ve

rtic

al w

he

el lo

ad

, σ

(kN

)

Train speed (km/h)

그림 콘크리트궤도구간에서 측정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얻은 속도에 따른 윤중의 표준편차3-4-143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실측구간에서 검측된 궤도틀림자료를 해석시간 등을 고려하여 3km

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부터 의 속도대역별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6 150km/h 400km/h .

와 그림 는 차원 차량 궤도 동적상호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앞서 콘크리트궤도3-4-144 3-4-145 3 -

Bogie mass 1.210 ton

Bogie mass moment of inertia about Y axis 1.297 tonm2

Unsprung mass 1.024 ton

Primary suspension stiffness 1.252x103

kN/m

Primary suspension damping 16.0 kNs/m

Secondary suspension stiffness 1.268x103

kN/m

Secondary suspension damping 28.5 kNs/m

Distance between two bogie Y-direction centrelines 14.0 m

Wheelset base 3.0 m

Hertzian spring stiffness 1.4x106

kN/m

Parameter Value

Rail mass per meter 60.3x10-3

ton/m

Rail cross-section area 7.687x10-3

m2

Elastic modulus of rail 2.10x108

kN/m2

Poisson's ratio of rail 0.3

Rail second moment of area 3.055x10-5

m4

Timoshenko shear coefficient 0.34

Fastener spacing(Longitudinal direction) 0.65 m

Fastener stiffness 30.0E3 kN/m

Fastener damping 220.0 kNs/m

Page 26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0 -

의 궤도틀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그림 는 열차속도에 따른 윤. 3-4-144

중의 표준편차로서 까지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 400km/h .

운영속도 대비 로 증속할 경우 약 배가량의 동적윤중 표준편차가 발생하는 300km/h 400km/h 2

것으로 해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설계에 적용하는 궤도작용력에 대한 . 를 적용할 경우 현재

속도대역에서 정도 증가하여 설계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7.5kN .

그림 차원 차량 궤도 상호해석을 통해 산출된 속도에 따른 윤중의 표준편차3-4-144 3 -

그림 는 차원 차량 궤도 동적상호작용해석을 통해 콘크리트궤도에서의 궤도틀림을 3-4-145 3 -

고려한 속도대역별 횡압의 표준편차 예측곡선이다 동적횡압 식 와 같이 안쪽레일의 마. 3-4-95

찰력에 의한 곡선 전향횡압( 과 원심력에 의한 윤축횡압) ( Δ 그림 에서 예측된 ), 3-4-145

횡압의 표준편차에서 궤도설계에서 에 해당하는 값으로 횡압예측치를 산정하면 된다.

(3-4-104)

그림에서와 같이 열차 주행속도 이내에서는 궤도틀림의 가지 해석조건에서 편차가 300km/h 6

크지 않으나 이상 속도대역에서는 횡압의 표준편차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알 , 300km/h

수 있다 특히 이상 속도에서는 궤도틀림에 따라 배이상 커지며 이는 열차주행안정. 350km/h 5

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된다 해석결과 횡압의 경우 이내 속도에서는 매. 300km/h

우 안정적인 해석값을 보이고 있으나 그 이상의 속도대역에서는 심도있는 분석이 필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향후 운영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취약개소에서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결과를 바.

탕으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26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1 -

그림 차원 차량 궤도 상호해석을 통해 산출된 속도에 따른 횡압의 표준편차3-4-145 3 -

Page 26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2 -

5절.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1. 개 요

고속철도 건설의 활성화에 따라 연약지반 또는 계곡부를 지나는 선형계획이 수립됨으로써 토공

노반이 설치되는 구간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부고속철도에 설치된 자갈도상 궤도의 경우 운행

시 열차의 고속주행에 따른 자갈궤도의 이완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검측 및 보수작업

이 필요하다. 또한 구조물 접속부의 강성차이로 인한 부등침하, 열차의 고속주행시 발생되는 자갈

비산, 승차감의 저하로 인해 국내에서도 경부고속철도 2단계 및 호남고속철도 등의 경우 토공노반

구간에서도 콘크리트 궤도 설치구간이 증가하고 있다.

콘크리트 궤도는 TCL(Track Concrete Layer)과 HSB(Hydraulic Stabilized Base)층이 강성구

조로 이층들을 지지하고 성토체와 원지반에서의 침하발생을 기본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구조형식

이다. 콘크리트 궤도에서 침하가 발생하게 되면 국부적인 궤도 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궤도슬래브

의 침하로 균열 및 단차를 유발하여 궤도구조물이 파괴에 이르게 된다. 또한, 궤도 특성상 침하

발생시 유지보수가 어려워 시공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해야 하며, 토공구간에 부설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엄격히 침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토공구간의 경우 원지반이 연약지반인 경

우가 다수이며, 고성토로 시공되는 구간도 증가하고 있어 철도 운행중 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

여 잔류침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원지반을 양질의 재료로 치

환하는 굴착치환공법 적용구간에서도 일부 허용 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구간 3-4, 4-1, 4-2공구 중 침하량을 측정한 255개소

에 대하여 잔류침하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에서와 같이 테스트베드구간 중 31개소(약 12%)

에서 콘크리트 노반설치 이후 허용 잔류침하량 기준(철도설계기준 준용, 노반 인수인계 후

30mm)을 초과하였으며, 대다수는 굴착치환구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5-1 참조). 또한,

실측침하량과 설계침하량을 비교한 결과 총 36개소(약 14%)에서 실제 발생되는 침하가 설계침하

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3-5-1 테스트베드구간의 잔류침하량 측정결과

Page 26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3 -

분석된 결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실측 및 설계 잔류침하량을 토대로 오차 및 오차율을 분석하였

으며, 분석결과는 그림 3-5-2와 같다. 오차는 “설계 잔류침하량-실측 잔류침하량”, 오차율은

“(설계 잔류침하량-실측 잔류침하량)/실측 잔류침하량”의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검토결과 최대

35mm(평균 20.4mm)의 설계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허용 잔류침하량 기준을 상회하는 단면(31개

소)에 대하여 오차율을 산정한 결과 최대 62.5%(평균 35.3%)로 나타났다(그림 3-5-2(b) 참

조). 따라서, 실측 잔류침하량과 설계 잔류침하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 설계 잔류침하량 오차 (b) 설계 잔류침하량 오차율

그림 3-5-2 설계 잔류침하량의 오차 및 오차율

본 연구에서는 실측 잔류침하량의 과다 발생 및 설계 잔류침하량 대비 오차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방법으로 잔류침하량 오차가 크게 발생한 구간에 대하여 상세 지반조사 및 실내시

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조사결과를 활용하고 선정된 대표단면에 대해 설계 잔류침하량을 재 산정

하였으며, 산정된 침하량을 바탕으로 오차원인 분석 및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정 프로세스를 도출

하여 설계 가이드라인(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설계․실측 잔류침하량의 오차 원인

설계 잔류침하량과 실측 잔류침하량의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문헌

조사결과 및 실측 침하량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대상현장인 호남고철 테스트베트 구간에

서는 연약지반 판정기준(N치), 계절적 요인에 의한 지하수위 변화, 성토체, 치환체 및 원지반의

장기 크리프 침하, 열차반복하중을 영향인자로 선정하였다.

가. 연약지반 판정기준(N치)

설계시 연약지반을 판정하는 것은 시공성 및 경제성을 비롯하여 향후 안정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지반 조건에 의해 결정할 것이 아니라 지반상에 축조되는 구조물의 종류와 규모

를 비롯하여 지반특성(토층의 두께 및 물리적/공학적 특성 등)을 충분히 검토한 뒤에 판정해야 한

다.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표준관입시험값(N치)를 기준으로 사질토는 N<10, 점성토는 N<4 지반을

연약지반이라 한다(표 3-5-1 참조). N치는 지반의 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간접적 평가방법으로, 이

를 기준으로 연약지반을 판정하는 데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Page 26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4 -

구 분 연약층 두께(m) N치

점성토

및 유기질토

10m 미만 4이하 8이하 0.6이하

10m 이상 6이하 12이하 1.0이하

사질토 - 10이하 - -

표 3-5-1 연약지반 판정기준(국토해양부, 2008)

일반적으로 N치가 클수록 지반의 강도가 크므로, N치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침하량은 감소한다.

본 연구의 대상 현장인 호남고철 테스트 베드구간의 실측 잔류침하량과 N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림 3-5-3>과 같이 N치가 5~14 지반에서 허용 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침하가 발생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약지반 판정기준인 N치 10이상에서도 허용 잔류침하량을 만족하지 못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잔류침하 경향 (b) 잔류침하 초과빈도 및 범위

그림 3-5-3 N치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이러한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 400km/h급 고속철도 설계기준(KR

G-01010-T)에서는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원지반 사질토의 연약지반 판정

기준을 N치 15 이내로 강화하여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표 3-5-2 참조). 그러나 이 규정은

현재 개정중인 임시규정으로, KR C-04040 연약지반 규정에 따라 연약지반 판정기준을 N치 10

이하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연약지반 판정기준(N치

<10)을 초과하는 경우에서도 허용 잔류침하량을 상회하는 실측 침하가 확인된 바, N치가 15 이

내인 지층까지 확대하여 잔류침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구 분 점성토 및 이탄질 지반사질토 지반

자갈 궤도 콘크리트 궤도

층두께 10m 미만 10m 이상 - -

N치 4이하 6이하 10이하 15이하

60이하 100이하 - -

표 3-5-2 연약지반 판정기준(KR G-01010-T, 임시규정)

Page 26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5 -

나. 지하수위 변화

연약지반 설계시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하수위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안전측 설계를 위하여

지하수위는 원지반 포화상태 또는 점토층 상단까지 포화상태로 검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철

도기술연구원(2012)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궤도 부설완료 이후 1년 중 3~5월에 급격한

침하가 발생하였으며, 원인 규명 결과 2014년 극심한 가뭄과 모내기철의 지하수위 취수로 인한

급격한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지반의 유효응력 증가가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장기지하수위 측정결과에서도 약 3개월에 걸쳐 지하수위가 약 5.0m 하강하

는 것으로 계측되었다(그림 3-5-4 참조). 이와 같이 수위가 저하하게 되면 지반 내 유효응력이 증

가하게 되어 침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구간의 경우 지하수위 저하로 인해 원지반

에 약 5.0t/m2의 추가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는 설계하중(궤도하중+열차하중=5.0t/m2)과 동

일한 값으로, 설계하중이 성토체 상부의 노반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지반에 등분포 하중의

형태로 작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유발한다. 따라서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추가 하중으로 과다

침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설계시 장기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잔류침하를 검

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하수위는 강우, 강수 등에 의한 요인을 비롯하여

기압, 지리적 위치, 지층 구성, 기타 우발적 요인(지진) 등에 의해서도 변화하므로, 대상구간에서의

장기지하수위 계측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림 3-5-4 장기지하수위 측정결과

다. 장기 크리프 침하

Gordon(1989) 등은 암버럭과 흙의 혼합 성토체 시공 후 장기계측을 수행하였으며 계측결과에 따

르면 성토체의 침하는 시공 후 9~18개월 이에 대부분 발생하며 이때, 70개월 간 발생한 침하량의

60%에 해당하는 침하가 9개월 이내에, 80%에 해당하는 침하가 18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70개월 동안 발생한 전체 침하량은 성토 높이의 0.1~0.15% 범위에서 발생한다고 하

였다. 또한, Justo(1971)는 스페인 고성토 도로 구간의 경우 시공 후 크리프로 인한 침하가 약 1m

까지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철도 노반 시공을 위해 적용되는 방치기간을 고

려해 보았을 경우에도 성토체에서 오랜 기간 동안 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을 의미하고 고성토

구간의 경우 침하량의 크기는 열차 운행에 있어 매우 위험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age 26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6 -

본 연구에서는 성토고 및 원지반 두께가 잔류침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토공구간

의 성토고는 원지반에 재하되는 작용하중에 비례하므로 지반의 침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며, 성토고가 높을수록 침하량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실제 측정결과에서도 성토

고와 잔류침하량은 비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5-5(a) 참조). 또한, 허용 잔류침하량을 초

과하는 성토고는 3.7m 이상인 구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5-5(b) 참조). 따라서

성토고가 일정높이 이상이 되면 성토체와 원지반의 크리프 침하에 의해 잔류침하량 허용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므로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a) 잔류침하 경향 (b) 잔류침하 허용치 초과빈도

그림 3-5-5 성토고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국내 설계 관행상 성토재료의 품질과 다짐기준을 만족할 경우, 성토체의 크리프 침하가 잔류침

하량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으로 판단하여 설계시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권성근 등

(2009)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토 완료후 10년간 발생되는 성토체 자체의 침하량이 5m 성토시

14~33mm, 10m 성토시 30~70mm, 20m는 66~148mm 발생하여 원지반의 장기침하를 제외하고

도 콘크리트 궤도의 허용잔류침하 기준인 30mm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진호

(2011)에 따르면 성토재료의 품질 및 다짐도가 양호한 경우 성토체 침하는 성토 높이의

0.2~0.5% 정도 발생한다. 국내 중부고속도로의 경우 성토 후 3~4년내 0.1~0.2%, 15~20년내

0.3~0.6%의 장기적인 압축침하량(크리프)이 발생하였다(한국도로공사, 2012). <그림 3-5-6>

은 심진호(2011)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토고에 따른 침하량(성토체만의 침하량)을 계산한 결과

이며, 그림과 같이 침하율이 높은 경우(0.5%) 성토체 침하량만으로도 허용 잔류침하 기준을 초과

할 수 있다. 이는 성토고가 6.0m 이상인 경우 성토체의 크리프 침하를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

음을 의미한다. 또한 성토 재료에 따라 침하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미국 개척국(USBR)은 고성토

체에 해당하는 댐의 장기 침하를 측정한 결과 최초 3년 사이에 0.2%, 14년에 걸쳐 0.4%의 압축

이 발생하였다. 미국 개척국이 제시한 흙의 종류에 따른 침하율은 <표 3-5-3>과 같다.

Page 26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7 -

그림 3-5-6 성토고에 따른 침하량

구분침하율(%)

상재하중 0.7kg/cm2 상재하중 7.0kg/cm2

GM, SM 0.2~0.3 0.6~1.4

SM-ML 0.2~0.5 1.3~2.1

GC-SC 0.3~0.8 1.9~3.3

CL, CL-ML 0.2~1.1 2.8~4.2

표 3-5-3 흙의 종류에 따른 침하율(미국 개척국(USBR))

호남고철 테스트베드 구간의 원지반 구성은 굴착치환공법 구간의 경우 원지반 점성토를 양질의

사질토로 모두 치환하였으며, 선행하중재하공법 적용구간의 경우 점성토와 사질토로 구성된다. 원

지반 층 두께에 따른 잔류침하량 확인결과 굴착치환구간의 경우 8.5%(188단면 중 16단면), 선행

하중재하구간의 경우 17.1%(35단면 중 6단면)가 허용잔류침하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검토되었

다(그림 3-5-7 참조).

고속철도 설계기준(2013)은 고속철도에서의 잔류침하량 계산시 원지반의 1차 압밀과 2차 압밀을

고려하여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장기 크리프침하(Creep)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

다. 그러나, 이상의 검토결과에서와 같이 고성토 토공노반에 설치된 콘크리트 궤도의 허용잔류침

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성토재료 및 원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상세히 파악하고 설계단계에서부터

원지반의 침하뿐만 아니라 성토체 자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장기 크리프 침하를 고려할 필요

가 있다.

Page 26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8 -

그림 3-5-7 원지반 층두께에 따른 잔류침하량 특성

라.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한 침하

철도의 노반설계에서는 열차의 동적하중에 의한 충격계수식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장대레일에 대한 충격계수식을 이용하여 설계속도가 350km/h일 때 충격

계수는 자갈도상 궤도의 경우 2.05를 적용하여 설계하중의 두배 이상의 하중을 고려하며, 콘크리

트 궤도의 경우 궤도의 뒤틀림에 대한 값이 작고 노반에 전달되는 동적하중의 작용 면적이 넓으

므로 충격계수는 1.17, 곡선부 캔트 부족량은 1.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동적하중인 활하중에 의해 궤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충격하중에 의

한 누적피로를 고려한 설계법이며, 하중영향이 강화노반 일부에 편중되어 잔류침하와 같이 토공노

반과 원지반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이로 인해 철도선진국인 독일, 일본 및 국내모두 열

차의 반복하중에 의한 침하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험적으로 약 5mm 정도로 허

용 잔류침하량 기준인 30mm에 포함하여 설계시 고려하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설계

시 허용 잔류침하량은 허용기준 30mm에 대해 열차 운행중 반복하중에 의한 침하량 5mm를 제외

하고 25mm를 허용 잔류침하량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Page 26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49 -

3.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방안

고속철도 토공 노반의 침하는 원지반 침하(), 성토체 침하(), 열차하중에 의한 침하()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은 <그림 3-5-8>과 같다. 원지반 침하는 즉시침하, 1차 압밀침하, 2차 압밀침

하로 구성되며, 성토체 침하는 즉시침하, 장기 크리프 침하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열차하중에 의

한 침하는 즉시침하, 반복하중에 의한 장기 침하로 구성된다.

(a) 원지반 침하() (b) 성토체 침하() (C) 열차 운행 하중에 의한 침하()

그림 3-5-8 토공구간의 침하 원인

<표 3-5-4>는 국내․외의 콘크리트궤도의 허용 침하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허용 침하량 기준

은 30mm로 독일, 일본, 국내 모두 동일하나, 독일의 경우 최대 60mm까지 허용하며 일본의 경우

노반 구축이 아닌 궤도 구축후 10mm/10년을 적용한다.

독일 일본 한국

① 20m 이상 균등침하시

30mm까지 허용

② 최대 60mm까지 허용

① 궤도 구축 후

10mm/10년② 최대 30mm까지 허용

① 30mm까지 허용

② 최대 60mm까지 허용

③ 노반 인수인계 후 10mm/10년(KRC 02070)

표 3-5-4 콘크리트 궤도의 허용 침하 기준

국내 설계 관행상 연약지반처리 구간을 포함한 토공구간에서의 침하는 주로 원지반 침하만을

대상으로 설계하고, 열차하중에 의한 침하는 5.0mm를 별도로 고려한다. 또한, 원지반 침하 중 사

질토는 즉시침하, 점성토는 1차/2차 압밀침하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국외의 경우 원지반과

성토체의 침하를 모두 고려하며, 사질토의 장기 크리프 침하도 고려한다.

국내 고속철도 토공구간의 경우 설계 잔류침하량이 실측 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하

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침하를 유발하는 인자를 도출

하고 실측 대비 설계침하량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정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 구간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3-4공구, 4-1공구 및 4-2공구 총 연장

28km(110k000~128k000) 구간)이며, 해당 구간 내 총 3,407지점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표 3-5-5 참조). 침하량은 <그림 3-5-9>와 같이 지표면에 50m의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침하핀의 위치에서 레벨 측량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량점에 기계를 세운

후 측점을 시준하여 침하량을 측정한 후 왕복 측량으로 신뢰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Page 27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0 -

대상 구간 중 연약지반구간은 굴착치환공법과 선행하중재하공법이 적용되었으며, 굴착치환 두께는

2.40~5.20m(설계 잔류침하량 30.00mm), 선행하중재하공법 구간의 설계침하량은 0.58~1.08m

(설계 잔류침하량 11.20~22.90mm)로 설계되었다.

공구명 대상구간 토공연장(m) T1(EA) T2(EA) 중심선+평균(T1, T2)(EA)

3-4공구 110k000~110k280 3,272 528 494 88

4-1공구 110k280~121k320 5,024 534 500 97

4-2공구 121k320~128k000 2,726 538 518 110

합 계 1,600 1,512 295

총 계 3,407

표 3-5-5 침하측정 DB 현황

그림 3-5-9 침하핀 설치 전경

<그림 3-5-10>은 호남고속철도 4-1공구의 침하 발생현황을 측정한 결과로, 총 12개소 중 7

개소(약 58%)에서 허용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잔류침하가 발생하였다. <그림 3-5-11>은 굴착

치환공법이 적용된 단면의 침하 측정결과이다. 그림의 (a)에서는 허용 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것

으로 나타나지만 최종 침하량이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나, (b)에서는 장기 크리프 침하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 잔류침하량에 비하여 실측 잔류침하량이 큰 경우가 대다수 발생하였

으며, 이는 장기 크리프 침하가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설계 잔류침하량이 실측 침하량을 정

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검토방법 및 기준강화를 위한 개선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5-10 호남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의 침하 특성

Page 27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1 -

(a) 시간-침하 곡선 (b) 대수 시간-침하 곡선

그림 3-5-11 대상 단면의 침하 특성

가. 지반공학적 기초자료 수립을 위한 지반조사

(1) 지반조사 위치 및 수행내용

지반조사는 호남고속철도 4-1공구의 2개소(STA.113k540, STA.113k720)에서 수행되었으며,

과업부지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잔류침하량의 원인을 규명하고 설계침하량 대비 오차율을 감소

시키기 위한 지반공학적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반조사는 설계침하량 대비 실측

침하량이 오차가 크게 발생되는 위치에서 수행되었다.

조사 절차는 광역조사를 통해 과업부지의 특성을 생성원인 및 지반특성을 개략적으로 판단하였

으며, 현장답사를 통해 효과적인 조사위치 및 상세계획을 수립하였다. 상세조사는 현장조사인 시

추조사를 통한 지층구성과 연약지반 분포 등을 확인하고 장기 지하수위를 조사하여 계절별 지하

수위 변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토체의 시공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굴 및 현장밀도시험을 수

행하였다. 실내시험으로는 지반의 흙 분류 및 물성치 파악을 위해 기본물성시험을 실시하고 성토

체의 침하원인 및 품질확인을 위해 유기물함량, 직접전단, 다짐 및 CBR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성토

체의 장기적인 압축침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압축침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조사위치 및 상세 수

량은 <그림 3-5-12>, <표 3-5-6>과 같다.

STA 113k540

STA 113k720

(a) 굴착치환 단면

(b) 선행하중재하단면

그림 3-5-12 지반조사 위치도

Page 27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2 -

조사항목 조사수량 활용방안

광역 및

현장조사

지형 및 지질도 분석 1식 ∙과업 대상지역의 분포 암종 및 예상구조대 파악

시추조사(NX) 4공∙지층분포 상태를 파악, 실내시험용 시료채취

∙지하수위 파악, 설계를 위한 자료 획득

표준관입시험 88회∙지층의 상대밀도 및 연경도 확인

∙경험식을 통한 지반의 강도특성 및 변형특성 파악

장기 지하수위 측정 2공 ∙지하수위 변동파악

시험굴 및 현장밀도시험 3회∙현장 습윤단위중량 측정

∙토질시험용 교란 및 불교란시료채취

실내

토질시험

기본물성시험 3회 ∙흙의 분류 및 물성치 파악

유기물함량시험 3회 ∙성토체의 유기물함량 파악

직접전단시험 3회 ∙성토체의 강도정수 파악

다짐시험 3회 ∙성토체의 품질 확인

실내CBR시험 3회 ∙성토체의 품질 확인

압축침하시험 12회 ∙성토체의 압축침하량 산정

표 3-5-6 조사항목 및 수량

장기 지하수위는 각각 STA 113k540(BH-1)과 113k720(BH-4)의 위치에 파이프를 매설한 후

수동식 지하수위계를 이용하여 1회/2주의 빈도로 측정하였으며, 계측장비의 제원은 <표 3-5-7>

과 같다.

설치 전경 GV-2417수위 센서

(프로브)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

크기 직경 16mm, 길이 195mm케이블

(와이어)

재질 PE(Flexible flat tape)특징 자외선, 염수, 오염된 물에 대한 내수성

(컨트롤러)

구성 후크, 케이블 가이드 및 센서 홀더

신호 부저 및 LED

표 3-5-7 수동식 지하수위계 제원

성토재의 압축시험은 <표 3-5-8>과 같이 기존 연구 사례를 참조하여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는 포화된 점성토에서 수행되는 표준압밀시험(KS F 2316)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포화 조건에서 수

행하였다(표 3-5-9 참조).

제안자伊勢田(1972)와

石井(1976)노일권 등(2004) 이성진 등(2014) 益村公人 등(2001)

시험체 제원직경 15cm

높이 4.0cm

직경 6cm

높이 2cm

직경 60cm

높이 100cm직경 40cm

시료

조성방법재다짐 재다짐 재다짐 재다짐

시료 상태 불포화 조건 불포화 조건 포화 조건 포화 조건

시험 방법표준압밀시험과

동일

표준압밀시험과

동일

표준압밀시험과

동일

표준압밀시험과

유사

표 3-5-8 성토재의 압축재하시험 사례

Page 27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3 -

구 분시험체

제원

시료

조성방법

시료

상태상대밀도

하중

(kN/m2)하중증분비

하중단계별

재하시간

성토재직경 6cm

높이 2cm재다짐

불포화

조건

80%

39.2~627.6 2.0 1일90%

95%

98%

표 3-5-9 성토재 압축재하시험 방법

주) 성토재 압축재하시험은 표준압밀시험(KS F 2616)과 동일하게 수행함

(2) 조사결과

(가) 성토재 및 치환재 특성

성토재와 치환재의 품질은 토공노반에서 원위치(현장밀도시험) 시험을 수행하고 시험굴로 채취

된 불교란 블록시료를 이용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실내시험은 설계기준에 명시된 다짐도

및 재료의 입도를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시공된 성토재 및 치환재의 품질 확인결과는 <표 3-5-10>과 같으며, 모두 시방기준을 만족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치환재의 경우 별도의 시방기준이 없으므로 하부노반과 동일한 기

준을 적용하였다.

구 분 시방기준토공노반 품 질

확인결과성토재 치환재

현장습윤밀도(kN/m3) 최대건조밀도의

90% 이상

19.37 19.04OK

최대건조밀도(kN/m3) 19.63 19.42

수정 CBR(%) 2.5 이상 16.2 15.4 OK

5mm(No.4) 통과율(%) 25~100% 91.6 96.8 OK

0.08mm(No.200) 통과율(%) 0~25% 17.8 24.2 OK

소성지수 10 이하 NP NP OK

표 3-5-10 하부노반 품질시험 확인결과(콘크리트 궤도 기준)

(나) 설계지반정수

성토재와 치환재의 잔류침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강도시험(직접전단)과 압축침하시험을 실시

하였으며, 실험값을 통해 잔류침하 계산에 필요한 설계지반정수를 도출하여 침하 기여도 평가시

활용하도록 한다(표 3-5-11 참조).

구 분단위중량

(kN/m3)

강도특성 장기 침하특성

점착력

c(kN/m2)

내부마찰각

(°)

압축지수

(Cc)

압밀계수

cv(cm2/sec)

2차 압밀계수

시험방법 현장밀도시험 직접전단시험 압밀침하시험

성토재 19.37 12.30 34.90 0.154 1.84×10-3 0.006

치환재 19.04 14.70 32.80 0.163 1.03×10-2 0.006

표 3-5-11 성토재와 치환재의 설계지반정수

Page 27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4 -

나. 기여도 평가

실측 침하량 측정결과를 통해 설계시 고려하지 못해 침하량이 과다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였

으며, 오차원인(영향인자)으로는 연약지반 판정기준(원지반 침하 원인), 성토체 침하, 치환체 장

기 침하, 지하수위 변화, 침하 해석 방법 등이다.

침하 영향인자로 인해 설계・실측 침하량 오차에 미치는 영향인 침하 기여도(침하비) 평가 및

분석을 위해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K-Embank로 국내 연약지반

설계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1) 침하 기여도 평가를 위한 영향인자

(가) 성토체 침하

실측 침하량결과 분석시 주로 설계침하량 이상의 과다 침하 발생구역은 고성토 구간으로 문헌

자료에 따르면 고성토구간의 경우 성토체에서 오랜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크리프에 의한 침하가

발생하며, 성토높이가 5m 이상인 경우 허용잔류침하 기준인 30mm를 초과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국내 설계기준의 경우 성토체 크리프 침하를 고려해야 하는 규정이 없으며, 본 연구의 대

상 현장인 호남고철 테스트배드 구간에서도 설계시 성토체 자체의 침하량 검토가 누락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토재의 입자 재배열에 의한 크리프 침하에 의한 잔류침하량 허용기준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서 채취된 성토재의 장기적인 압축침하 시험결과를 이용

하여 장기 크리프 침하량을 예측하였으며, 예측결과를 통해 성토체의 크리프 침하량이 전체 발생

잔류침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도록 한다.

(나) 치환체 품질

강화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 원지반에 대한 품질기준은 <표 3-5-12>와 같으며, 치환재에

대한 명확한 품질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국내 설계 및 시공 관행상 하부노반의 품질기준을

치환재에 적용되기도 하나 잘 시행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굴착치환재의 품질기준이 설계기준상 명

확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하부노반의 다짐도가 90% 이상이므로 이를 적용할 것을 권

장한다.

치환재의 표준압밀시험 결과 <그림 3-5-13>과 같이 다짐도가 감소할수록 발생 변형율이 증

가하였고, 하중단계가 클 경우 약 2~3%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성토의 침

하특성과 유사하게 즉시침하, 압축침하, 크리프 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치환체

의 경우에도 성토체와 같이 즉시침하 이외에도 장기 크리프 침하량을 예측하여 성토체의 크리프

침하량이 전체 발생 잔류침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도록 한다.

독일 일본 한국

① 지지강성,

EV2≥60MN/m2,

EVd 35/30MN/m2

① A군 원칙

② 다짐도 : 자갈 90% 이상,

모래 95% 이상

① 최대 입경 300mm 이하

② 수정 CBR 2.5 이상

③ 층 다짐 두께: 토사 30cm, 암 50cm

④ 다짐도 90% 이상

⑤ 지지강성, EV2≥60MN/m2, EV2/EV1<2.7

표 3-5-12 국내․외 하부노반의 품질기준

Page 27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5 -

(a) 하중단계-변형율 곡선 (b) 다짐도-변형율 곡선

그림 3-5-13 치환재의 변형 특성

(다) 원지반 침하

고속철도 허용 잔류침하량은 열차하중에 의한 침하량 제외시 25.0mm로 직접기초의 허용잔류침

하량과 동일하다. 국내 설계 기준상 원지반 또는 지지 지반의 침하량을 산정하지는 않으나, 직접

기초의 경우 한계 깊이 이내에 있는 원지반 침하량도 발생 침하량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성토를

수반하는 토공 노반에서는 성토 높이에 따라 원지반(풍화토까지)의 침하량도 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림 3-5-14>는 원지반 침하 고려 여부에 따른 검토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원지반 침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성토 C-치환C-원지반DN) 침하량이 가장 작으며, 원지반 침하를 고려한 경

우(성토 C-치환C-원지반D/H) 실측침하량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림 3-5-14 원지반 침하량의 고려 여부에 따른 침하 특성

(라) 지하수위 변화

장기간에 걸쳐 지하수위를 측정한 결과 기존 조사공의 경우 약 5.0m, 금회 조사공은 약

0.5~0.7m로 지하수위 변동폭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공의 위치는 기존 조사공의 경우 굴

착치환구간과 근접한 구간, 금회 조사공은 선행하중재하구간과 근접한 구간이다. 지하수위가 불투

수에 가까운 점토층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적용 공법이 다르기 때문에 지하

수위 저감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3-5-15 참조).

Page 27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6 -

(a) 기존 조사공 (b) 금회 조사공

그림 3-5-15 장기 지하수위 측정결과

지하수위가 저감되면 토층의 간극수압이 감소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궤도 부설

후 추가하중이 작용하지 않아도 지하수위가 저하하게 되면 잔류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응

력구근(Stress Bulb)을 고려하였을 때 궤도 및 열차하중은 성토체 상부에 국한되어 작용하는 반면,

지하수위는 지표면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지하수위 저하에 의한 유효응력 증가량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위 저감시 설계하중이 과다하게 작용하여 잔류침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설계시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림 3-5-16>은 지하수위

저감 고려 여부에 따른 잔류침하 해석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지하수위 저감 고려

시 발생 잔류침하량이 더 크며 실측 잔류침하량에 근접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a) 굴착치환 단면 (b) 선행하중재하 단면

그림 3-5-16 지하수위 변화의 고려 여부에 따른 침하 특성

(마) 침하 해석 방법

침하 해석 프로그램(K-Embank)에서는 사질토의 경우 De beer법, B.K.Hough도표, 점성토의 경우

e법, 법, 법을 이용한 침하량 계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설계 관행상 사질토의 경우

De beer법, 점성토의 경우 법을 이용하여 침하량을 산정한다. 각 방법에 따른 침하량 산정결과

가 상이하므로 검토 조건에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사질토에서의 침하는 하중을 재하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즉시침하이며, 즉시침하량 산정방법으로

는 Schmertmann, Meyerhf, Peak, De Beer, Parry 등이 제안한 방법이 있다. 사질토의 경우 불교란

시료(UD)의 채취가 어렵기 때문에 시험을 통한 정확한 설계정수 도출이 어려워 일반적으로 표준

Page 27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7 -

관입시험치(N치)를 이용하여 침하량을 산출하는 De Beer, B.K,Hough 도표법을 사용한다. 각각의

방법에 의한 침하량 산정식은 식 3-5-1, 식 3-5-2와 같다.

××log

∆(3-5-1)

여기서, : 표준관입시험치, : 대상층의 두께(m), : 유효상재하중(),

∆ : 성토 및 외부하중에 의한 수직응력증가분()

× (3-5-2)

여기서, : 제거직전의 간극비, : 제거후의 간극비,

: 제거직전의 층두께(초기 층두께에서 제거직전까지의 침하량을 제한값)

점성토에서의 침하는 지속하중에 의해 간극수가 배출되며 발생하는 침하로 오래동안 압밀침하

가 발생된다. 법은 압밀시험을 통한 물리적 시험치를 이용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며, 식 3-5-3과

같다.

∆× (3-5-3)

여기서, : 초기간극비, : 압밀대상층의 두께(m)

(2) 침하 기여도 평가

(가) 굴착치환 단면

실측침하량과 설계 잔류침하량이 상이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오차가 크거나 실측 잔류침하가 큰

단면을 대표단면으로 선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표단면은 STA 104km560, STA 109km860,

STA 113km720, STA 114km020으로 총 4단면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표단면에서의 실측침하량

은 그림 3-5-17과 같다.

그림 3-5-17 대표단면에서의 침하 특성

Page 27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8 -

선정된 대표단면에 대하여 표 3-5-13과 같이 침하 영향인자(성토체 침하, 치환체 장기 침하,

원지반 침하, 지하수위 변화, 침하해석방법 등)에 따른 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때, 검토방

법 중 법을 적용한 것은 대상 지층을 점성토로 간주하여 1차 압밀 침하량과 장기 크리프 침하

를 계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C는 법, D는 De Beer법, H는 Hough법, 분할은 다층 분할법에 의

한 침하량 산정법을 의미하며, 원지반은 풍화토(N<15) 지반을 의미한다.

