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BAUHAUS 1416404 박 수 빈 ABOUT
13

박수빈 1416404 디문

Apr 13, 2017

Download

Desig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박수빈 1416404 디문

BAUHAUS

1416404 박 수 빈

ABOUT

Page 2: 박수빈 1416404 디문

INDEX

BAUHAUS 란?

바우하우스의 역사

바우하우스 이념과 교육관

바우하우스 교수진 그리고 영향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에필로그

Page 3: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란

슈타틀리헤스 바우하우스 혹은 줄여서 바우하우스는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 에서 설립·운영된 학교로, 미술과 공예, 사진, 건축 등과 관련된 종합적인 내용을 교육하였다. 발터 그로피우스가 1919년 바이마르에서 설립했다가, 1925년 데사우로 옮겼다. '바우하우스'는 독일어로 '건축의 집'을

의미한다. 1933년 나치스에 의해 강제로 폐쇄되기 전까지 14년간 운영된 새로운 형태의 예술교육기관이다. 바우하우스의 양식은 현대식 건축과 디자인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이어지는 예술, 건축, 그래픽 디자인, 실내 디자인, 공업 디자인,타이포그래피의 발전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Page 4: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의 역사

Walter Adolph Georg Gropius(1883년 5월 18일~1969년 7월 5일)

기술은 예술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술은 기술을 필요로 한다.

베를린 출신의 전도유망한 건축가. 기존의 학교와는 다른 교육 이념과 커리큘럼을 갖고 출발한 그야말로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주도하였다.

여기에는 바우하우스 구상에서부터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진 선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총괄한 교장 발터 그로피우스의 역할이 지대했다. 또한, 발터 그로피우스는

바우하우스를 통해 단지 훌륭한 예술 대학으로서의 의미보다는, 모든 경우의 창조적인 잠재성을 유도하고자 하는 공공단체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싶었다고 전하며,

근대 디자인 운동 메이커로서 디자인 교육의 기초자세를 세계에 과시하였다.

Page 5: 박수빈 1416404 디문

1919년, 바이마르 공예학교와 바이마르 미술학교가 합병하여 '국립 바우하우스 바이마르'가 설립되었고, 초대 교장으로 그로피우스가 취임하였다. 이후, 바이마르의

바우하우스가 폐쇄되어, 1925년에 데사우로 이전, '데사우 시립 바우하우스'가 되었다. 이 시기에 정식 건축과정이 설립되어 건축을 중심으로 모든 조형분야를 종합한다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다. 그로피우스는 1928년 교장직에서 물러나, 하네스 마이어가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마이어는 과격한 기능주의자로 예술을

집단사회의 표현으로서 모든 사람을 위해 서로 규정된 객관적 질서로 이해하여 생활이나 기능을 떠난 기하학적 형상을 부정하였다. 그는 1930년에 해임되어, 미스 반 데어

로에가 교장에 취임하였고, 정치적 변동으로 인해 1932년에는 학교가 폐쇄되었다. 이후 베를린으로 이전하여 사립학교가 되었지만 결국 1933년, 나치에 의해 폐쇄되었다.

바우하우스의 역사

Page 6: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의 이념

예술과 기술의 통합

발터 그로피우스는 라슬로 모흘리나기의 지원에 힘입어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통합”이라는 슬로건 아래

바우하우스의 교육 방향을 중세주의와 낭만주의적 공예 중심에서 보다 확실하게 산업디자인 중심으로 궤도를

수정한다 .또한 발터 그로피우스는 새로운 미학이라는 것의 혁신성은 열린 정신과 적극적인 실험 정신에서

생긴다고 말했다. 어찌 보면 바우하우스는 교육의 장이었다기 보다는 실험의 장이었다.책임에 있어 마이스터와

학생이 서로 나눠 가졌고 실험적인 작품에 있어 교수나 학생 양측 모두 망설임이 없었기 때문이다.

