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381 造形敎育 第52輯 2014 Art Education Review, No. 52 1)2)3)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 임 윤 지 ** ㆍ강 주 희 *** <초 록> 후기 산업사회가 심화되면서 공동체성을 상실해가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청소년들이 올바르고 건강한 시대상을 바탕으로 타인과 관계 맺기, 이해와 공존 등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의 교육에 대한 요구와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를 통해 청소년이 어떻게 자신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공동체 구성원과의 교류와 소통하는 과정으로서 타 자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공동체 미술의 개념 정 립을 위해서 공동체 미술의 개념과 특징, 사례를 살펴보고, 공동체 미술교육의 가치를 탐색해 보고 이러한 공동체 미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예술가를 대상으로 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경기도 소재의 F예술대안학교 고등학생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다. 프로젝트 적용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일상생활 에서 찾아낸 학습 주제들로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자기 이해를 거쳐 내면화 되는 경 험을 얻었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학습자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 라 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상호존중감이 함께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주제가 실제적인 삶에 깊게 연결되어 있을수록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참여가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key words): 공동체 미술(community-based art), 청소년 예술가(teenage artists), 프로젝트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타자(others), 사례 연구(case study) * 이 논문은 ‘임윤지(2014). 나와 타자 이해하기: 청소년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 활초초등학교 미술강사, [email protected], 주저자 *** 본 학회 회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책임연구원, [email protected], 교신저사
34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Mar 05, 2023

Download

Documents

Lauren Higbee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81

造形敎育 第52輯 2014

Art Education Review, No. 52

1)2)3)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임 윤 지**ㆍ강 주 희

***

< 록>

후기 산업사회가 심화되면서 공동체성을 상실해가는 사회 분 기 속에서 청소년들이 올바르고

건강한 시 상을 바탕으로 타인과 계 맺기, 이해와 공존 등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의 교육에

한 요구와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를 통해

청소년이 어떻게 자신에 한 이해와 함께 공동체 구성원과의 교류와 소통하는 과정으로서 타

자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우선 공동체 미술의 개념 정

립을 해서 공동체 미술의 개념과 특징, 사례를 살펴보고, 공동체 미술교육의 가치를 탐색해

보고 이러한 공동체 미술에 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술가를 상으로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기획하 다. 이 로젝트는 경기도 소재의 F 술 안학교 고등학생 1학년 학생을

상으로 2013년 10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다. 로젝트 용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일상생활

에서 찾아낸 학습 주제들로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자기 이해를 거쳐 내면화 되는 경

험을 얻었고, 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학습자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

라 구성원에 한 이해와 상호존 감이 함께 향상되었다. 한 로젝트 주제가 실제 인 삶에

깊게 연결되어 있을수록 구성원들 간의 력과 참여가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key words): 공동체 미술(community-based art), 청소년 술가(teenage artists), 로젝트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타자(others), 사례 연구(case study)

* 이 논문은 ‘임윤지(2014). 나와 타자 이해하기: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연구. 국민 학교 교육 학

원 석사학 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 활 등학교 미술강사, [email protected], 주 자

*** 본 학회 회원, 국민 학교 교육 학원 겸임교수, 한국 술 재교육연구원 책임연구원, [email protected], 교신 사

Page 2: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82 造形敎育 第52輯 2014

I. 서론

21세기 후기 산업사회가 심화되면서 사회는 끊임없이 재탄생되며, 그 과정에서

많은 것들이 해체화되고 있다(강 기, 2001). 이 ‘해체화’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의 산

업화 과정이 심화되면서 사회 구조가 분화되고, 차 인간 계에서도 형식 이며 이

기 으로 변모되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안을 모색하려

는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다. 노리단(2011)은 2004년에 결성한 자기고용 로젝트로서

문화와 사람, 기술을 연결하는 것으로 시작해 재는 지역 착형사업과 문화 술사업,

사회공헌사업 등으로 확장시켜가는 사회 기업이다. 노리단에서 운 하는 ‘00는

학’(노리단, 2010)은 지역 으로 확 해 가는 평생학습공동체로서 주로 지역 곳곳을

발견하여 홍보하고 청년들과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네트워크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서울시 마포구에 있는 성미산마을은 성미산을 심으로 마을 주민들이 스스로 모

여 필요에 따라 교육과 문화 활동, 경제활동과 사 역까지 동조합의 원리로 운

하고 있다(이경란, 2010). 이처럼 여러 단체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곳곳

에서 일어나고 있다.

사회에 만연한 공동체의 상실이 비단 성인만의 문제는 아니며 후기 산업사회에

서의 학교교육에서 일어나는 문제 도 실상 다르지 않다. 규격화된 량 생산 체제를

따르던 학교 교육은 다원화 되어가는 시 흐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채 격하게

변화하고 다양한 청소년의 정서와 문화 욕망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김찬호,

2004). 최근 신교육이나 특성화 학교 등으로서 다양한 교육정책으로 청소년들의 학

업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지만 여 히 청소년들은 획일 이며 성 심의 학

교 교육으로서 공부에 상당한 압박감을 느끼며 학교생활은 삭막해져 학업을

단하는 청소년들이 잇따르고 있다. 한 경쟁구도가 심화된 학교 분 기 안에서 청소

년들이 건강한 교우 계를 맺기란 어려워 보인다. 갈수록 경쟁과 권력 등으로 인해

공동체성을 상실해가는 사회에 다음 세 를 살아갈 청소년을 해서 안을 제시

하고 실천해야함은 기성세 에게 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청소년들에게 올바르고 건