구 분침하 고려여부 지하수위

변화

층두께

분할성토체 치환재 원지반

성토D-치환D-원지반D × × × ×성토H-치환H-원지반H × × × ×성토D-치환D-원지반H × × × ×성토C-치환C-원지반C ×성토C-치환C-원지반D × ×성토C-치환C-원지반H × ×

성토C-치환C-원지반D-분할 ×

표 3-5-13 해석 조건

해석 결과 성토체, 치환체, 원지반을 모두 사질토로 간주하여 계산하는 경우(성토D-치환D-원지

반D, 성토H-치환H-원지반H, 성토D-치환D-원지반H) 단면별 침하경향이 상이하며 실측 대비 유사

혹은 과다 침하가 발생하였다. 또한 하중 재하속도와 동일하게 즉시침하가 발생하여 침하곡선의

기울기가 상이하므로 실제 침하속도를 예측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토체, 치환체,

원지반을 모두 점성토로 간주하는 경우(성토C-치환C-원지반C) 침하곡선의 기울기가 상이하고 압

밀이 지연되어 실측 대비 과다 침하가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성토체, 치환체를 점성토로 간

주하고, 원지반을 사질토로 간주하는 경우(성토C-치환C-원지반D) 실측침하량과 침하경향이 가장

유사하였다. 성토C-치환C-원지반H 조건은 침하경향은 유사하나 단면별 침하경향이 상이하여 실측

침하량 대비 정확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측 침하량 대비 침하경향이 가장 유사

한 성토C-치환C-원지반D 조건에 대하여 다층 분할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층두께가 두꺼울수

록 오차가 증가하였으며, 실측 대비 과다 침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굴착치환 단면의 경우 성토

C-치환C-원지반D 해석방법에 의한 결과가 실측침하량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그림

3-5-18 참조).

그림 3-5-18 해석 결과

Page 27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59 -

실측침하량 대비 향상방법의 정확도 향상 효과의 분석을 위해 식 3-5-4, 식 3-5-5, 식

3-5-6을 이용하여 오차, 정확도 및 향상 P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설계 대비 오차가 감소하여

표 3-5-14과 같이 정확도가 24.3~50.9% 향상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오차 실측침하량설계침하량실측침하량 (3-5-4)

정확도오차 (3-5-5)

향상설계오차실측오차 (3-5-6)

구 분실측

침하량(mm)

설계(개선 전) 본 연구(개선 후) 향상 P

(%)침하량(mm) 오차(%) 침하량(mm) 오차(%)

STA 104km560 60.50 30.00 50.4 67.60 11.7 38.7

STA 109km860 57.00 30.00 47.4 61.70 8.3 39.1

STA 113km720 72.00 30.00 58.3 66.70 7.4 50.9

STA 114km020 44.50 30.00 32.6 48.20 8.3 24.3

표 3-5-14 정확도 향상 효과 분석 결과

주) 오차 및 향상 p(%)는 식 3-5-4 ∼ 3-5-6을 이용하여 산정함

또한, 해석 결과를 토대로 성토체, 치환체 및 원지반의 침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표 3-5-15

참조). 분석 결과 각 지층의 침하 기여도(침하비)는 성토체 0.51, 치환재 0.22, 원지반 0.28로 전

체적인 해석 침하량은 성토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구 분설계

침하량(mm)

침하 기여도(침하비)

성토체 치환재 원지반 합계

성토D-치환D-원지반D 69.20 0.67 0.09 0.23 1.00

성토H-치환H-원지반H 12.40 0.63 0.23 0.15 1.00

성토D-치환D-원지반H 76.00 0.61 0.15 0.24 1.00

성토C-치환C-원지반C 2051.20 0.02 0.34 0.64 1.00

성토C-치환C-원지반D 66.70 0.56 0.20 0.24 1.00

성토C-치환C-원지반H 73.50 0.51 0.24 0.25 1.00

성토C-치환C-원지반D-분할 79.00 0.54 0.25 0.20 1.00

평 균 0.51 0.22 0.28 1.00

표 3-5-15 기여도 평가 결과

검토결과를 종합해보면 굴착치환 단면에서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성토C-치환C-

원지반D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성토체의 침하량이 주요 침하 기여 인자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성토체, 치환체 및 원지반(N<15)에 대해서도 즉시침하, 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를 추가

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표 3-5-16 참조).

Page 28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0 -

구 분

설계(개선 전) 본 연구(개선 후)

고려

여부해석 방법

고려

여부해석 방법

× 성토체 침하 미고려 즉시침하,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

× 치환 후 검토 생략 즉시침하,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

1차/2차 압밀침하

(Cc법) 고려

1차/2차 압밀침하

(Cc법) 고려

즉시침하(Debeer법)

고려

즉시침하,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

×N>10지반으로

검토생략×

N>15지반으로

검토생략

× BedRock × BedRock

표 3-5-16 정확도 향상 방안

(나) 선행하중재하 단면

선행하중재하 적용구간에 대한 대표단면은 STA 109km960, STA 113km540, STA 120km660

으로 총 3단면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표단면에서의 실측침하량은 <그림 3-5-19>와 같다.

그림 3-5-19 대표단면에서의 침하 특성

선정된 대표단면에 대하여 표 3-5-17와 같이 침하 영향인자(성토체 침하, 치환체 장기 침하,

원지반 침하, 지하수위 변화, 침하해석방법 등)에 따른 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침하해석방법

은 굴착치환구간과 동일하며, 원지반CC는 연약층(점성토, N<4) 법, 원지반SD는 풍화토(N<15) De

Beer법을 의미한다.

Page 28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1 -

구 분침하 고려여부 지하수위

변화

층두께

분할성토체 원지반C 원지반S

성토D-원지반CC-원지반SD × × ×

성토H-원지반CC-원지반SH × × ×

성토D-원지반CC-원지반SH × × ×

성토C-원지반CC-원지반SC ×

성토C-원지반CC-원지반SD × ×

성토C-원지반CC-원지반SH × ×

성토C-원지반CC-원지반SD-분할 ×

표 3-5-17 해석 조건

해석 결과 성토체, 원지반을 모두 사질토로 간주하여 계산하는 경우(성토D-원지반CC-원지반SD,

성토H-원지반CC-원지반SH, 성토D-원지반CC-원지반SH) 노반-궤도 인수인계 전 1차 압밀침하가 모

두 종료되어 실측 대비 과소 침하가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하중 재하속도와 동일하게 즉

시침하가 발생하여 침하곡선의 기울기가 상이하므로 실제 침하속도를 예측하기에는 부적합한 것

으로 나타났다. 성토체, 원지반을 모두 점성토로 간주하는 경우(성토C-원지반CC-원지반SC) 침하곡

선의 기울기가 상이하고 압밀이 지연되어 실측 대비 과다 침하가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성토

C-원지반CC-원지반SD, 성토C-원지반CC-원지반SH의 경우 실측침하량과 침하경향이 가장 유사하

였다. 실측 침하량 대비 침하경향이 가장 유사한 성토C-치환C-원지반D 조건에 대하여 다층 분할

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층두께가 얇아 실측 대비 침하량은 유사하였으나, 단면별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선행하중재하 단면의 경우 성토C-치환C-원지반D 해석방법에 의한 결과가

실측침하량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그림 3-5-20 참조).

그림 3-5-20 해석 결과

검토단면별 오차, 정확도 및 향상 P를 산정한 결과 오차는 설계는 21.03~54.80%, 본 연구(개

선 후)는 6.2~31.1%로 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정확도는 24.3~50.9% 향상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표 3-5-18 참조).

Page 28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2 -

구 분실측

침하량(mm)

설계(개선 전) 본 연구(개선 후) 향상 P

(%)침하량(mm) 오차(%) 침하량(mm) 오차(%)

STA 109km960 29.00 22.90 21.03 30.80 6.2 14.83

STA 113km540 44.00 19.90 54.8 30.30 31.1 23.7

STA 120km660 23.50 11.20 52.3 21.10 10.2 42.1

표 3-5-18 정확도 향상 효과 분석 결과

주) 오차 및 향상 p(%)는 식 3-5-4 ∼ 3-5-6을 이용하여 산정함

또한, 해석 결과를 토대로 성토체 및 원지반의 침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표 3-5-19 참조).

분석 결과 각 지층의 침하 기여도(침하비)는 성토체 0.38, 원지반 점성토 0.53, 원지반 사질토

0.09로 전체적인 해석 침하량은 원지반 점성토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구 분설계

침하량(mm)

침하 기여도(침하비)

성토체원지반

점성토

원지반

사질토합계

성토D-원지반CC-원지반SD 6.80 0.00 1.00 0.00 1.00성토H-원지반CC-원지반SH 6.80 0.00 1.00 0.00 1.00성토D-원지반CC-원지반SH 6.80 0.00 1.00 0.00 1.00성토C-원지반CC-원지반SC 989.60 0.02 0.36 0.62 1.00성토C-원지반CC-원지반SD 50.80 0.87 0.13 0.00 1.00성토C-원지반CC-원지반SH 50.80 0.87 0.13 0.00 1.00

성토C-원지반CC-원지반SD-분할 51.30 0.87 0.13 0.00 1.00평 균 0.38 0.53 0.09 1.00

표 3-5-19 기여도 평가 결과

검토결과를 종합해보면 선행하중재하 단면에서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성토C-

원지반CC-원지반SD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원지반 점성토의 침하량이 주요 침하 기여

인자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성토체 및 원지반 사질토(N<15)에 대해서도 즉시침하, 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를 추가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표 3-5-20 참조)

구 분설계(개선 전) 본 연구(개선 후)

고려여부 해석 방법 고려

여부 해석 방법

× 성토체 침하 미고려 즉시침하,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

1차/2차 압밀침하

(Cc법) 고려

1차/2차 압밀침하

(Cc법) 고려

즉시침하(Debeer법) 고려 즉시침하,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

×N>10지반으로

검토생략×

N>15지반으로

검토생략

× BedRock × BedRock

표 3-5-20 정확도 향상 방안

Page 28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3 -

4. 고속철도의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

고속철도 토공구간의 경우 설계 잔류침하량이 실측 잔류침하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

생한다. 설계단계에서 오차를 유발하는 영향인자를 고려하여 오차를 최소화하면 궤도 시공 후 유

지관리 비용의 최소화 및 안정성 증대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침하 검토결과를 토대로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정방법에 관하여 “고속철도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으며, 설

계 가이드라인의 구성목차는 그림 3-5-21과 같다. 각 구성요소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3-5-21 설계 가이드라인(안)

가. 연약한 원지반토의 설계기준 검토

연약지반은 압축성이 크고 전단강도가 작아 공학적으로 매우 취약하므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연약지반 구간의 건설공사시에는 원지반 상부에 성토에 성토시공을 하여 장기간

압밀하거나,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압밀수를 배출함으로써 지반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적용

한다. 연약지반의 경우 구조물의 안정과 침하 문제를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연약지반을 판정

하고 적절한 공법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절에서는 국내외의 연약지반 판정기

준 및 설계시 잔류침하 기준에 관한 문헌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외 문헌조사 결과를 검토한 결과 연약지반의 판정시에는 지반의 토층 구성, 물리적/공학적 특

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하며, 지반상에 축조되는 구조물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

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준에서 표준관입시험값(N치), 일축압축강도, 콘 관입치를

이용한 평가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점성토는 N≤4, 사질토는 N≤10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설계시 잔류침하 기준은 국외의 경우 EURO 코드나 BS코드, NAFAC 등에서는 명확하게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발주자가 요구조건을 설계기준으로 명시하여 프로젝트별로 상이한 기준을 적용

하는 경우도 있다. 본문에 베트남 교통성, NAFAC, BS코드 등에서 제시하는 잔류침하 기준에 관하

여 제시하였다.

나. 토공노반의 설계기준 검토

콘크리트 궤도용 토공노반의 경우 자갈 궤도와 달리 유지보수가 어려워 시공시 충분한 지지력

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절에서는 성토체의 장기 변형 거동특성, 철도 토공노반 설계기준 관련문

Page 28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4 -

헌 및 잔류 침하량 예측에 관한 연구사례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특히 침하

에 취약하므로 설계시 허용 잔류침하량 기준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쌓기 재료의 기준을 가장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시공시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재료를 사용함

으로써 지지력(허용변위)을 확보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 밖에도 독일, 일본, 중국에서 제안하는

토공노반의 설계기준에 대하여 제시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쌓기 재료 뿐만 아니라 성토체지지 지

반에 대해서도 관리 규정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국내에서는 주로 원지반 점성토에 대해 잔류침하량을 산정하며, 조립지반재료의 장기적인 압축

침하(장기 크리프 침하)를 고려하지 않는다. 성토체의 잔류침하량 예측에 관한 연구사례를 검토한

결과 주로 CD Gibson과 Lo모델(1961), Edil 등(1991)의 유동학적 모델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Bjarngard와 Edgers(1990)의 2차 압축지수를 이용한 모델, Justo와 Durand(2000)의 크리프 비와 시

간계수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장 실측을 통한 경험적 침하 추정모델로는 쌍

곡선 모델(Hoe 등, 1990), Asaoka(1982) 모델, Hoshino(1962) 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다. 설계기준 수립 및 개선방안

본 절에는 테스트베드구간의 설계 잔류침하량 대비 실측 잔류침하량이 크게 발생된 구조에 대

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차요인을 반영한 설계 잔류침하량을 재산정하였

다. 해석 결과를 토대로 영향인자별 침하 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여 주요 영향인자를 제시하고 정확

도 향상을 위한 잔류침하량 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테스트베드 구간 중 연약지반 구간은 굴착치환공법과 선행하중재하공법으로 설계되었으며, 각

공법별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 판정기준은 N≤15로 상향조정하였

으며, 각 공법별 장기 지하수위 측정결과를 반영하여 이에 따른 추가 하중을 고려하였다. 굴착치

환 구간의 경우 잔류침하량 주요 영향인자는 성토체의 침하량이며, 침하 검토방법은 성토체 및 원

지반 사질토(N≤15)의 즉시침하, 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를 고려하고, 치환체의 침하량도 고

려해야 한다. 선행하중재하 구간의 경우 주요 영향인자는 원지반 점성토의 침하량이며, 침하 검토

방법은 성토체 및 원지반 사질토(N<15)의 즉시침하, 1차 압축 및 장기 크리프 침하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개선된 방법은 설계 잔류침하량 대비 굴착치환 구간은 47.05%p, 선행하

중재하 구간은 26.9%p의 정확도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림 3-5-22는 개선된 잔류

침하량 설계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a) 설계(개선 전) (b) 본 연구(개선 후)

그림 3-5-22 잔류침하량 설계 흐름도

Page 28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5 -

6절.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기술

1. 소음저감성능 장기모니터링 및 성능인증

가. 소음저감성능 장기 모니터링

(1) 개요

2014년에 종료된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연구에서는(1단계) 개발된 400km/h급 고속철도

소음저감 용 상단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호남고속철도 STA. 116km480~880 하선(T1)

에 테스트베드를 부설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HEMU-430X 열차를 포함한 호남선에서 운용

되는 고속철도를 대상으로 속도대역별로 열차통과소음(TEL)을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3.0dB(A) 이상의 소음저감 성능을 확인하였으나, 장기간에 걸친 상단장치

의 효과감소나 내구성에 대한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2단계에서는

설치 후 2년 6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2016년 5월~2018년 5월까지 2년간에 걸쳐 소음저감성능

및 내구성에 대해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소음저감성능은 계절 별로 총 5회에 걸쳐 차종

과 속도 별로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노후화 및 계절에 따른 내후성과 안정성 여

부를 검증하였다.

그림 3-6-1 1단계 상단장치 테스트베드 현장부설 구간

성능평가기준 및 방법은 ISO-3095:2013 Railway applications - Acoustics - Measurement of

noise emitted by railbound vehicles를 준용하여 1단계 연구에서 도출된 UTG-S-001 400km/h급

고속철도용 방음벽 상단장치 성능평가서에서 제시된 측정위치 및 측정방법을 따라 수행하였

다. 설치구간 및 미설치 구간을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자세한 평가위치는 그림 3-6-2와 같다.

본 연구에는 직접적인 평가 기준으로 활용되지 않으나 참고사항으로 철도소음은 소음진동관

리법 제25조 관련 교통소음진동의 관리기준에 의해 평가되며 대상지역에 따른 기준은 표

3-6-1과 같다.

(a) 상단장치 설치구간

그림 3-6-2 1단계 상단장치 성능평가 및 모니터링 지점

Page 28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6 -

(b) 상단장치 미설치 구간

그림 3-6-2 1단계 상단장치 성능평가 및 모니터링 지점 (계속)

표 3-6-1 소음진동관리법 상 교통소음진동의 관리기준(철도소음)

(2) 상단장치 성능평가방법(실외 환경소음)

고속철도 상단장치의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가) 측정목적, 측정일자, 작성일자, 열차종별, 편성수, 통과시간 및 주행속도를 기록한다.

(나) 기상 조건(기온, 풍향/풍속, 습도, 강우량)을 로거에 저장하거나, 자동 저장장치가 없는

기상계인 경우 수기로 기록한다.

(다) 측정구간, 측정위치(STA), 측정 노반의 궤도 특성, 구조물 및 소음저감장치의 설치 유/

무, 방음벽의 높이, 방음벽 설치 방향과 같은 고정데이터를 기록한다.

(라) 측정지점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한다. 이때 마이크로폰에 방풍망을 설치하고 삼각대에

확실하게 고정이 되도록 한다.

(마) 열차가 주행하면, 측정지점(STA. 116k620)에 설치한 주파수 분석기(B&K 3560C)1)에 연

결된 ICP type2)의 마이크로폰 센서3)로부터 열차의 소음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바) (마)를 통하여 시험한 통과 차량 횟수에 따른 각각의 소음도 데이터 세트를 취득한다.

1) 주파수 분석기(B&K 3560C) : 주파수 분석기는 보통 스펙트럼 어낼라이저(Spectrum Analyzer)라 불리운다. 입력 신호에 대하여 가로축은 주파수를, 세로축은 해당 물리량(dB, m/s2, V 등)을 나타낸다. B&K 3560C는 덴마크 브뤼엘 앤드 캐아(Brüel & Kjær)의 주파수 분석기 제품명을 의미하며 25.6kHz까지 주파수 분석이 가능하며 6채널 이상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다.2) ICP type : 정전류를 입력 받아서 작동하는 앰프가 내장된 센서타입, 흔히 IEPE 타입센서라 하는데 제조사에 따라서, Deltatron, ICP, ISOTRON, PIEZOTRON Type으로 명칭한다.3) 마이크로폰 센서 :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되어 온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비를 말한다. 마이크로폰에는 음압(Pa)이 가해지고 출력되는 것은 전압(V)이므로 센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감도 표기는 mv/Pa 이다. 측정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감도를 가지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며, 본 측정에서는 40~50mv/Pa의 감도를 가진 마이크로폰을 사용한다.

대상지역 구분

한도주간

(06:00~22:00)

야간(22:00~06:00)

주거지역, 녹지지역, 관리지역 중 취락지구 ㆍ주거개발진흥지구 및 관광ㆍ휴양개발진흥지구, 자연환경보전지역, 학교ㆍ병원ㆍ공공도서관 및 입소규모 100명 이상의 노인의료복지시설ㆍ영유아보육시설의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미터 이내 지역

소음(Leq(A))

70 60

상업지역, 공업지역, 농림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관리지역 중 산업ㆍ유통개발진흥지구, 미고시지역

소음(Leq(A))

75 65

참고1. 대상 지역의 구분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2. 정거장은 적용하지 아니한다.3. 대상 지역은 교통소음ㆍ진동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말한다.

Page 28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7 -

(사) 측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참고기준 및 절차는 3-6-2와 같다.

표 3-6-2 측정위치 및 측정관련 기준

사양/규격 번호 제목 개정일자 발행기관KS I ISO 10847 음향-옥외 방음벽의 삽입 손실 측정 2004 한국표준협회

ISO 3095Railway applications-Acoustics-Measurement of noise emitted by railbound vehicles

2005 ISO

Directive 2001/16/EC

Concerning the 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 relating to subsystem 'rolling stock noise of the trans-European Conventional rail system

2005 EU

UTG-S-001400km/h급 고속철도용 방음벽 상단장치 성능평가 절차서

2013400km/h 고속철도 인프라시스템연구단

(아) (마)에서 마이크로폰 센서가 연결될 분석기(B&K 3560C)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B&K PULSE Labshop(ver.12.5)에 내장된 1/3 옥타브 밴드 주파수 분석을 하도록 설정한다.

- 주파수 분석기의 측정 주파수 범위는 31.5 Hz∼8 kHz 이상으로 설정한다.

- 주파수 분석기에서 적용 필터는 A-가중 (A-weighting) 필터를 적용한다.

- 적분형 소음계를 사용할 경우 동특성은 빠름(fast)으로 설정한다.

그림 3-6-3 B&K PULSE Labshop의 시간이력선도 예시

(자) (아)의 주파수 분석기로부터 델타 값(주파수 분석을 수행하는 시간 간격)은 0.02초로 설

정하여 시간 이력 데이터를 저장한다.

(차) (아)에서 저장된 시간이력 데이터로부터 차량이 임의의 지점에 진입하여 통과하는 시간

이내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음과 동일한 평균 제곱 음압을 갖는 정상음의

등가소음도(dB)를 식 (2)에 의하여 계산한다. (m ax4)_ 5)_ (TEL)6) SEL7)) 자동계산

프로그램에 의해서 열차의 진입시간의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커서를 이용해 지정해 주면

m ax , , TEL, SEL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진다.)

4) m ax : 차량 주행 시 측정된 차량 통과소음도 중 최대소음도, dB(A)

5) : 측정시간 T 이내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음과 동일한 평균 제곱 음압을 갖는 연속 정

상음의 음압레벨6) (TEL) : 차량이 임의의 지점에 진입하여 통과하는 시간 이내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

음과 동일한 평균 제곱 음압을 갖는 연속 정상음의 음압레벨7) SEL : 소음폭로레벨(Sound Exposure Level), (TEL)구간보다 10 dB 아래의 구간의

Page 28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8 -

log

(1)

log

(2)

여기서 :- , : 측정통과시간 간격, : 차량 진입시간 : 차량 통과시간, :

순간음압, : 기준 음압()

(카) 통과하는 시간 에 대하여 얻은 등가소음도 식 (2)을 각 통과 횟수에 따라서 산술평균

하여 평균 등가소음도 ( )를 구한다. 이때 동일한 차량과 동일한 속도로 통과한 결

과를 평균한다.

(타) 방음벽 상단장치의 설치 전/후에 측정된 (2)의 TEL을 차종별 속도 별로 산술평균하여

상단장치의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한다.

(파) (라)∼(타)의 과정을 측정지점(7.5, 25m 및 인접민가) 별로 반복하여 시트에 기록한다.

(하) 만일 민가 부근의 소음도가 환경 소음 기준치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자 하면, 환경

소음 기준의 단위인 열차 통과 편수를 고려한 1시간 등가 소음도로 환산하되, 식 (2)와

같이 계산한다. 계산도구는 엑셀 시트인 calculate 8)을 사용한다.

log

× (3)

여기서, N: 1시간 열차 통과 대수.

: 운행 차량의 통과 시간 산술평균 값.

그림 3-6-4 열차의 통과소음 시간이력선도에서 등가소음도 계산을 위한 시간 설정 예시

8) calculate : 식(3)의 입력값인 , 차량의 평균 통과시간 , 1 시간 열차 통과 대수 N을 입

력하면 자동으로 가 계산된다.

Page 28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69 -

(거) (하)에서 열차 통과 대수(N)는 영업운영 계획에서 1시간당 열차통과대수 중 가장 큰

값으로 한다. 또한 는 1시간당 열차 통과 시간의 산술평균 값으로 계산하여 측정치에

기록한다.

(너) (하)의 등가소음도를 참고기준치와 비교하여 방음벽 상단장치의 소음저감 성능을 판단

하며, 측정결과의 분석에 RFP 상의 소음저감성능 값과의 비교내용을 기술한다.

(더) 측정시트의 첨부 문서에 측정장비에 기록된 통과소음도에 대한 시간이력 그래프를 첨

부한다.

(러) 측정시트의 첨부 문서에 열차의 통과소음도를 1/3 Octave band로 분석한 주파수 특성

을 첨부한다.

(머) 측정시트의 첨부 문서 측정전경, 측정단면도를 첨부한다. (18) 측정시트의 첨부 문서에

열차의 통과소음도를 1/3 Octave band로 분석한 주파수 특성을 첨부한다.

(버) 측정시트의 첨부 문서 측정전경, 측정단면도를 첨부한다.

Page 29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0 -

방음벽 상단장치 측정 및 분석시트(예시)

측정목적 측정일자 작성일자

열차종별 편성수 주행속도

기온 풍향/풍속 강우량

측정구간 상‧하행 STA.

곡선반경/캔트 종곡선반경 기울기

궤도구조 레일/침목 체결장치

노반구조 노반형식 연약지반처리

구조물 구조형식 경간장/총연장

전철주/경간 전차선종/장력 가고

소음저감장치 방음벽 높이/연장 방음벽 설치방향

측정항목 측정치 참고기준치 근거 측정결과

측정

소음도

dB(A)

TEL

상단장치

설치 전

25m(H=3.5)

25m(H=1.2)

상단장치

설치 후

25m(H=3.5)

25m(H=1.2)

측정결과 분석

Page 29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1 -

(3) 소음저감성능 장기 모니터링 측정결과

1단계 성과품이 2013년 12월 현장부설 된 이후 2016년 5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상단장치에 대한 성능을 속도 및 시기 별로 평가한 결과, 상단장치 설치 후 5년이 경과

한 시점에서도 그림 3-6-5와 같이 소음저감 성능이 전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400km/h 급으로 개발된 상단장치는 HEMU 430X 뿐 아니라, 300km/h 대역의 KTX,

KTX-산천, SRT 등의 차량이 운행할 때도 그림 3-6-6과 같이 3dB(A) 이상의 소음저감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 시기별 (b) 차량별

그림 3-6-5 시기 별 장기운영에 따른 상단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결과

(이격거리 25m, 높이 1.2m 지점)

(a) KTX-산천차량 (b) SRT

(c) KTX 차량 (d) HEMU 차량

그림 3-6-6 차량 종류별 주행 시 시간이력에 따른 소음레벨선도

Page 29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2 -

표 3-6-3 상단장치 소음저감성능 평가 결과

측정

회차

열차

종류

속도

[km/h]

선로중앙 25m 이격 열차통과소음도(Tp, [dB(A)] 삽입손실

[IL, dB(A)]평가기준

[dB(A)]미설치구간 설치구간

H=1.2m H=3.5m H=1.2m H=3.5m H=1.2m H=3.5m

1

1 산천 266.7 76.1 78.0 72.0 74.4 4.1 3.6

선로중앙

25m

(H=1.2m)

3dB(A)

2 산천 283.5 76.8 78.4 72.5 75.0 4.3 3.4

3 산천 264.7 73.1 75.4 69.7 72.4 3.4 3.0

4 산천 288.0 77.9 80.1 74.6 77.1 3.3 3.0

2

1 산천 272.7 77.0 72.5 79.0 75.2 4.5 3.8

2 산천 274.8 79.0 74.5 80.8 77.5 4.5 3.3

3

1 SRT 257.1 76.2 77.6 72.6 74.7 3.6 3.0

2 산천-중련 254.9 80.1 81.1 75.5 77.9 4.6 3.2

3 SRT 262.8 75.0 76.6 71.2 73.6 3.8 3.0

4 SRT 292.7 78.0 79.9 73.6 76.3 4.4 3.6

5 SRT 260.9 74.4 77.1 71.1 73.7 3.3 3.4

6 산천 248.3 78.0 79.7 74.0 76.4 4.0 3.3

7 SRT 236.1 73.5 75.4 69.4 71.7 4.1 3.7

8 산천 246.6 79.1 80.6 74.9 77.0 4.2 3.6

9 산천 264.7 76.2 77.6 72.4 74.2 3.8 3.4

10 HEMU 100 66.9 68.8 63.1 65.3 3.8 3.5

11 HEMU 300 72.5 74.7 69.0 71.4 3.5 3.3

4

1 KTX 263.1 74.3 75.9 70.1 72.6 4.2 3.3

2 산천 264.7 76.1 78.2 72.5 75.2 3.6 3.0

3 SRT 269.7 75.5 78.0 72.1 75.0 3.4 3.0

4 산천-중련 266.7 77.2 79.5 72.7 75.4 4.5 4.1

5 KTX 297.4 75.9 78.6 72.6 75.2 3.3 3.4

6 SRT 266.7 74.9 77.9 71.7 74.8 3.2 3.1

7 KTX 254.0 74.3 76.7 71.2 73.7 3.1 3.0

8 KTX 254.0 71.0 73.4 68.0 69.9 3.0 3.5

9 SRT 276.9 74.4 77.3 71.4 74.0 3.0 3.3

10 SRT 276.9 74.6 77.3 71.6 74.2 3.0 3.1

5

1 KTX 273.9 73.1 68.7 74.9 70.9 4.4 4.0

2 산천 276.9 73.2 69.4 75.3 72.2 3.8 3.1

3 KTX 268.6 73.9 69.6 75.8 72.3 4.3 3.5

4 SRT 288.0 75.2 70.8 77.2 74.2 4.4 3.0

5 산천 248.3 75.3 70.9 77.1 73.6 4.4 3.5

6 KTX 273.9 73.9 69.8 75.3 72.2 4.1 3.1

7 산천 266.7 77.3 72.9 79.0 75.6 4.4 3.4

8 KTX 268.6 74.1 70.4 75.8 72.8 3.7 3.0

Page 29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3 -

1차(2016년 11월 17일) 2차(2016년 12월 28일)

3차(2017년 1월 15일) 4차(2017년 3월 19일)

5차(2018년 2월 7일)

그림 3-6-7 상단장치 장기모니터링 평가결과

Page 29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4 -

나. 내구성 장기모니터링

1단계 상단장치 시공에 대한 안전성 검증 및 내구성 유지관리 차원에서 장기 모니터링을 진

행하였다. 내구성 검토는 육안검사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1단계 테스트베드가 설치 된 5년 이

상 경과한 2018년 2월 까지도 표 3-6-4와 같이 설치구간 내 열차운행 등 외부영향에 의한

체결구 풀림 및 파손, 도장면 손상, 녹발생, 탈락 등 구조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3-6-8 1단계 테스트베드 구간 전경

표 3-6-4 장기운영에 따른 상단장치의 장기내구성 평가결과

주요 내구성평가항목

부착성능 균열 및 파손 도장손상 배수/막힘 녹발생 비고

2016년 10월 5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2016년 11월 17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2017년 1월 15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2017년 3월 19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2017년 12월 6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2018년 2월 7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만족

Page 29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5 -

그림 3-6-9 상단장치 장기내구성 체크리스트

Page 29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6 -

2016년 10월 5일 2016년 11월 17일

2017년 1월 15일 2017년 3월 19일

2017년 12월 6일 2018년 2월 7일

그림 3-6-10 상단장치 장기내구성 평가결과

Page 29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7 -

다. 장기 운영단계에서 공인기관 성능시험

(1) 개요

외부기관으로부터 1단계 테스트베드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인시험성적기관인 한

국계연구원에 시험평가를 의뢰하여 소음저감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2) 시험결과

그림 3-6-11과 같은 현장측정을 통해 측정 시 오류가 없는 10대 이상의 고속열차 통과 시에

대한 측정결과에서 소음저감량이 3.5dB(A)로 나타나 공인기관에 의해 상단장치의 소음저감 성

능을 인증 받았다.

그림 3-6-11 공인시험성적기관 소음측정 현장 전경

No.속도[km/h]

측정시간

[hh:mm]

열차

종류

열차 통과 시간 Tp[Sec]

열차통과소음도 TEL

[dB(A), ref. 20 μPa] 소음 저감량 dB(A)설치

구간

미설치

구간

1 279 9:03 SRT 2.60 70.8 74.3 3.5

2 268 10:09 KTX 산천 2.72 72.8 76.5 3.7

3 283 10:31 SRT 2.57 71.1 74.4 3.3

4 277 10:55 KTX 5.31 70.4 73.6 3.2

5 275 11:38 SRT 2.66 72 75.3 3.3

6 258 11:49 KTX 5.28 70.7 73.9 3.2

7 267 11:59 KTX 산천 2.71 72.8 76.5 3.7

8 242 13:59 KTX 5.74 71.4 75.4 4.0

9 245 14:13 SRT 2.96 69.2 72.6 3.4

10 261 14:53 SRT 2.78 71.9 75.8 3.9

(a) 시험평가 결과 (b) 시험성적서 사본

그림 3-6-12 1단계 테스트베드 상단장치 소음저감성능 시험성적서

Page 29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8 -

라. 교통신기술 인증 및 수상

1단계 상단장치 연구 성과품은 국내 교통 분야 기술 중 신규성, 진보성, 보급·활용의 필요

성 등이 입증된 기술에 대해 자격을 부여하는 국토교통부 교통신기술 42호로 2017년 12월 22

일에 지정되었다. 또한 1단계 상단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홍보를 통해 2016년 대한민국지

식대전 산업통상부 장관상, 2017년 태국(방콕) 발명가의 날 전시회 금상 수상 등의 성과를 달

성하였다.

그림 3-6-13 2016년 대한민국지식대전 장관상 그림 3-6-14 2017년 태국 발명가의 날 전시회

그림 3-6-15 교통신기술 지정증

Page 29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79 -

2.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개발 및 성능검증

가. 설계개선(안) 도출

1단계 성과품에 대해 장기적으로 소음저감 성능을 분석한 결과, 105Hz 주파수 대역의 소음

저감을 위해 적용된 820mm 깊이의 격자 공간(붉은색 표시)은 주파수 스펙트럼 상 소음도가

높은 대역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음저감 효과가 크지 않은 해당 공간을 제외하

는 것으로 설계를 변경하였다.

그림 3-6-16 1단계 연구성과품 105Hz 대역 저감 격자 공간

105Hz 대역 격자의 제거와 함께 내부격자 단면적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부

공간의 배치를 꺾임부가 생기도록 수정하였으며, 1kHz 대역 소음저감 성능 확대를 위해 85mm

깊이의 격자 공간을 추가하였다.

그림 3-6-17 내부 격자 변경 방안

Page 30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0 -

나. 조립/시공성 개선을 위한 내/외부구조 고도화

시공의 편의성 향상 및 효과가 중복된 구조부재를 축소하기 위해 지주경간에 따라 일체형으

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단장치를 재설계하였다. 우선적으로 일체형 외판과 내부격자의 결합

을 위한 내부 공간 형성방안을 그림 3-6-18과 같이 구상하였으며, 방음벽 지주 경간의 최대

거리가 4m이므로 최대 4m 길이로 제작되어 구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중간 보강재에 대

한 설계를 하였다.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통해 내판과 외판의 치수를 결정

하였으며, 최종 결과물인 시작품에 대한 구조안정성은 공인기관의 내하중 시험을 통해 검증하

였다.

(a) 3차원 모델링 형상 (b) 2차원 도면 형상

그림 3-6-18 외판 변경안 도면 및 모델링 형상

다. 고도화 시작품에 대한 무향실 소음저감성능 평가

내부격자구조 변경(안)에 따른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단계 상단장치를 포함한 여러

가지 다양한 성능개선(안)에 대한 무향실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시험방법

측정에 의한 다양한 방음벽 상단장치의 삽입손실 평가를 위해 입장에 위치한 생산기술연구

원에 있는 완전무향실에서 2016년 10월 26일~27일 양일간 소음측정을 수행하였다. 실내시험용

방음벽 상단장치는 1단계 연구과제 성과품, 변경안1, 변경안2, 변경안3으로 구성되었다. 삽입손

실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방음벽(CASE01)의 높이(H1.2m)는 상단장치를 장착(H0.5m)한 방음벽

(H0.7m)의 최종 높이(H1.2m)와 동일하게 설치하였으며 시험전 무향실 환경 평가를 위해 시험

편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Case00)에서 사전측정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완전무향실 바닥에는

합판을 설치하여 반무향실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칼라방음판은 규격 L1960×H500×T95mm 이며 투과손실은 표 3-6-6에 나타내었다.