Page 7: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은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는데,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은 다른 나라들이 참고할 만큼의 가치가 있었다. 즉, 오늘날 세계 각지의 미술대학의 교과과정 중에는 바우하우스의 커리큘럼을 따른 것이 많다. 보통 1,2학년까지는 구성, 소묘 판화, 해부학, 색채학 등을 이수하고, 3학년부터는 각자의 취향에 따라 도안(현재의 시각디자인), 염색공예, 도자기공예, 금속공예를 이수한다. 특히 금속, 요업, 섬유재료학 등은 화공계 교수에 의해 지도되며, 이렇게 재료학에 대한 비중이나 전공과목에 전문 기능인을 두어 교수의 수업을 보조하도록 꾀한 점은 공방 작업에 기초를 둔 조형분야의 유기적 연계와 창조적 전개를 유도한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바우하우스는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수한 표준을 만드는 것에 전념했다. 바우하우스에 있어서 표준형의 의미는 만들기 쉬운 공장생산품의 의미가 아니라 문명사회에 있어서 최고수준의 원형을 의미하며, 우수한 품질을 가지며 본질적인 것이었으며 예술을 산업제품이라는 현실과 잇고자 하는 점에서 예술과 수공업, 산업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바우하우스의 디자이너들은 이상적인 용도에 알맞다는 점에서 이론의 여지가 없는 제품형태를 위한 탐구과정에서 오늘날 기능주의의 고전이라 불리는 불멸의 디자인들을 탄생시켰다

바우하우스의 교육관

Page 8: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의 교수진

바실리 칸딘스키 발터 그로피우스 애니 알버스

공감각에 대해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형태와

색채의 정확한 상응 개념 인지시켰다. 또한, 색채가 언어보다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시각언어임을 강조하였다.

건축을 주축으로 하여, 기능적이고 합목적적인

새로운 미를 추구하였으며, 독일 공작연맹의

이념을 계승하여 예술창작과 공학적 기술의

통합을 목표로 하였다

재료의 특성과 그것이 지닌 형태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며, 모홀리 나기와 그로피우스를

완벽하게 보조하였다.

Page 9: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의 교수진

요하네스 이텐 파울 클레 루트비히 미스 반데어로에

대비원리를 기초로 한 조형교육을 실시했다.

기능적인 요소 위에 개인적인 형태를

부여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질감, 형태, 색채,

명암을 이용하여 평면과 입체를 다루게

하였다.

자연만물이 유래한 기본적인 형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색채, 형식, 형상, 기법

등을 훈련시켰다. 학생들에게 형상 제작의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요구하였다.

바우하우스의 3대 학장직을 맡았으나, 나치의

집권으로 더 이상의 자유로운 근대 디자인

교육이 불가능하게 되자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이듬해에 일리노이 기술대학(IIT)의

건축과 교수로 초빙되어 활동하기 시작했고,

바우하우스에서의 경험을 통해 미국의

현대건축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Page 10: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 디자인

기능성 생활 모던 규격화 자율성 keyword_

Page 11: 박수빈 1416404 디문

바우하우스 디자인 - graphic

단순한 강렬한 패턴 도형 추상적인 keyword_

Page 12: 박수빈 1416404 디문

에필로그

우선 수업에서 배웠던 것들 중에서 바우하우스에 가장 관심이 갔고 지금

보아도 전혀 촌스럽지 않고 모던한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

바우하우스를 타이틀로 정하게 되었다. 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은 무드를

어떻게 훨씬 오래전인 20세기 초반에 생각하고, 만들어내고, 그려낼 수

있었는지 감탄스럽다. 또한 교수진들 한 분 한 분 작품과 교육관들을

보며 디자인계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노력과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따뜻한 신념을 잘 느낄 수 있었다. 솔직히 현대에서 수많은 디자인을

보며 살고 있는 나도 누군가 지금 저런 디자인을 생각해보라고 하면

불가능할 것 같다. 그래픽디자인조차 너무 세련됐고 컬러 매치, 구도,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보았을 때의 느낌 모두 완벽한 것 같다. 학교가

없어지지 않고 지금까지 쭉 전통이 이어져 남아있다면 어떨까 상상을

해본다. 아마 유일무이한 최고의 디자인 학교가 아닐까 싶다. 비록 내가

태어나기 수 십 년 전의 디자인이지만 시각, 제품 디자이너로서

바우하우스의 디자인을 참고할 것이고 힘들겠지만 못지 않은 디자이너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교수님 한 학기동안 감사했습니다 :)

또 봬요!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

Page 13: 박수빈 1416404 디문

Thank you foryour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