강한 시 상과 계 맺기, 이해와 공존 등을 실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

의 장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미술교육에서도 이러한 필요성을 느껴 청소년을 상

으로 공동체성에 목 으로 두는 다양한 실행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

의 연구들이 청소년의 삶에 한 이해보다는 형식 인 공공성에만 을 맞춘 동

Page 3: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83

을 심으로 하는 공동체 미술 교육 실행연구로 그치고 만다. 업을 통해 공동체 의

식을 함양하는 것도 분명 요하지만 청소년에 한 이해과정 없이 단순히 력을 통

한 ‘공공’미술 작품 제작에만 치우쳐진다면 그것이 가지는 교육 효과의 지속 가능성

에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이에 연구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청소년 스스

로에 한 이해와 상 방의 생각을 교류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상 방을 이해할 수

있는 공동체 미술 로젝트 개발 용 사례를 제시하고,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서 서로간의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래집단 간

의 정체성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가능성에 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Ⅱ. 공동체와 공동체 미술의 의미 고찰

1. 공동체의 의미

공동체(community)는 ‘지역사회를 근거로 모여진 집단이나 공통의 목 과 이념을

지닌 집단’을 의미한다. 과거의 폐쇄 인 지리 이동과 교류에서 벗어나 그 경계가

무의미해진 재 공동체의 의미는 확장 가능성을 띄고 있다. 공동체에 한 학자들의

정의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우선, 듀크하인(Duekhein, 1973)과 이치오니(Etzioni, 1993)는 공동체의 출발 을 가

정이라고 주장하 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가정 안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삶을 살아가

는데 필요한 덕목과 책임감, 방법들을 터득하게 되며 가족 안에서 배우고 체득한 이

경험들은 사회 구성원이 되었을 때도 반 되기 때문이다(Lasch, 1977).

이치오니(Etzioni, 1993)는 공동체의 개념을 각각 ‘활동범 (scope)’, ‘실체(substance)’,

‘지배의 유형(pattern of dominance)’으로 나 었다. 먼 첫째, 활동범 는 물리 통

합으로서의 공동체를 뜻한다. 이는 유 인 요소와 고유의 언어, 통 인 역사들과

지리학 인 치들을 포 한다. 두 번째, 실체는 활동범 에서 말한 물리 통합 안에

서 삶을 지속해 나가는 사회구성원을 말한다. 세 번째, 지배의 유형은 에서 말한 물

리 환경 안에서 삶을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의 가치 과 책임감, 규범, 의무를 형성

하는 기 을 말한다(정 일, 2009 재인용).

미국의 사회학자 힐러리(Hillary, 1955)는 1910년 부터 1950년 반까지의 공동체

Page 4: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84 造形敎育 第52輯 2014

를 다룬 수많은 논의에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개념을 찾아내었다. 첫째로 ‘지

리 역(geographical area)’이다. 지리 역은 지리 이고 물리 인 ‘공간’에서 벗

어나 인류학 인 시각으로서 ‘장소’로서의 의미가 크다. 둘째로 ‘사회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으로서 이 의미는 지리 환경의 한계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사회는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원격소통기술로 세계 사람들과 보다 더

쉽고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고 생각을 나 고 집단을 결성할 수 있게 되었다. 가상공

간에서의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상들을 고려해 볼 때 더 이상 지리

근 성에 근거한 공동체 개념은 한계 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로 ‘공통의 유

(common ties)’이다. 이 개념은 문의 뜻처럼 기본 인 연, 문화, 지연, 언어 등의

동질성을 의미한다(강 기, 2001 재인용).

그러나 안인기(2011b)는 힐러리의 세 번째 공동체 개념이 사회의 공동체를 설

명하는 데 한 기 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생물학 , 언어 , 문화 , 역사 의 동

질성 개념은 사회로 갈수록 다양성과 차이가 확산되기 때문에 더 이상 공동체를

설명하는 데 부 하다고 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뒷받침 해주는 이론은 랑스의 사회학자 낭시(Nancy, 1991)로부터 들 수 있

다. 낭시는 동시 의 시각으로 공동체 개념을 제시하 다. 이것은 ‘느슨한 공동체

(Community at Loose Ends)’라고 지칭하 는데 이는 공동체에서 나온 우발 이고 불

확정 인 경험들이 다양한 사람들에게 서로 공유하고 소통되면서 공동체 안에서 스스

로를 재발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연이나 문화, 지연, 언어 등의 동질성을 바탕

으로 한 유 계의 공동체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개개인의 차이 속에서 공통의 연

를 형성시키면서 공동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다

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안인기b, 2011, 재인용).

다문화 사회를 바탕으로 둔 다른 공동체 이론으로는 밸린지 모리스, 다니엘, 스

터(Ballengee-Morris, Daniel, & Stuhr)(2003)가 정의한 공동체 개념을 들 수 있다.