표 3-6-5 무향실 실내 시험 Case

Case 시험 내용

Case00 방음벽 설치 전 소음측정 수행 : 수음점 15개 지점

Case01 일반 방음벽 설치 후 소음측정 수행(상단장치 높이와 동일)

Case03 상단장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방음벽 설치

Case04 1단계 연구과제 성과품

Case05 변경안 1. 내부격자 구조 변경 및 격자 상부 높이 조정

Case06 변경안 2. 변경안 1에서 격자 상부 높이를 평행하게 조정 격자내 0.5m간격으로 중간 격판 삽입

Case07 변경안 3. 반경안 2에서 중간 격판 제거

Page 30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1 -

방음벽

설치 전

<Case00> <Case01> <Case03>

<Case04>

원안

<Case05>

변경안 1

<Case06>

변경안 2

(중간 격판)

<Case07>

변경안 3

그림 3-6-19 무향실 실내 시험 Case

그림 3-6-20 무향실 실내시험 시험체 구성 형상

표 3-6-6 일반 칼라방음판 투과손실

Page 30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2 -

주파수 [Hz] 투과손실[TL, dB(A)] 흡음계수(α) 비고250 26.9 0.89500 36.4 0.94

1,000 40.0 0.772,000 40.6 0.66평균 36.0 0.82

그림 3-6-21 무향실 실내시험 측정현장 전경

Page 30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3 -

측정단면도는 그림 3-6-22와 같이 구성하였으며 방음벽을 기준으로 전면 1.5m 이격된 지점 바

닥에 Speaker를 설치하고 후면 1.0m 이격된 지점에 0.5m 높이 등간격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폰

을 설치하였다. 마이크로폰은 이후 1.0m간격으로 이동하며 측정하였고 최종적으로 방음벽으로

부터 1.0m, 2.0m, 3.0m 이격된 지점에서 측정을 진행하였다.

(a) Case01 (b) Case03

(c) Case 04 (d) Case 05

(e) Case 06 (f) Case 07

그림 3-6-22 시험 케이스별 측정 단면도

(2) 시험결과

표 3-6-7 ~ 3-6-9와 같이 이격위치에 따른 음압레벨을 평가한 후 각 위치에서의 음압레벨을

이용하여 내부격자 변경(안)에 따른 삽입손실을 산출하였다. 우선적으로 단순 방음벽과의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표 3-6-10 ~ 3-6-1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1단계 연구과

제 성과품 대비 변경(안) 들에 대한 평가결과를 표 3-6-12 ~ 3-6-14에 나타내었다. 표에 나타

낸 바와 같이 가시선 하부에서 3.0dB(A)의 소음저감 성능을 재확인 하였으며, 변경(안)의 경우

1단계 성과품에 비해 동등하거나 저감성능이 더 나은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전파공간에 제약

을 받는 무향실 시험으로 인해 일부 시험결과가 실제결과와 다를 수 있어 상단장치 고도화 제

품에 대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옥외성능시험을 통해 보완하였다.

Page 30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4 -

표 3-6-7 1.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시험편으로부터 1m이격위치CH1_1m CH2_1m CH3_1m CH4_1m CH5_1m

Case00 78.0 77.1 74.9 72.3 71.0 Case01 57.3 55.8 56.9 60.0 64.7 Case03 53.0 52.0 55.7 60.8 65.4 Case04 52.9 51.3 53.0 57.7 63.4 Case05 52.7 50.4 52.5 58.3 63.9 Case06 52.6 50.0 52.8 58.9 63.8 Case07 53.1 50.1 52.9 59.0 63.9

표 3-6-8 2.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시험편으로부터 2m이격위치

CH1_2m CH2_2m CH3_2m CH4_2m CH5_2m

Case00 74.9 74.8 73.2 71.5 70.3 Case01 55.3 54.0 53.5 55.4 58.3 Case03 52.7 51.9 54.0 56.4 59.3 Case04 51.8 51.0 52.1 54.4 56.9 Case05 50.6 49.5 51.2 53.2 57.2 Case06 51.2 49.5 51.8 54.1 57.3 Case07 51.1 49.7 52.0 54.3 57.6

표 3-6-9 3.0m 이격위치의 음압레벨

시험편으로부터 3m이격위치 (단위 : dB(A))

CH1_3m CH2_3m CH3_3m CH4_3m CH5_3m

Case00 73.2 72.6 71.5 70.3 69.5 Case01 53.7 51.6 52.0 53.0 53.5 Case03 53.1 50.9 52.0 53.8 55.4 Case04 51.9 49.2 50.2 51.7 53.5 Case05 50.3 47.9 49.4 50.1 52.7 Case06 50.4 47.9 49.3 51.1 53.4 Case07 50.2 48.1 49.2 51.6 53.6

표 3-6-10 방음벽 대비 1.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1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3 4.3 3.8 1.2 -0.8 -0.7Case04 4.4 4.6 3.9 2.3 1.3 Case05 4.6 5.4 4.4 1.7 0.7 Case06 4.7 5.8 4.1 1.2 0.9 Case07 4.1 5.7 4.0 1.0 0.8

표 3-6-11 방음벽 대비 2.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2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3 2.6 2.1 -0.4 -1.1 -1.0Case04 3.5 3.0 1.4 0.9 1.4 Case05 4.7 4.5 2.3 2.1 1.1 Case06 4.1 4.5 1.7 1.2 1.0 Case07 4.2 4.3 1.5 1.0 0.7

Page 30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5 -

표 3-6-12 방음벽 대비 3.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3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3 0.6 0.7 -0.0 -0.8 -1.9Case04 1.7 2.4 1.8 1.4 0.0 Case05 3.4 3.8 2.6 2.9 0.8 Case06 3.2 3.7 2.7 1.9 0.1 Case07 3.4 3.5 2.7 1.4 -0.1

표 3-6-13 1단계 성과물 대비 1.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1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5 0.2 0.8 0.5 -0.5 -0.5 Case06 0.4 1.2 0.2 -1.1 -0.3 Case07 -0.2 1.2 0.1 -1.3 -0.5

표 3-6-14 1단계 성과물 대비 2.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2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5 1.2 1.5 0.9 1.2 -0.3 Case06 0.6 1.5 0.3 0.3 -0.4 Case07 0.7 1.3 0.1 0.1 -0.7

표 3-6-15 1단계 성과물 대비 3.0m 이격 위치 삽입손실

시험편으로부터 3m 이격위치 삽입손실 (단위 : dB(A))CH1 CH2 CH3 CH4 CH5

Case05 1.6 1.3 0.8 1.6 0.8 Case06 1.5 1.3 0.8 0.5 0.1 Case07 1.7 1.1 0.9 0.1 -0.1

Page 30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6 -

(a) 방음벽 대비 외부케이스 설치 시 삽입손실

(b) 방음벽 대비 1단계 성과품 삽입손실

(c) 방음벽 대비 변경안 1 삽입손실

그림 3-6-23 무향실 실내 소음저감성능 시험 결과

Page 30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7 -

(d) 방음벽 대비 변경안 2 삽입손실

(e) 방음벽 대비 변경안 3 삽입손실

(f) 1단계 성과품 대비 변경안 1 삽입손실

그림 3-6-23 무향실 실내 소음저감성능 시험 결과(계속)

Page 30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8 -

(g) 1단계 성과품 대비 변경안 2 삽입손실

(h) 1단계 성과품 대비 변경안 3 삽입손실

그림 3-6-23 무향실 실내 소음저감성능 시험 결과(계속)

Page 30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89 -

라. 고도화 성과품의 구조안정성 검증

내부격자와 외판에 대한 구조 안정성 검증을 위한 구조해석을 수행(Ansys 15.0, Linear static

analysis) 하였다. 한편 상단장치 상면에 설치되는 흡음재에 빗물이 가득 스며들 경우 내부격자

자중에 의한 처짐과 함께 빗물에 의한 하중을 동시에 받을 수 있어, 격자상부에 빗물에 의한

하중을 고려한 구조해석도 수행하였다.

(1) 내부격자 구조해석

상단장치 상부에 흡음재가 배치되며 내부격자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흡음재에 빗물이 가득 스며들 경우 내부격자 자중에 의한 처짐과 함께 빗물에 의한 하중을 동

시에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격자 상부에 빗물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두께 3mm 적용 시 1mm 내외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6-24 상단장치 내 흡음재 배치

표 3-6-16 해석 조건

해석 조건

- 내부격자 길이 : 1m- 격자 두께 : 2.0mm- 재질 : PVC (E=1.1e9Pa, rho=950kg/m3, poisson : 0.24)- 흡음재 부피 : W0.75 * L1.0 * t0.05m = 0.0375m3- 빗물 중량 : 0.0375m3 * 1000kg/m3 = 37.5kg- 격자 날 당 중량 = 37.5 / 8 = 4.7kg=47N

Page 31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0 -

(a) 자중에 의한 처짐 (b) 자중+빗물에 의한 처짐

그림 3-6-25 자중 및 빗물에 의한 처짐

(2) 외판 구조해석

구조해석을 통해 구조부재 별 내하중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부품의 반영 유무에 따른

변위 및 응력 분포를 확인하였다. 다만 본 구조해석의 경우 리벳 및 피스 체결 등이 완벽히

구현되지 않아 실제보다 더 견고한 안정성이 반영된 상태로 해석이 된 점을 감안하여 구조부

재의 기여도 확인에 중점을 두고 비교 평가하였다.

(a) 해석 모델 형상 (b) 경계조건

그림 3-6-26 외판 구조해석 경계조건

Page 31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1 -

그림 3-6-27 외판 구조해석 결과

Page 31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2 -

그림 3-6-27 외판 구조해석 결과 (계속)

표 3-6-17 외판 구조해석 결과

(3) 시작품에 대한 예비 내하중 시험 및 결과

구조해석과 함께 고도화 제품의 구조안정성 검증을 위한 내하중 시험을 진행하였다. 내하중

시험의 시험방법은 도로교통연구원의 ‘방음벽 상부 소음저감장치 품질기준’시험절차서를 참

조하여 진행하였다. 시험결과는 외판 설계 변경안에 반영하였으며, 기준을 만족하는 수준까지

보강안을 적용한 후 최종적으로 공인시험성적기관의 시험의뢰를 진행하였다.

표 3-6-18 내하중 평가 기준

항목 탄성 변형량 [mm] 영구 잔류 변형량 [mm]

최대 변위량 50

LA : 시험용 소음저감장치의 최대 설치 길이

항목 부품 조합 변위(mm) 응력(MPa)

1 전후판+측면판 32.7 1154.3

2 1번+중간판 추가 18.7 508.9

3 1번+중간판 3개 추가 17.8 492.3

4 전후판+측면판+바닥판 6.5 202.5

5 4번+중간판 추가 3.1 212.7

6 4번+중간판 3개 추가 2.9 221.5

7 6번+띠장 추가 1.7 42.2

Page 31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3 -

(a) 측면도 (b) 정면도

그림 3-6-28 내하중 시험 배치도

(a) 우측 지지대

(b) 좌측 지지대

그림 3-6-29 내하중 시험 지지대 상세 형상

Page 31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4 -

(a) 시작품의 내하중 시험용 지그 설치 형상

(b) 시작품의 측면판 제작 형상

(c) 시작품 구조보강 위치 및 방법

그림 3-6-30 상단장치 내하중 시험 준비 현황 전경

Page 31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5 -

(a) 하중 적재 형상 - 정면

(b) 하중 적재 형상 - 측면 및 후면

그림 3-6-31 상단장치 내하중 시험 전경

(3) 시제품의 공인인증기관 내하중 시험 및 결과

자체 내하중 시험을 통해 보강(안)을 적용한 후 최종적으로 공인시험기관인 한국도로교토연구

원에 상단장치 내하중 시험을 의뢰하였다. 1단계 연구과제의 연속으로 태풍하중과 열차풍하중

을 동시에 고려한 3.56kPa를 설계 목표로 정하였다. 도로교통연구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하중

등급 2호 등급의 시험하중이 3.6kPa 이므로 2호 등급을 목표로 시험을 의뢰하였다. 시험결과

고도화 상단장치가 2호 등급의 내하중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3-6-32 도로교통연구원 시험 전경

Page 31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6 -

그림 3-6-33 도로교통연구원 내하중시험 시험성적서

Page 31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7 -

3. 시제품에 대한 양산시스템 구축

가. 내부격자 생산시스템 구축

(1) 내부격자 양산시스템 구축

내부격자의 경우 외판과 다르게 현장 맞춤 생산이 요구되지 않는 품목이다. 따라서 동일 부

품에 대한 대량 양산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원가절감 차원에서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내부격자의 압출금형 뿐만 아니라 냉각기, 인출기, 절단기에 이르는 전 과

정의 양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림 3-6-34 내부격자 양산시스템 구축

Page 3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8 -

나. 시제품 제작

(1) 내부격자 압출성형

내부격자 양산시스템을 통해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테스트베드 현장 시공 물량을 초도 생산

하였다. 총 소요기간은 4일이며, 압출성형의 특성 상 한번 압출이 시작될 경우 도중에 중단할

수 없으므로 24시간 생산하였다. 생산물량 적재 시 적재로 인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전용 지그를 제작하여 변형을 방지한 상태에서 적재하였다.

그림 3-6-35 내부격자 양산시스템 구축

Page 31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299 -

(2) 외판 부품 제작 및 조립

외판 부품 제작 시 도면 치수와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도장 마감 후 도장 벗

겨짐 등을 확인하여 불량이 있을 경우 수정보완 조치하였다. 4m 일체형 생산으로 인해 단품의

중량이 무거워 3인 1조로 조립팀을 구성하여 2인이 부품을 들어올리고 1인이 핸들링하는 방법

으로 조립을 진행하였다.

그림 3-6-36 외판 부품 제작 및 조립

Page 32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0 -

4. 고도화 제품 테스트베드 부설 및 소음저감성능 평가

가. 고도화 제품 테스트베드 부지 선정

(1) 개요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성과품에 대한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

및 실내 무향실 시험을 수행하여 1단계 성과품 대비 동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및 무향실 시험의 경우 해석상 오차와 좁은 시험장의 제약조건으로 인한

시험결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소음저감성능 확인을 위해 실제 운행선에 테스트베

드를 구축하여 평가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테스트베드 선정을 위해 호남고속철도 방음벽 구간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약 10개

소를 현장 방문하여 현황파악 하였으며 이중 4개소를 후보지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a) 공주시 마암리 교량구간(STA. 29km) (b) 익산시 화배리 성토구간(STA. 72km)

(c) 익산시 모현동 토공구간(STA. 87km) (d) 정읍시 상평동 토공구간(STA. 133km)

그림 3-6-37 테스트베드 후보지 전경

(2) 후보지 선정조건

후보지의 선정기준은 크게 회절음 평가가 가능하고, 시공의 편이성과 주변 민가의 소음피해

를 줄일 수 있는 구간으로 정하였으며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장 접근성 : 현장접근이 용이하여 시공 편의성이 높은 구간

자재반입 용이성 : 자재 반입이 용이하며 적재공간이 확보되는 구간

소음저감 성능 측정 조건 : 철도소음 외 기타 암소음 적은 구간, 열차 운행 속도, 평탄

한 토공구간

주변 민가 위치 여부 : 소음저감효과 평가와 함께 주변 민가 소음피해 최소화

방음벽 연장 400m 이상 : Side effect 최소화

방음벽 높이 4m 이상 : 회절음이 발생하는 높이 이상

Page 32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1 -

(3) 후보지 검토결과

상기 선정기준을 이용하여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후보지 검토결과, 정읍시 상평동(Sta.

133km 부근)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6-19 고도화 성과품 테스트베드 후보지 검토결과

현장 접근성자재반입용이성

소음 측정 조건

주변 민가 방음벽 연장 방음벽 높이

공주 마암리(Sta. 29km)

O O OX

(300m)X

(3m)

익산시 화배리(Sta. 72km)

OO

(449m)X

(3m)

익산시 모현동(Sta. 87km)

O O X OO

(505m)O

(6m)

정읍시 상평동(Sta. 133km)

O O O OO

(695m)O

(5m)

나. 시방서 및 설계도서

(1) 일반사항

본 시방서는 고속철도 운영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음시설 중 방음벽을 비롯한

선로변 벽체 상단에 설치하여 회절 감쇠를 통하여 가시선 상부 영역에 대한 감음 성능을 향상

시키고 방음벽의 높이를 절감할 수 있는 상단장치의 제작 및 설치에 대한 시방서 이다.

(가) 형 식 : 상단장치(소음간섭장치, 소멸간섭의 원리)

(나) 규 격 : W700xH640xL3950

(다) 용 도 : 고속철도 소음 저감용

(라) 재 질 : 아연도강팡(외부), PVC(Poly Vinyl Chloride, 내부)

(마) 설치위치 : 선로 측면 방음벽 상단

(2) 외관에 대한 규격 및 사양에 대한 시방

방음벽 상단장치의 전체적인 치수는 W700xH640xL3950이며, 상부 타공판에서 방음벽과 체결되

는 하부판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실외 설치 제품이므로 직사광선에 의

한 열변형, 열경화 영향이 큰 플라스틱 계통의 소재는 제품 내부 부품으로 한정하였으며, 직사

광선을 받는 외부 함체는 아연도강판으로 제작하였다. 상단장치 상부는 음의 출입이 자유로우

면서 낙엽 등의 이물질이 제품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개구율 35%(Ø6-9pitch) 타공

판으로 제작하였다. 내부 플라스틱 부품은 단면형상이 대칭인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외부 함체는 전후판, 하부판, 측면판, 중간판, 타공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부품별 수량

및 재질은 표 3-6-20에 나타내었다.

Page 32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2 -

표 3-6-20 상단장치 각 부품별 사양

부품명 재질 수량 두께 비고

하부판 아연도강판 1 1.6t

전후판 아연도강판 2 1.6t

측면판 아연도강판 2 1.6t

보강대 아연도강판 3 1.6t

연결띠 아연도강판 2 3.0t

상부 타공판 아연도강판 1 0.8t

내부구조물 PVC 2 3.0t

그림 3-6-38 상단장치 외부 형상

그림 3-6-39 상단장치 내부 형상

Page 32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3 -

(3) 재료 규격에 대한 시방

(가) 아연도강판

① 규격 : KS D 3506의 Z27에 적합한 아연도 강판

② 두께 : 0.8~1.2mm

표 3-6-21 아연도강판 물성표

시험 항목 측정값 단위 시험방법항복점 245 min., N/mm2 KS D 3506인장강도 340 min., N/mm2 KS D 3506연신율 20 min., % KS D 3506

상단도금 두께 0.054 mm KS D 9521폭 허용차 +10~+25 mm KS D 9521길이 허용차 +15 mm KS D 9521

평탄도 18이하 mm KS D 9521

(나) PVC(Poly Vinyl Chloride)

① 용도 : 압출성형용 / Pipe, Sash, 골판, 전선피복, 사무용기기 본체

② 특성 : 노화성, 내유성이 우수하며, 불연성(난연성) 양호

표 3-6-22 PVC 물성표

시험 항목 측정값 단위 시험방법비중 1.48 - ASTM D 792경도 79 Shore D ASTM D 2240

Izod 충격강도 105 kg·cm/cm ASTM D 256항복 강도 440 kg/cm2 ASTM D 638파단 강도 350 kg/cm2 ASTM D 638연신율 107 % ASTM D 638

굴곡 강도 650 kg/cm2 ASTM D 790굴곡 탄성율 25,600 kg/cm2 ASTM D 790

V.S.P(1kg load) 93 ASTM D 1525난연성 자소성(V-0급) - -

(4) 성능에 대한 시방

(가) 소음저감 효과

① 방음벽 상단장치에 대한 성능평가는 설치 전/후의 Overall 값으로 평가를 수행하여야 한다.

② 상단장치 설치 전과 후의 소음도차가 평가지점에서 Overall 값에 대한 차이가 3.0 dB 이

상이 되어야 한다.

(나) 구조 및 형상

① 구조적 안정성 및 강도유지를 위해 상단장치 형상은 일체형 구조를 지녀야 하며 설치환

경 및 수음점의 조건에 따라 주파수튜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다) 내하중

① 방음벽 간섭장치의 측면/전후 : 356 /(태풍 50m/s + 430km/h 운행시 풍압)

② 도로교통연구원 방음벽 상단 소음저감장치 품질기준에서 제시하는 내하중 등급 2호를 만족한다.

(라) 내후성

① 방음벽 상단장치는 옥외에 노출되므로 유지보수 등을 고려 방음벽의 성능주기와 같아야 한다.

② 방음벽-컬러 금속재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 KS F 4770-2:2015의 도막 품질 시험 방법을

준용하여 도막성능을 평가한다.

Page 32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4 -

(마) 성능평가

① 성능검증은 규정된 400km/h급 고속철도 방음벽 상단장치 성능평가 절차서(UTG-S-001)

와 ISO 3095:2013을 준용하여 평가한다.

② 시험/평가는 지정된 감독관의 승인하에 성능을 보증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공인기

관의 시험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표 3-6-23 성능에 대한 시방

시험 항목 단위 측정값 평가 기준 시험방법

소음저감성능 dB(A) 3.9 3.0 이상UTG-S-001

ISO-3095:2013

내하중

탄성변형량 mm 15.20 50.0 이하방음벽 상단 소음저감장치

품질기준 내하중 2호 등급영구변형량 mm 6.82 8.0 이하

도막

성능

밀착성 - 이상없음 도막이 벗겨지지 않아야 함 KS D 3520

광택도 % 16.0 40% 이하이어야 함 KS M 5000

염수분무

시험mm

5mm 이외

부식발생

없음

'X'표시 부위 면측 5mm

이외에서 녹발생이 없어야 함KS D 9502

(5) 상단장치 설치 시방

① 상단장치 설치 전 방음벽 지주 상단 Cap Plate를 제거한다.

② 방음벽 지주 상단에 상단장치 설치용 브라켓을 용접 체결한다. 브라켓의 치수 및 형상, 설

치위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체결 시 브라켓과 방음판의 간섭이 없도록 설치하며, 방

음판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음판 출입 공간을 확보한다.

③ 지반 조건에 따라 방음벽 지주 상단의 높이가 미세하게 다를 수 있으므로 시공과정에서

브라켓 간 상부 평탄도가 일정하도록 유의한다.

④ 방음벽 벽체 단차부에 위치하는 브라켓은 현장여건에 맞게 별도 제작하여 용접 체결한다.

⑤ 지주 상단이 열차진행 방향으로 정확히 일직선이 되도록 시공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차를

고려하여 브라켓 위치를 선정한 후 용접 체결한다.

⑥ 상단장치 설치용 브라켓 설치가 완료 된 후 상단장치를 브라켓 상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연결띠로 상단장치를 감싼 후 브라켓에 가공된 볼트홀 4개 지점에 M12 볼트를 체결한다.

⑦ 상단장치와 연결띠 간 #14 직결피스로 고정한다. 이때 연결띠는 두 개의 파트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파트간 체결을 병행한다. 체결상태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⑧ 방음판과 상단장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는 전면 혹은 후면 막음판을 시공하여 열차소음

의 누출을 방지한다. 막음판의 하부는 방음벽 지주 절곡면에 걸치고 상부를 각관 지그에

#14 직결피스로 고정시킨다. 자세한 시공 형상은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⑨ 막음판 설치 시 지주와의 틈새를 최소화 하여 열차소음 누출 방지는 물론 방음판의 이탈

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단장치 설치구조물을 철거해야 할 경우 철거 진행 후 방음벽 지주 상단 Cap Plate를 설

치하여 마무리 한다.

Page 32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5 -

(6) 상단장치 설치 후 확인사항

표 3-6-24 상단장치 설치 후 확인사항

번호 구분 검사내용 비고

1 자재검사 - 현장설치 전 제품 외관 확인

2 설치상태- 틈새확인(상단장치 하부와 방음벽 상단부 및 상단

장치와 상단장치 사이)

3 체결상태- M12 볼트 체결구 이중너트 풀림 점검

- 직결피스 체결구 점검

(7) 보관 및 운송 시방

① 상단장치의 외형이나 코팅, 내부 스프릿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적정한 포장을 해서 반입

하여야 하며, 운반 중에는 움직임이 없도록 결속해야 한다.

② 적재 시에는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평평히 고르고, 5단이상 적재하지 않는다.

③ 보관 시에는 기상에 의한 훼손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개별포장을 해야 한다.

다. 상단장치 현장 부설 전 품질검사

상단장치는 옥외현장 설치라는 제품 특성상 도장마감상태에 따라 노후화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노후화에 따른 제품 구조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품질검사의 관점에서 도장

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시험항목으로는 도막 품질시험이 있다. 도막 품질 시험은 KS

F 4770-2(방음판-금속재 컬러)에 기재된 도막 품질시험 방법을 준용하였으며, 3개 시험항목

모두 평가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6-25 상단장치 현장부설 전 도막 품질시험 항목

분야 항목 시험규격 평가기준 평가결과

도막 품질시험

광택도 KS M 5000 40% 이하 16%

염수분무 시험 KS D 9502 5mm 이외 녹발생 없음 녹발생 없음

밀착성 시험 KS D 3520 도막이 벗겨지지 않음 도막이 벗겨지지 않음

(a) 광택도 (b) 염수분무 시험 (c) 밀착성 시험

그림 3-6-40 상단장치 도막 품질시험 시험성적서

Page 32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6 -

라. 현장부설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의 소음저감성능평가를 위하여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 2017

년 12월~2018년 2월까지 현장부설을 수행하였다. 현장부설 위치는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에

인접한 호남고속철도 STA.132k990~133k340, L=350m, T1(하)에 설치하였다.

그림 3-6-41 상단장치고도화 성과품 현장부설 위치

(1) 상단장치 현장시공 방법

상단장치 시공은 비계설치, 자재 반입, 상단장치 설치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① 1단계(비계설치) : 고속선 선로 밖(위험지역 밖)에 비계작업대 높이 4.0m, 폭 1.5m로 설치.

② 2단계(자재반입) : 지게차를 이용하여 방음벽 후방 농로변 공터에 적재하였으며, 적재 시

차량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적재.

③ 3단계(상단장치 설치) : 카고크레인 장비를 이용하여 4m 세트로 제작된 상단장치를 슬링

밸트로 결속 한 후 양중하여 방음벽 상부에 안착. 이때, 상단장치

하부 로프를 연결하여 양중 시 바람에 의해 상단장치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를 지상과 비계 상부에 각각 배치하여 회전방

지 로프를 전달받아 상단장치가 안착되기 전까지 회전되는 것을 방

지. 상단장치 안착 후 브라켓과 볼트체결하고 상단장치 간 연결띠

를 설치한 후 직결피스 조립으로 마감.

(2) 상단장치 세부 작업 방법

① 상단장치 설치 전 방음벽 지주 상단 Cap Plate를 제거한다.

② 방음벽 지주 상단에 상단장치 설치용 브라켓을 용접 체결한다. 브라켓의 치수 및 형상, 설

치위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체결 시 브라켓과 방음판의 간섭이 없도록 설치하며, 방

음판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음판 출입 공간을 확보한다.

③ 지반 조건에 따라 방음벽 지주 상단의 높이가 미세하게 다를 수 있으므로 시공과정에서

브라켓 간 상부 평탄도가 일정하도록 유의한다.

④ 방음벽 벽체 단차부에 위치하는 브라켓은 현장여건에 맞게 별도 제작하여 용접 체결한다.

⑤ 지주 상단이 열차진행 방향으로 정확히 일직선이 되도록 시공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차를

고려하여 브라켓 위치를 선정한 후 용접 체결한다.

Page 32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7 -

⑥ 상단장치 설치용 브라켓 설치가 완료 된 후 상단장치를 브라켓 상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연결띠로 상단장치를 감싼 후 브라켓에 가공된 볼트홀 4개 지점에 M12 볼트를 체결한다.

⑦ 상단장치와 연결띠 간 #14 직결피스로 고정한다. 이때 연결띠는 두 개의 파트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파트간 체결을 병행한다. 체결상태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⑧ 방음판과 상단장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는 전면 혹은 후면 막음판을 시공하여 열차소음

의 누출을 방지한다. 막음판의 하부는 방음벽 지주 절곡면에 걸치고 상부를 각관 지그에

#14 직결피스로 고정시킨다. 자세한 시공 형상은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⑨ 막음판 설치 시 지주와의 틈새를 최소화 하여 열차소음 누출 방지는 물론 방음판의 이탈

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a) 브라켓 설치(주간상례 작업)

(b) 상단장치 설치(야간 전차선 단전 작업)

그림 3-6-42 상단장치 시공 개략도

Page 32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8 -

(a) 비계설치 (b) 자재반입

(c) 브라켓 하부판 설치 (d) 브라켓 설치

(e) 상단장치 설치 1 (f) 상단장치 설치 2

(g) 상단장치 시공완료 1 (h) 상단장치 시공완료 2

그림 3-6-43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현장부설 전경

Page 32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09 -

마.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소음저감성능 평가

(1) 소음저감성능 평가 개요

상단장치의 소음저감성능평가는 1단계 테스트베드와 동일하게 UTG-S-001 및 ISO-3095를 준

용하여 상행선(T2)선로 중앙 25m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 상면으로부터 1.2m, 3.5m 높이에서 열

차통과소음(TEL)을 평가하였다. 성능평가 측정 시에는 상단장치 설치에 따른 소음 특성을 확

인하기 위해 선로 중앙 15m, 40m 이격된 위치를 추가적으로 측정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한 측

정 및 분석시트에 기록된 소음저감성능은 선로 중앙 25m이격된 지점에서 레일 상면으로

1.2m, 3.5m 위치에서 열차통과소음에 대한 소음저감성능을 측정하였다.

상단장치 설치 전/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음원 기준을 Ch1로 선정하고 상단장치 설치 전/후

Ch1의 음압레벨 차 만큼 보정시킨 후 각 위치에서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를 평가하였다.

그림 3-6-44 소음저감성능 평가를 위한 소음측정 단면

(2) 소음저감성능 평가 결과

공인시험기관 시험 전 사전 점검 차원에서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

였다. 평가 결과 표 3-6-26과 같이 25m 이격된 지점 H=1.2m에서 5.3dB(A), H=3.5m에서

6.5dB(A)로 나타났다. 다만 해당 결과는 SRT 1대에 대한 측정결과이며,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3-6-26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소음저감성능 평가 결과

Ref15m 25m 40m

H=1.2m H=3.5m H=1.2m H=3.5m H=3.5m

P1 P2 P3 P4 P5 P6

설치 전 97.5 78.7 81.9 77.9 80.7 79.8

설치 후 97.5 74.6 77.4 72.6 74.2 74.2

삽입손실 - 4.1 4.5 5.3 6.5 5.6

Page 33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0 -

(a) 상단장치 설치 전 (b) 상단장치 설치 후

그림 3-6-45 상단장치 공인시험기관 성능평가를 위한 현장시험 전경

(a) 상단장치 설치 전 (b) 상단장치 설치 후

그림 3-6-46 상단장치 설치 전/후 시간이력선도 평가결과

(a) 상단장치 설치 전 (b) 상단장치 설치 후

그림 3-6-47 상단장치 설치 전/후 주파수 특성 평가결과

바.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소음저감성능 공인시험성적기관 평가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기계연구원에서 2017년 11월 2일에 상단장치 설치 전 열차소음측정을

하였으며, 설치 후 측정은 2018년 2월 27일에 진행하였다. 설치 전/후 고속열차 통과 시 소음

도를 분석하여 평가한 결과, 25m이격된 지점의 높이 1.2m와 3.5m에서 상단장치 설치 전/후의

소음저감성능이 각각 3.9dB(A)와 4.3dB(A)로 평가되어 소음저감목표인 3.0dB(A)를 충분히 만족

하는 것을 인증 받았다.

Page 33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1 -

표 3-6-27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공인시험성적 결과

그림 3-6-48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성능평가 시험 전경

(a) 설치 전 L=25m, H=1.2m (b) 설치 전 L=25m, H=3.5m

(c) 설치 후 L=25m, H=1.2m (d) 설치 후 L=25m, H=3.5m

그림 3-6-49 상단장치 고도화 제품 성능평가 시험결과

25m

H=1.2m H=3.5m

P4 P5

삽입손실 3.9dB(A) 4.3dB(A)

Page 33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2 -

그림 3-6-50 상단장치 고도화 시험성적서

Page 33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3 -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7절. 흡음블럭 고도화 기술

본 연구는 기존 1단계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고속철도용 흡음블럭의 상용화 및 적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다하지 못한 장기적 성능검증을 실시하고, 이 검증자료를 바탕으로 흡음

블럭의 개선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개선모델을 실제 제품화하기위해 시작품을 제작

하여 실험실 성능검증을 진행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시제품 제작 및 현장부설, 성능검증을 통

해 유지보수성 향상 및 경제성 확보 등의 제품 고도화를 통한 상용화를 실현시키려 한다.

1. 토공 구간 흡음블럭에 대한 장기성능 평가

본 연구에 앞서 진행된 1단계 연구개발 과정에서 개발되고 현장부설 완료된 초고속철도용 흡음

블럭에 대한 안정성 및 소음저감성능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점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검증하였고, 역시 시간경과에 따른 소음저감성능 변화여부를 측정하였

다. 해당 장기적 성능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진행될 흡음블럭 개선품의 개선모델 작성

시 부족한 성능에 대해서는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 장기 안전성 및 내구성능 검증

(1) 개요

흡음블럭이 현장에 설치된 이후 흡음성능 및 안전성의 유지를 위해 1단계 연구개발과정에서 유

지관리 시방서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유지관리 시방서를 통해 흡음블럭의 설치 후 현장점검에 적

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지관리 시방서의 주요 점검항목은 아래와 같다.

표 3-7-1 유지관리 시방서의 주요 점검항목

유지관리 점검항목 점검 목적 및 내용

시설물의 청소상태 점검

시설물 상부나 인근에 먼지나 흡착된 부유물, 생육하고 있는 넝쿨식물 등

이 시설물의 설치 목적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가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

여 시설물의 설치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 관리한다.

시설물의 배수상태 점검

우천으로 인한 물이 원활히 배출됨으로써 다량의 수분으로 인한 철로의

안전 및 외부에 노출된 시설물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시설물 설치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 관리한다.

시설물의 위치이동상태 점검도상에 설치된 시설물이 최초의 설치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는지를

점검하여 시설물의 설치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 관리한다.

시설물의 부착상태 점검도상에 설치된 시설물의 고정상태가 완전하게 유지되고 있는지를 점검하

여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철로시설의 이용 시 안전을 확보한다.

시설물의 손상상태 점검도상에 설치된 시설물의 외형상태가 완전한 상태로 유지되어 시설물의

소음저감성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도록 관리한다.

상기 유지관리 점검항목을 검토하여 원활히 점검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현장점검 체크리스트를 제

작하여 현장점검시 사용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흡음블럭 설치가 완료된 2014년 5월 이후 2015년 1월까지 3차에 걸친 현장점

검을 실시하였으며, 해당 점검시 이상없음을 확인 하였다. 그러나 해당 점검은 설치 후 7개월 동안

Page 33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4 -

만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연구기간의 종료로 추가 점검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추

가적인 현장점검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며, 흡음블럭의 동절기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

어 왔기에 1단계 연구결과에서 실험실 성능검증도 실시하였지만, 현장점검도 동절기 위주로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가 현장점검은 흡음블럭 설치 후 약 2년 5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총 2회 진행되었

으며, 2016년 10월 11일 및 2017년 1월 15일에 진행되었다.

현장부설 지점의 상하선을 각각 1명이 도보로 진행하고 끝지점에서 교차하여 재점검하며 육안

관찰 및 사진, 동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고 ,유지관리 점검 항목 검토를 통해 작성된 체크리스트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였다.

(2) 안전성 및 내구성 검증 진행

1차 현장검증은 설치 후 2년 5개월이 지난 2016년 10월 11일에 시행되었다. 연구단 주관으로

호남고속철도 호남본부의 협조를 얻어 열차 차단 및 단전이 시행된 후 선로에 직접 진입하여 육

안 및 계측, 사진 촬영을 통해 점검을 진행하였다. 점검결과 파손 및 이물질 침착등의 사항이 전

혀 없었으며, 설치 직후 점검시 표시해 놓았던 마크 위치 확인 결과 변위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

다. 전반적으로 안전성 및 내구성 관련 이상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3-7-1 1차 현장검증

2차 현장검증은 2017년 1월 15일에 시행되었다. 역시 연구단 주관으로 호남고속철도 호남본부

의 협조를 얻어 열차 차단 및 단전이 시행된 후 선로에 직접 진입하여 육안 및 계측, 사진 촬영을

통해 점검을 진행하였다. 점검결과 1차 현장모니터링 결과와 마찬가지로 파손 및 이물질 침착 등

의 사항이 전혀 없었으며, 변위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동절기에 우려되던 동결융해에 의

한 파손도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2차 점검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안전성 및 내구성 관련 이상없

음을 확인하였다.

Page 33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5 -

그림 3-7-2 2차 현장검증

(3) 검증 결과

본 과제를 통해 진행된 2회에 걸친 현장 안전성 및 내구성 검증결과 최종적으로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물질 및 침착물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특히 동결융해에 의한 파손등의 사항도 발생

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설치 후 약 3년까지 총 5회의 현장점검이 진행되었으며, 유의미한 이상상

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표 3-7-2 기 구축된 흡음블럭의 계절별 시기별 현장점검 결과

구분 봄 여름 가을 겨울

설치 후

1년-

동결융해 이상없음

부착 이상없음

균열 이상없음

기타 이상없음

동결융해 이상없음

부착 이상없음

균열 이상없음

기타 타작업 흔적 발견

동결융해 이상없음

부착 이상없음

균열 이상없음

기타 타작업 흔적 발견,위치 마킹실시

설치 후

2년- - - -

설치 후

3년- -

동결융해 이상없음

부착 이상없음

균열 이상없음

기타 마킹 위치 유지블록주변 이끼확인

동결융해 이상없음

부착 이상없음

균열 이상없음

기타 마킹 위치 유지

이로 미루어 개발된 흡음블럭의 현장 안정성 및 내구성능은 실험실 검증결과와 같이 충분히 안

전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절기에도 동결융해에 의한 파손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래에는 지금까지 진행된 5회의 현장검증시 작성된 체크리스트를 나타내었다.

Page 33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6 -

표 3-7-3 2014~2015년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

2014.08.13. 현장점검 2014.10.17. 현장점검 2015.01.15. 현장점검

- 점검결과 : 이상없음 - 점검결과 : 이상없음 - 점검결과 : 이상없음

표 3-7-4 2016~2017년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

2016.10.11. 현장점검 2017.01.15. 현장점검

- 점검결과 : 이상없음 - 점검결과 : 이상없음

나. 장기 소음저감성능 검증

(1) 개요

1단계 연구에서 현장설치된 흡음블럭의 실외구간 장기 소음저감성능을 검증하였다. 실외구간 소

음저감성능은 흡음블럭이 설치된 구간 및 미설치 구간에 대한 소음도 측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는

데, 흡음블럭 설치 구간은 토공구간으로 STA.109K500~900으로 설치 구간 소음측정은 109k700에서

진행하고, 미설치 구간 소음측정은 109k200에서 진행하였다.

Page 33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7 -

그림 3-7-3 호남고속선 흡음블럭 설치 및 미설치 구간 측정 지역

환경 소음의 측정에는 측정용 마이크로폰과 소음계 또는 주파수 분석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일본의 RION사에서 제작한 옥외 소음모니터링 장비 NL-52 및 동사에서 제작한 AS-70

소프트웨어가 이용되었다. 옥외 소음모니터링 장비는 옥외 마이크로폰과 주파수 분석기로 구성되

며, 수시간에서 2일까지 이동형으로 소음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고속철도 펜스 안에 설치할 경우

열차 운행 시 안전 문제로 인하여 접근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동일차량의 1회 통

과 시 여러 지점에서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도록 자동 모듈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과제 측정에 적

합한 장비라고 할 수 있다.

(a) RION NL-52 Sound Level meter

(b) RION AS-70 소프트웨어

그림 3-7-4 측정 시스템

고속철도 통과 소음도의 현장 시험을 위한 측정방법은 ISO 3095:2005 규격, 환경부 고시 제

2010-142호, EN 15610:2009, EN 15461:2008 규격의 시험 방법을 따라 진행하였다.

흡음블럭의 장기소음저감성능 측정은 2016년 10월 11일, 2017년 1월 11일, 2017년 2월 5일에 걸

쳐 총 3회 시행되었다. 그러나 두 번째 시행된 2017년 1월 11일의 측정데이터는 동절기 기온의 영

향으로 데이터 저장장치에 에러가 발생해 해석이 불가능해서 나머지 두 개의 데이터에 대해 분석

을 진행 하였다.

(2) 소음저감성능 측정

(가) 1차 측정 및 분석

측정일 2016년 10월 11일에 KTX차량, KTX-산천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세부 측정시간대별 기

상상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김제시 서암동 기준의 상세관측자료(AWS)를 활용하였다. 해당일

에 비 또는 눈은 내리지 않았다.

Page 33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8 -

(a) 흡음블럭 설치지역 (b) 흡음블럭 미설치지역

그림 3-7-5 1차 장기소음저감성능 검증 시 마이크로폰 설치 사진

KTX 및 KTX-산천 운행시의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3-7-5 KTX-산천,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6.10.11.

통과차량

통과소음도 측정치(dBA)소음저감량

(dB)특이사항109K700

(흡음블럭 설치구간)

109K200(흡음블럭

미설치 구간)

KTX-산천 (1) 95.58 99.70 4.12 상행

KTX-산천 (2) 83.45 87.42 3.97 상행

KTX-산천 (3) 94.18 97.90 3.72 상행

KTX-산천 (4) 95.93 98.75 2.83 상행

KTX-산천 (5) 95.91 99.28 3.36 상행

KTX-산천 (6) 92.93 95.73 2.81 상행

KTX-산천 (7) 97.09 100.75 3.67 상행

KTX-산천 (8) 95.76 100.00 4.24 상행

KTX-산천 (9) 93.85 97.21 3.36 상행

KTX-산천 (10) 96.93 101.51 4.59 상행

KTX-산천 (11) 96.45 99.97 3.52 상행

KTX-산천 (12) 94.32 98.04 3.72 상행

KTX-산천 (13) 96.56 99.30 2.74 상행

KTX-산천 (14) 94.85 99.24 4.38 상행

KTX-산천 (15) 90.67 94.23 3.56 하행

KTX-산천 (16) 94.55 99.74 5.20 하행

KTX-산천 (17) 90.83 95.88 5.05 하행

KTX-산천 (18) 90.10 94.47 4.37 하행

KTX-산천 (19) 89.91 94.24 4.34 하행

KTX-산천 (20) 90.99 93.69 2.70 하행

KTX-산천 (21) 90.99 94.93 3.95 하행

KTX-산천2편성 (22) 92.77 97.61 4.84 하행

Page 33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19 -

표 3-7-6 KTX,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6.10.11.

통과차량

(연번)

통과소음도 측정치(dBA)소음저감량

(dB)특이사항109K700

(흡음블럭 설치구간)

109K200(흡음블럭

미설치 구간)

KTX (1) 96.20 99.98 3.79 상선/상행

KTX (2) 97.18 100.36 3.18 상선/상행

KTX (3) 95.19 99.28 4.09 상선/상행

KTX (4) 91.82 96.07 4.24 상선/상행

KTX (5) 94.23 98.69 4.46 상선/상행

KTX (6) 92.52 95.76 3.24 하선/하행

KTX (7) 90.53 96.23 5.70 하선/하행

KTX (8) 89.38 93.58 4.20 하선/하행

KTX (9) 90.22 94.43 4.20 하선/하행

KTX (10) 92.58 95.60 3.02 하선/하행

10월 11일 KTX 통과 시의 흡음블럭 설치로 인한 소음저감량의 평균은 4.01dB이며, KTX-산천

통과 시의 소음저감량의 평균은 3.87dB으로 유사하였다.

(나) 2차 측정

2차 측정은 2017년 1월 11일에 진행되었으나, 혹한으로 인해 측정데이터가 소실되어 분석이 불

가능하였다. 이에 3차 측정시에는 측정시스템에 대한 혹한대비를 더욱 강화하여 진행하였다.

(나) 3차 측정 및 분석

측정일 2017년 2월 5일의 흡음블럭 성능 평가 시험에서는 KTX 및 KTX-산천, SRT에 대한 측

정이 진행되었다.

(a) 흡음블럭 설치지역 (b) 흡음블럭 미설치지역

그림 3-7-6 3차 장기소음저감성능 검증 시 마이크로폰 설치 사진

3차 측정일에 진행된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34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0 -

표 3-7-7 KTX,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통과차량

(연번)

통과소음도 측정치(dBA)소음저감량

(dB(A))특이사항109K700

(흡음블럭 설치구간)

109K200(흡음블럭

미설치 구간)KTX (1) 83.3 87.3 4.0 하선/하행KTX (2) 97.0 100.6 3.5 상선/상행KTX (3) 90.0 92.4 2.4 상선/상행KTX (4) 91.7 95.1 3.4 하선/하행KTX (5) 93.7 97.5 3.8 상선/상행KTX (6) 91.2 95.5 4.3 하선/하행KTX (7) 91.8 95.0 3.2 하선/하행

표 3-7-8 KTX-산천,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통과차량

(연번)

통과소음도 측정치(dBA)소음저감량

(dB(A))특이사항109K700

(흡음블럭 설치구간)

109K200(흡음블럭

미설치 구간)KTX-산천 (1) 93.9 98.1 4.1 상선/상행KTX-산천 (2) 95.0 100.1 5.1 상선/상행KTX-산천 (3) 97.6 101.0 3.4 하선/하행KTX-산천 (4) 92.5 94.9 2.4 상선/상행KTX-산천 (5) 92.1 95.0 2.9 하선/하행KTX-산천 (6) 92.3 95.6 3.3 하선/하행KTX-산천 (7) 93.0 96.2 3.2 하선/하행KTX-산천 (8) 94.8 98.4 3.5 상선/상행

표 3-7-9 SRT, 설치/미설치 통과 소음도 측정치(TEL) 비교-2017.02.05

통과차량

(연번)

통과소음도 측정치(dBA)소음저감량

(dB(A))특이사항109K700

(흡음블럭 설치구간)

109K200(흡음블럭

미설치 구간)SRT (1) 92.8 96.7 3.9 상선/상행SRT (2) 89.8 92.7 2.9 하선/하행SRT (3) 94.7 96.2 1.5 상선/상행SRT (4) 94.2 97.6 3.3 하선/하행SRT (5) 92.0 95.6 3.6 상선/상행SRT (6) 90.7 94.4 3.7 하선/하행SRT (7) 91.1 93.7 2.6 하선/하행SRT (8) 93.6 97.6 4.0 상선/상행SRT (9) 86.8 89.7 2.9 하선/하행

KTX 통과 시의 흡음블럭 설치로 인한 소음저감량의 평균은 3.52dB(A)이며, KTX-산천 통과 시

의 소음저감량의 평균은 3.50(A)dB, SRT에 대한 소음저감도는 3.16dB(A)이었다. 전체 평균 저감량

은 3.38dB(A)로 나타났다.

(3) 소음저감성능 검증 결과

본 과제를 통해 진행된 3회 중 분석이 진행된 2회의 소음저감성능 검증 결과 설치 후 약 3년이

경과된 시점의 소음저감 성능은 설치 직후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음저감성능의 각 조건에 따른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아래에 연차별 및 계절별, 차량별 상

선 운행시의 매회별 소음저감값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Page 34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1 -

그림 3-7-7 시간별 소음저감량 비교

그림 3-7-8 계절별 소음저감량 비교

그림 3-7-9 열차 종류별 소음저감량 비교

위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시간의 흐름 및 계절별, 차량의 종류별로 흡음블럭의 소음저감량이 증

가되었다거나, 낮아졌다기 보다는 평균 3~4dB을 기준으로 등락하며,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결

론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음블럭은 설치 후 3년 경과시점에도 열차운행시 외부소음 저감성

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실용화를 위한 개선 방향 검토

흡음블럭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의 목표치

를 설정해야 하며, 해당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장에서는 이 내용들

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가. 개선 항목 검토

(1) 관계기관 면담을 통한 의견 검토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등에 부설된 흡음블럭에 대한 여러 현장

사례에 대해 시설운영기관 등의 여러 관계자들과 면담등을 진행하면서 수집한 실용화를 위한 주요

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Page 34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2 -

∘ 구조물에 장기적인 하중으로 적용되는 부분으로 경량일 것.

∘ 자갈도상의 흡음률을 가지면서, 먼지등의 흡착으로 인해 성능의 감소가 없을 것.

∘ 점검시 흡음블럭 위로 도보시 지장이 없을 것

∘ 도상에 발생하는 크렉에 대해 확인이 가능할 것

∘ 외부 노출면에 설치되는 구조로 우천으로 인한 흡음률 감소가 없을 것

∘ 단위 m당 설치비, 시공비가 합리적인 가격일 것

이중 흡음블럭 위로 도보시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은 안전성 및 내구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이

에 대해서는 기구축된 흡음블럭의 현장점검을 통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미 한국철도

표준규격으로 지정된 내용이므로 추가 검토에서는 제외한다.

(2) 발생소음원 분석을 통한 개선 사항 검토

흡음성능의 경우에는 앞서 진행한 기구축된 흡음블럭의 장기소음저감성능 검증을 통해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흡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여지가 있는지 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1단계 현장부설 후 측정된 운행열차의 발생소음을 분석하여, 이 발생소음의 특성을 흡음블럭

이 잘 저감하고 있는지를 검토해서 흡음블럭의 흡음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 개선을 통해 추

가적인 흡음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a) HEMU 운행시 (b) KTX 운행시

그림 3-7-10 고속열차 운행시의 발생소음 피크주파수 대역 검토

먼저 1단계 연구개발시 개발된 흡음블럭의 소음저감 성능 검증을 위해 측정된 흡음블럭 설치/미

설치 구간의 주파수분석을 통한 1/3-옥타브밴드 소음도 측정값을 활용하여 피크주파수 대역을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HEMU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2500Hz 대역이고, KTX-호남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3150Hz 대역으로 확인 되었다.

Page 34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3 -

그림 3-7-11 흡음블럭의 잔향실 흡음계수 그래프

흡음블럭의 소음저감성능이 실제 발생하는 열차운행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해 흡음블럭의 잔향실 측정 주파수별 흡음계수 그래프를 분석하였다. 흡음블럭의 최대 흡

음대역은 800Hz 이상에서 흡음계수 0.9 이상의 값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열차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 범위는 800~3150Hz 대역 내에서 유지됨을

확인하였고, 개발된 흡음블럭의 흡음대역은 800Hz 이상에서 최대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 같

은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흡음블럭이 가지는 소음저감성능 특성이 열차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릴수 있으며, 이에따라 새로이 개발되는 흡음블럭은 현재의

소음저감성능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다른 항목의 개선을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

으로 볼 수 있다.

(3) 경량화 및 원가절감에 대한 개선 사항 검토

위의 의견들 중 소음저감성능과 내구성과 관련된 내용을 빼면, 검토되지 않은 항목은 중량, 크랙

확인, 경제성관련 항목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회의를 진행한 결과, 중량의 경우는 흡음블럭

의 적용성 확대를 고려했을 때, 특히 교량에 설치시 교량 하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어

이에 대한 경량화가 필수적이라 판단되었다. 또한 경제성의 경우에도 운용처에서 보다 수월한 의

사결정을 통해 흡음블럭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부분이라 판단되었다. 그

리고 도상크랙의 점검과 관련된 부분은 특히 흡음블럭을 시설물로 관리/운용하는 부서에서는 필수

적으로 짚고 넘어가는 부분으로 기존 흡음블럭 설치과정에서 매번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던 개선사

항으로 필수적인 개선 항목이라 판단하였다.

나. 개선 방향 설정

검토된 개선항목들을 기초로 하여 확보한 연구기간동안 달성 가능한 목표치를 설정하였다.

표 3-7-10 흡음블럭의 개선모델

개선대상

검토항목기존 제품 개선 모델

소음

저감성능

-3dB이상 저감

(최대 흡음주파수 800~3150Hz)

-3dB이상 저감성능 유지

(최대 흡음주파수 800~3150Hz 유지)

제품 중량 1m당 470kg 1m당 400kg (15% 경량화)

제품 가격 30만원/m 이상 30만원/m 이하 (15% 단가 절감)

유지보수성제품 설치 후 도상 점검불가로

유지보수 어려움도상 점검이 가능하도록 개선

Page 34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4 -

설정된 개선 방향 달성을 위해 크게 소재검토, 생산성 개선, 유지보수성 향상을 추진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개발 제품을 경량화하고 제품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여러 다양한 흡음소재들에 대한

비중과 가격, 수급용이성 등을 자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료들에 대한 다양한 배합

TEST를 통해 적용가능성 검토하고, 적용 가능성이 검토된 배합 중 실제 시험체 또는 생산 플랜

트를 통해 생산하여 생산 가능여부 및 요구성능 TEST후 적용 배합비 도출한다. 도출된 배합을

통해 생산된 제품에 대해 요구성능 및 잔향실 흡음성능시험등을 거쳐 개선모델의 최종 배합비를

도출 한다.

기존 생산공정 및 설비 개선을 통한 생산비의 절감을 달성하여, 제품의 판매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한다.

콘크리트 도상의 크렉 양상 및 유지보수 점검원의 점검편의성 등에 대해 다각도로 조사하고,

육안점검 및 기기에 의한 점검등에 대해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경량화, 현장 설치 용이성이 있

는 구조와 형상 모델을 도출한다.

3. 시제품 개발

가. 개선 배합 도출

(1) 소재 검토

(가) EPS 콘크리트(Expanded Polystyrene Concrete)

EPS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량 콘크리트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현재 인도,

중국, 터키 등 아시아 지역 및 일부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인 콘크

리트이다. 스티로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구조적 용도로 사용되기보단 도로

Bedding, 철도선로 아래의 Sub-grading 및 석조용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EPS

Concrete는 시멘트, 모래, 물, 폴리스티린(스티로폼), 첨가제(유제)로 구성되고, 핵심은 스티로폼 구

슬(bead)을 일반 굵은 골재를 대신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강도는 다소 부족하지만, 스티로폼 구슬이 경량골재 보다 가격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고, 흡음

블럭의 목적상 구조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구성능 기준 강도를 충족시킨다면 기존

의 흡음블럭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PS 콘크리트의 강도는 배합비(강도와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 소량의 굵은 골재가 포함될 수 있음)와 스티로폼 구슬 사이즈(지름 약

1~12mm)에 따라서 상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혼합 비율 및 구슬 사이

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EPS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저항성과 흡읍 성능

이 뛰어나고, 모양 잡기가 비교적 수월하다.

현재 사용중인 시제품 G-T-2 혼합물의 단위중량(1,430)을 EPS 콘크리트 단위중량(600∼

1,400 , K. Miled et al., Mechanistic of materials 36, 2004)과 비교하여 보면 전체 치환시 최

대 58% 정도의 흡음블럭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age 34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5 -

스티로폼 구슬 EPS 콘크리트

그림 3-7-12 EPS 콘크리트

(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오토클레이브 양생한 콘크리트로서, 골재는 포함하지 않고 실리카분이

많이 들어있는 모래와 생석회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작한다. 슬러지에 발포제와 안정제 등을 섞

어 거푸집에 넣고 발포·팽창하여 케이크 모양으로 굳었을 때 꺼내 오토클레이브 안에서 약

180°C, 10기압으로 양생한다. 이 콘크리트는 주로 건축물의 바닥 보온 단열 흡음재로 쓰이고, 단

위중량은 약 400∼700(ASTM C1693-11)로서 기존 흡음블럭보다 약 51~72% 정도 무게를 감

소시킬 수 있고, 평균적으로 약 35kg/의 압축강도를 갖는다. 균열이 잘 생기지 않으며 단열성

및 방음이 뛰어나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경량 기포 콘크리트

그림 3-7-13 경량 기포 콘크리트

(다) 경량골재 사용(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기존의 G-T-4, 5 혼합물(인공경량골재, 천연경량골재를 사용한 배합비)에서 경량화 골재를 사용

하였지만, 강도문제의 이유로 최종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다. 즉, 일반 골재와 비슷한 강도를 가

지는 경량골재를 사용한다면 일반 콘크리트와 비슷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경량화된 흡음블럭

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량골재에는 대표적으로 부석(pumice), 클린커(Clinker) 거품

슬래그(foamed slag)등이 있다.

* 부석(Pumice)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골재로서, 골재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열처리

를 통해서 추가적인 강도를 함유시킬 수 있다.

* 클린커(Clinker) - 석탄재가 녹아 덩어리로 굳은 것.

* 거품 슬래그(foamed slag) - 선철을 제조할 때 고로에서 생기는 철광석의 찌꺼기 또는 코크스

회분 등의 불순물을 슬래그라고 하는데, 뜨거운 슬래그에 물을 부으면 증기에 의해 거품이 일어

경석같이 된다. 이를 부수어서 가벼운 인공 골재로서 사용한다

* 팽창된 셰일(shale) 혹은 점토(clay) - 셰일이나 점토 재료에 열을 가하면 재료내부에 존재하던

Page 34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6 -

가스가 팽창하면서 재료가 팽창된다. 여기에 융해점이 높은 재료로 코팅을 하여 팽창된 골재들끼

리 저장된 상태에서 혹은 믹싱중에 서로 붙지 않게 가공처리를 한다.

석조용(masonry)으로 사용되는 경량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은 ASTM C 331/C331M-14 기준에 따

라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 1,120보다 낮아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였

을 경우 기존보다 약 22%의 경량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부석(Pumice) 클린커(Clinker) 거품 슬래그 덩어리(Foamed Slag)

그림 3-7-14 경량 골재의 종류

표 3-7-11 콘크리트 종류별 기존대비 경량화(%)

종류 기존 콘크리트 EPS 콘크리트 경량 기포 콘크리트

경량 골재 콘크리트

단위 중량 ( ) 1,430 600∼1,400 400~700 1,120 이하

기존 대비 경량화 (%) 100 최대 58 51~72 최소 22

* 경량화 %는 ‘400km/h 흡음블럭의 내구성 기준’에 따라 배합비를 달리함으로서 상이해질 수 있음

(라) UHPC

UHPC는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의 약자로서, 고성능을 가진 콘크리트이다. 일반적으

로 UHPC는 강화 섬유와 포틀랜드 시멘트에 화학 첨가제와 물을 첨가하여 만든다. 이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약 2,500이고, 압축 강도는 약 165MPa으로 기존의 콘크리트보다 성능 면에서 매

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FHWA-HRT-14-084 참조) UHPC의 경우에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가

격 경쟁 측면에서는 뒤처지지만, 이는 기존 흡음블럭의 용적 축소를 통하여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흡음블럭의 높이 0.22m를 50% 축소시켜 0.11m로 변경

한다면, 계산적으로 재료비의 50%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피 축소에 따른 경량화 또한 가능할 것

으로 사료된다.

(2) 개선 배합비 도출

검토된 여러 소재들 중 경량화, 단가, 수급성, 기존소재와의 혼합가능성, 보유 생산설비에서 제작

가능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가 배합소재로 신규 경량골재 및 EPS볼을 선정하고, 최적

배합비 도출을 위한 배합시험을 진행하였다.

(가) 배합비에 따른 내구성 및 흡음률 변화검토

경량골재 A와 경량골재 B의 특성은 경량골재 A가 강도 및 중저주파 흡음성능이 탁월하지만, 고

가인 반면, 경량골재 B는 강도가 A에 비해 떨어지지만 고주파 대역에서 A보다 흡음성능이 우수하

Page 34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7 -

고, 비중이 가벼우며, 가격이 저렴한 특징을 가진다. 이에 대해 두 경량골재를 혼합하여, 여러 비

율을 적용하여 각각 3개의 공시체를 제작하고,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3-7-12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압축강도 시험 결과

배합 No.배합비(kg) 평균압축강도

(MPa)경량골재A 경량골재B 기타소재 시멘트

UP-t01 11.3 0.2 2 4.5 11.62

UP-t02 10.6 0.9 2 4.5 11.18

UP-t03 9.9 1.6 2 4.5 10.49

UP-t04 9.2 2.3 2 4.5 10.13

UP-t05 8.5 3 2 4.5 10.36

UP-t06 7.8 3.7 2 4.5 10.09

UP-t07 7.1 4.4 2 4.5 9.44

UP-t08 6.4 5.1 2 4.5 9.36

UP-t09 5.7 5.8 2 4.5 8.52

UP-t10 5 6.5 2 4.5 8.36

UP-t11 4.3 7.2 2 4.5 8.14

UP-t12 3.6 7.9 2 4.5 7.67

UP-t13 2.9 8.6 2 4.5 7.83

UP-t14 2.2 9.3 2 4.5 7.64

UP-t15 1.5 10 2 4.5 6.65

UP-t16 0.8 10.7 2 4.5 6.8

UP-t17 0.1 11.4 2 4.5 6.66

강도시험결과 10MPa의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시험체는 UP-t01~t06까지이다. 그러나 경량화를 목

표로 하고 있다는 점과 공시체시험 성능이 반드시 실제 제품의 시험 성능과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험체 UP-t03~t07에 대해 관내법 흡음률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3-7-15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관내법 흡음률 시험 결과

관내법 시험결과 나타난 흡음률의 추이에 대해 대략적인 시료별 평균은 위의 그래프와 같다.

계산결과 UP-t03, UP-t04, UP-t05의 시험체가 NRC 값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의 열차소

음 측정시 검토된 고속열차 방사소음의 지배주파수가 800~3150Hz 구간인 것을 감안하여, 해당구

간에서의 흡음률 평균을 계산해보았다.

Page 34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8 -

표 3-7-13 경량골재 2종의 배합비별 주파수 흡음특성 시험 결과

배합 No. NRC 800~3150Hz 평균

UP-t03 0.58 0.66

UP-t04 0.55 0.68

UP-t05 0.58 0.70

UP-t06 0.51 0.63

UP-t07 0.51 0.62

각 배합비에 대해 압축강도 시험 및 관내법 흡음성능 시험을 실시한 결과 UP-t05 시험체의 성

능이 압축강도 10.36MPa, NRC 0.58로 각각의 시험실 성능기준을 만족하거나 높았으며, 타 배합대

비 800~3150Hz 대역의 흡음성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량골재 A와 경량골재 B의

적정 혼합비는 약 3:1로 선정하였다.

(나) EPS볼 혼합에 따른 혼합성 및 강도 변화 검토

EPS볼은 지름 3~4 및 5~6의 규격 제품을 검토하였다. 공시체 제작 시험시 EPS볼은 사전에

시멘트 코팅을 하여 사용하였다. 3~4의 EPS볼을 앞에서 결정된 배합에 2~10%까지 부피비를 늘

려가며 시험하였고, 5~6의 EPS볼은 3~10%까지 시험하였다. 5~6의 EPS볼은 3~4보다 낮은 비

중을 가져 경량화에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실제로 그 차이는 미미하였으며, 콘크리트와의 혼합성

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규격 모두 배합 비율이 증가함에따라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낮아지며, 동일 배합의 공시체간 강도 차이도 더 큰 편차를 나타냈다.

표 3-7-14 EPS볼 2종의 배합 시험결과

시험번호

부피 첨가율(%) 압축강도(MPa)

EPS볼

3~4mm

EPS볼

5~6mm1회 2회 3회 평균

EPS-t01 2 - 11.14 10.6 12.5 11.41

EPS-t02 3 - 10.9 12 11.56 11.49

EPS-t03 4 - 10.1 11.04 11.43 10.86

EPS-t04 5 - 10.7 9.27 10.61 10.19

EPS-t05 6 - 9.65 10.33 8.13 9.37

EPS-t06 7 - 6.61 9.89 8.45 8.32

EPS-t07 8 - 7.14 5.12 8.91 7.06

EPS-t08 9 - 3.03 4.01 5.6 4.21

EPS-t09 10 - 3.52 4.36 1.98 3.29

EPS-t10 - 3 10.2 11.7 9.88 10.59

EPS-t11 - 4 10.04 9.87 8.48 9.46

EPS-t12 - 5 9.72 6.4 8.98 8.37

EPS-t13 - 6 4.98 7.85 6.79 6.54

EPS-t14 - 7 7.27 4.3 6.63 6.07

EPS-t15 - 8 3.13 5.53 7.23 5.30

EPS-t16 - 9 3.93 2.01 5.73 3.89

EPS-t17 - 10 2.16 4.19 5.27 3.87

Page 34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29 -

EPS볼을 혼합하는 시험을 진행한 결과, 3~4의 EPS볼을 약 4~5% 혼합했을 때, 균일한 혼합성

및 안정적인 강도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과정에서 5~6의 EPS볼을 혼합한 공시

체는 양생 완료된 후 옆면에서 EPS볼이 탈락되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제품화했을 때의 강

도 성능 및 미관적 요소를 고려했을 때, EPS볼의 혼합양은 3~4 규격의 EPS볼을 부피비 4~5%

이내로 적용하는 것이 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림 3-7-16 시작품제작 및 강도시험

나. 개선 형상 도출

개선품의 형상은 1차년도에 1차안을 도출한 후 2차년도까지 지속적인 검토를 진행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1) 개선 형상 검토

(가) 유지보수성 향상을 위한 단위 unit 최소화

흡음블럭의 현장부설 및 도상 유지보수시 기존 제품의 경우에는 반드시 장비를 이용해야만 설

치 및 탈착이 가능했다. 개별 중량이 170kg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현장에서 도상 유지보수 진행을

위해 블록을 들어내야 하는 경우, 일일이 장비를 투입해 작업을 진행하기는 시간적, 금전적 소모

가 상당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인력으로 설치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단위 unit를 최소화 하는 것

이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라 판단되어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품 개발을 진행하였다.

(나) 균열보수 확인을 위한 설치형태를 고려한 조합형 디자인 도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도상의 유지보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균열에 대한 점검 및 확인이 선행

되어야 한다. 기존 흡음블럭은 도상을 거의 덮어버리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실제 도상의 균열을

점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상의 균열이 발생/확대되어 가는 양상을 검

토하였다. 도상의 균열은 일반적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도상과 침목이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하여

다른 부위로 확대되어 가는 양상을 가지고 있었다.

Page 35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0 -

그림 3-7-17 도상의 균열 발생 양상

이에 침목과 도상이 맞닿는 부위를 흡음블럭 설치 후에도 육안으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흡음블럭의 디자인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앞서 언급된 흡음블럭의 단위 unit을

최소화 하면서, 각 단위 unit의 간격에 해당하는 부분이 침목과 도상이 맞닿는 부위와 일치하도록

디자인하면, 이전에는 불가능 했던 균열의 발생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리라는 결론을 얻어 균열

부 점검이 가능한 조합형 디자인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다) 블록 하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하부 공명홀 구성

도상의 균열은 그 폭에 따라 유지보수를 진행할지 관찰을 할지 결정하게 된다. 침목 인접부에

서 균열이 발생했다하더라도 확대된 균열의 폭을 확인하는 절차도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에 블록 하부에 있는 균열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실제

로 1단계 개발품을 정읍고가에 시공시, 블록 하부에 고강성 패드를 끼운 상태로 설치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하부 틈을 통해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청되었고, 실제

로 요청대로 시공이 완료되었다.

그림 3-7-18 블록하부 공간 형성 및 내시경 카메라 투입 예시

이 사례에 착안하여, 별도의 고강성 패드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제품 자체에 하부 공명홀을 구성

하는 안이 제안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작가능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일반적인 콘크

리트블록 생산시 쉽지 않은 작업이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고, 하부 홀을 구성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최종안 검토 결과 아래와 같은 최종 개선 형상을 도출하였다.

Page 35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1 -

그림 3-7-19 최종 개선 제품의 도면 및 형상

(2) 개선 형상의 특징

개선 형상은 기존의 여러 부분을 개선하였다. 일단 최종 개선제품은 동일한 1개의 형상 제품으

로 레일 내측과 외측 모두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개 블록의 길이는 여러 침목 간격에 대응

할 수 있도록 610mm를 채택하여, 침목간격이 좁은 구간에는 블록이 서로 맞닿게 설치할 수 있으

며, 침목간격이 넓을 구간에는 블록간 간격을 두어 설치할 수 있다. 실제로 일정한 간격으로 침목

배치가 설계되어 있는 구간에서도 실측시 최대 30~40mm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블록하

부에는 설치시 레일과 수직방향의 홀을 두어 이곳을 통해 내시경카메라를 투입하여 도상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에는 기존 제품과 1차 개선안, 최종 개선제품의 형상을 비교하여 나

타내었다.

표 3-7-15 기존제품과 개선제품 형상 비교

기존제품 1차 개선안 최종 개선제품

(가) 흡음면적 비교

1차 개선안은 흡음면적의 축소가 단점으로 지적되었는데, 최종 개선제품에서는 이를 블록의 소

형화로 해결하였다. 소형 블록을 배치하면서, 블록간의 간격이 침목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였

다. 이를 통해 침목 끝단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확인할 수 있으며, 흡음면적은 블록의 옆면 면적

및 하부홀에 의한 면적이 증가해서 오히려 기존제품보다 증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기존제

품과 최종 개선제품의 전체 흡음면적을 비교해본 결과 약 15%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 중량 비교

제품의 중량은 토공부나 터널부보다 교량부에 적용시 민감한 사안이 될 수 있어 반드시 고려해

야할 요소이다. 기존 제품은 65kg의 측면블록 2장과 170kg의 중앙블록 1장으로 구성되어 0.64m의

길이로 설치되었다. 개선제품은 각기 45kg의 중량을 가진 5개의 블록을 0.61m의 길이로 설치하게

Page 35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2 -

되는데, 이들의 단위m당 중량은 기존제품의 경우 약 470kg이고, 개선제품의 경우 약 370kg이다.

단위m당 약 100kg의 중량 감소가 나타났고, 비율적으로 대략 20%의 중량이 감소하였다. 블록 개

당 단위 중량도 특히 중앙블록의 경우 170kg에서 45kg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블록 설치시 기존

에는 필수적으로 장비를 사용하여야 설치가 가능했던 반면, 개선품의 경우에는 장비를 사용한 설

치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인력을 통한 설치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시험

시공시 인력을 통한 설치를 진행하였다.