밸린지 모리스와 다니엘, 스터(2003)는 공동체가 문화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문화를

바라보는 철학 사고가 요하다고 하 다. 문화는 일반 으로 정신성, 민족성, 인종,

성 지향, 지리 치, 계 , 직업 언어, 정치 지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문화는

국가 수 의 문화와 매체를 통해 공유하고 흡수될 수 있는 지구 문화로 나

수 있다(Ballengee-Morris & Keys, 2004 재인용). 이 듯 오늘날의 문화는 더 이상

지형 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세계로 뻗어나가 동시에 서로 흡수되고 공유하

고 소통할 수 있는 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살고 있는 곳은 다르지만 비슷한 양상의

Page 5: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85

문화를 보았을 때 오늘날의 문화는 매우 복합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다문

화 사회에서 공동체 개념을 말할 때 동종의 개념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를 정의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근을 종합하여 공동체의 범

와 정의를 다음 <표 1>과 같이 다섯 가지로 정리하 다.

범 정의

가족공동체삶이 시작되는 장이며 개인은 가정에서 구성원이 되기 한 필수 인

요소들을 체득

지리 치에 속한 공동체 물리 인 환경에 속한 공동체로서 지역으로 구분

동질성에 근거한 공동체 공통의 역사, 언어, 문화를 사용하는 동종의 공동체

사회 으로 결성된 공동체 상호 인 소통을 통하여 공통의 연 로서 결성된 공동체

지구 공동체 국가 인 한계를 넘어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

<표 1> 공동체의 범 와 정의

우선 공동체의 범 는 각각 가족공동체, 지리 치에 속한 공동체, 동질성에 근거

한 공동체, 사회 으로 결성된 공동체, 지구 공동체 5가지 분류하 다.

각 범 의 정의를 살펴보면 첫 번째, 가족공동체는 개인의 삶이 시작되는 첫째 공동

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은 이 공동체 안에서 사회구성원이 되기 한 기본 이며 필수

인 삶의 자세를 배우고 익히게 된다. 자신과 가장 가까운 연 계로서 부모와 자

식 간의 애정, 남매간의 우애로서 공동체의식을 가장 먼 느끼게 되는 계이다.

둘째, 지리 치에 속한 공동체는 작게는 내가 살고 있는, 동 단 나 시�도 단

로서 구분되어지는 지역사회나 크게는 자신의 국 이나 국경에 의한 공동체를 말한

다. 이는 가정 다음으로 하게 되며 주로 이웃사 , 래친구들 마을집단 등으로 지

리 단 로서 이루어지게 되며 공동체의 목 의식도 지역사회나 국가에 근거한다.

셋째, 동질성에 근거한 공동체는 인종이나 유 요인에 근거하여 동일한 역사와

통문화, 언어, 조상을 함께 공유하는 집단이다. 이들을 국경에 한해서만 속해 있

는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오늘날엔 나라간의 이동이 자유로워 이민자의 수가 무수히

많아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세계 각지에 퍼져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유 요인

은 조상으로서의 자신의 뿌리를 의미한다. 이들의 공동체의 목 의식도 동질성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사회 으로 결성된 공동체는 국경이나 인종 등으로만 한정되지 않는 보다

Page 6: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86 造形敎育 第52輯 2014

더 은 범 의 공동체이다. 이 공동체는 다양한 인종의 서로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공통 이념에 따라 결성 가능하며 를 들어 유방암 환자를 한 캠페인 단체나 동성

애자 인권단체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구 공동체는 가장 넓고 큰 규모의 공동체 단 를 가진다. 오늘날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문화를 쉽게 하며 서로 공유하고 생

산해 낼 수 있다. 지구 사람들이 동시에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고 습득하는 것이 가

능하며 이를 통해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공동체 의식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를

들어 2012년 세계 으로 유명했던 우리나라의 뮤지션 싸이(PSY)의 ‘강남스타일’의

안무 하나인 ‘말춤’으로 인해 세계인이 소통했던 을 들 수 있다. 이 게 하나

의 문화 소통으로 화합하는 것을 지구 공동체라 칭할 수 있다.

2. 공동체 미술의 개념 특징

1) 공동체 미술의 개념

공동체 미술은 1980년 이후 미국의 견작가들의 퍼포먼스나 비디오아트로서 실

험 인 로젝트로부터 출발했다(Lacy, 1994/2010). 이때의 부분 작업들은 작가와

지역 주민들 간의 력과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졌으며 노숙자, 실업문제, 에이즈, 속

도로 증가하는 노년층, 이민자, 성차별, 인종차별, 젠더 등 구체 인 사회 이슈들을

냉철하게 다루었다. 이와 같이 공동체 미술은 미학 인 양식과 사회를 그 로 복제하

는 표 방식을 배제하고 표 가능한 매체와 범 를 공공의 역 안에서 선택하며

한 사회 약자를 한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술가의 역할은 총

감독이 아닌 코디네이터(coordinator)이다(강수미, 2008). 그들은 공동체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술로서 하고 원활하게 풀어낼 수 있도록 조화롭게 갖추어 꾸미는 역

할을 한다. 이에 네퍼러드(Neperud, 1995)와 울 리히트(Ulbricht, 2005)는 “공동체 미

술은 술가가 사회 참여 인 의도로 특정 사회의 상황에 맞는 주제와 문제를 가지고

지역주민과 단체와 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함께 미술작품을 제작하도록 이끄

는 화 이며 력 인 미술활동”이라고 하 다(고은실, 2009, p. 158 재인용).