(다) 표면형상 변화에 따른 흡음성능 시뮬레이션 비교

철도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기존 및 개선 제품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주변 환경으로 확산되는

지 모델링하고, 두 가지 흡음블럭의 소음저감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ray-tracing

based method를 선택하였으며, 해석결과를 각 옥타브 대역별 음압레벨 맵으로 아래에 나타내었

다. x축과 y축의 단위는 m이며 색깔은 dB(A)이다. 해석결과 두가지 흡음블럭의 형상의 탁월주파수

대역은 유사하게 나타나 형상변화에 따른 흡음성능 손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7-16 두 흡음블럭의 표면형상 변화에 따른 옥타브별 흡음성능 해석

기존

흡음블럭

125 Hz 250 Hz 500 Hz 1 KHz

2 KHz 4 KHz 8 KHz A-weighted

개선

흡음블럭

125 Hz 250 Hz 500 Hz 1 KHz

2 KHz 4 KHz 8 KHz A-weighted

다. 개선 시제품 제작

(1) 생산효율성 증대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한번에 많은 수량의 블록을 생산하거나, 개당 생산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블록의 소형화를 통해 생산 시 기존보다 많은 수량의 블록을

한번에 생산할 수 있지만, 종류가 여러 가지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여러 종류의 제품을 별도의 금

형몰드를 사용해 생산한다면, 필요한 금형몰드의 수가 증가하고, 생산 시 금형몰드를 교체해야 하

며, 생산 후에는 별도의 관리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혹은 한 개의 금형몰드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제작한다면, 몰드배치상 손실되는 공간이 발생하여 1회 생산시의 생산량이 줄어들게 되며, 양생 후

에는 함께 배치된 여러 블록을 각각 나누어 큐빙을 진행해야 한다.

기존 개발품은 중량도 형상도 다른 2가지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개선품은 1가지 형상

의 단일 제품으로 통일하였다. 2가지 타입의 몰드배치로 생산을 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1가지 타

입의 몰드배치는 금형몰드상의 제품 간격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1회 생산시의 생산량 극대

Page 35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3 -

화를 가져왔다. 또한 양생 후 제품을 파레트에 적재하는 공정인 큐빙 과정에서 기존의 2가지 타입

분리 방식은 추가 인력 투입 및 시간 소모가 필수적이었지만, 1가지 타입만의 기본적인 큐빙 작업

은 별도의 인원 투입 없이 자동화설비 운용만으로 가능하다. 결국 기존에 비해 약 1.5배의 생산속

도로 블록을 생산하여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고, 인력 및 시간의 효율성을 높여 생산단가

를 절감시킬 수 있었다.

(2) 현장설치용 개선 시제품 제작

개선된 흡음블럭을 생산하기 위해, 금형몰드를 제작하였다. 개선 시제품의 형상적인 특징이 상부

및 하부에 모두 홀을 가지는데, 실제 콘크리트블록 생산 시에는 이 부분을 구현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내의 생산 기술자와 금형제작업체의 전문가와 함께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개선 시제품의 형상이 최종 결정되었으며, 이후

의 실제 제작까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었다. 아래의 사진이 블록 상부의 형상제작을 위한 상부

금형이며, 하부의 형상구현을 위해서는 플랫디바이스라는 설비를 이용하여 별개의 공정방식으로

상부와 하부의 형상을 구현하였다.

그림 3-7-20 개선품의 상부 금형

개선 시제품은 한번 생산시 3개의 블록이 생산되도록 금형을 설계하였다. 이는 상하부 형상 구

현 및 생산의 효율성, 적재 및 운반의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그림 3-7-21 개선품의 생산 및 개선품

Page 35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4 -

위의 사진에서 개선품이 생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홀을 가지는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치를 위해 양산된 제품이 적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라. 개선 시제품 성능 검토

제작된 시제품에 대한 흡음률 및 내구성능 관련 시험(압축강도, 휨강도,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을

진행하여, 선정된 배합비가 한국철도표준규격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1) 내구성능 시험 결과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TR 0015-15에 의거 진행)

개발되는 흡음블럭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적정한 내구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한국철도표준규격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강도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모두 기준치를 만족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개발품 설치후 겨울철 동결융해에 의한 파손 가능성에 대해 자문회의 및 평가회의에서 지

속적으로 우려를 받아왔다. 이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을 실시하였

으며, 이 시험결과도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더불어 현재까지 시험부설과 납품을 통해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에 설치된 흡음블럭에서 동결융해에 의한 파손 발생은 전혀 보고된 바 없다.

시 험 항 목시험규격

성능기준 시험결과

강 도

압축KS F2405

10MPa 만족

휨KS F2408

1.5MPa 만족

동결융해

저항성

내구성지수(%)

KS F2456

60% 이상 만족

중량변화율(%)

1.5% 이하 만족

균열 및 외관

이상없음 만족

(a) 내구성 시험기준 (b) 압축⦁휨⦁인장강도 (c) 동결융해 저항성

그림 3-7-22 내구성능 시험성적서

(2) 흠음성능 시험 결과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TR 0015-15에 의거 진행)

개발되는 흡음블럭은 현장에 부설되어 적정한 소음저감성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 소음저감

성능은 실제 현장에 부설한 후 열차가 주행할 때만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현장 소음저감성

능 측정 이전에 제품 개발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소음저감 성능 측정으로 잔향실 흡음률 측정

시험이 있으며, 이 시험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도록 한국철도표준규격에 정하고 있다. 이에 제작된

시제품을 잔향실 실험실 내 바닥에 배열하고 흡음률 측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Page 35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5 -

그림 3-7-23 잔향실 흡음률 시험 모습

그림 3-7-24 잔향실 흡음률 시험성적서(NRC 0.90)

잔향실 흡음률 측정 시험의 흡음률은 NRC 0.90으로 나타나 흡음률도 철도표준규격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단계 개발품의 특성인 800Hz 대역 이상에서 0.9이상의 흡음률을 가지는 흡

음특성도 동일하게 확보하였다.

4. 개선 시제품 현장부설

가. 현장부설지 선정

(1) 개요

현장부설을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장부설 후보지는 아래의 조건

충족여부를 기준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호남 Testbed 구간 내에서 1차적 검토

토공부, 터널부가 약 400m 이상 동일하게 유지되는 곳

토공부의 경우, 해당 구간에 방음벽이 없고, 암소음의 발생이 적은 곳

자재 운반 및 선로 반입을 위한 접근이 용이한 곳

소음저감성능 측정 조건 충족 여부

Page 35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6 -

(2) 토공부 중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및 현장답사

호남고속철도 도면 및 위성사진 검토를 통해 개선품의 현장부설을 위한 토공부 신규 site를 검토

하였다. 검토결과 호남고속철도 STA.104K 부근, 107K 부근, 116K 부근의 총 3곳이 후보지로 나타

났다.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을 대상으로 현장답사 결과, 토공구간 후보지 중 가장 적합한 곳

은 정읍시 신태인읍(STA. 116K부근)이지만, 자재 운반/적재/반입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3-7-17 토공부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결과

 구분Testbed구간여부

연장400m

방음벽암소음발생

자재운반/적재용이성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성

소음 측정 조건

김제시 순동(STA.104K)

O O O X X O

김제시 황산동(STA.107K)

O O X X X X

정읍시 신태인읍(STA.116K부근)

O O O O X X O

(가) STA.104K부근. 전북 김제시 순동

그림 3-7-25 STA.104 부근 후보지 전경

해당구간은 김제터널~두월고가 사이 구간으로 400m이상의 토공부이며, 인근 거주지와 거리가

있어 소음관련 민원 예상지는 아니다. 김제터널과 가깝고 인근에 도로가 있어 일부 암소음의 영

향이 있을 수 있다.

(나) STA.107K부근. 전북 김제시 황산동

그림 3-7-26 STA.107K 부근 후보지 전경

해당구간은 두월고가 및 강정고가 사이 구간으로 상/하선 모두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어, 소음저

감성능 검증을 위한 흡음블럭 설치 후보지로 타당하지 않음.

Page 35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7 -

(다) STA.116K부근.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그림 3-7-27 STA.116K 부근 후보지 전경

해당구간은 유정교와 연정교 사이 구간으로 방음벽이 없는 토공구간이 400m이상 구축되어 있

음. 인근 거주지와는 거리가 있으나, 주변에 축사가 있어 민원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간임.

(3) 터널부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현장답사 실시

터널구간에 대해서는 소음저감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연장 400m를 넘는 구간을

Testbed 구간 내에서는 확보하지 못했으며, 회룡터널의 경우 560m로 400m는 넘으나, 진출입부의

미기압파에 의한 간섭으로 소음측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부득이 Testbed

구간 외의 터널을 검토하였으며, 설치 및 미설치구간에 대해 비교 검증이 가능하고, 설치시의 적

재공간 및 자재반입등의 상황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표 3-7-18 터널부 현장부설 후보지 검토 결과

구분Testbed구간여부

연장400m

자재운반/적재용이성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성

소음 측정 조건

회룡터널(전북 정읍시 정우면)

시점O

O(560m)

실내측정

종점 X X우산터널

(전북 정읍시 정우면)시점

OX

(310m)X X

실내측정종점 X

달성터널(전남 장성군 북이면)

시점X

O(1360m)

O O실내측정

종점 - -죽청터널

(전남 장성군 북이/북일면)시점

XO

(1360m) O

실내측정종점 O

모암터널(전남 장성군 북일/서삼면)

시점X

O(2580m)

X실내측정

종점 O송현터널

(전남 장성군 서삼면)시점

XO

(881m)X X

실내측정종점 - -

와룡2터널(전남 장성군 황룡/남면)

시점X

O(2470m)

O O실내측정

종점 O

(가) 달성터널 시점부 (전남 장성군 북이면 달성리 330-2)

호남Testbed 구간여부 - Testbed 구간 아님

터널 연장 - 1360m

자재운반/적재 용이성

- 진입로가 일반 도로에서 약 30m로 짧아 자재 운반 용이

- 자재 적재공간이 약 430정도로 자재 적재 용이

- 주간 자재 적재를 위해, 출입구 개방에 대한 승인 필요.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성

- 선로 변 오르막 경사 구조물이 구축되어 있어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

기타 사항

Page 35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8 -

- 인근에 주거지가 없어, 야간 공사 시 민원이 없을것으로 예상됨.

그림 3-7-28 달성터널 시점부 현장 모습

(나) 와룡2터널 시점부 (전남 장성군 황룡면 와룡리 40-18)

호남Testbed 구간여부 - Testbed 구간 아님

터널 연장 - 2470m

자재운반/적재 용이성

- 진입로가 일반 도로에서 약 80m로 자재 운반 용이

- 진입로가 오르막인 것이 단점.

- 자재 적재공간이 약 350로 자재 적재 용이

- 진입로 변 철도 교량 하부에 약 300의 공터가 있어, 출입문 사용 승인이 불가할 경우

이 곳을 자재 적재 장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성

- 선로 변 오르막 경사 구조물이 구축되어 있어 선로내 자재 반입 용이

기타 사항

- 인근에 주거지가 없어, 야간 공사 시 민원이 없을것으로 예상됨.

그림 3-7-29 와룡터널 시점부 현장 모습

Page 35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39 -

(4) 최종 후보지 선정

상기의 토공부 및 터널부에 대한 현장조사 및 검토를 진행하면서, 특히 1단계 개발품이 토공부

에 시공되어 외부소음의 저감성능을 검증한 내용이 있어, 개선품은 터널부에 시공하여 터널내에

서열차 실내소음 저감성능을 검증하는 것이 실내외 민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적용성 확대에 적

절하다는 자문의견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자문의견 및 여러 상황에 대한 검토결과 현장 부설은 터널부로 하는 것이 상용화를 위해

타당하다 판단하였으며, 터널 후보지에 대한 여러 조건에 대한 검토 결과 최적 후보지로 달성터

널 내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부설 구간은 오기 STA. 149K700~150K100 지점의 T1, T2를 모두 포

함하는 단선기준 800m 구간이다.

현장부설을 위한 현장부설 구간 승인을 위해 2017년 6월부터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진행하였다.

관련 협의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주관하에 진행되었다.

2017년 11월에는 과제 수행 관련 연구진행 사항 공유와 흡음블럭 개선품의 호남고속철도 현장

시공에 따른 안전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조치를 진행하기위해 한국철도

공사 본사의 각 부처 담당자와 협의가 진행되었다. 검토회의를 위해 도상흡음블럭 설치를 위한

작업의 개요, 시공방법 및 세부계획, 제품의 내구적 안전성 및 현장 설치 안전성 확인내용, 위험

도 분석 및 안전대책에 대해 자료 제시 및 발표를 진행하였다.

표 3-7-19 철도공사 협의시 검토의견 조치사항

검토 의견 조치사항

- 열차 차내소음에는 저주파가 지배

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로 알고 있는

데, 실내소음저감에 효과가 있을지?

- HEMU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2500Hz에서 나타나며, KTX-호남은 88~3150Hz에서 피크주파수가 나타남.- 흡음블럭의 주파수별 흡음계수 200Hz 이상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냄.

- 도상에 설치하는 제품으로 도상점

검시 들어내면서 점검이 불가능한

데, 설치 후 도상 점검 가능여부?

- 도상 균열 양상을 파악하여, 주로 균열이 시작되는 부분이 오픈되도록 하였으며, 제품 하부에 관통홀을 두어, 이 홀내부로 내시경카메라를 삽입하여 균열 양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음.

- 공사시 트로리 적재량을 감안하여

진행할 것

- 공사시 자재는 파렛트 단위로 트로리에 적재하여, 백호(0.3)에 연결하여 이동하고, 백호의 견인력 및 트로리 적재톤수를 감안하여 운반

- 고속 운행구간에서 설치제품의 비

산 우려는 없는지?

- 고속열차 운행에 의한 열차하부의 풍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 풍압에 따른 양력을 검토한 결과, 제품의 자중만으로도 양력을 이겨낼 수 있음.- 또한 열차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제품의 점진적 이동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접착재 도포에 의해서도 일정부분 양력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줌.

나. 작업계획 및 부설관련 사항 검토

(1) 개요

한국철도공사 협의 결과에 의거 흡음블럭 현장부설을 위한 안전성검증을 진행하였다. 안전성 검

증은 철도공사에서 제공된 양식에 의거, 안전관리계획서, 작업계획서, 업무처리절차 및 이해관계도,

동종유사업무 사고발생 현황 등을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Page 36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0 -

(2) 작업계획 수립

흡음블럭 설치 작업의 수행 및 안전관리, 관계기관 협의를 위해 작업 전 작업계획을 수립하였다.

(가) 작업일시 및 위치

① 일시 : 2018년 1월 2일 ∼ 2018년 2월 28일

② 위치 : 전남 장성군 북이면 달성리 일대 [오기 STA 149k∼150k (L=400m, T1+T2=800m)]

흡음블럭 시공 위치 [ 149k700 ~ 150k100 ]

▷ 흡음블럭 L=400.00m(터널내부 400.00m)

그림 3-7-30 흡음블럭 시공위치

(나) 흡음블럭 설치 순서 (야간 전차선차단 작업)

① 자재 하차 - 설치 인근 지역에 지게차로 자재 하차

② 자재 상차 - 지게차를 이용하여 트로리에 자재 상차

③ 자재 운반 - 백호(03, 타이어) 이용하여 설치지점으로 이동

④ 하부 접착패드 부착 - 제품 이동 방지를 위한 접착패드 부착

⑤ 제품(흡음블럭) 설치 - 백호(03) 및 인력으로 흡음블럭 설치

⑥ 설치완료

(다) 세부 작업 일정

작업 일정은 승인 시간대인 00:50부터 04:30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하고, 작업을 위해 전차선 단

전 및 선로사용 중지를 요청하였다.

표 3-7-20 세부 작업 일정

구분 명령 구분 위 치 작업내용 비 고

2018/1/3 ~

2018/1/4

(00:50 ~ 04:30)

전차선 단전

선로 사용 중지

149k700~

150k100

(L=400.00M)

- 콘크리트 도상 균열 보수 터널부

2018/1/2 ~

2018/2/28

(00:50 ~ 04:30)

전차선 단전

선로 사용 중지

149k700~

150k100

(L=400.00M)

- 흡음블럭 운반- 달성터널 내부 흡음블럭 설치- 사용 장비 : 지게차, 트로리, 설치용 지그, 03포크레인(타이어+궤도바퀴)

터널부

Page 36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1 -

(라) 시공 일정 계획 (작업기간 : 균열 보수 2일 + 흡음블럭 설치 28일 소요)

전체적인 시공 일정은 작업시작 시점에 흡음블럭 설치구간의 미세균열 도상에 대해 표면처리를

통한 균열보수를 진행하고, 이 작업이 완료된 이후 약 28일 동안 흡음블럭을 설치하는 것으로 일

정 계획을 수립하였다.

표 3-7-21 시공 일정 계획

상행선 구간 흡음블럭 설치 하행선 구간 흡음블럭 설치

일자 설치거리 (m) 설치수량 (ea) 일자 설치거리 (m) 설치수량 (ea)

1일차 10 80 15일차 30 240

2일차 30 240 16일차 30 240

3일차 30 240 17일차 30 240

≀ ≀ ≀ ≀ ≀ ≀13일차 30 240 27일차 30 240

14일차 30 240 28일차 10 80

합계 400 m 3,200 ea 합계 400 m 3,200 ea

(마) 일일세부작업 계획표

일일 작업 계획은 장비를 이용한 자재 이동을 2회 실시하는 동안 인력을 이용해 설치작업을 진

행하는 것을 골자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표 3-7-22 일일세부작업 계획표

공종투입자재

단위 수량소요시간

열차 운행 중단 시간 중 작업 (00:30~04:30) 비고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10 20 30 40 50 60 10 20 30 40 50 60 10 20 30 40 50 60 10 20 30 40 50 60

진입부설치

진입부받침 설치

식 1 10분

장비진입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20분

자재 상차-1

흡음블럭 10pallet

(4ea×3단)식 1 20분

장비 이동-1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10분

자재 하차-1

흡음블럭 10pallet

(4ea×3단)식 1 10분

장비 이동-1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10분

자재 상차-2

흡음블럭 10pallet

(4ea×3단)식 1 20분

장비 이동-2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10분

자재 하차-2

흡음블럭 10pallet

(4ea×3단)식 1 10분

장비 이동-2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10분

장비철수

굴삭기+철재트롤리

식 1 20분

진입부 철거

진입부받침 철거

식 1 10분

설치 식 1 140분

뒷정리 식 1 20분

Page 36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2 -

(3) 안전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서는 일반사항과 안전관리 세부계획내에 열차운행선 인접공사 안전관리, 운행선 인

접공사 시 사전 안전조치사항, 작업단계별 안전관리방안, 안전관리 교육, 작업 중 이례사항 발생시

조치, 취약요인별 안전관리 요령, 주요공종별 안전관리가 구성되어 있고, 비상연락 체계로 철도사

고 등의 보고계통도와 현장 안전관리 체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대한 계획 수립을 완료하

여,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4) 작업 특수성을 고려한 안전성 검토

흡음블럭을 터널내에 부설하는 경우, 토공부에서 검토한 내용과 달리, 열차운행에 의한 압축파가

발생하여, 토공부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교통대에 외부

자문을 의뢰하여 호남고속철도 달성터널내 양력에 의한 흡음블럭의 안전성 검토를 진행하였다.

(가) 검토목적

호남고속철도 달성터널에 개발된 흡음블럭을 설치하여 소음저감성능을 측정함에 있어, 터널 구

간에 설치된 흡음블럭이 열차운행시 발생하는 양력에 대해 안전성의 확보 여부를 검증하고자 함.

(나) 검토내용

① 흡음블럭 규격 및 시공도 검토

- 610*360의 제품을 레일 중앙 및 양쪽 측면에 동일한 제품으로 설치

② 양력에 대한 검토

고속열차가 터널을 통과할 때 부설 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해서 계산하

였다. 이를 위해 KTX-산천 및 터널을 모델링 하였다.

그림 3-7-31 KTX-산천 및 터널 모델링

전산유체해석을 진행하여 고속열차가 430 km/h로 운행할 때 압력 측정 위치 별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대기압을 기준으로 한 상대압력으로 나타내었다.

Time [sec]

Pressure[pascal]

0 5 10 15 20-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500

1000

1500

2000

P01P02P03P04P05P06P07P08P09P10P11

최대 정압

최대 부압

그림 3-7-32 압력측정 위치별 시간에 따른 상대압력변화

Page 36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3 -

표 3-7-23 압력측정 위치별 최대 압력값

측정 지점 최대 정압 (Pa) 최대 부압 (Pa)

P01 1603.0 -2659.0

P02 1542.1 -2719.1

P03 1440.2 -2801.8

P04 1351.4 -2931.3

P05 1350.8 -3051.4

P06 1350.3 -3067.4

P07 1398.7 -3156.3

P08 1432.6 -3260.7

P09 1432.2 -3266.7

P10 1433.0 -3056.3

P11 1488.7 -3144.1

전체최대 1603.0 -3266.7

표에 나타난 각 측정 지점에서의 최대 정압 및 최대 부압을 살펴보면, 측정지점 P01에서 최대

정압이 1603.0Pa로 최대가 되며, 최대 부압은 측정지점 P09에서 최대 부압이 –3266.7Pa로 나타났

다.

위의 양력 검토 내용에서와 같이 부압과 관련한 흡음블럭의 설치조건에서 흡음블럭의 하면이

모두 부압에 노출된 조건은 아니나 가장 보수적인 조건에서 흡음블럭의 하부면 전체에 부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산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압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보았을 때 최대 (위 그래프에서) 3300 Pa을 넘지 않는다. 이 때

최대가진력은 다음 식(1)에 의해 아래 표와 같다.

열차의 동압이 100% 흡음 블록으로 전달될 때 최대 가진력이 발생한다. "최대 가진력"은 동압

과 장애물이나 벽면의 면적(A)의 곱으로 나타난다.

F=Pd A (1)

표 3-7-24 달성터널내 열차운행시 흡음블럭에 가해지는 최대가진력

구 분 흡음블럭 비고

중량(kg) 45

면적 () 0.17 흡음블럭의 단위 면적

최대가진력(N) 561 위의 식(1)에 의해 도출된 값

접착면적() 0.01 흡음블럭 하부 접착재의 접착면적

접착력(N) 10,993 접착재의 접착력 1.1MPa를 N으로 환산

자 중(N) 441

최대가진력/

(접착력+자중)(%)4.9

×

Page 36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4 -

③ 접착재의 부착강도 시험

접착재의 접착력 검증을 위해 접착재의 부착강도를 시험의뢰 하였다. 시험검사방법은 KS F

4716으로 진행하였으며, 현장요건에 맞추어 부착 후 1시간 및 24시간 후의 부착력을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및 시험성적서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해당 접착력은 위의 최대가진력 산출시 반영하였

다.

표 3-7-25 접착재의 부착강도 시험결과

접착재의 부착강도 시험결과

연번시험검사

종목시험검사

방법시험검사

결과

1부착강도(1시간)

KS F 4716

1.1 MPa

2부착강도(24시간)

39.4 MPa

(다) 검토결과

위와 같이 자중 및 접착제의 접착력에 대해 양력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은 5% 정도로 미미하

여 흡음블럭의 자중과 접착력을 고려할 때 양력 및 풍압에 의한 변동은 예상되지 않는다.

다. 현장부설

(1) 개요

(가) 현장부설 일시

현장부설은 2018.01.03. ~ 01.04.에 도상 균열보수 작업을 완료하고, 2018.01.05.~02.02.까지 진행

되었다. 설치 작업은 열차운행이 끝난 후 야간의 차단시간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00:50~04:30

까지 승인을 얻어 진행하였다.

(나) 현장부설 위치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달성리의 호남고속철도 STA.149K700~150K100구간의 복선 400m에 대해

계획되었던 바와 같이 선로 중앙 및 선로 외측에 흡음블럭을 설치하였다.

(다) 자재적재 위치

부설용 자재는 그동안의 현장조사 및 협조 요청을 통해 확보된 STA.149K100의 출입구에 위치한

재난방재구역을 임시로 사용하였다.

Page 36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5 -

그림 3-7-33 설치용 자재 적재 모습

(라) 자재 및 장비 출입위치

선로 내부로의 자재 및 장비 출입을 위한 반입구 역시 그동안의 현장조사 및 협조 요청을 통해

확보된 STA.149K100의 25번 출입구에 해당하는 재난방재구역을 이용하였다.

그림 3-7-34 자재 및 장비 출입구

(마) 투입 자재량

흡음블럭 자재의 투입은 계획상 6400EA로 산출하였으나, 실제 도상의 경우, 신호시설물의 설치

로 인해, 흡음블럭을 설치할 수 없는 구간이 존재했다. 설치를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실제 사용된

흡음블럭은 6180EA이었다.

(바) 투입 장비

흡음블럭 설치를 위해 투입된 장비는 크게 운반용 장비와 설치용 장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

재의 운반을 위해 지게차와 궤도용 굴삭기, 트로이가 사용되었으며, 흡음블럭의 설치를 위해 궤

도용 굴삭기와 설치용 지그의 사용을 검토했었지만, 실제 작업시에는 설치속도를 고려해 인력으

로 진행하였다.

그림 3-7-35 설치공사 투입 장비

Page 36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6 -

(2) 현장 부설 작업

(가) 설치구간 지장개소 등에 대한 점검

현장부설 예정인 달성터널 구간에 대해 부설 적합성을 최종 확인하고, 혹시 있을지 모르는 사

전 작업의 필요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점검을 진행하였다.

그림 3-7-36 달성터널 합동점검 모습

점검은 T1, T2의 침목간격, 레일부터 도상끝단까지의 거리, 신호 시설물 등 설치를 위한 도상조

건을 확인하여 흡음블럭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나) 선로내 수송

트로이 위에 상차된 자재는 트로이에 연결된 선로용 굴삭기를 이용해 상차지점에서 설치지점으

로 이동한다. 이때 1회 이동량은 트로이에 7pallet씩 설치지점으로 이동하였다. 일일 자재이동은 3

회 반복하여 총 20~21pallet를 수송하였다.

그림 3-7-37 선로내 자재 수송

(다) 접착제 도포

흡음블럭 설치를 위한 한국철도공사 정읍사무소와 협의시 흡음블럭을 설치하면 영구부착물로

고려되어 이후 블록의 움직임이 없도록 부착하라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블록 1개당 4곳에 접착

재를 도포하였다. 접착재는 별도의 인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 전 도포를 진행하였

다.

Page 36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7 -

그림 3-7-38 접착제 도포

(라) 제품 설치

흡음블럭 제품 설치시에는 인력을 이용하였다. 설치작업의 진행은 궤도용 굴삭기가 설치지점으

로 자재를 이동하면 트로리 위에서 2명이 블록을 내려주고, 아래에서 4명이 2명씩 2개조로 블록

을 설치하였다. 이후 별도의 1명이 설치 후 미세조정을 진행하여 설치 후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림 3-7-39 흡음블럭 제품 설치

흡음블럭의 설치는 22일간의 공사 작업으로 완료되었다. 완료 후 전경은 아래의 사진에 나타내

었다.

그림 3-7-40 흡음블럭 설치 완료 전경

Page 36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8 -

흡음블럭은 선로에 시공되어 있는 각각의 침목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위치가 결정되었다. 블록

은 T1, T2 각각 5줄씩 설치가 되었는데, 4줄의 제품은 침목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으며, 레일

안쪽의 제일 중앙 1줄은 침목위치에 설치하였다.

그림 3-7-41 흡음블럭 상세 설치 형태

5. 소음저감성능 평가

가. 자문회의

흡음블럭처럼 외부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열차운행시 실내소음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터널내에 설치된 흡음블럭의 소음저

감 성능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자문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후 진행된 소음측정 및 분석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표 3-7-26 소음측정 관련 자문회의

회의사진 열차실내 소음 측정의 문제점 신뢰성 있는 측정을 위한 방안

- 제품 설치 전/후 측정으로는 열차속도

및 차량조건등을 맞추기 매우 어려움.

- 개활지에 비해 터널 내부는 본 열차 및

전 열차 소음의 잔향으로 명확한 성능 측

정이 어려움.

- KTX의 경우 차량길이가 제품 설치길이

와 비슷해서 차량 일부가 제품 범위 밖에

있을때의 소음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음.

- 소음측정 지점의 흡음블럭 영

향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흡음

블럭의 영향지점을 고려한 몇가

지 안에 대한 분석이 필요.

Page 36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49 -

그림 3-7-42 자문 위원 의견서

나. 실내 소음측정

(1) 개요

호남고속철도 달성터널 내 도상에 본 연구과제를 통해 개선된 흡음블럭을 설치하고, 이 개발품

에 의해 열차운행시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량을 열차실내에서 측정하여, 흡음블럭 부설에 따른 고

속철도 차량 내부의 소음저감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음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3-7-27 달성터널 상세

측정터널 길이 비고

달성터널

[전남 장성군

북이면 달성리]

1360m

[STA.149K200~

150K560]

- 흡음 블록 부설 터널

- 익산에서 광주방향으로 500m진입 후

복선 400m 흡음 블록 설치

고속열차 실내소음 측정은 “철도차량기술기준(KRTS-VE-Part31)의 5.4.7 소음시험” 및 “ISO

3381"의 기준에 따라 진행하였다. 흡음블럭 개선품의 터널내 시공에 따른 열차실내 소음저감성능

검증을 위해, 설치구간/미설치구간의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성능검증을 진행하였다. 각 차량별 실

내 소음 측정 내용 및 결과를 나타내었다.

(2) HEMU 운행시의 소음측정

흡음블럭 개선품의 터널 내 설치 후 소음저감성능검증을 위해, 흡음블럭 설치가 완료된 후인

2018년 3월 18일과 3월 25일에 HEMU 시험 운행시 측정을 진행하였다.

(가) 측정방법 상세

-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는 객실의 정중앙 및 객실의 양쪽 끝에 설치

- 마이크로폰의 높이는 승객이 좌석에 착석했을 때의 귀의 높이(120cm) 및 사람이 일어서 있을

때의 높이(160cm)로 설치(ISO 3381 적용)

- 측정은 객실의 양쪽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측정 (시험열차의 조건으로 개폐불가)

- 공차상태에서 측정을 실시

- 시간이력 그래프를 참고하여 흡음블럭의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구간을 기준으로 총 300m

Page 37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0 -

구간을 선정하여 계산

- 측정 오류(overload), 비정상운행, 배경소음 문제가 있었던 구간은 계산에서 제외

- 측정 장비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3-7-28 HEMU 실내소음 측정 장비 목록

장비 사양 개수 비고

microphone B&K 4189 1 음압 측정

pre-amplifier B&K 2671 1 음압 증폭

recoder LMS(S/N 52133101) 1 데이터 계측

laptop hp 8570p 1 데이터 저장 및 연산

calibrator B&K 4231 1 마이크로폰 교정 (94dB,1000Hz )

삼각대 1 마이크로폰 설치

BNC 커넥터 1 데이터 계측

BNC 케이블 1 데이터 계측

그림 3-7-43 HEMU 열차내 마이크로폰 설치사진

(나) 측정결과

표 3-7-29 HEMU 운행시 열차실내소음 저감량

구분소음도 [dB(A)]

미설치(전구간) 미설치(후구간) 설치구간 저감량

1회차

(246km/h)

객실 끝(160) 76.4 76.6 73.4 3.1 객실중간(160) 75.8 75.6 72.5 3.2 객실중앙(120) 74.9 74.9 71.8 3.1

2회차

(242km/h)

객실 끝(160) 76.6 76.4 73.2 3.3 객실중간(160) 75.6 75.3 72.7 2.7 객실중앙(120) 74.5 74.6 71.7 2.8

3회차

(260km/h)

객실 끝(160) 77.8 77.6 74.6 3.1 객실중간(160) 77.6 77.3 74.5 2.9 객실중앙(120) 76.4 76.2 73.6 2.7

4회차

(255km/h)

객실 끝(160) 77.4 77.5 74.4 3.1 객실중간(160) 77.0 77.0 74.5 2.5 객실중앙(120) 76.1 75.9 73.2 2.8

1회차

(175km/h)

객실 끝(160) 70.3 70.7 66.9 3.6 객실중간(160) 71.4 71.6 68.4 3.1 객실중앙(120) 69.6 69.9 65.8 4.0

2회차

(167km/h)

객실 끝(160) 71.6 71.2 67.8 3.6 객실중간(160) 70.3 69.8 66.4 3.6 객실중앙(120) 69.5 69.1 65.5 3.8

평균 소음저감량 3.2

Page 37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1 -

흡음블럭 설치 후 HEMU가 흡음블럭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 운행시 열차 실내소음을 측정하여

각 위치에서의 소음도를 비교하였다. 측정 값 중 객실 한쪽 끝의 측정값은 다음 차량에서 발생되

는 소음에 의해 오염되어 계산에서 제외 하였다. 측정결과 HEMU 운행시 흡음블럭 설치에 의한

열차실내소음의 평균소음저감량은 3.2dB(A)로 나타났다.

(a) 상행 1회차 (b) 상행 2회차

(c) 상행 3회차 (d) 상행 4회차

(e) 하행 1회차 (f) 하행 2회차

그림 3-7-44 HEMU 운행시 측정 회차별 열차실내소음의 시간-음압 그래프

측정된 소음 측정값을 시간-음압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그래프에서 가장 낮은 소음도를

나타내는 구간은 개활지이며, 제일 높은 소음도를 나타내는 구간은 터널내의 흡음블럭이 설치되

지 않은 구간이다. 또한 터널 구간 중앙에서 소음도가 낮아지는 구간이 개발품인 흡음블럭이 설

치된 구간이다. 개활지에 비해 터널진입시 소음도가 높아지는 것과 흡음블럭 설치에 의해 다시

낮아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구분해 확인할 수 있다.

Page 37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2 -

<상행 객실 끝(160)> <하행 객실 끝(160)>

<상행 객실 중앙(160)> <하행 객실 중앙(160)>

<상행 객실 중앙(120)> <하행 객실 중앙(120)>

그림 3-7-45 HEMU 운행시 마이크 위치별 열차실내소음의 1/3-octave band 그래프

측정된 소음을 마이크 위치별 1/3-octave band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래프를 통해 HEMU 운

행시 열차실내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Hz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흡음블럭이 이 피크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KTX-산천 운행시의 소음측정

KTX-산천에 대한 측정은 2018년 4월 12일에 진행하였다.

(가) 측정방법 상세

-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는 객실의 정중앙에 승객이 좌석에 착석했을 때의 귀의 높이(120cm)

- 측정은 영업차량에서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협조를 얻어 진행

- 측정시 객실 양쪽 출입문은 닫혀있는 상태로 진행

- 시간이력 그래프를 참고하여 흡음블럭의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구간을 기준으로 총 300m

구간을 선정하여 계산

- 측정 오류(overload), 비정상운행, 배경소음 문제가 있었던 구간은 계산에서 제외

- 측정장비는 Larson & Davis 社의 Model 831(형식승인 번호 : NESM-113)을 이용하였다.