공동체 미술(community art)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과 같이 람객이 방 자에서

참여자로 변화하여 미술작품에 크게 작용한다. 이는 모더니즘 성격이 강했던 공공

미술이 포스트모더니즘 시 에 들에게 직 으로 다가가 삶을 한 미술을 시도

Page 7: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87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Anderson & Milbrandt, 2005/2007). 이같이 공동체 미술은

지역 공동체와 이루어지는 상호소통과 력에 필요성에 근거하고 있다.

공동체 미술의 다른 특징은 상품가치로의 미술품에 항한다(박진희, 2002). 공

동체 미술은 사회 의미를 가지는 장소들을 찾아다니며 사회 주제들로 특정

들을 미술활동에 몰입시킴으로써 사회의 권력과 지배구조를 다루기도 하며 가능성과

상상력이 충만한 미래를 창조한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공동체 미술은 사회 구성

원과 만나 구성원의 개개인이 가지고 있던 일상을 새로운 자각으로 이끄는 매개체로

기능하면서, “일상생활에 한 창의 개입”을 시도한다(박진희, 2002, p. 8). 참여

심인 공동체 미술에서의 장소는 물리 이며 지리 인 개념을 넘어 사회 이며 문화

, 정치 소통의 범 까지 확 되었으며, 실제 공동체 미술 작품이 설치되는 공간은

실제 삶의 공간인 동시에 사회 인 공공장소인 것이다.

2) 공동체 미술 사례

본 장에서는 공동체 미술에서 공동체의 역이 어떻게 구분되어지고 어떤 의미로서

달되는지를 살펴보기 공간 근과 공동체 이념을 심으로 한 근으로 구분하

여 공동체 미술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공간 근으로서 치(site)에 바탕을 둔 공

동체 미술을 시도한 국내 작가 안성희의 작품과 라잉시티의 작품을, 다양한 세

간의 목소리를 장소(place)로서의 담론으로 이끌어낸 국외 작가 수잔 이시와 국

내 작가 정원연의 작품을 로 들었다.

(1) 공간 근에 의한 공동체 미술

안성희의 ‘개인정원 공공정원: 텃밭을 만듭시다’는 2002년 주비엔날 의 참여작

으로 주시청 앞 5.18 자유공원 내부에 있는 공공시설물인 잔디밭을 사유화 하는 작

업이었다. 참여자는 주 시민들을 심으로 모집되었으며, 그 계층은 교사, 어린이, 목

사, 큐 이터, 공원 리자, 아 트주민들 등 다양했다. 이들은 자유 공원 잔디밭에 도랑

을 만들고 콩, 무, 상추, 고추를 심고 씨앗도 뿌려 가꿔나갔다. 처음 이 작품은 주시

행정공무원들에게 술작품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Page 8: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88 造形敎育 第52輯 2014

<그림 1> 안성희, <개인정원 공공 정원: 텃밭을 만듭시다.>, 2002, 흙, 씨앗. 주시청

5.18자유공원. 출처: http://jeonlado.com/v3/print_paper. php?number=3487

안성희 작가는 그동안 지역주민들에게 흡수되지 못하고 따로 존재하던 공공정원의

보이지 않는 울타리를 허물어 개인의 자유를 허용하게 해 생기를 불어넣고자 하 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직 인 의지를 통한 행동으로서 공공정원은 개인 텃밭처럼 사

유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공정원은 비로소 사람을 향한 공공성을 띄게 되었

다고 할 수 있다(고은실, 2009).

라잉시티는 사회의 도시의 생성과정과 도시 공동체 실에 심을 두고 연구

와 비평을 목표로 사진이나 포스터, 퍼포먼스 등을 통해 활동하는 미술가 그룹이다.

특히 그들은 서울의 도시형성 과정과 그것이 공동체에 끼친 향과 과 몰입으로 집

되어 성장하는 도시를 향한 안 사유방식을 제시한다. ‘무쇠구름: 청계 아카이

(2009)’은 청계천 복원사업으로 인해 일터가 사라질 기에 놓인 공구상과 노 상 등,

특정 지역의 집단을 상으로 한 공동체 미술 사업이었다. 라잉시티의 작가들은 청

계천 지역에 퍼져있는 속가공업체들의 탄생과 주변 환경에 한 태도, 그리고 변화

과정을 조명하여 기록하 고 속가공업체 상인들에게 정 인 에 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공동체 미술을 추진하여 상인들의 주체 인 참여를 이끌었다. 이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청계천 일 의 공구상들이 서로 소통하고 노 상들이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발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한 공공미술 정책이 지역기업의 발

을 도모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작업으로 바라볼 수 있다(정철 ,

박윤조, 2011).

Page 9: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89

<그림 2> 라잉시티, <무쇠구름: 청계 아카이 >, 2009, 서울시 청계아카이 .