Page 37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3 -

그림 3-7-46 KTX-산천 열차내 마이크로폰 설치사진

(나) 측정결과

표 3-7-30 KTX-산천 운행시 열차실내소음 저감량

구분소음도 [dB(A)]

비고미설치구간 설치구간 저감량

1회차 (258km/h) 객실중앙(120) 72.9 68.7 4.2 하행

2회차 (263km/h) 객실중앙(120) 73 69 4 하행

3회차 (281km/h) 객실중앙(120) 76 71.3 4.7 상행

4회차 (283km/h) 객실중앙(120) 76.1 71.1 5 상행

5회차 (256km/h) 객실중앙(120) 74.9 70.4 4.4 하행

평균 소음저감량 4.5

흡음블럭 설치 후 KTX-산천이 흡음블럭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 운행시 열차 실내소음을 측정

하여 각 위치에서의 소음도를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KTX-산천 운행시 흡음블럭 설치에 의한 열차

실내소음의 평균소음저감량은 4.5dB(A)로 나타났다.

<상행 객실 중앙(120)>

<하행 객실 중앙(120)>

그림 3-7-47 KTX-산천 운행시 열차실내소음의 1/3-octave band 그래프

Page 37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4 -

KTX-산천 운행시 측정된 소음을 1/3-octave band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래프를 통해 KTX-산

천의 경우도 HEMU 운행시와 같이 열차실내 소음의 피크주파수는 800Hz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한 흡음블럭이 이 피크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소음저감성능 검증 결과

흡음블럭을 호남고속철도 터널구간에 설치하여, 열차실내소음의 저감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

과 HEMU 운행시 3.2dB(A), KTX-산천 운행시 4.5dB(A)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먼저 측정된

HEMU 측정결과에서 비교적 고속인 상행운행에 비해, 저속인 하행운행에서 더 높은 소음저감효과

를 나타내었지만, KTX-산천 측정결과에서는 고속인 상행운행에서 더 높은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

었다. 이를통해 운행속도 보다는 측정시점의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저감효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1/3-octave band 그래프에서는 열차 실내소음의 지배주파수가 공통적으로 800Hz에서 발생하였

고, 흡음블럭이 해당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있었다.

현재 코레일의 객실 내부 실내소음기준은 개활지에서 66dB 이하, 터널에서 71dB 이하로 규정하

고 있지만, 실제 측정 결과 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완벽하진 않지만, 흡음블럭 설치시 상당부분

의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1단계 연구에서는 열차 외부에서 3dB(A)이상의 소음저감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철

도 도상에 흡음블럭 설치하면, 열차 내/외부에서 모두 3dB(A)이상의 소음저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

다. 이 소음저감효과는 향후 흡음블럭의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개선 목표대비 개선 달성도

가. 소음 저감 성능

소음저감 성능 관련 개선 목표는 기존 제품과 동일한 기준으로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었

다. 기존의 제품이 실외소음을 3 dB(A)이상 저감하고, 최대 흡음주파수 영역이 800~3150Hz에서 나

타나는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개선 제품은 기존 제품과 달리 터널 구간에 설치되어 열차실

내 소음을 저감하는 용도로 설치되었지만, 목표한 바와 같이 실내소음을 3 dB(A)이상 저감하고,

최대 흡음주파수 영역도 800~3150Hz로 동등의 소음저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나. 제품 중량

제품의 중량은 교량부에 적용 시 민감한 사안이 될 수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할 요소이다. 기존

제품은 65kg의 측면블록 2장과 170kg의 중앙블록 1장으로 구성되어 0.64m의 길이로 설치되었다.

개선제품은 각기 45kg의 중량을 가진 5개의 블록을 0.61m의 길이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의 단

위m당 중량은 기존제품의 경우 약 470kg이고, 개선제품의 경우 약 370kg이다. 단위m당 약 100kg

의 중량 감소가 나타났고, 비율적으로 대략 20%의 경량화를 달성하였다.

다. 제품 가격

흡음블럭의 설치비용은 제품가격과 시공비용으로 나누어진다. 이중 시공비는 철도 공사의 특성상

설치 위치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간단히 철도가 개통전이라면 하루 종일 작업을 진

Page 37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5 -

행해서 시공기간을 줄여 시공비를 크게 낮출 수 있지만, 개통 후라면 야간 3시간 정도만 작업이

가능해 상대적으로 시공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기존 납품시의 시공비 및 제

품단가를 기준으로 하여 개발품의 단가절감 정도를 검토하였다. 제품단가는 외부 전문 원가계산기

관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단가가 21.9% 감소하였고, 시공비를 포함하면 16.2%의

단가 절감을 달성 하였다.

그림 3-7-48 흡음블럭 원가조사연구보고서

라. 유지보수성

기존 흡음블럭 설치 후 도상에 대한 유지보수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 하고자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특별한 장비의 투입이 없이 인력을 통한 제품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였

으며, 블록 하부에는 레일과 수직방향의 홀을 두어 이곳을 통해 내시경카메라를 투입하여 도상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블록 하부의 도상 점검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표 3-7-31 흡음블럭의 개선모델 달성도

개선대상

검토항목기존 제품 개선 모델 개선 달성도

소음저감성능

-3dB(A)이상 저감 (최대 흡음주파수 800~3150Hz)

-3dB(A)이상 저감성능 유지 (최대 흡음주파수 800~3150Hz 유지)

* HEMU 3.2dB(A), KTX-산천 4.5dB(A)(실험실 평가결과 최대 흡음주파수 800~3150Hz 유지 확인)

제품 중량 -1m당 468kg-1m당 397kg (15% 경량화)

*1m당 370kg (20% 경량화 달성)

제품 가격

-납품가 기준제품단가 256,000원/m시공비 90,000원/m

합계 346,000원/m

-294,000원/m 이하 (15% 단가 절감)

*원가분석 결과 16% 단가절감

제품단가 200,000원/m시공비 90,000원/m

합계 290,000원/m

유지보수성-제품 설치 후 도상 점검불가로 유지보수 어려움

-도상 점검이 가능하도록 개선

* 설치후 블록 하부로 내시경카메라를 투입하여 도상의 균열을 확인 가능

Page 37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6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1절. 목표 달성도

1. 성과점검기준에 따른 목표달성도

본 연구의 협약시 제출된 성과점검기준표에는 성과목표별 성과지표와 목표치가 설정되어있

다. 성과점검기준표에 따라 성과지표별 연구성과는 성과목표에 100% 이상 달성되었으며, 년차

별로 성과점검기준표에 의거 측정방법 및 달성치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4-1-1 1차년도 성과점검표에 따른 달성도

성과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달성치 측정방법 최종연구성과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과제별 진도관리 및 인터페이스

4회이상 19회- 공정회의를 통한 과제별 연구개발 진척상황 점검 여부

월간 공정회의 6회 개최 연구현장 점검 및 현안사항 협의 13회

과제간 정보공유 1건 3건

- 공정회의 및 홈페이지(전산시스템) 등을 이용한 정보공유체계 확립 여부외부전문가 활용 및 특별세션을 통한 과제간 정보공유

통합DB서버실 환경 개선 및 일일점검일지 작성 호남테스트베드 홈페이지 활성화 (www.honamtestbed.co.kr)

타사업 및 효율적과제 운영

1건 2건- 국토부, 타 사업과의 해무운행업무협의를 통한 차량시험 진행여부

국토부, 타 사업과의 해무운행 업무협의를 통한 차량시험 진행여부 확인 및 일정 협의 2건

연구단 홍보기사 게재

1건 5건 - 후속과제에 대한 기술기사 게재

대한민국 발명 특허대전 출품진행 1건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 발표 3건 시설공단 미래철도 발표 1건 인천 미래도시 심포지엄 발표 1건

차상-지상모니터링시스템 구축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1건 1건 -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검증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검증 3건

연간통과톤수 및 차상-지상간

위치동기화 시스템

1건 2건- 연간통과톤수 자동누적시스템 구축

연간통과톤수 자동누적시스템 구축 1건 테스트베드구간 위치의 동기화 시스템 1건

해무 및 산천차량의운행 실적

4회이상 8회차세대고속철도기술개발사업단과 협조를 통한 해무차량시험과 산천차량의 시험운행

차세대고속철도기술개발사업단과 협조를 통한 해무차량시험과 산천차량의 시험운행 계획

GIS기반통합

모니터링구축

GIS 통합모니터링 기본설계 및 요구사양서

1건 1건-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기본설계 및 요구사양서 유무

GIS 기반 통합 모니터링 기본설계 및 요구 사양서

코드기반의 모니터링 체계

구축1건 1건

- 모니터링 데이터 코드기반 체계 제시

모니터링 데이터 코드기반 체계 제시

통합 DB 기본설계

GIS 기반 테스트베드 DB 재설계 및 확장

1건 1건-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여부- 데이터베이스의 GIS 고려여부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GIS 기반 설계

안전관리 지원 및 사용자

안전관리 지원 및 유지관리 현황분석

1건 1건- DB활용을 위한 고속선 유지관리 현황 제시- 운행선 출입, 업무협의 등 안전관리

DB활용을 위한 고속선 유지관리 현황 제시 운행선 출입, 업무협의 등 안전관리 제시

Page 37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7 -

요구사항 분석

제시

현장 모니터링 구축

센서 설치 및 점검 3개소 3개소- 매설 ‧ 부착 센서 점검 및 교정- 전원 및 통신 구축- 기존 센서 활용 여부 검토

매설 ‧ 부착 센서 점검 및 교정 (87개 센서 점검, 16개 센서 교정) 전원 및 통신 구축(3개소) 기존 센서 활용 여부 검토 (센서 87% 활용 가능)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5개소 6개소- 노반(3), 궤도(3)개소 현장 구축 건수- 현장 모니터링 프로그램

노반(3), 궤도(3)개소 현장 구축 운용 현장 모니터링 프로그램 구축 운용

측정 데이터 확보 1건 1건

- 장기모니터링 : 층별 침하, 함수비, 변형률, 강우, 수위, 간극수압, 측방변위 등- 현차시험 : 윤중 ‧ 횡압, 변위, 압력, 진동 등

노반/궤도 장기모니터링, 현차시험(일일열차운행횟수 27회, 측정 DB 확보)

통합 DB 입력 (76개 센서 이벤트/장기측정 자료 입력)

침하 DB 관리 및 활용

침하 측정 DB 확보

1건 1건 - 침하 측정 자료 DB화 침하 측정 자료 DB화(조사항목 13,144개,

침하측점 3,266 등 DB화)

잔류 침하 분석 1건 1건- TB구간내 집중관리구간의 잔류 침하 분석- 설계 침하량과 비교검토

TB구간내 집중관리 구간의 잔류 침하 분석(실측-설계 침하량 및 오차 분석, 성토고-침하량, 평균 N치-침하량, 사질토와 연약지반 두께-침하량 분석)

설계 침하량과 비교검토(45개 토공 구간 검토)

1단계 테스트베

드 모니터링

및 장기성능검증

현장소음성능평가 및

장기성능검증3회 3회

-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완료

개선(안) 반영 목업 및 시작품

제작

개선 시작품 실내 음향성능 평가

3dB(A) 3dB(A)- 무향실에서 개선 시작품 설치 전/후 소음 저감량 측정

무향실에서 개선 시작품 설치 전/후 소음 저감량 측정 완료

1단계 테스트베

드 모니터링

및 장기성능검증

기 구축된 흡음블럭의 장기 소음저감성능

검증

2회이상 2회- 기 구축된 흡음블럭 구간의 소음 측정

1차 소음측정 및 성능검증 완료 2차 소음측정 및 성능검증 완료

기 구축된 흡음블럭의 안정성 검증

1회이상 2회- 기 구축된 흡음블럭 구간의 현장 모니터링

현장점검 실시 완료

개선모델 도출

개발품의 개선 모델 도출

1건 1건- 기존 개발품 성능 목표 대비 개선 모델 작성

개선 모델 도출 및 달성방안 마련

시제품 내구성능 검토

1건 1건 - 개발품의 시험 성적서 제작 및 시험 완료

시제품 흡음률NRC0.85

NRC0.90

- 잔향실 흡음성능(NRC) 평가 성능 평가 완료

Page 37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8 -

표 4-1-2 2차년도 성과점검기준표에 따른 달성도

성과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달성치 측정방법 최종연구성과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과제별 진도관리 및 인터페이스

4회이상 18회- 공정회의를 통한 과제별 연구개발 진척상황 점검 여부

월간 공정회의 18회 개최연구현장점검 및 현안사항 협의 10건

과제간 정보공유

1건 8건

홈페이지(전산시스템) 등을 이용한 정보공유체계 확립 여부자문회의 및 특별섹션을 통한 내외부 정보교류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및 DB시스템 상세설계 관련 기관 공유 및 자료자문회의(3회) 및 특별섹션(2회) 개최를 통해 내외부 전문가와의 정보교류 및 성과확산 노력

테스트베드모니터링통합 DB

차상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및 DB1건 1건

- 차상모니터링 계측결과 분석 및 DB확보여부

GIS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상세설계 완료위치기반 표준시-GPS-윤중 동기화 매핑 시스템 구축차상모니터링 및 궤도검측차량 측정데이터 분석공간주파수 및 Wavelet방식을 이용한 차상-궤도검측 이상개소 추출 프로그램 개발

해석 및 실측비교

1건 1건- 실측과 해석과의 비교보고서- 궤도작용력 예측모델 개발

3차원 차량-궤도 상호작용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승차감 비교분석궤도틀림을 고려한 궤도부담력 검토 및 횡방향력 예측식 개발

실차운행시험 6회이상 30회해무차량 및 산천차량의 시험운행 DB

해무/KTX36/Loger1000k실차운행시험(30회)위치동기화 기반 통합데이터베이스 확보

GIS기반통합

모니터링설계

GIS 통합모니터링 상세설계 및 UI시스템 설계

1건 1건-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상세설계 및 운영결과보고서

GIS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UI 시스템 상세설계1단계/2단계 연계 프로그램 구축코드기반 사용자 요구 데이터 추출

통합모니터링 장기활용계획

1건 1건 - 통합모니터링 활용방안 수립

호남고속선 차상-궤도 검측-침하 자료 분석을 위한 운영기관 장기활용방안 제시

GIS기반 시스템 구축

GIS 기반 테스트베드 DB 구축 및

운영

1건 1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여부

통합 DB 환경 구성계측 데이터 수집,가공,적재모니터링, 검색, 상태분석 UI 개발

안전관리 지원 및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안전관리 지원 및 유지관리 현황 분석

1건 1건

- DB활용을 위한 고속선 유지관리 현황 제시- 운행선 출입, 업무협의 등 안전관리 제시

테스트베드 설치구간 유지보수, 성능검증 등을 위한 안전관리 지원이상개소에 대한 궤도틀림, 열차주행안전성, 승차감 등을 위한 안전관리 지원DB분석방법, 상태평가 등 활용방안 기술전수, DB기반의 유지관리체계 수립

궤도 ‧ 노반 장기측정

DB 확보 및 성능평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계 표출

3개소 3개소- 노반(3), 궤도(3)개소 현장 데이터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표출 여부

측정데이터 확보(윤중, 횡압, 노반압력 등 76개 센서운영)운영차량 22,818대(16.10∼18.02)장기측정데이터(16.10∼18.2, 16개월)측정데이터의 유효성 평가 자동화처리통합 DB 실시간 연계(1식)

궤도 ‧ 노반 안정성 검증

시험10회 10회

- 호남고속철도 궤도 ‧ 노반 성능평가 절차서 준용- 회별 분석결과 시트 도출

호남고속철도 장기 궤도/노반 성능 평가분석결과 시트 도출(10회 이상)

Page 37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59 -

설계기준 검토 1식 1식- 침하, 변위, 압력 등 설계기준 항목에 따른 장기 안정성 평가

설계기준 항목에 따른 장기 안정성 평가 (윤중, 횡압, 노반압력, 탄성변위, 침하, 진동가속도 6개 항목 등)노반 장기 안정성 검토 (강우-함수비, 침하-지하수위, 원지반 측방변위 등 3개 항목)기준보완항목 도출(4개)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설계 잔류침하량 정황도 향상

20%p 36%p

- 설계시 잔류 침하량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

(정확도(%) = 100 - ⎥실측-설계⎥/기준치)

- 기존 설계와 개발기술과의 침하량과 대조

설계 잔류침하량의 오차 요인 및 기여도 분석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방안 개발

실측침하량 대비 오차는 굴착치환구간 7.4~11.7%, 선행하중재하구간 6.2~31.1% 발생하며, 정확도는 굴착치환구간 35.5 ~57.9%(평균 47.05%p), 선행하중재하 구간 14.8~42.1%(평균 26.9%p) 향상

고속철도의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

1건 1건- 설계시 잔류침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된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제시(1건)

1단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및

장기 성능검증(상단장치)

현장소음성능평가 및

장기성능검증2회 2회

-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개선 시제품에대한

설치 후 성능평가(상단장치)

개선 시제품 제작 및

현장부설 후 성능평가

3dB(A) 3dB(A)-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성능시험 절차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

개선 시제품 경량화

10% 20% - 개선 전/후 단품 중량 측정 및 평가 경제성 23% 개선(한국사회경제연구원 원가계산서 참조) 중량개선 약 20% 달성

흡음블럭최적화

경제성 확보15%절감

16% 절감

- 원가분석 보고서원가분석 보고서 작성을 위해 전문기관에 의뢰 결과 16% 절감

경량화15%절감

20~25%절감

- 제품 중량 측정 제품 중량 측정 결과 20~25% 절감

흡음블럭소음저감성능검증

시공계획서, 시방서 작성

1건 1건 - 작성 및 제출 여부 시공계획서 및 시방서 작성 완료

현장부설 1건 1건 - Testbed 구간에 흡음블럭 설치 Testbed 구간에 흡음블럭 설치 완료

소음저감성능 검증

1건 1건 - 소음저감성능측정 보고서 HEMU 및 KTX-산천 측정 완료

Page 38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0 -

2. 연구성과품에 따른 주요 연구성과 및 우수성

가. 정성적 연구실적

표 4-1-3 정성적 연구실적

연구분야 주요 연구성과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DB

연구사업 총괄 및 인터페이스

과제별 진도관리 및 인터페이스-월간 공정회의 16회 개최-연구현장 점검 및 현안사항 협의 23회 과제간 정보공유 11건 달성-GIS기반 통합모니터링 및 DB시스템 상세설계 관 련 기관 공유 및 자료-외부 전문가 기술세미나 및 자문회의 개최-철도학회 특별세션, 한국산학 기술학회 등 학회 논문 발표 타 사업 및 효율적 과제 운영-국토부, 타 사업고의 해무운행 업무협의를 통한 차량시험 진행여부 확인 및 일정협의 38건 연구단 홍보 기사 게재-건설경제 신문에 과제 홍보기사 게재 1건-대한민국 발명 특허대전 출품 진행 1건-시설공단 미래철도 발표 1건-인천 미래도시 심포지엄 발표 1건

테스트베드 통합 모니터링 통합 DB

측정DB 확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계-모니터링 시스템 보완,보수-측정데이터의 통합 DB 저장 및 연계여부-통합 DB 실시간 입력 차상-지상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및 DB-GIS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상세설계완료-위치기반 표준시-GPS-윤중 동기화 매핑 시스템 구축-차상모니터링 및 궤도검측차량 측정데이터 분석-공간주파수 및 Wavelet 방식을 이용한 차상-궤도검측 이상개소 추출 프로그램 개발

궤도/노반 장기 측정 DB확보 및 성능평가-호남고속철도 궤도/노반 성능평가 절차서 준용-회별 분석결과 시트 도출-노반 침하, 궤도 변위, 노반 압력 등 설계기준 항목에 따른 장기 안정성 평가 해석 및 실측비교-3차원 차량-궤도 상호작용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승차감 비교분석-궤도틀림을 고려한 궤도부담력 검토-궤도틀림을 고려한 횡방향력 예측식 개발

실차운행시험-해무/KTX36/Roger-1000k 실차운행시험(30회)-위치동기화 기반 통합데이터베이스 확보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안전관리 지원

GIS 통합모니터링 상세설계 및 UI시스템 설계-GIS 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UI시스템 상세설계-1단계/2단계 연계 프로그램 구축-코드기반 사용자 요구 데이터 추출-연간통과톤수 자동누적시스템 구축 1건-테스트베드 구간위치의 동기화 시스템 1건

통합모니터링 장기활용계획-호남고속선 차상-궤도검측-침하 자료 분석을 위한 운영기관 장기 활용방안 제시

GIS 기반 시스템 구축-GIS 기반 테스트베드 DB구축 및 운영

안전관리 지원 및 유지관리 현황 분석-DB 활용을 위한 고속선 유지관리 현황 제시-운행선 출입, 업무협의 등 안전관리 제시

침하 DB 및 설계 잔류침하량 설계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Page 38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1 -

(1)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가) 최종목표 달성도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인프라 장기성능평가 및 DB 활용기술

개발을 목표달성을 위하여 GIS기반의 통합 UI 및 DB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은

공간정보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율

적이게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테스트베드는 400km/h급 인프라 기반시

설로서 건설초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건설이후 운영선에서 발생되는 궤도틀

림정보와 노반침하 DB와 연동하여 상태변화를 분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나) 최종성과의 우수성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는 2013년부터 2018년 건설초기부터 현 시점까지의 궤도

노반의 주요 인프라 성능평가를 위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지상 모니터링 개소

는 대표적인 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 교대접속부 구간으로서 다양한 토공 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고속철도의 해당구간의 최고속도 약 427km/h 최고속도 주행 데

이터와 350km/h∼400km/h의 속도대역과 현재 운영속도인 300km/h의 속도대역에서의 데이터

를 보유하였다. 또한 공용중에 발생되는 궤도틀림정보와 노반침하 데이터를 공간정보상에 속

성자료로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선별하여 분석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장기간의 데이터의 축적과 가공처리기술을 통해 국내 다소 미진한 분야인 기초원천기

술력을 보유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상부에서 측정된 데이터 시계열로 분석하여 설계기준과의 비교와 통계분석을 통해 현 시스

템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고속선 고속화 사업이나 운영속도

설계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기술

정확도 향상기술

-설계시 잔류 침하량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정확도 (%) = 100(실측설계)/기분치)-기존 설계와 개발기술과의 침하량과 대조 고속철도의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설계시 잔류 침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된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방음벽상단장치 고도화

1단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및 장기성능검증

현장소음성능평가 및 장기성능검증-성능시험 절차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미설치/설치 구간 동시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장기운용에 따른 내구성 및 소음성능 검증

개선 시제품에 대한 설치 후 성능평가

개선 시제품 제작 및 현장부설 후 성능평가-성능시험 절차시(UTG-S-001)을 준용한 상단장치 /설치 전/후 측정을 통한 소음감음량 측정-3dB(A) 저감 공인기관 성능시험인증 개선 시제품 경량화-개선 전/후 단품 중량 측정 및 평가-구조안정성에 대한 공인기관 성능시험인증

소음저감 흡음블럭 고도화 및 상용화

흡음블럭 최적화 경제성 확보 - 원가분석 보고서

경량화 - 제품 중량 측정

흡음블럭 소음저감성능

검증

시공계획서, 시방서 작성 - 작성 및 제출

현장부설 - Testbed 구간에 흡음블럭 설치

소음저감성능 검증 - 소음저감성능 측정 보고서

Page 38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2 -

향상과 같이 고속화를 위한 핵심기술을 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 연약지반 잔류침하 예측 정확도 향상기술

(가) 최종목표 달성도

본 기술의 최종목표는 실측 및 설계 잔류침하량의 오차 요인 및 기여도 분석을 통해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방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테스트베드구간의 실측 잔류침하량 대비

기존 설계 오차는 21.0~58.3%로 분석되었으나, 개선 후 설계 잔류침하량 오차는 6.2~31.1%로

정확도는 굴착치환구간은 47.05%p, 선행하중재하구간은 26.9%p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따라

서, 목표치(설계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20%p)를 초과 달성하였으며,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

정방법에 관하여 설계 가이드라인(안)으로 제시하였다.

(나) 최종성과의 우수성

본 연구에서는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설계 가이드라

인으로 제시하였다. 개선된 잔류침하량 산정방법을 이용한 설계시 적용공법별 정확도가 향상

된 설계 잔류침하량의 산정이 가능하며, 기존 설계와 마찬가지로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

을 제안함으로써 설계사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치환재와 성토재의

잔류침하량과 관련한 기준이 미흡하여 지반정수 산정 및 설계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

와 관련한 시험방법, 결과 및 지반정수 등을 제시함으로써 장기 크리프 침하량 산정 등의 설

계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설계자의 교육자료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기존의 자갈 궤도에 비해 침하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국부적인 침하에도 유지보

수가 필연적이다. 그러나 궤도 특성상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력 및 자재 투

입에 따른 공사비가 소요된다. 따라서, 본 기술을 이용하여 열차 운행시 잔류침하량을 실제와

유사하도록 예측한다면 유지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른 경제성의 확보 및

콘크리트궤도의 사용성 확대가 가능하다.

(3) 소음저감장치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가) 최종목표 달성도

본 연구를 통해 1단계 성과품의 중량을 20% 이상 절감하여 최종목표를 초과달성하였으며,

달성목표로 설정하지 않은 원가절감 부분도 23% 이상 절감하여 상단장치의 경제성을 크게 개

선하였다.

표 4-1-4 최종목표대비 달성도 평가표

* 비고 ; 달성목표 및 달성도는 1단계 성과품 대비 절감된 비율을 나타낸 것임.

표 4-1-5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 성과품 경제성 개선사항

 구분

제작비용(원)경제성 개선1단계 상단장치 성과품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별도의 설치부자재 필요 없음)

구분 달성목표 달성도 비고

중량절감 부분 10% 20% 초과달성

원가절감 부분 - 23% 초과달성

Page 38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3 -

* 비고 ; 1단계 성과품 원가계산 근거는 한국경제원구원에서 인증한 원가계산서이며 고도화 성과품은 고도화 현장시공 견적서 및 계약서임.

표 4-1-6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 성과품 중량 개선사항

(나) 최종 성과의 우수성

① 주파수 대역 최적화를 통해 소음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1kHz 대역에 대한 저감성능을

높일 수 있는 내부 격자구조로 변경하여 소음저감성능 개선

② 내부 격자구조 및 생산방법 개선을 통해 생산성(기존 2배), 경제성(20% 절감) 및 시공성을

향상

③ 테스트베드 부설 및 공인시험기관의 현장시험을 통해 소음저감성능 검증

④ 제품 모듈화를 통한 20% 경량화 달성 및 조립공수 단순화하여 생산단가 절감

표 4-1-7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단품 개선사항

상단장치설치부자재 및

시공원가상단장치 시공원가

순 제조원가 324,860

208,186

280,000원

120,00023%

관리비 및 이윤 69,219 65.000원

총원가 394,079 345,000원총합 (상단장치)+(부자재/시공)= 602,265원 (상단장치)+(시공)= 465,000원

 구분무게[kg]

중량 개선1단계 상단장치 성과품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상단장치 외판 120170

20%구조부재 86 상단장치 내판 44 30

총합 250 200

1단계 연구 성과품(0.5m 단품) 2단계 고도화 연구 성과품(4m 단품)

내부격자 격자 중간판 조립

측면판/중간판/

하부판/ 전후면판 조립

내부격자 조립

전후면판 조립 타공판/측면판 조립 타공판 조립

- 부품 수량(4m 시공 기준)

- 4m 시공 시 총 중량 : 250kg

- 리벳 체결 조립 공수 : 352회

전후면판:16EA 내부격자:16EA 격자 중간판:8EA

측면판:16EA 하부판:8EA 타공판:8EA

- 부품 수량(4m 시공 기준)

- 4m 시공 시 총 중량 : 200kg(20%저감)

- 리벳 체결 조립 공수 : 126회

전후면판:2EA 내부격자:2EA 격자 중간판:3EA

측면판:2EA 하부판:1EA 타공판:1EA

Page 38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4 -

표 4-1-8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조립 개선사항

(4) 소음저감장치 흡음블럭 고도화

(가) 최종목표 달성도

고속철도 궤도에 설치되어 차량하부에서 발생하는 전동소음 감소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흡음

블럭의 특성상 안정적인 내구성능의 확보 및 차량 내외부에서의 소음저감성능, 개활지 구간

및 터널 등 다양한 설치환경에서의 소음저감 성능 발현은 핵심적인 요소이다.

도상에 설치되는 흡음블럭의 설치여건상 제기되는 유지보수 시 콘크리트 도상 크렉 확인

불가 문제와 상용화에 제한적인 요소가 되는 가격 및 경량화 문제에 대해 제품 배합 재료 개

발 및 형상 개선을 통해 경제성 개선은 1단계 제품대비 16%, 무게는 1단계 제품대비 20%를

달성하였다.

(나) 최종성과의 우수성

① 주파수 대역 최적화를 통해 소음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대역에 대한 저감성능을 높

일 수 있는 재료배합으로 소음저감성능 개선

② 단위 형상 소형화 및 조합방식 설치시공 방식으로 유지보수 및 설치 용이

③ 하부 내시경 유입 통로 형 공명홀로 균열 점검 용이 및 흡음성능향상

④ 테스트베드 부설 및 현장시험을 통해 소음저감성능 검증

⑤ 제품 재료 변경 및 배합과 형상개선을 통한 20% 경량화 달성

⑥ 생산공정 및 소재 개선을 통한 단가절감 16% 달성

1단계 연구 성과품 2단계 고도화 연구 성과품

Page 38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5 -

표 4-1-9 흡음블럭 고도화 성과품 개선사항

나. 정량적 연구성과

(1) 논문 실적

표 4-1-10 정량적 연구성과(논문 실적)

구분 논문명발표/게재

일논문집

1 공명형 방음벽 상단장치의 음향성능 평가 방안 2017.12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7권 6호

2400km/h급 고속철도 환경소음저감을 위한 선로 변 벽체 상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2017.12 대한환경공학회지 39권 12호

3 변위 의존 마찰력 방진장치의 진동저감 특성 2017.12한국철도학회논문집 20권

6호

4 점성토의 유한요소해석에서 전단파라미터에 따른 성토 및 굴착거동 2018.2 한국지반공학회 34권 2호

5현장침하 DB를 이용한 콘크리트궤도의 하부노반의 잔류침하특성평가 및 분석

2018.3 한국철도학회 21권 2호

6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상 토공노반의 장기거동 특성 연구 2018.4 한국산학기술학회 19권 4호

7DEVELOPMENT OF ONP-TRAIN AND GROUND-BASED MONITORING SYSTEM FOR HIGH SPEED RAILWAYS

2017.01.06 Railway Engineering

8A study on the acoustic performance and durability monitoring method of interference device for noise reduction of the high speed railroad using Honam high-speed railroad test-bed section

2017.08.27 Internoise 2017 Hongkong

9고속철도 토공노반 설계잔류침하량과 실측 잔류침하량과의 비교 사례연구

2016.10.212016년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10 GIS 기반 철도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Mapping 기법 방안 2016.12.232016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

11GIS 기반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모니터링을 위한 DB구축방안 기본설계

2016.12.232016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

12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의 현황 및 장기모니터링 구축 2016.12.232016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

13400km/h급 고속철도 운행 시 소음저감용 방음벽 상단장치의 소음저감 성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2016.12.232016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

14 호남테스트베드구간의 GIS기반 통합 모니터링구축 계획 2017.05.182017년도 한국철도학회

춘계 학술대회

1단계 연구 성과품 2단계 고도화 연구 성과품

- 제품 중량

1m 설치시 단위 중량 470kg개별 제품의 최고 중량 170kg

- 유지보수성 : 도상점검 및 보수를 위한 블록 탈착 어려움

- 제품 중량

1m 설치시 단위 중량 370kg개별 제품의 최고 중량 45kg

- 유지보수성 : 침목부의 도상 균열 시작점 및 블록하부의 균열확대 양상 확인가능하고, 인력을 이용한 블록의 탈착이 가능하여 도상 유지보수성 개선

Page 38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6 -

(2) 특허 실적

표 4-1-11 정량적 연구성과(특허 실적)

(3) 소프트웨어 등록 실적

표 4-1-12 정량적 연구성과(특허 실적)

15 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잔류침하량 정확도 개선연구 2017.10.202017년도 한국철도학회

추계 학술대회

16 윤하중을 이용한 실시간 열차 누적통과톤수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2017.10.202017년도 한국철도학회

추계 학술대회

17 호남테스트베드 활용한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2018.04.202018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18 고속철도 궤도토공노반 장기 측정 및 성능평가 2018.04.202018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19 콘크리트궤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TQI 분석 2018.04.202018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0방음벽 상단장치의 내부격자 변경 시 모니터링 및 성능 검증에 대한 연구

2018.04.202018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1 콘크리트 궤도 유지보수를 고려한 도상흡음블럭 설계 및 제작 2018.04.202018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2 방음벽 상단장치의 내부격자 변경 시 소음저감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2018.04.262018년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3터널 내부 도상 블록형 흡음재의 고속철도차량 내부 소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2018.04.26.2018년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4 콘크리트 궤도 사용성 확보를 위한 독일(DIN 4019) 잔류침하 예측방법 2018.04한국철도학회 철도저널 21권

2호

구분 특허 출원번호 등록일 비고

1 고속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 블럭 10-2017-0008276 2017.01.17 출원

2 방음벽 상단장치(Device Equipped on the Top of Soundproofing wall) 10-2017-0164482 2017.12.01 출원

3 철도 레일용 일체형 센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10-2018-0030521 2018.03.15 출원

4 고속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 블록 10-2017-0008276 2018.05.29. 등록

구분 소프트웨어 등록일 비고

1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키로정 좌표 변환 프로그램 2016.11.30 등록

2 열차누적통과톤수 자동화산정 프로그램 2016.12.02 등록

3 철도 토공노반/궤도 모니터링 프로그램 2016.12.16 등록

4 고속철도 계측 기록 수집 프로그램 2017.12.06 등록

5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017.12.06 등록

6 윤하중을 이용한 고속열차 통과 하중분석 프로그램 2018.02.12 등록

7 차상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한 웨이블렛 추출 프로그램 2018.02.22 등록

8 궤도틀림 정보를 이용한 웨이블렛 추출 프로그램 2018.03.07 등록

9 차상가속도 모니터링 계측프로그램 2018.03.22 등록

Page 38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7 -

2절. 관련 분야 기여도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DB

표 4-2-1 주요기술에 따른 관련분야 기여도

기술명 기존기술 기술내용(독창성) 관련분야 기여도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문제해결 단계에서의 모니터링 기술(증속, 성능검증)위치정보와 도면정보 자료 미축적(원인문제해결 미흡)

건설-유지관리 단계의 데이터를 확보GIS 공간정보기반의 정보입력의 효율성위치기반의 상태평가 분석

공간정보를 활용한 철도유지관리 시스템개발 모델 활용가능데이터 기반의 상태평가를 위한 분석기법 기여빅데이터 등 운영선구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하여 설계기술력 향상

누적통과톤수 자동 산정시스템

영차/공차 기준으로 개략적인 통과톤수 산정혼용선구간의 통계처리 미흡

실 열차통과하중으로누적통과톤수 산정데이터 유효성검증, 통계처리 기법 도입

혼용선구간의 통과톤수산정에 활용UIC 선로등급별 유지관리 체계에 활용

차상-지상 위치동기화 시스템

-지상의 윤중신호를 처리하여 위치를 동기화 방식-위치동기화 분야는 이상개소 추출 등 유지보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중에 있음.