출처: http://www.flyingcity.kr

(2) 공동체 이념을 심으로 한 공동체 미술

공동체 미술의 표 작가인 수잔 이시는 자신의 작품에서 요하게 다룬 주제는

“모더니즘 미술사 속에서 분리되어온 타자에 한 심”이었다(박윤조, 2008, p. 68). 그

녀에 있어서 타자는 주류의 심에서 벗어난 역을 뜻한다. ‘크리스탈 퀼트(The

Crystal Quilt, 1987)’는 그녀의 표작으로 430명의 노년 여성과 함께 커뮤니티를 구축

하여 술 로젝트와 세미나를 3년간 진행한 과정을 퍼포먼스로 완결지은 로젝트

다. 어머니날, 로스앤젤 스 여성회 앞뜰에서 열린 이 퍼포먼스는 430여명의 참가자

들과 3000여명의 자원 사자들이 람자로 등장하 다. 페미니즘 미술작가인 미리엄 사

피로(Miriam Schapiro)가 고안한 퀼트 패턴으로 참가자들이 배치되어 퍼포먼스가 진행

되었고 참여자들은 여성으로서의 경험담들을 서로 나 었으며 람자들은 발코니에서

미리 녹음된 비슷한 내용의 사 인 경험담들을 들었다. 퍼포먼스를 통해 흘러나온 화

들은 여성에 한 사회 시각들을 다룬 주제들이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참여자와 람객이 자신을 되돌아보며 동시에 치유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크리스탈 퀼트는 참여자와 람자 모두가 각자가 가진 사회, 문화, 역사, 지리 배경을

서로 연결해 나가는 과정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박윤조, 2008).

당시 80년 에서는 공공미술이 주로 미학 인 소재와 내용을 다루고 있어 막상 공

공의 주제와는 거리가 있었고, 수잔 이시(Lacy, 1994/2010)는 여기에 주목하여 작가

와 람자의 계를 반성 으로 살펴보게 되었다. 그녀의 작업에서 기존 람자의 역

할을 변화시켜 그들을 통해 이 지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연 를 이끌어 낸다. 람

Page 10: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90 造形敎育 第52輯 2014

자는 객에서 참여자로 역할이 옮겨지며 극 인 참여를 통해 보다 더 직 인 소

통과 상호작용으로서 깊이 있는 사회 참여를 이끌어 낸다고 할 수 있다.

<그림 3> Suzanne Lacy, <The Crystal Quilt>, 1987, Performance, L.A Woman’s Building.

출처: http://www.suzannelacy.com

국내 작가 정원연은 2012년에 서울시 성북 술창작센터에 입주해 있으면서 미술을

매개로 한 사회 소통과 치유를 탐구하는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진행 해왔다. 그

‘학교에 가지 않는 사람들(2012)’은 제도권 교육을 거부하고 스스로 교육공동체 모

임을 결성한 청소년 단체에 작가가 멘토로 지원을 하면서 시작된 로젝트 다. 작가

는 학교에서 배울 수 없었던 술 활동들을 제안하며 몸과 감각을 일깨워 수 있는

다양한 미술 교육을 진행시켰다. 참여했던 청소년들은 그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건강

하게 해소하면서 동시에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으며 술이

가지는 다른 가능성을 실천하 다(양정무, 2012/정원연, 2012, p. 16 재인용).

<그림 4> 정원연, <학교에 가지 않는 사람_희망의 우리학교>, 2012, 희망의 우리학교

학생들의 작품발표 장면, 성북 술창작센터. 출처: http://blog.naver.com/onion5762

Page 11: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91

공동체 미술들은 체 으로 다양한 시각의 사회 이슈들을 술 체험과 표 을

통해서 사회 메시지를 던지며 한 그 안에서 자신의 삶에서의 회복과정과 타인과

의 소통을 꾀하며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시킨다(고은실, 2009). 정원을 가꾸거나, 모임

안에서 화를 나 며 그것을 공유하거나, 지역 공동체의 삶을 사회로 이끌어 내거나

하는 행 들은 기존의 통 인 미술행 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며 한 이것

들은 보편 인 일상 행 에 매우 가깝기까지 했다. 한 공동체 미술가들이 로젝

트 실천을 해 참여자들과 화를 통한 소통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계 감성을 통

한 문화 실행이 참여자에게 보다 더 친 함으로 내면화하여 잊 지지 않는 행 로

남기기 함이다. 이러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들은 게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기 때

문에 술가의 공동체에 한 애정과 열정 없이는 이 지기 힘들다. 그 게 때문에

공동체 미술은 미술에서의 새로운 매체의 확장과 개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결국 우리

가 사는 사회와 문화를 인간다운 삶과 풍요롭게 만드는 향을 지니고 있다.

Ⅲ.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이해

1.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의미

이튼(Eaton, 2002)에 의하면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은 “ 계성, 심 친 감, 상호 존

”의 효과가 있다(고은실, 2009, p. 169 재인용). 공동체란 기본 으로 상 방에 한

배려와 복지를 책임 있게 실천해야 지속가능하며 집단 내에서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

들을 해 공통의 목 이 담긴 일을 진행하는 것은 집단 내 친 도와 인간 계, 존

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된다. 이는 공동체 심 미술교육에서도 동일

하게 용될 수 있다.

안인기(2011b)는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목 을 크게 세 가지로 나 고 있다.

첫째로 학습자의 실제 삶의 반을 바탕으로 가치 교류와 소통을 통한 타자와의

조화로운 삶을 모색한다. 공동체 심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실제 인 삶의 문제들에

주목하여 사회와 공동체간의 계 속에서 소통과 력으로 풀어나가는데 주력한다.

인간의 개인 가치 추구보다 가족이나 민족 안에서 존재하며 경험된 가치에 을 두

었으며 그것이 타인과의 소통으로 이해하며 력과 교류를 통해 얻은 경험들이 사회

Page 12: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92 造形敎育 第52輯 2014

발 에 다가간다는 교육 목 으로 삼는다. 공동체 심 미술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삶

과 가까운 매체를 포함한 문화요소와 통 인 미술매체 등을 이용하여 자신을

표 하게 하며 그것으로 풀어나가는 의미나 가치를 통해 삶의 방식을 깨닫게 된다.

한 미술활동을 통해 공동체와 소통하면서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력하며 만들어

가는 과정은 결국 개인 삶의 추구보다는 공동체가 공존하며 서로간의 유 로서 발

해가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문화 간의 차이를 소통으로서 이해하고 존 하는 것이다. 사회는 네

트워크 기술의 발 으로 나라간의 소통이 자유롭지만 그만큼 타 문화가 쉽게 유입된

다. 공동체 미술교육은 이처럼 끊임없이 새롭게 유입되는 타 문화에 해 서로간의

소통과 이해를 강조한다. 맥피(McFee, 1995)는 “문화 간의 차이들이 상호 소통되지

않는다면 집단들 사이의 문화는 갈등하고 발 할 수 없다.”고 주장하 다(안인기,

2011a, p. 287 재인용). 공동체 미술교육은 다문화미술교육과 같은 인류학 미술교육

을 포함함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은 나라와 인종, 문화의 차이뿐만 아니라 경험, 가치 ,

취향 등이 각기 다른 개인으로 인지하고 인정하여 서로가 각자의 문화 차이에 심

과 이해하도록 한다. 공동체 미술교육에서도 학습자들은 각자가 내뿜는 시각문화들이

서로의 삶과 신념, 가치의 표 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타문화를 존 하는 윤리 인 상

주의 태도를 발 시킬 수 있다.

셋째는 지역사회를 발 으로 변화시키고 다양한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1990년 부터 공동체 미술교육은 사회재건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실천해

왔다. 미술을 삶의 역으로 흡수하여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다문화주의와 함께

학습자의 삶의 발달과 사회 발 , 소수 인권 보호, 인권 차별 해소, 장애인의 권리

등을 긴 하게 다루면서 사회 안에서 야기되는 차별이나 편견 등을 해결하고 극복하

려는 태도를 만들어 낸다. 그리하여 공동체 미술교육은 인간의 삶을 이해하여 앞으로

나아갈 변화의 움직임, 개선, 태도들을 제시하고 공동체의 발 을 지향한다. 개인의

삶을 이해와 심을 바탕으로 문화와 내러티 , 술 창작활동, 비 시각, 성

취감과 사회 발 이 함께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목 은 구성원간의 소통을 통한 계개선이나

상 방에 한 존 , 친 감 향상에 있다. 한 공동체 미술교육을 통해서 학습자의

삶의 태도에 변화를 주고 공동체에 한 가치를 부여해 다. 그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삶 반에 일어나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들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그들과 공존할 수 있

는 자세로 확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 , 가치를 제시

Page 13: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93

한다. 공동체 미술교육은 기존의 통 인 미술교육과 달리 학습자의 삶을 고려한 미

술교육으로서 다양한 미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를 사회와 인류학 맥락 속에서 연

결시킨다. 이처럼 공동체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경험을 통한 과정과 이해를 심으로

하는 교육이다.

이처럼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에서의 학습자는 활동가의 역할로서 행동하여 학습과

정에 극 으로 개입하는 태도를 지니게 된다. 즉, 공동체 미술교육에서의 학습자는

술가와 감상자의 역할보다는 지역에 속한 단체나 공동의 심사로 모인 단체처럼

공동체 구성원이 그 구성원이 속한 문화의 과거와 재에 걸쳐진 상을 미술로서 학

습하고 행동하고 경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방법 내용 특성

본 연구에서는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유형과 특징을 바탕

으로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방법 내용과 특성을 1)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교육

주체, 2)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내용, 3)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방법, 4)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목 , 네 가지로 정리하 다(김 희, 2008; 안인기, 2011b; 정 일,

2009; Ulbricht, 2005).

먼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교육 주체는 존 듀이의 아동 심주의 교육의 향으

로 학습자가 교육 활동에서 주체로서 치한다(김 희, 2008). 이는 교사가 학생과 함

께 학생의 심 역 안에서 학습 주제를 찾고 그 내용을 학습 활동으로 이어 나갈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융통성 있게 구성하거나 학생들에게 요청한다. 교사는 력자

의 역할로서 치하여 학습자가 원활하게 주체 으로 학습 과정을 진행해 나갈 수 있

도록 지도한다.