본 시스템은 저비용으로 GPS-표준시-윤중신호를 이용하여 시각동기화하는 방식통합 모니터링 DB에 연계하여 차상, 지상 측정데이터 상호 분석(시각동기화 오차 0.01초이내)

과학적인 유지보수를 위하여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이상개소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임.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저비용으로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차상과 지상과의 위치동기화를 구현 가능함

3차원 차량-궤도 동적상호작용해석기법

- 정밀한 차륜/레일의 접촉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차량/궤도 동적상호작용 해석기법의 국내 부재.- 국외 전문 상용프로그램에 의존에 따른 관련연구의 제한(프로그램의 높은 가격, 많은 교육시간 요구 등)- 국내 차량 및 궤도여건을 고려한 윤중 및 횡압 추정모델 부재

- 비선형 헤르쯔안(Hertzian) 수직 접촉력과, 비선형 크립하중을 나타낼 수 있는 완전 차륜-레일 융합(integration) 접촉모델 개발에 따른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차량과 궤도의 동적 거동특성을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게 됨.- 국내 차량 및 궤도여건을 고려한 윤중 및 횡압 추정모델이 가능해짐에 따른 차량과 궤도의 설계기술 향상- 속도 향상에 따른 차량과 궤도의 설계요건 도출 가능.

고속철도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장기거동 평가기술

- 시공시 시공관리목적으로 현장계측 - 시공계측을 유지관리계측으로 이관(터널, 교량에 집중)- 필요시 현차 시험용 임시 계측 수행 - 지상과 차상 데이터 비교 어려움(위치 및 시각 동기화 문제)- 측량을 통해 노반 침하, 교량 및 터널 등 장기 모니터링 수행(필요시 현차시험)

- 고속철도 시공/유지관리 계측 연속성 확보(건설초기치 확보)(‘14.04 ~현재)- 고속철도 장기 및 이벤트계측(열차 통과시 트리거 측정) 분야에 원격 자동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차량 22,818대 트리거측정)

․-다량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을 통하여 설계초기와 현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LCC 활용-윤중,횡압,노반압력,침하,탄성변위,진동가속도, 측방변위, 함수비, 지하수위/수압, 강우, 부등침하 등 11개 측정항목을 모니터링-침하패턴과 궤도노반의 거동 분석연구에 기여

침하 DB 및 활용

- 측량, 수기, 엑셀 기록 체계- 지반조사, 설계자료 등을 이용하여 침하 원인분석 어려움

- 측량엑셀자료 자동입력- 측정주체가 달라져도 침하 연속데이터 유지(노반시공사, 궤도시공사, 철도시설공단, 철도공사 등으로 침하측정주체가 단계적으로 이전됨)- 침하DB를 이용하여 예상잔류침하량 계산

- 측량 및 자동화 측정 결과 DB 기록(3,266개소)- 지반조사( 8개 시험항목 13,144개), 설계자료(100~120k 구간), 등을 침하 DB와 상호 분석하여 침하 기여도 분석 활용(N치, 성토고, 원지반 두께, 설계침하량 등과 비교분석)

Page 38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8 -

2.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기존 기술 대비 본 연구를 통해 도

달된 기여도를 표 4-2-2와 같이 제시하였다.

표 4-2-2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을 통한 관련분야 기여도

3.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본 연구과제의 성과품과 유사한 기술로는 도로용으로 개발된 제품들이 있으나, 성능 및 구조

적 안정성에 있어서 성과품의 성능이 도로용의 유사 기술보다 월등하다. 특히 본 연구과제의

성과품은 400km/h급 고속철도인 HEMU-430X 및 KTX, KTX-산천, SRT 등 운행선의 발생 소음

에 대하여 소음 저감성능 실험 및 검증까지 완료된 기술로서 도로용 제품 대비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였다. 본 성과품의 연구개발로 인해 그간 정체되어 있던 철도소음의 회절음 저감 대책이

획기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관련분야 기술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성과품은 철도분야

뿐만 타 기술분야의 소음저감 대책안으로 적용가능성이 검토되고 있어 향후 환경소음 분야 전

반의 기술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4-2-3 기존 기술 대비 상단장치 우수성

기술명 기존기술 기술내용(독창성) 관련분야 기여도

주파수 튜닝 내부격자가 다중 배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 상단을 회절하는 고속철도 소음성분을 저감하는 기술

음의 위상차를 고려하여 단일입구/다중출구 경로차를 갖는 간섭효과를 이용한 소음저감장치이며 1dB 내외 저감.

본 기술의 핵심은 폭과 깊이가 다양

한 내부격자를 수평방향으로 이중

으로 배치하여 다중 배치된 내부격

자로 소음을 줄이는 획기적인 기술

임. 다중 배치된 격자구조를 이용하

여 소음을 저감하는 기본 원리는 격

자형으로 구성된 공동의 상단에 입

사파와 반사파의 간섭효과로 상단

부 표면에 경계면이 형성되어 음의

위상차에 의하여 장치 상부로 회절

되는 고속철도 소음성분을 저감하

는 것임. 호남고속철도 운행선에 적

용되어 구조안정성을 검증받았으며,

신청기술이 적용된 현장에서 한국

기계연구원이 수행한 공인시험 결

과 소음저감 성능이 평균 3.0dB 이

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음.(국내 3배,

국외 1.5배의 소음저감 성능)

고속철도 운행 최고속도가

400km/h급으로 향상되면

6~7dB의 소음이 증가하며,

기존 선로변 방음벽의 높

이가 3m 이상 높아져야

환경소음기준을 만족한다.

차세대 KTX 고속철도망

구축 전략 보고서(국토교

통부, 2016)에 따르면 속도

증속에 따른 고속철도 구

간별 방음벽 높이 증가 비

용은1,830억원으로 추정하

고 있으나 본 기술이 적용

되면 1,080억원으로 47%

절감할 수 있음. 이 밖에

도 철도 소음환경을 개선

하는 시회적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

내부의 간섭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그 위상차가 반대인 파형으로 변조시켜 배출되도록하여 방음벽 상단 회절음을 간섭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기술이며 1dB 내외 저감.

내면판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회절음 감쇄구를 제작하여 방음벽 상단으로 회절되는 음을 감쇄하는 기술이며 1dB 내외 저감.

기술명 기존기술 기술내용(독창성) 관련분야 기여도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 콘크리트궤도 허용잔류침하량 30mm 기준으로 호남고속철도 설계하였으나 일반적인 지반공학적 접근방식으로 설계기준이 설정되어 허용잔류침하기준 초과개소 다소 발생)․ 공용중에 침하초과개소에 대한 국부 침하 대응한 보수방식 적용 ․ 치환재에 대한 잔류침하량 기준 미흡 및 성토체와 치환재와 관련한 지반정수 산정 어려움

․성토체, 치환체 및 원지반의 장기 크리프 침하 고려)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굴착치환구간 35.5~57.9%(평균 47.05%p), 선행하중재하구간 14.8~42.1%(평균 26.9%p) 향상)․ 향상된 설계 잔류침하량 산정방법 제시․ 성토체 및 치환재의 설계지반정수를 제시함으로써 장기 크리프 침하를 산정기술제공

․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 잔류침하량 산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설계사 적용가능․ 연약지반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설계자 교육자료 활용․ 콘크리트궤도의 사용성 확대와 유지보수 최소화를 위해 설계시점부터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마련

Page 38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69 -

표 4-2-4 기존 기술 대비 상단장치 우수성

4. 흡음블럭 고도화

가. 세계 최초의 400km/h급 초고속용 흡음블럭 개선제품 개발

기존에 확보한 안정적인 내구성능 및 소음저감성능에 더해 경량화, 단가절감, 유지보수성

개선 등의 추가 목표 달성으로 고속열차 운행의 안전성은 물론 흡음블럭 적용시의 비용부

담 감소, 교량 적용시의 하중부담 완화, 도상 균열점검의 원활화 등에 의해 개발품의 상용

화 가능성 증대

개발과정에서 도출된 흡음블럭 형상에 대해 특허 출원 및 등록 완료

나. 세계 최초로 고속철도 터널구간에 적용하여 열차실내에서의 소음저감 효과 확보

고속철도 터널구간에 설치하여, 열차실내 소음저감 효과 확보로, 선로변 민가의 소음관련민

원 해소용으로의 적용뿐만 아니라, 열차 승객의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서도 적용할 수 있어

적용의 폭 증대.

국내에서 최초로 고속철도 터널에 적용된 사례는 2008년 경부고속철도 황학터널에 설치된

제품이 있지만, 이때는 열차 실외소음을 측정하였다. 또한 터널구간에 적용하면서, 열차 실

내소음을 측정한 사례는 2017년 부산교통공사 1호선 연장구간에 설치된 도시철도용 흡음블

럭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흡음블럭 개선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최초로

고속철도 터널에 설치하여 운행열차의 실내소음 저감효과를 검증한 제품으로 세계 최고의

구분 기존 기술명개발자

(개발년도)기술내용

공법의 원리특징 및 기능

연구성과품 우수성

1

회절음 및 직접음의 소음제어가 가능한 간섭장치

유니슨산업(주)(2002년)

음의 위상차를 고려하여 단일입구/다중출구 및 3단계의 경로차를 갖는 간섭장치를 이용하여 소음전파경로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회절음 및 직접음의 소음을 제어하고 방음벽의 높이를 낮게 하고도 수음지역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철도방음벽 높이저감 기술

3단계의 경로차를 이용해 유입되는 음의 전파길이 조정을 통하여 소음을 저감

기능: 1dB 내외의 소음저감

1) 고속철도 소음원 규명연구를 통해 목표주파수를 최적으로 적용함.

2) 무른 면을 형성시키는 기법을 적용하여 고속철도 315Hz 이상 주파수 평균 소음저감을 3dB 이상 실현함.

3) 400km/h 고속철도까지 포함하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

4) 4년의 국토부과제 결과물로서 신규기술개발, 기술자문, 시험검증, 현장부설평가, 장기모니터링 등을 거쳐 개발됨으로 인해 성능 및 안정성을 인증 받음.

5) 기능: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부설시험 결과 고속철도(HEMU-430X, KTX, 산천, SRT) 운행 시 3dB 이상 성능을 검증함.

2방음벽용 소음

간섭장치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2005)

방음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간섭기가 내부의 간섭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그 위상차가 반대인 파형으로 변조시켜 배출되도록하여 방음벽 상단 회절음을 간섭하고 저감

장치로 유입되는 소음의 위상을 반대로 변형 배출하여 음의 간섭을 이용한 간섭형

기능: 1dB 내외의 소음저감

3방음벽의 회절음 감쇄장치

(주)우석에어벤처시스템(2005)

내면판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회절음 감쇄구를 제작하여 방음벽 상단으로 회절되는 음을 감쇄

내부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을 감쇠하는 흡음형

기능: 1dB 내외의 소음저감

Page 39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0 -

기술수준이라 할 수 있음.

표 4-2-5 흡음블럭 주요성능 비교표

구 분 과거국내기술 국외기술 1단계 성과품 2단계 개선품

연구성과 사진

적용속도저속, 중고속

(300km/h 이하)

저속, 중고속

(300km/h 이하)초고속 (400km/h급)

초고속

(400km/h급)

내구

성능

압축강도 10 MPa 5 MPa 12 MPa 12 MPa휨강도 1.5 MPa 0.89 MPa 1.5 MPa 1.5 MPa

인장강도 1 MPa - 1.2 MPa 1.2 MPa

흡음

성능

열차

외부

-3dB 이상

(3m거리,0.5m높이)

-2~3dB

(미공개)

-3dB 이상

(5m거리,1.2m높이)

* 1단계 성과품과 유사한 흡음특성

열차

내부- - -

-3dB 이상

(열차중심 1.2m높이)

표 4-2-6 흡음블럭의 관련분야 기여도

기술명 기술내용 독창성 관련분야 기여도

다공성 골재를

활용한 소음저감

자체적으로 다량의 공극을 가

지는 다공성 골재의 특성을

활용하여, 전달된 소음이 골

재의 공극을 지나는 과정을

통해 소음이 줄어듬.

기존의 흡음재는 인위적으로

제작된 공극을 통해 작동을

하여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

나 천연골재를 활용한 소음

저감성능은 환경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

소음저감이 필요하며,

쉽게 오염이 발생하는

환경에 설치되는 소음

저감 제품에 적용하여

지속적인 소음저감효

과를 발휘할 수 있음.

5.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을 통한 연구성과품의 기술 및 경제성 평가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을 통한 연구성과품의 기술 및 경제성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개발을 통한 직접편익의 경제적가치는 112.86억원으로 추산되며, 연구개발 투입예산을

고려한 B/C Ratio는 3.42로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인프라 기술의 공통편익으로 열차이용객수 증대로 인한 매출증대,

타 교통수단 이용자의 흡수로 인한 환경비용 절감, 운행 비용 절감, 교통사고비용 절감 등

이 있으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58.7억원으로 분석됨

- 공통편익을 기술분류 체계 중요도를 반영하여 편익을 배분하여 기술분류 체계별 경제적 가

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Page 39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1 -

구분 통합 DB 총괄토공노반/ 궤도 장기

흡읍블록방음벽

상단장치합계

공통 25.93 15.77 9.60 7.40 58.70

개별 4.90 0.50 0.80 1.80 8.00

합계 30.83 16.27 10.40 9.20 66.70

표 4-2-7 연구개발과제 직접편익(억원)

-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한 통합 DB가 완성 된다면, 기술료 및 컨설팅 수입 등이 예

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30.83억원으로 분석됨

- 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장기 모니터링이 완성 된다면, 기술료 및 컨설팅 수입 등이 예상되

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16.27억원으로 분석됨

- 흡읍블록 고도화 및 상용화가 완성 된다면, 기술료 및 컨설팅 수입, 소음 및 진동 저감을

통한 민원피해비용 절감액 등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10.40억원으로 분석됨

- 방음벽 상단장치 기술이 고도화 된다면, 기술료 및 컨설팅 수입, 소음 및 진동 저감을 통한

민원피해비용 절감액 등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9.20억원으로 분석됨

연구개발 투입예산 33억원을 고려하여 직접편익의 현재가치 112.86억원을 반영한 결과 고

속철도 인프라 연구의 B/C Ratio는 3.42인 것으로 분석됨

- 연구개발을 통한 간접편익은 1.48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됨

-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트 활용한 통합DB 총괄을 통해 ‘철도기술 선도국가로서의 국가 이

미지 제고’와 ‘모니터링을 통한 철도의 신뢰성, 정시성으로 인한 고객만족도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각각 0.22억원, 0.32억원으로 분석됨

- 토공노반/궤도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장기 침하에 의한 궤도 노반 안정성 검증(고속철도

주행안정성 향상)’와 ‘장기 침하에 의한 궤도 노반 안정성 확보에 따른 승차감 만족을

통한 고객만족도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각각 0.44억원, 0.25억원으로

분석됨

- 흡음블록 고도화 및 상용화을 통해 ‘승차감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0.15억원으로 분석됨

-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을 통해 ‘승차감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0.12억원으로 분석됨

연구단을 통한 직접편익의 실물옵션 가치는 93.16억원이며, 실물옵션가치를 고려한 동태적

NPV는 173.02억원인 것으로 분석됨

- 블랙숄즈 모형을 통해 도출한 연구단 직접편익의 실물옵션가치는 93.16억원인 것으로 분석

- 연구단의 정태적 NPV는 79.86억원이며, 도출된 실물옵션가치를 추가한 동태적 NPV는

173.02억원으로 추산됨

- 연구개발 직접편익 발생 시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및 취업유발효

과는 각각 375.0억원, 109.7억원, 161.4명인 것으로 분석됨

Page 39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2 -

- 연구개발 직접편익을 통해 발생한 국내 생산유발효과는 총 375.0억원 규모이며, 이중 고속

철도 관련 산업 직접생산이 184.8억원(49.3%)이 유발되었고, 나머지 190.2억원(50.7%)이 타

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로 나타남

- 연구개발 직접편익을 통해 발생한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총 109.7억원 규모이며, 이 중 고속

철도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로 48.7억원(44.4%)이 유발되었고, 나머지 61.0억원(55.6%)이 타

산업에 대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로 나타남

- 연구개발 직접편익을 통해 발생한 취업유발효과는 총 161.4명 규모이며, 이중 고속철도 관

련 취업으로 71.8명(44.5%)이 유발될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89.5명(54.5%)이 타 산업에 대한

취업유발효과로 나타남

- 연구개발 과제를 통한 경제적 가치는 직접편익발생 112.86억원을 포함하여 총 692.22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구분

경제적 가치(억원)

공통편익을

직접편익

항목으로

분리한 경우(A)

공통편익을

기술분류체계의

편익으로

환산한 경우(B)

직접편익

(억원)

공통편익 104.88 -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한 통합 DB 4.93 51.26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장기 모니터링 0.50 28.68

흡읍블록 고도화 및 상용화 0.78 17.94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1.77 14.98

소계 112.86 112.86

간접편익

(억원)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활용한 통합 DB 0.54 0.54

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장기 모니터링 0.69 0.69

흡읍블록 고도화 및 상용화 0.15 0.15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0.12 0.12

소계 1.48 1.48

실물옵션가치(억원) 93.16 93.16

산업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억원) 375.0 375.0

부가가치유발효과(억원) 109.7 109.7

취업유발효과(명) 161.4 161.4

소계(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의 합) 484.7 484.7

총계 692.22 692.22

표 4-2-8 편익 관련 경제적 가치

※ 경제적 가치(억원)에서 A는 직접편익 항목 중 공통편익을 별도 항목으로 인정하고 계산한 경우, B

는 공통편익 항목을 기술분류체계 중요도를 기반으로 각 기술분류체계의 직접편익으로 환산하여 계산

한 값

Page 39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3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DB

가.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본 연구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측정된 지상 및 차상모니터링의 데이터를 통

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GIS기반 지리정보와 함께 속성자료를 통합

관리하여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GIS는 모든정보를

수치의 형태로 표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다량의 자료를 컴퓨터 기반으로 구축

되어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며, 필요한 형식에 맞추어 추출 및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GIS에서 제공하는 공간분석의 수행과정을 통하여 계획이나 정책수립의 시나리오의 분석과 의

사결정 모형의 운영 및 변화의 분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통합모니터링 정보에 구축된 데이터는 유지보수 검측차의 이력 및 작업보수를 입력가능하

도록 시스템으로 구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테스트베드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빈번히 발생되

는 구간에 대하여 본 시스템을 적용하여 유지보수 방법의 개선과 최적의 유지보수 기법 및 주기

등을 유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는 입력사항을 자동화

가 구현이 되지 않고 있으나, 실험 종료가 되면 자동적으로 위치를 동기화시켜 누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하여 상태기반의 유지보수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으며, 대량의 데이터를 누적될 경

우 Big Data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및 BIM 등 설계와 유지보수의 과학적인 체계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GIS기반으로 테스트베드 구간에 국한되어 있지만 개발 모델을 통해 모바일 기능을

확대하여 철도시설물의 속성과 이력정보 검색 및 작업자가 위치기반에서 이력사항을 실시간으로

사진 전송 및 입력할 수 있는 모바일 연동 유지보수 작업체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CM 기법이 도입시 제안된 역간 선로등급은 통과톤수 통계자료가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등급

이 설정되었으며, UIC 714에서는 규정에 따라 선로등급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의 산

정 및 유지보수 정책결정에 활용한 실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 여객전용선에 설치되어 통과

톤수가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혼용선구의 경우 여객과 화물 통과톤수 및 운행회

수 기관차의 종별, 통과속도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개발된 누적통과톤수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역간 통과톤수를 산정하고 이에 대한 선호등급 체

계를 응용하여 각종 유지보수 정책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전체 철도노선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인 예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철도시설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기본계획 수립”에 따르면

기존 철도시설의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을 인력중심의 유지관리와 이력정보 체계를 RAFIS의 구

축을 통해 철도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 시스

템과 RCM 기법을 통해 예방 유지보수 체계를 확립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설계와 유지

관리 체계의 전반적인 체질 변화와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정책이 기획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사적인 유지관리 체계의 변화에 궤도의 상태와 열화모형 제시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최고속도 400km/h급의 인프라 기반시설과 고속철도 운영속도가

300km/h로 제한되어 있는 운영속도를 향상 시킬 때 이에 대한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노선이다.

이러한 테스트베드를 사장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기초 및 원천 핵심기술을 구현할 수 있

Page 39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4 -

는 연구 인프라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예방보수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호남고속철도 구간 콘크리트 궤도의 운영환경에 적합한 궤도

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지보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KTMSYS(한국형 궤도관리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가 있다.

KTMSYS는 작업 실적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활용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고속선 선로유지관리에 필요한 궤도검측데이터인 궤

도품질지수(T.Q.I), 궤도틀림 등의 데이터 DB화를 통해 궤도의 상태에 대한 진전을 시간이력의 그

래프로 실시간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궤도틀림에 대한 진전양상을 운영기관, 연구자 등이 확인

하여 유지보수 측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콘크리트궤도의 상태평가 및 궤도틀림 진전예측, 유지

보수 전⦁후 비교분석, 작업조건에 따른 궤도 유지보수작업 최적화 기술 등 웹기반으로 협업지원

도 가능하고 각종 기준정보와 연동할 경우 다양한 상태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노반침하에 대한 유지보수는 침하계측자료와 궤도틀림자료를 분석하여 침하개소를 판별, 보

수 및 보강을 시행하고 있으나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 인적 오류 등 지속적인 집중관리에 한계가

있었던 실정이다.

따라서 궤도의 위치정보 인식과 궤도틀림의 실시간 모니터링, 다양한 검측데이터와 관리기준을 수

입하고 처리할 수 있는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따라 장기적인 데이터 누적을 통한 궤

도, 노반의 상태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다.

노반의 침하양상도 궤도검측과 마찬가지로 계측기 매설 이후 침하의 진전에 대해 시간이력의 데

이터 그래프로 표출함으로써 향후 노반 관련 유지보수 부분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노반의 종류별(표준성토노반, 연약지반노반, 접속부노반)로 취득되는 데이터는 각각에 대해서

철도설계기준의 충격계수 산정, 노반지지력 검토 등의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1) 연구분야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현장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들은 연구자들의 기초연구에 활용할 수 있

다. 테스트베드 구간에 취득되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분야는 궤도틀림과 차량 승차감에

대한 상관관계뿐만 아니라 윤중 및 횡압 데이터를 이용한 탈선계수 분석, 노반조건별/열차속도별/

통과톤수별 탈선계수 분석 및 동적윤중(충격계수) 변화 분석, 연약지반 침하량과 동적윤중(충격계

수) 변화 분석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테스트베드 구축에 의한 데이터 관리는 국내 연구자들이 철도관련 연구를 위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해야 하고 데이터 검색 및 분류체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연구자들

의 사고에 의한 데이터 검색 및 분류체계 도입과 향후 연구자들의 창의적인 사고에 의해 다양한

연구테마가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베드 구간에서 취득되는 각각의 데이터 검색을 통해 고

속철도 관련 연구자료로 큰 활용도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철도기술연구원에서 운영관리하고 있으며, 해당데이터는 연구목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 시설관리주체인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기관인 철도공사가 업무협

의를 통해 데이터의 활용방안을 위한 업무협의가 이루어져야 일반인에게 제공될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 테스트베드 구간으로 한정되어 운영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철도노선을

모두 반영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다만, 본 시스템은 향

Page 39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5 -

후 전 구간의 상태진단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전환하기 위하여 개발환경 및 운영적 노하우 등으

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상태진단평가분야로 확장하기에는 열화모델 또는 현재 상태기준을 평

가할 수 있는 관리기준값 등이 정의되어야 하며, 현재 시스템으로는 상태파악을 보다 쉽게 사용자

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측결과가 장기적으로 축적될 경우 궤도분야에서 적극적

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궤도의 이상개소에 따른 노반침하 등의 영향, 작업보수 전후의 차량의

주행특성, 취약개소의 주행특성의 장기거동 평가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철도기술연구원 자체연구사업 “GIS기반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운

영/관리” 연구를 2018년 12월까지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차 산업기술

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토부 “실시간 철도안전 통합 감시제어시스템 개발” 연구단과제에서 추진하고 있는 안

전정보를 실시간 감시, 분석하고 위험을 예측하는 안전관제시스템 구축 및 안전검지장치 성능개선

고도화를 진행중에 있다. 실시간 철도안전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빅테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된 시

스템과의 연계하여 궤도상태 진전도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분야에 본 시스템을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빅테이터 통합 플랫폼의 구성요소인

사고위험 예측알고리즘뿐만 아니라 궤도용품 및 열차주행안정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예측알고리

즘을 개발하는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5-1-1 실시간 철도안전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연구흐름도

일반적으로 CBM에 있어서 유지보수 의사결정의 제일 큰 목적은 Unplanned Maintenance의 가능

성 및 그 영향을 최소하는 데 있다. CBM 의 의사결정의 주요 결정 변수로는 유지보수 방법

(Repair, Replace, Continuously Use) 및 유지보수 시점 등이 있다. 의사결정 단계에서 내려진 유지

보수 방법 및 시기에 맞춰 유지보수를 실행하고 나서는 사후 분석을 통해 관련 결과들을

Feed-back할 필요가 있다. 즉, 진단시 추정했던 고장 관련 추정 정보(고장 모드, 고장 원인 등)와

실제 유지보수 후에 파악된 고장 관련 정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고, 예지단계에서 예측했던 잔

Page 39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6 -

여수명치와 유지보수 실행 후 파악된 실제 잔여수명치와의 비교를 통해 CBM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

표 5-1-2는 CBM 단계별 절차를 기존 제안방법과의 비교한 표이다. 표에서와 같이 데이터 취득,

진단, 예지, 제시 및 조치, 사후분석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기술을 정리하면 진단을 통해 다양한 데

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면 예지단계를 통해 의사결정지원 또는 고장진단을 예측하는 단계로

확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치를 하게 되면 사후분석을 통해 예측모델을 개선시키고 고도화시키

면서 CBM의 전체 과정이 최적화되어 간다.

표 5-1-2는 위에서 언급한 주요 CBM 단계별로 많이 쓰이는 기술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CBM

절차 및 기술을 기술한 것으로 데이터 취득, 진단, 예지, 제시 및 조치, 사후분석의 절차가 모두

완벽하게 추진되어야 유지보수의 정책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진

단평가하는 단계로서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점의 기능을 파악하는 데 개발되었다.

따라서 상태기반의 유지관리 정책과 관리기술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진단과 예지, 사후분석 단계까

지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신호 처리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Wavelet 및 Fourier 분석과 우주항공 분야에서

동적인 특성을 예측할 때 쓰이는 칼만필터 기법 등이 신호 데이터의 변환 및 결측치의 보정을 위

해서 자주 쓰이고 있다. 본 연구단계에서는 이러한 신호데이터 변화 및 보정을 위한 방법을 적용

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처리 기법을 고도화시켜

철도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진단 단계에서는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통계적 패턴인식기법(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Support Vector Machine), 메타 휴리스틱(Genetic Algorithms), 데이터 마이닝(Decision

Tree Induction), 인공지능기법(Fuzyy Logic, 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을 통해 고장을 진단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수행되지 않았으나, 향후 통계적 패턴인식기법

또는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하여 이상개소의 특성 등을 통계적 접근을 통해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진단(Diagnostics)단계에서는 유지보수 대상 시스템에서 무엇인가 이상한 징후를 발견

(Detection)하는 일과, 이상한 부분이 어느 곳인지를 찾는 일(Isolation), 그리고 발견된 이상 징후를

해석하여 이상징후의 원인, 현상에 대한 식별(Identification)을 하는 일들을 한다. 이를 위해 대상

시스템의 Failure Modes 및 Failure Causes(표 5-1-3 참조)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진단방

법에는 유분석, 누설검지, 균열검지, 음향, 부식, 전기저항, PH 측정, 회전속도 측정 방법 등이 있

으며 CBM 대상 자산의 고장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진단과 예지(Prognostics)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진단에서는 과거의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현재 시

점의 시스템 상태를 분석하지만, 예지에서는 지금까지의 상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경향을 파악하

여 앞으로 대상 시스템의 고장이 언제쯤 발생될지, 잔여수명(RUL, Re-maining Useful Life)을 추정

하거나, 남은 성능을 추정한다고 할 수 있다.

예측단계에서는 시계열분석(Time Series Data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신뢰성 이론

(Reliability Theory), Case Based Reasoning 기법 등을 이용하여 잔여수명 및 미래의 성능치를 예

측한다. 진단 및 예측을 위해서 쓰이는 기법들의 대부분은 데이터들이 충분히 확보가 되어야만 좋

은 결과를 줄 수 있는 기법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법의 하나인 Neural Network

기법은 초기 CBM 운영 시 다소 부정확하고 불완전한 데이터들이 수집된다고 해도 적용할 수 있

으며,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더 정확한 진단 및 예측치를 알 수 있다. 예측기법으로 쓰이는 Case

Based Reasoning 기법 역시 꾸준한 학습을 통해 진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적절한

Page 39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7 -

Case Base가 만들어져야만 그 결과 값들이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현이 되지 않

는 분야이지만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측과 진단평가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

어야 한다. 국내 대부분의 계측모니터링은 성능검증 또는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기준치 평가 등으

로 이용되고 있어 데이터 처리기법 등의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철도 인프라 분야의 경우

대부분 성능검증으로 연구가 마무리되어 사업이 종료된 후 데이터가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

하고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오류는 대부분 지속적인 예산투자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

고 신호처리 기법 등의 연구분야는 인프라 분야와 별도로 전자 또는 전기공학에서 다루기 때문에

학제간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철도시스템을 볼 때 예측기법의

기술은 지속적으로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이러한 분야에

집중투자하여 보다 고부가 지식산업으로의 기술창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표 5-1-1 CBM 절차 비교(신종호 등, 2014)

ISO13374 ISO13374-1 ThrustonOSA-CBM Jardine 외 2인 Chen 외 2인

데이터 취득Data Acquisition

Data Acquisition Sensor Module

Data Acquisition

Sensor & Data Acquisition

DataManipulation

SignalProcessing

DataProcessing

진단(Diagnostics)

State Detection Condition Monitor Condition MonitoringHealth

AssessmentHealth

AssessmentFault

Diagnostics예지

(Prognostics)PrognosticsAssessment Prognostics Predicting Remaining

Useful Life제시, 조치

(Presentation, action)

Advisory Generation

DecisionSupport

MaintenanceDecision Making

HealthManagementPresentation

사후분석(Postmortems)

표 5-1-2 단계별 주요 기술(신종호 등, 2014)

Phase Techniques- Data Processing - Kalman Filtering, - Wavelet Analysis, - Fourier Analysis

- Diagnostics

- Fuzzy Logic, - Artificial Neural Network- Genetic Algorithms, -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Hidden Markov Model, - 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Induction, - Logistic Regression

- Prognostics- Artificial Neural Network, - Reliability Theory- Statistical Analysis(ex. Regression), - Time Series Data Analysis- Case Based Reasoning

- Maintenance Operation and Decision

- Renewal Theory, - Math Programming, - Simulation, - MCDM(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Mission Profile Identification & Classification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Classification Theory(ex. -means Algorithm)- Determinant Analysis

-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Data Mining Techniques(Pattern Recognition, Decision Tree Induction, etc.)

(2) 위치동기화 분야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간에 노반 및 궤도관련 계측위치와 차상 관련 계측위치를 서로 위

치동기화 시켜 선로구축물 분야와 차상 분야를 서로 연계하여 향후 노반-차상데이터 분석에 용이

Page 39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8 -

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노반, 궤도를 검측하거나 검측차에서 하자발생위치를

확인하였고, 두 대 이상의 검측차와 철도차량을 이용하여 각각 별도로 검측한 데이터 검측결과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검측차를 이용한 궤도틀림 검측과 실제 운행차량(KTX, HEMU)의 응답(차량진동가속도, 탈

선계수, 승차감 등)계측기 별도로 수행되었으므로 궤도틀림과 차량응답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치동기화가 필요하다.

위치동기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궤도틀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궤도틀림 검측 데

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차량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정확한 궤도틀림 위치 파악을 통한 보수

구간 파악이 용이해진다. 궤도틀림 보수 필요구간의 정확한 위치파악으로 유지보수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적인 효과에 의한 활용성을 가지며, 궤도틀림-차량응답 상관관계 파악을 통해 궤도

틀림 기준의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승차감 평가를 궤도틀림 검측 결과와 연계하여 평가함으로써 궤도틀림 관리를 통한 효율적

인 승차감 관리가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철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상태기반의 궤도유지관리 과학화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신종호, 2014)

유지보수라 함은 대상 시스템을 원래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복구시키는 일련의 활동

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지보수 방법들에도 많은 종류가 있으며,

PM(Preventive Maintenance),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ECM(Effectiveness Centered Maintenance),

SMM(Strategic Maintenance Management), RBM(Risk Based Maintenance) 등 기존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유지보수 및 보전방법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보전정책을 크게 사후보전과 예방보전으

로 나누고 있으며, 사후보전은 설비가 고장난 이후에 조치를 취하는 유지보수 방식이고 예방보전

은 설비 고장 이전에 예방차원에서 유지보수를 펼치는 전략이다.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유지보수 방식은 과거 예방차원의 접근에서 예지차원을 넘어 선행해서

문제의 근원을 없애는 방향으로 점차 진화되고 변화하고 있다. 유지보수 정책에도 이에 따라 세분

화되고 있으며, Mobley는 유지보수 방식을 1) Run-to Failure Management, 2) Preventive

Maintenance, 3) Predictive Maintenance, 4) 기타(TPM, RCM)로 나누어 생각했다.

보전방식을 크게 Corrective와 Preventive 방식으로 나누었으며, Corrective 보전 방식은 다시

Immediate와 Deferred 방식으로 나누었다. Preventive 방식의 경우는 크게

Predetermined(Scheduled TBM)와 CBM으로 나뉘었으며, CBM은 다시 Scheduled, Continuous, On

Request의 경우로 세분화되었다. 최근 몇몇 연구자들은 기존의 CM 및 PM의 양분화된 보전방식의

분류체계에서 탈피하여 CBM을 따로 독립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즉, 보전방식을 크게 1) 고

장난 이후 조치를 취하는 Breakdown Maintenance(Corrective Mainten-ance, Reactive Maintenance,

Run-to-failure Maintenance), 2) 자산의 수리 주기를 결정하고 일정 수리 주기로 보전을 수행하는,

시간 기준 예방보전 방법인 Preventive Maintenance(Time Based Maintenance), 그리고 3) 자산의

상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이상 유무를 진단하고 고장시기를 예지하여 수리 시기를 결정하는

CBM으로 분류하였다.

Page 39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79 -

표 5-1-3 CBM 정의

출처 CBM정의

영국표준모니터링되는 기계의 상태변수의 변화에 의해 심각한 열화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

처하는 유지보수 방식

Butcher내장형 센서들/외장형/휴대형 측정장치들에 의해 실시간 혹은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수집되는 장비상태의 평가에 기반한 유지보수 활동의 집합

Kothamasu 외 2인

유지보수를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이 시스템 및 구성요소들의 상태에 의해 이루어지

는 의사결정 전략. 여기서, 시스템의 상태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느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어야 하고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

음. Bengtsson 성능 및 파라미터 모니터링, 그리고 이와 연관된 세부활동들에 기반한 예방보전

Gulledge외 2인

현재 운용중인 장비의상태에 대해 파악한 결과로서 취해지는 유지보수 활동들의 집

합. 내장형 센서 및 외부 측정 및 검사장비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

시간으로 평가된 장비의 상태를 판단하여 지금 막 시작된 고장을 예측하는 능동적

인 보전방식의 하나임.