둘째,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내용은 (1)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구성과 (2) 문화에 한 비 이해로 구성할 수 있다.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구성은 학습자의 경험을 사회 맥락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

성하여 학습자의 삶과 사회를 상호 계로 연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안인기,

2011b). 문화에 한 비 이해는 학습자가 하는 이미지, 사회문화, 권력

등 범 한 역들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을 교육 근으로 해석하여 학습자로 부

터 유의미하게 재발견, 재창조 해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방법은 (1) 미술의 성과 활용과 (2) 미술제작 경

Page 14: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94 造形敎育 第52輯 2014

험 활용이다(안인기, 2011b). 미술의 성과 활용은 미술 작품을 사회 맥락

으로 지식 내용을 구성하여 학습 내용과 방법으로 차용한다. 여러 성공 인 공동체

미술작품 사례를 체험하며 그것이 가지는 공공의 삶의 개선과 사회 메시지, 의미

등을 학습자에 달시키거나 개발하여 용시켜 볼 수 있다. 미술제작 경험 활용

은 학습자 간의 력을 통해 제작된 미술로서 그것이 사회 문제, 환경과 연결되어

차 으로 확장시키는 태도를 취한다. 생활 심담론형의 미술 제작 경험은 학습자간

의 력과 합의로서 구성원과 사회에 한 이해를 이끌어낸다.

넷째,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목 은 학습자의 내면 가치를 충족하여 학습자의

정체성을 찾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김 희, 2008; Anderson & Milbrandt,

2005/2007). 이것은 삶과 공동체를 기반 하는 미술 상을 체험해 보고 감상하는 능력

을 함양시켜 학습자 내면에 정 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한 상호 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의 강화시킬 수 있다. 공동체의 정의와 범 는 한정 이지 않으나

학습자가 속한 1차 공동체가 학습자의 삶과 가장 한 계에 치하고 있기 때

문에 이를 목 으로 근할 필요성이 있다.

3.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의 가치

사회는 기술의 발 으로 지식과 정보가 무수히 달되어 다양한 문화와 계층을

할 수 있는 시 이다. 그에 따라 사회와 문화가 만들어내고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

에 심을 가지게 되면서 미술에서도 맥락 인 시각으로 근을 시도하고 있다.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학습자가 속한 공동체에 소속감을 가

지고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는 교육 활동을 통해 얻어진 감정과 공동체

에 한 자부심 등을 구성원들 간의 공유를 통하여 상호 소통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 학습자들이 공동체집단에 한 소속감이나 일체감 등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며 공동체 집단과 지역사회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요한 의미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과 사회를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 으로써 다른 집단이나

지역, 는 다른 문화권도 올바르게 이해하고 단할 수 있는 비 력을 기를 수 있다

(안인기, 2011b).

공동체 기반 미술교육은 사회재건주의의 교육철학과 연 하여 공동체가 속한 지역

의 사회, 문화 인 발 을 이 낼 수 있다(Anderson & Milbrandt, 2005/2007). 공동체

미술교육을 매개로 다양한 집단이나 지역의 문화들에 한 학습자의 심의 폭을 넓

Page 15: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95

나가 일상에서는 하기 어려운 사회 , 정치 문제들을 살펴보고 해결 방안을 모

색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한 공동체 미술교육을 통하여 자신이 속한 공동체나

지역사회를 외부에 알리는 방법을 실행시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들이 쌓여 결과

으로 사회와 국가 반의 발 을 이끌어 낼 수 있다.

Ⅵ.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나와 타자 이해하기

1. 로젝트 개요

1) 연구 상

본 연구에서는 연구 상자를 만 15세부터 만 18세까지의 청소년으로 정하고, 그들

을 ‘청소년 술가’로 칭하여 그들이 로젝트 학습에 주체 으로 참여하여 자신들의

시각과 삶을 극 으로 표 하도록 하 다. 즉, 자신이 ‘학생’이 아닌 ‘ 술가’로 인지

하게 되면서 로젝트를 스스로 계획하여 수행하며 활동할 수 있는 태도에 의미를 두

었다. 본 로젝트는 만15세에서 18세까지의 학생을 상으로 하 으나, 실제 용에

있어서는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F 술 안학교의 고등학생 1학년 체 학생인 12명

을 상으로 진행하 다. 기간은 2013년 10월 8일부터 28일까지 총 15차시로 매주 정

기 으로 만나 로젝트를 진행하 으며, 로젝트 수업은 정규 수업시간뿐 아니라

심시간과 방과 후, 야간자율학습시간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2) 로젝트 계획

공동체 미술 로젝트 지도를 한 수업은 각각 크게 체험 역 수업<1차시>, 표

역 수업<2∼14차시>, 감상 역 수업<15차시>으로 이루어졌다. 각 단계는 공동

체와 공동체미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동체 미술작품들을 간 으로 체험하는 체험

역, 자신들의 공동체성에 해 생각해보고 회의를 통해 도출한 내용으로 본격 으

로 작품을 제작해보고 시해보는 표 역,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마친 후 개인

Page 16: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96 造形敎育 第52輯 2014

별로 후기를 발표하며 자신들의 작품을 서로 생각을 비평해보는 감상 역으로 이루

어진다.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의 지도 차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 <표 2>과 같다.

<표 2> 로젝트 개요

개념이해(1차시)

공동체와 공동체미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동체 미술작품들을 체험해본다.

서술형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도를 살펴본다.

주제선정(2차시)

자신들의 공동체성에 해 생각해보고 작품제작을 한 주제와 매체를

선정하는 회의를 한다. 회의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스 치를 해온다.