CBM의 도입에 따른 이점은 유지보수 비용의 감소, 생산 품질의 개선과 설비 자산의 수명연장

및 가용성을 증대하는 장점뿐만 아니라 부품 재고량 감소와 교체시기를 연장하여 전체적으로 프

로세스의 시간감소 및 에너지를 절감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적용성을 높이고 있다. 반

면 CBM 적용의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초기 하드웨어 투자비용과 운여을 위한 작업자 훈련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과 투자대비 CBM의 성과가 단기간에 관리자들에게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유지보수의 대상이 되는 자산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CBM도입시 필요한 여러단계의 절차

들을 최적화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CBM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유지보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주로 경영과학 기법들 중 통계적 확률과정 이론(Renewal

Theory), 최적화 기법(Math Programming), 시뮬레이션,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MCDM) 등을 이용하

여 유지보수 의사결정을 위한 모델을 수립하고 최적해를 구한다. 시뮬레이션 기법은 시뮬레이션을

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이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는 반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는 반면, 확률과정 이론, 최적화기법,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들은 수립된 모델의 정확성

정도에 따라 해의 유용성이 달라지게 된다. Missing Profile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단계와 학습단계

에서는 표 5-1-3에 나와있는 것과 같이 여러 통계기법들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법들 역시 CBM이 운용되면서 Data들이 어느 정도 축정되어야 적용될 수 있는 기법들이다.

(4) 환경소음 분야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방음벽 상부 소음감쇠기(상단장치)의 경우 소음저감 성능으로 단일값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수음점의 이격 거리 및 높이에 따라 소음저감 성능 레벨

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측하였으나 입증할 수 있는 측정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호남고속

철도 테스트베드에서 활용하고 있는 환경소음 모니터링의 경우 Mesh망을 형성하여 이격 거리 별,

높이별 소음저감 성능을 확보하였고,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향후 상단장치 적용 시 다양한

현장에서 주요 민원지의 소음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격 거리 별 모니터링 측정데이터를 활용하여 환경소음예측 시뮬레이션 시 회절음에 대

한 소음감소 Input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BEM(Boundary element method)를 활용한 소음예

측 시뮬레이션 시 해석결과 검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열차소음 평가 시 소음진동 관리법에 의거하여 1시간 등가소음도로 평가하고 있다. 열차소음 평가

Page 40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0 -

의 대상이 고속선인 경우 다양한 열차종에 대한 소음도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열차소음도 평가가

가능하다.

환경소음 모니터링을 통해 KTX, KTX-산천, SRT, HEMU 등의 다양한 열차종에 대한 소음도를

측정한 데이터 확보. 모니터링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1시간 등가소음도 평가 시 보다 정확한

소음도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LCC 분야

현재까지 고속철도의 콘크리트궤도에 대한 유지보수자료가 없었다.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

간에서 취득되고 있는 데이터들이 장기간 축적이 되면 주요 궤도재료의 갱환주기 기준에 대한 기

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누적통과톤수와 레일의 수명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준 정

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레일의 마모와 계측된 통과톤수 현황을 실시간 검토 후 궤도재료 갱

환 여부 검토에 활용할 수 있다.

(5) 실용화 로드맵

통합모니터링 및 DB 실용화를 위한 GIS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운영방안의 로드맵은 아래와

같다.

그림 5-1-2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DB 실용화 로드맵

2. 지상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잔류침하 정확도 향상기술

가. 고속철도 궤도/노반 장기 모니터링

표 5-1-4은 고속철도 장기 모니터링 분야에서의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이다. 시스템, DB, 분석

결과 등 3분야로 구분하여 핵심 성과품으로 도출하였고 그에 따른 활용계획을 제시하였다.

기술명 핵심 성과품 활용계획

고속철도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 고속철도 장기 모니터링 시스템 (H/W, S/W)

․ 도심지 철도 근접시공시 철도 구조물 모니터링 활용하여 매출 (고속철도뿐만 아니라 기존 및 도시철도에 활용) ․ 400km/h급 테스트베드 구간에 현차시험시 활용 ․ “호남고속 노반 구조물 유지관리 계측“에 연계활용

침하 DB 및 활용 ․ 침하 DB 관리 프로그램 (DB 및 S/W)

․ 매년 수행되는 “호남고속 노반 구조물 유지관리 계측“에 침하 관리 DB로써 활용(침하 계속 추적 활용) ․ 도로, 단지 등에 확장하여 적용(상품화)

표 5-1-4 고속철도 궤도/노반 장기모니터링 기술의 관련분야 기여도

Page 40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1 -

나. 연약지반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연약지반 설계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잔류침하량 정확도 향상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핵심 성과품으로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활용 계획을 제시하였다(표

5-1-5 참조).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연약지반 설계정확도 향상을 위한 설계가이드라인(안)은

공단 KR code에 반영될 수 있도록 기술교류회 및 기술설명회를 개최하여 지속적으로 연약지반 설

계 방안에 적극적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연약지반 잔류침하 기준연구 등 본 연구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5-1-3 지상 장기모니터링 및 연약지반 설계정확도 향상기술 실용화 로드맵

3. 방음벽 상단장치 고도화

가. 연구성과물의 활용가능성

기존 선로변 방음벽으로 3dB(A) 이상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방음벽 높이를 약 2~3m 증가

시킬 필요가 있고 방음벽 높이가 높아지게 될 경우 풍하중에 의한 영향이 커짐에 따라 방음벽 높이

증가에 따른 기초 보강 공사가 추가가 요구된다. 기초보강 공사를 고려하여 방음벽 증설 시 시공비

를 상단장치 적용결과와 비교할 경우 방음벽 시공비가 1단계 성과품 적용 대비 70~130% 증가하고,

2단계 상단장치 고도화 성과품 적용 대비 90~150%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공구간의 경우

․ 연구 종료 후 침하 DB를 관리주체에 실용화 추진

고속철도 장기모니터링

․ 고속철도 장기 측정 및 분석결과 (DB 및 보고서)

․ 침하에 따른 궤도/노반의 구조안정성 영향 및 설계기준 검증 활용 ․ 설계침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 계속 활용

기술명 핵심 성과품 활용계획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보고서)

․ 고속철도 토공노반의 정확도가 향상된 잔류침하량 산정에 활용

․ 고속철도 잔류침하량 설계 가이드라인(보고서 및 설계가이드라인(안))

․ 굴착치환 및 선행하중재하 구간에 대하여 설계 잔류침하량 산정에 활용

표 5-1-5 설계 잔류침하량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분야 기여도

Page 40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2 -

방음벽 기초 증가에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으나 교량구간의 경우 방음벽 기초 증가와 함께 교량구

조 전반적인 구조변경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음민원이 제기되는 교량구간에 대한 상단장치

적용은 경제적으로 매우 큰 장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내부격자 압출 및 부자재 제거를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킨 2단계 상단장치 고도화 연구 성과품의 경우 1단계 연구 성과품 대비 20%

원가 절감을 달성하여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킨바 있고, 제품 중량도 약 20% 저감하여 시공성도 개

선되었으므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5-1-6 방음벽 대비 상단장치 경제성

출처 : 공증기관 방음벽 상단장치 원가계산서 p.12

나. 연구개발성과 활용방안

(1) 고속철도 운행속도 증가로 인한 소음민원 발생 수요

현재 SRT 개통과 함께 고속철도 열차 운행량 증가에 따라 고속철도 증속화가 실현될 경우 열차통

과소음은 약 7.0dB(A)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환경소음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

음벽 높이를 약 3m 이상 증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방음벽 높이 증가와 병행하여 소

음저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단장치 설치가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5-1-7 속도 증속에 따른 고속철도 구간별 방음벽 건설비용(상단장치 미적용)

출처 : 차세대 KTX 고속철도망 구축 전략보고서, 국토교통부, 2016

표 5-1-8 상단장치 적용에 따른 고속철도 구간별 방음벽 건설비용

출처 : 차세대 KTX 고속철도망 구축 전략보고서, 국토교통부, 2016

번호 규격

상단장치의 경제성2m 경간 방음벽

2m 증설시4m 경간 방음벽

2m 증설시비고

1단계 성과품2단계 고도화

성과품

1재료비(m/원)

(운반비/VAT 포함)439,406원 380,000원 이하 535,013원 458,730원

*방음벽 증설시 기초보강을 하지

않는 경우의 원가를 산출함

2 부자재/시공(m/원) 208,186원 132,000원 이하 955,615원 633,567원

합계647,592원 512,000원 이하 1,490,628원 1,092,297원

100% 79% 이하 230% 170%

고속철도 구간 방음벽 증가 높이 설치연장 추가량 증가 필요 개소 공사비용(억원)

경부고속철도 1단계 6.5m 400m 45 647.6

경부고속철도 2단계 12m 800m 25 968.1

호남고속철도 4.5m 450m 20 161.1

수도권고속철도 4.5m 450m 6 53.7

합 계 1,830.5

고속철도 구간방음벽

증가 높이설치 연장 추가량

증가필요개소

방음벽 추가비용(억원)

상단장치 적용 비용(억원)

총 추정비용(억원)

경부고속철도 1단계 0m 400m 45 463.1 58.3 521.4

경부고속철도 2단계 8m 800m 25 617.1 64.7 681.8

호남고속철도 0m 0m 20 0 29.1 29.1

수도권고속철도 0m 0m 6 0 8.7 8.7

합 계 1,080.2 160.8 1,241.0

Page 40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3 -

(2) 타 산업분야 소음저감 수요

연구 성과물의 활용방안으로 고속철도 외 타분야 소음저감 수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

로 예상된다. 한 예로 1단계 성과물을 미사리 경정경기장 소음민원에 대한 저감대책으로 적용된

사례가 있다. 경정경기장의 소음 주파수 스펙트럼이 상단장치 1단계 성과물의 소음저감 주파수 대

역과 유사하였으며, 상단장치 설치 전 소음도 54.9dB(A)에서 상단장치 622m 적용 후 50.9dB(A)로

4.0dB(A) 저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상단장치 성과물의 타 산업분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

상되며, 최근 도심지 민자 플랜트 건설로 인해 지상으로부터 높이 20m 이상 상부에 설치되는 냉

각탑과 같은 소음원의 경우 상단장치를 활용한 소음저감대책 활용방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5-1-4 미사리 경정경기장 상단장치 시공 예시 및 납품실적증명서

다. 최종성과 활용계획의 구체성 및 실현가능성

속도 증속에 따른 고속철도 운영선의 방음벽 높이 증가 및 설치 연장 추가 개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음저감을 위한 공사비 절감, 승객의 조망권 확보 및 검증된 소음저감성능을 바

탕으로 고속철도 및 고속화 일반철도 방음시장에 급속도로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5-1-9신규 및 건설중인 고속철도 사업구간

출처 : 철도업무편람, 국토교통부, 2016.9

노선명 사업구간 연장[km] 비 고

경부고속선 수색∼서울∼금천구청 30.0 신규추진

경부고속선 평택∼오송 47.5 신규추진

호남고속선 2단계 광주∼목포 66.8광주송정∼고막원 구간 공사 중(1공구 설계 반영, 판매 협상 중)

원강선 원주∼강릉 120.717년 12월 개통 예정

(개통후 소음민원구간 적용 협의 중)

중앙선 청량리∼서원주 86.4 기존선 고속화

합 계 351.4

Page 40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4 -

표 5-1-10 고속철도 증속에 따른 구간별 방음벽 추가 설치 현황

출처 : 차세대 KTX 고속철도망 구축 전략보고서, 국토교통부, 2016

그림 5-1-5 방음벽상단장치 고도화 및 상용화

4. 흡음블럭 고도화

가. 국내시장 적용처 확대 및 해외시장 진출

호남고속철도 구간의 소음관련 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운영기관에서는

지속적으로 소음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영선로 중 특수교량 및 터

널 진출입부등 방음벽의 설치가 불가한 구간 등에 최적의 대안으로 흡음블럭이 설치되고, 검토되고

있다. 도시철도용 도상흡음블럭의 경우 서울메트로 구간 및 타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기존 자갈도

상 구간을 내진보강 공사를 시행하며 콘크리트 도상으로 변경하여, 소음관련 민원이 발생한 구간에

대해 2016년 4개소에 대해 설치를 시행하여, 소음저감 효과를 확인하고, 부산교통공사의 경우, 2017

년 다대선 연장구간의 곡선구간 3개소에 대해 설치를 시행하여 소음저감 효과를 확인 함으로써, 그

적용폭을 넓혀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1단계 사업에서 개발된 초고속철도용 흡음블럭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의 성능으로 개발되었으며, 최초 개발 당시 벤치마킹된 외국 제품보다 우수한 성

능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설치 운영실적이 적은 단점과 개발품의 단위 중량, 개발단가 등이 실용화

를 위한 문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운행선에 적용하여, 장기적 성능 검증 및 소음저감성능 검증, 제품의 단위

중량 감소, 가격 경쟁력 강화를 통해 제품 적용의 신뢰성을 확보하였기에 열차소음 민원 발생 지역

에 대해 관리주체와 협의 및 적극적인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고속철도 흡음블럭 국내 시장에의 상용화 구간을 확대하고, 적용실적을 증대하여, 향후 국외 제작

사와의 협력 및 기술이전을 통해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철도 구간 방음벽 증가 높이 설치연장 추가량 증가 필요 개소

경부고속철도 1단계 6.5m 400m 45

경부고속철도 2단계 12m 800m 25

호남고속철도 4.5m 450m 20

수도권고속철도 4.5m 450m 6

Page 40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5 -

나. 연구성과 실용화

현재 국내에서 개발품과 관련하여 경쟁 업체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국내시장점유율은 100%가 예

상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호남고속철도 주변의 소음민원 해소 및 주민 생활불편 최소화를 위해

추가 방음시설 설치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이후로도 KTX열차 운영에 따른 소음 등의 사후환경영

향조사를 2018년까지 계속 시행해 주민의 생활불편을 최소화 하겠다는 뜻을 밝힘으로서, 향후 소음

민원 발생구간에 대한 흡음블럭의 적용여부 검토는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호

남 및 수도권 고속철도 구간의 5%에 대해 복선으로 개발품을 적용하게 될 경우, 111.7억원의 매출

기대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5-1-11 KTX열차 운영에 따른 예상 매출액

구 분 연장 점유율 목표 예상 매출액

호남 고속철도 249.1 km 5 % 89.7 억

수도권 고속철도 61.1 km 5 % 22.0 억

합 계 310.2 km 5 % 111.7 억

그림 5-1-6 흡음블럭 고도화 및 상용화

2. 중장기적 실용화를 위한 정책 제언

본 연구에서는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인프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소음

저감장치 고도화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중장기적 실용화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책

적 제언은 아래와 같다.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및 잔류침하량 예측 정확도 향상 기술

- 철도 모니터링은 주요 수요자가 공사 및 공단이며 따라서 B2G 모델에 따라 BM 수립 전략이 필

요함. 특히 유지관리 계측,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제품 성능평가 모니터링 등의 세부 분야에 대

한 전략적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

- 또한 사회 안전 측면에서 유지관리 및 안전관리 모니터링은 주요 시장으로 볼 수 있음

- BM 목표는 시장의 세부 요구파악(측정·분석, 대책수립 등의 조합 엔지니어링), 편의성(무인운

영, 인증된 범용장비 사용 등), 가격 경쟁력(기술력과 낮은 원가) 등을 갖춘 모니터링 시스템 개

발이 필요함.

Page 40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6 -

- B2B 의 경우 신규 시장을 타겟으로 최신 IoT 센싱 기술과 융합한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하여 근

접시공, 기상 및 환경, 도로구조물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음

소음저감 장치 고도화 및 실용화

- 철도소음 저감을 위한 연구에서는 상용화를 목표로 하였으나 생산 초기부터 물량의 많지 않아

생산 단가가 높음.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함

- 또한 개발 기술에 대한 교통신기술 인증 추진, 신기술 취득 등 철도 운영선 적용을 통한 상용화

실현

- 장기적으로 도로교통과 철도교통을 구분하는 모델을 다양화 하여 수익창출의 시장 확장이 필요

- 주요 수요자가 공사 및 공단인 점을 감안하여 B2G 모델에 따라 비즈니스 전략 수립

Page 40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7 -

제6장.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협동/공동과제

(연구분야)

방문지역(기관명)

기간 수집 정보

GIS 기반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DB

일본(동경)2017년 일본철도

박람회17.11.28.∼12.1

일본의 상태진단기반 유지보수 관련 기술동향 파악 - 국내 GIS기반 통합모니터링시스템 구축과 관련하여 최근 일본의 철도산업분야 센싱, 통신 네트워크, 정보처리 등 ICT를 접목한 기술 개발 현황 공유 ·육안조사 등 경험적이고 인력중심의 점검/관리를 지양하고자 “적외선 이미지 판정기술”, “균열 매핑기술”, “태블릿 PC 데이터베이스 연계” 등 기술개발 -“레이저 센싱, 카메라 감지” 등 IoT를 접목한 안전사고 예방 기술 개발 ·승강장 추락, 자살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다양한 레이저 센싱 및 카메라 감지 기술과 이를 연동한 첨단시스템 개발 -“검측모듈을 영업차량에 장착”하여 상시검측 및 운영 효율성 확보 기술 개발 ·독립적인 선로 검측장비(궤도검측, 레일탐상 등) 운영을 지양하고, 자체 개발한 검측모듈을 영업차량에 장착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고속철도 토공노반/궤도 장기 모니터링

일본(동경)((i-Contruction)

2017.07.05

- 모니터링 분야에서의 IoT 게이트웨이 기술(Armadillo-IoT) ․ TML 로거와 연동(철도에 많이 쓰임)- 철도 연변 토사 재해 모니터링 기술(지구관측주식회사) ․ 무선기술, 빅데이터, 스마트폰연동- GNSS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Core Corporation) ․ 통신을 GNSS 사용(철도에 유용함)- 3D-Radar 탐사 기술(노반분야)(GMS3) ․ 다중주파수 사용

상단장치 홍콩 2017.08.27.~30

- 교통소음에 대한 계절별, 월별, 일별 장기간 모니터링 및 분석법(Polytechnic university of Catalonia, Spain)- Remote acoustic sensor 네트워크를 통한 뉴욕시 소음도 모니터링(New york university, USA) - 장기 소음 모니터링과 도시계획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Vibrocomp, Dubai)- FEM을 이용한 방음벽 상부 Acoustic Cavity에 의한 삽입손실 예측(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China)- 고속열차 소음에 대한 방음벽 음향성능 평가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Central south university, China)- 터널 입구완충공의 흡음재 부착을 통한 열차소음 저감방안 (West japan railway company, Japan)

표 6-1-1 해외 과학기술 정보

Page 40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8 -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해당사항 없음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구입

기관

연구시설/

연구장비명

규격

(모델명)수량 구입 연월일

구입 가격

(천원)

구입처

(전화번호)

비고

(설치 장소)

NTIS장비

등록 번호

해당사항 없음

Page 409: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89 -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 조치 이행 실적

1. 호남고속철도 테스트베드 현장부설에 따른 안전조치

가. 운영선구간내 안전조치 이행

현재 호남테스트베드 구간은 정읍∼익산 고속운영선 구간으로 연구성과품을 현장부설 및 장기

성능평가를 위하여 선로내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교육과 안전조치를

실시하였다. 한국철도시설공단(호남본부)와 한국철도공사 및 철도공사 정읍고속시설사무소와의 긴

밀한 업무협의를 통해 안전관리자 입회하에 주간 및 야간작업을 통해 지반시추조사 및 터널내 흡

음블럭 설치와 방음벽상단장치를 안전하게 부설하였다. 현장부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운영선로의

열차지장과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기관과 합동점검을 통해 보수작업을 실시하여 향

후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림 9-1-1 철도안전법 제45조 철도보호지구의 범위 및 행위신고 절차

그림 9-1-2 안전교육 교육자료 및 배포자료

그림 9-1-3 안전교육 실시 및 현장사진

Page 410: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0 -

그림 9-1-4 안전관련 절차서 및 양식

그림 9-1-5 현장부설 사진

나. 선로내 현장부설을 위한 안전성능 검증

현장 시공에 따른 안전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2017년 11월 08일 유지관리 담당

Page 411: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1 -

자를 대상으로 소음저감장치(방음벽상단장치 및 흡음블럭) 현장 시공에 따른 안전관리 위험요인

및 보완사항 도출을 위한 회의를 시행하여 총 10건의 검토의견이 도출되어 수정보완하여 현장부

설을 완료하였다.

(1) 연구성과품의 운영선 영구시설을 위한 합동점검

고속선 운영구간에 설치된 연구성과품의 영구시설을 위하여 정읍시설사무소와 합동점검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성 확보와 보수작업을 통해 현장에 설치하도록 하였다.

운행선 인접구간에 설치된 방음벽상단장치의 경우 도색작업과 볼트체결부 및 이음매의 결손상태

등을 합동점검하여 하자보수를 마무리 하였다.

그림 9-1-6 보수작업 및 합동점검

Page 412: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2 -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번호

구분(논문/특

허/기타)

논문명/특허명/기타소속기관명

역할논문 게재지/특허 등록

국가

영향력 지수

논문 게재일/특허 등록일

사사 여부(단독 사사

또는중복 사사)

특기 사항(SCI

여부/인용 횟수 등)

1등재논문

400km/h급 고속철도 환경소음저감을 위한 선로 변 벽체 상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유니슨테크놀러지(주)

대한환경공학회지/대한민국

100% 2017.12.12 단독 사사

2등재논문

공명형 방음벽 상단장치의 음향성능 평가 방안

유니슨테크놀러지(주)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지/대한민국

100% 2017.12.16 단독 사사

3등재논문

변위 의존 마찰력 방진장치의 진동저감 특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학회

/대한민국100% 2017.12 단독사사

4등재논문

현장침하 DB를 이용한 콘크리트궤도의 하부노반의 잔류침하특성평가 및 분석

한국철도기술연구원/지구환경전문가그룹

한국철도학회

/대한민국100% 2018.02 단독사사

5등재논문

점성토의 유한요소해석에서 전단파라미터에 따른 성토 및 굴착거동

지구환경전문가그룹/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지반공학회

/대한민국100% 2018.03 단독사사

6등재논문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상 토공노반의 장기거동 특성 연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지구환경전문가그룹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대한민국

100% 2018.04 단독사사

7국제발표

DEVELOPMENT OFONP-TRAIN ANDGROUND-BASEDMONIITORING SYSTEM\ FOR HIGH SPEEDRAILWAYS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way Engineering

/영국100% 2017.01.06 단독 사사

8국제발표

A study on the acoustic performance anddurability monitoringmethod of interferencedevice for noisereduction of the highspeed railroad using honam high-speedrailroad test-bed section

유니슨테크놀러지(주)

Internise 2017/홍콩

100% 2017.08.27 단독 사사

9 특허고속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 블럭

지이티피씨

대한민국 - 2017.01.17 -

10 특허방음벽 상단장치(Device Equipped on the Top of Soundproofing wall)

유니슨테크놀러지(주)

대한민국 - 2017.12.01 -

11 특허철도 레일용 일체형 센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지구환경전문가그룹

대한민국 - 2018.03

12프로그램

호남테스트베드 구간 키로정 좌표 변환 프로그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한민국 - 2016.12.01 -

Page 413: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3 -

13프로그램

열차누적통과톤수 자동화산정 프로그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한민국 - 2016.12.05 -

14프로그램

철도 토공노반/궤도 모니터링 프로그램

지구환경전문가그룹

대한민국 - 2016.12.19 -

15프로그램

차상가속도 웨이브렛 분석 프로그램

한국철도기술연구

원대한민국 - 2018.02.22 -

16프로그램

윤하중을 이용한 고속열차 통과 하중분석 프로그램

지구환경전문가그룹

대한민국 - 2018.02.12 -

17프로그램

누적통과톤수 자동화 프로그램

세종지오텍

대한민국 - 2016.10.13 -

Page 414: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4 -

제11장. 기타사항

해당사항없음

Page 415: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제12장. 참고 문헌

1. 강영석,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에서 토공노반 침하에 대한 유지보수방안 연구”, 우송대

학교, 2013

2. 국토교통부(2013) “400km/h급 고속철도 테스트베드 구축 실행 보고서”

3. 김영하 외,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고속철도 토공노반 침하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

학회논문집, Vol 31, No 5, pp.67~74

4. 김주원 외 (2013) “경부고속 1,2단계 KTX 주행진동 특성 비교”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

회 논문집

5. 노일권 외, “성토체 자중에 의한 제체의 압축성 산정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

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4270~4284

6. 박근영, “반복하중에 의한 철도 성토구조물의 소성변형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

교 철도전문대학원, 2011

7. 박성현 외 (2016) “GIS기반 호남테스트베드 통합DB 기본설계”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용역

과제

8. 백태경 (2007) “GIS기반 도시물류시설 DB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9. 서사범 (2005) “고속선로의 관리”

10. 서사범 (2006) “선로공학(개정2판)”

11. 소음환경영향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II), 국립환경과학원, 2009, pp 9-11

12. 송성준 외 (2016) “철도 상태기반 유지보수를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한국철도학회 춘

계학술대회 논문집

13. 신종호 외(2014), “상태기반 보전 방법에 대한 고찰 및 사례 소개” 정보기술학회논문

집, Vol.13, No.3, pp.123∼138.

14. 심진호, “경부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의 비교분석과 장기계측을 통한 침하연구”, 우송대

학교 철도대학원, 2011

15. 엄기영 외 (2012) “고속철도 인프라 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한국철

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6. 유정수 (2012), 철로 진동 및 소음 해석을 위한 수치 모델링, 기술자문보고서, 한국철도기술

연구원

17. 윤제원 외 4, “방음벽의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의 검토”,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

술대회논문집, 2001, pp449~455

18. 이관섭 외 (2016) “철도차량 상태기반 유지보수체계 추진 전략”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

대회 논문집

19. 이관섭 외 (2016) “철도차량 상태기반유지보수 연구” 한국철도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

문집

20. 이일화 외, “콘크리트궤도 토공노반의 허용잔류침하량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

회 2007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115~1119

21. 이준석 외 (2017) “철도시설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

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2. 조준호 외 4인, ‘철도소음 저감용 방음벽의 현장 소음저감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9, pp880∼881

23. 철도기술연구원 (2013) “철도운영 및 유지보수 효율화 기술개발 기획”

24. 철도소음측정망 설정을 위한 조사, 국립환경과학원, 2002

Page 416: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6 -

25. 최일윤 외 (2017) “궤도유지보수를 위한 차량진동가속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한국

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6. 한국도로공사(2012), “공용중인 고속도로 교량접속부 주행성 개선방안연구”

27. 한국철도시설공단 (2015), KR C-14040

28. 한국철도시설공단 (2012) “ KR-CODE 2012”2012.12.5. 개정

29. 한국철도시설공단 “선로유지관리지침” 2012.12.31. 개정

3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3) “일반철도 유지보수 합리화를 위한 궤도틀림기준 개발”

31. 한국철도시설공단 (2016) “철도설계기준”

32. 황선근, 장승호 외, 철도 소음․진동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영향예측 방안 연구, 한국철도시

설공단 용역 보고서, (2013)

33. 400km/h 고속철도 운행을 위한 환경소음저감 핵심기술개발 최종 보고서, 2015, 국토교통과

학기술진흥원

34. Adam M, Pflanz G, and Schmid G (2000): Two- and three-dimensional modelling of

half-space and train-track embankment under dynamic loading .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19(8), pp.559~573, 2000.

35. Anderson W F (2000): Model testing of two-layer track ballast.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6, No 4, pp.317~323, 2000.

36. Andersson C and Abrahamsson T (2002): Simulation of interaction between a train in

general motion and a track. Vehicle System Dynamics, Vol 38, No 6, pp. 433~455, 2002.

37.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noise reduction systems on Dublin’s light rail system

38. Bruni S and Collina A (2000): Modelling the viscoelastic behaviour of elastomeric

components: An application to the simulation of train-track interaction. Vehicle System

Dynamics, Vol 34, No 4, pp.283~301, 2000.

39. Bullen F, Mangan D A and Bethune J (1998): Review of the international use of of

asphalt for rail track systems. Proceedings - Conference of the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Transport, pp.249~265, 1998.

40. Charles J.A and Skinner, H.D(2001) Compressibility of foundation fills,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Geotechnical Engineering 149 Issue 3, 2011

41. Chrismer S and Davies D (2000): Cost comparisons of remedial methods to correct track

substructure instabil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713, pp.10~14, 2000.

42. Chrismer S and Read D M (1994): Examining ballast and subgrade conditions. Railway

Track and Structures, Vol 90, No 6, pp.39~42, 1994.

43. Chung, J. Y. and Blaster, D. A., 1980, Transfer function method for measuring in-duct

acoustic properties, J. Acoust. Soc. Am., 68, pp.907~921.

44. Clark M, McCann D M and Forde M C (2002): Infrared thermographic investigation of

railway track ballast. NDT and E International, Vol 35, No 2, pp.83~94, 2002.

45. C.M. Nilsson, D. J. Thompson, P.R. White and J. Ryue (2009). A waveguide finite element

and boundary element approach to calculating the sound radiated by railway and tram

rail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321, pp. 813-836, 2009.

46. Dahlberg T (2001): Some railroad settlement models - a critical review.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F, Journal of Rail and Rapid Transit, Vol

215 No F4, pp.289~300, 2001.

47. Dahlberg T (2002a): Linear and non-linear track models for simulation of track

Page 417: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7 -

responses.

48. D.J. Thompson, C.J.C. Jones, and N. Turner,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of

two-dimensional models for sound radiation from waves in rail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13(4), 2003, pp. 1965-1974.

49. D.J. Thompson (2009). Railway Noise and Vibration: Mechanisms, Modelling and Means of

Control, Elsevier Ltd.

50. Eisenmann J (1995): Ballastless track as an alternative to ballasted track. Rail

International, Vol 11, pp.19~28, 1995.

51. EN 1794-1, "Road traffic noise reducing devices - Non acoustic performance"

52. EN 1992-1-1, "Eurocode2:Design of concretestructures–Part, 1-1:Generalrulesandrulesforbuildings", EuropeanStandard, 2004

53. Gao L and Fan J (2000): New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exes of ballas

t quality for high-speed railwa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Traffic and Transpo

rt Studies, ICTTS, Beijing, China, pp.784~788, 2000.

54. Gordon M. Matheson, Relationship between compacted rockfill density and gradation, Jou

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12, No 12, 1986

55. Gordon M. Matheson, William F. Parent,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two large roc

kfill embankment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15, No 12, 1989

56. High railway rolling noise reduction by combining existing track based solutions, Pactrick

Vanhonacker et al.

57. Hunt H E M (1997): Settlement of railway track near bridge abutments.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Transport, Vol 123, No 1, pp. 68~73, 1997.

58. Hyslip J P (2002): Fractal analysis of track geometry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

rd, No 1785, pp.50~57, 2002.

59. Igeland A (1999): Dynamic train/track interaction: Parametric study and comparisons with

full-scale measurements. Heavy Vehicle Systems, Vol 6, No 1, pp.221~237, 1999.

60. Indraratna B and Iunescu D (1999): Deformation of ballast under static and dynamic load

ing. Proceedings, Pre-Failur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materials, Vol 1, pp.283~

290, 1999, A A Balkema, Rotterdam.

61. ISO 3095, “Railway applications – Acoustics – Measurement of noise emitted by rail bo

und vehicles”, (2005)

62. ISO 9613-2, "Acoustics - Attenuation of Sound During Propagation Outdoors - Part 2: Ge

neral Method of Calculation," ISO, 1996.

63.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2015),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Road T

echnology in Disaster Affected Area in Myanmar, Soft Ground Treatment Manual”

64. Jun-Ho Cho, “Suggestion of assessment height for nois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v

ertical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railway noise”,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i

mpact assesment, 23(1), 29∼37(2014)

65. Katzenbach R, Arslan U, and Heineke S (1999): Simulation of the long-term behaviour o

f the track in model scale tests. Proceedings,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Transportatio

n Infrastructure, Vols 1-3, pp.1815~1821, 1999, A A Balkema, Rotterdam.

66. Kim, C. H, Chang, T. S., Kim, D. S., Kim, D. J. and Chang, S. I., 2010, A study on the t

est method for noise reduc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noise barriers, Transactions of t

Page 418: 호남테스트베드 최종보고서 1장.hwp

- 398 -

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0, No. 9, pp.791~796.

67. Kim, J. T., “Installation effect on noise reducer for railway traffic noise”, Journal of t

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0(1), 145∼149(2007)

68. Klaus Lieberenz, Claus Gobel, Handbuch Erdbauwerke der Bahnen, Eurail press in Germ

any, 2004

69. Lei X and Chen S S (2000): Space dynamic analysis of track structure of high speed rai

lwa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Traffic and Transport Studies, ICTTS, Beijing, C

hina, pp.770~775, 2000.

70. Makoto Ishida and Shigeru Miura and Akiko Kono, "The Influence of Track Stiffness on

Track Dynamic Behavior", QR of RTRI, Vol. 38, No. 3, 1997

71. Makoto Sunaga and Hisamitsu Ikeuch and Characteristics of Compaction and Settlement

for Railroad Ballast, RTRI Report, Vol. 9, No. 7, 1995

72. McDowell G R, Lim W L and Collop A C (2003): Measuring the strength of railway balla

st. Ground Engineering, Vol 36, No 1, pp.25~28, 2003.

73. Narayanan R, Kumke C J and Li D (1999): Railroad track monitoring using ground penet

rating radar: simulation study and field measurements. Proceedings of SPIE - The Intern

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Vol 3752, pp.243~251, 1999.

74. Nwabuokei, S.O. and Lovell, C.W., Compresibility and Settlement of Compacted Fills, Co

nsolidation of Soils : Testing and Evaluation, ASTM, 1986

75. Plotkin D and Sandhaas L (1999): Simplified track evaluation for low-speed, low-traffic

76. Railroad lin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691, pp.33~43, 1999.

77. Raymond G P (2002): Reinforced ballast behaviour subjected to repeated load. Geotextile

s and Geomembranes, Vol 20(1), pp.39~61, 2002.

78. Reducing Railway Noise with Porous Sound-Absorbing Concrete Slabs, Caiyou Zhao et al., 2014

79. Sato Y (1995): Japanese studies on deterioration of ballasted track. Vehicle System Dyna

mics, Vol 24(Supplement), pp.197~208, 1995.

80. Selig, E.T. and Waters, J.W., “Track Geotechnology and Substructure Management”, T

homas Telford Ltd, London, England, 1994

81. Shahu J T, Rao N S V K, Yudhbir (1999): Parametric study of resilient response of trac

ks with a sub-ballast layer.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36, No 6, pp.1137~1150,

1999.

82. Wu T X and Thompson D J (2001): Vibration analysis of railway track with multiple wh

eels on the rail.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39, No 1, pp.69~97, 2001.

83. Zach A (2000): Vibration insulation research results in Switzerland.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31, No 3, pp.877~882, 2000

84. 伊勢田ほか (1972), 粘性土を材料とする高盛土の沈下、土木技術資料、14-6, pp.5~10.

85. 石井 (1976), 盛土の圧縮沈下、日本道路公団試験所技術情報、32号、pp.15~18.

86. 石井恒久 (1977), 盛土の圧縮沈下について,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No. 1001,

P.13~20

87. 日本ロ土質工学会 (1979), 盛土の調査․設計から施工まで、現場技術者のための土と基礎シリ

ズ4. pp.182~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