제작회의(3차시)

개인 별로 아이디어 스 치 발표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과 상호 피드백을 받는

회의를 가져 작품제작에 한 계획을 세운다.

작품제작(4-12차시)

공동체 구성원과의 동으로 공동체미술 작품을 제작한다. 제작기간은

4차시에서 12차시로 총 9차시로 진행된다.

결과회의(13차시)

공동체 구성원간의 작품 제작이 끝난 후 시작품을 선정하는 회의를 가진다.

한 시 콘셉트와 유형을 결정한다.

작품발표(14차시)

공동체 구성원이 제작한 공동체미술작품을 발표한다. 자신들이 결정한

시형태로서 공개한다.

작품비평(15차시)

공동체미술 로젝트를 마친 후 개인 별로 후기를 발표하며 자신들의 작품을

서로 비평해본다. 한 서로 소감을 나 다. 끝으로 서술형 설문지를

작성한다.

첫 번째 체험 역 수업인 1차시 개념이해에서는 로젝트를 한 비단계로서 학

생들이 공동체 미술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공동체와 공동체미술의 개념설명과

공동체 미술 작품 사례들을 이해하고 체험한다. 이후 주 식 설문지를 통해 감상 수

업에 한 학습인지 정도를 악하도록 하고 학생들의 반 인 이해를 해 질의응

Page 17: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97

청소년 술가의 공동체 미술 로젝트 비단계

제 1강 공동체와 공동체 미술의 이해

◎ 공동체미술(Community Art)

� 공동체 환경을 기 로 한 공공 술 활동이다.

� 술가의 개인 이며 일방 인 미술작품이 아닌 공 인 미술 작품이다.

� 문 술가가 제시한 공동체 미술 계획에 일반인들이 극 으로 참여하며 그 참여는 작품에 반

된다.

� 작품의 주제와 내용은 공동체의 주된 심사처럼 삶에 직 으로 연 된 내용을 선정한다.

답 시간을 가진다. 두 번째 표 역 수업인 2차시, 주제선정에서 자신들이 느끼는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공동체미술 로젝트 구성을 하고 어떤 주제로서 작품을 제

작하고 어떤 매체로서 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한 로젝트 과정을 정리할 웹

사이트 개설을 안내 지도한다. 3차시인 제작회의에서는 아이디어 스 치를 바탕으

로 공동체 구성원 간에 피드백을 통해서 의견을 나 어 작품제작 계획을 구체 으로

세운다. 작품제작 기간인 4차시부터 12차시 까지는 공동체 구성원이 설정한 제작 계

획에 따라 작품 제작을 진행한다. 작품제작이 종료되면 13차시인 결과회의를 통해 작

품을 어떻게 시할 것인지 선정하는 회의를 통해 시 콘셉트와 유형을 결정한다.

그 후 14차시에는 작품을 시 발표한다. 끝으로 15차시에서는 감상 수업으로서

그동안 진행한 로젝트를 바탕으로 공동체 구성원이 스스로 비평한다. 마지막으로는

공동체 미술 로젝트 참여 소감을 나 며 로젝트를 종합 으로 정리하는 서술형

설문지 작성을 작성한다.

2. 로젝트 실제

1) 공동체 미술 이해를 한 학습자료 선정과 구성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본격 으로 시작하는 체험단계에서 학생들이 공동체 미술

에 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 다. 공동체의 범 와 정의를 구분해 보고 공동체

미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일반 인 공공미술과의 차이 을 비교하여 좀 더 정확히 공

동체 미술이 무엇인지 인지하도록 한 다음 공동체 미술 작품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

다. 구체 인 학습 내용은 학생용 워크시트(<그림 5>)와 같다.

Page 18: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398 造形敎育 第52輯 2014

� 작품의 주제, 내용, 형태 등을 한 작품 계획과 진행은 술가와 일반인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소통, 업하여 진행한다.

� 술가는 공동체에게 지시를 내리는 총감독이 아닌 공동체와의 소통과 업을 하게 조화롭게

진행해 나가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가진다.

� 공동체 미술 작품에는 모든 매체가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시 형태로서 보여 수 있다.

� 주로 소수 계층을 심으로 하며 사회, 문화 는 개인 인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시각 미술 활동이다.

알아두기1☞ 일반 인 공공미술과의 차이 이 무엇인가요?

공공미술은 보통 술가나, 술가 그룹에 의해 미술품이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이루어지며, 단순한

조형물 설치부터 일시 인 객 참여 인 작품들을 보여 다. 하지만 공동체 미술은 지역 주민 등의

공동체 그룹이 직 로젝트에 극 으로 참여하여 미술작품이 공동체의 공통의 목 을 가지며 우

리의 삶과 긴 하게 연결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하여 일반 인 공공미술 보다 좀 더 우리의 일상

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미술이다.

알아두기2☞ 공동체(Community) 범 와 정의

� 가족 공동체: 삶이 시작되는 장이며 개인은 가정에서 구성원이 되기 한 필수 인 요소들을 체득

할 수 있다.

� 지리 치에 속한 공동체: 물리 인 환경에 속한 공동체로서 지역으로 구분된다.

� 동질에 근거한 공동체: 공통의 역사, 언어, 문화를 사용하는 동종의 공동체이다.

� 사회 으로 결성된 공동체: 상호 인 소통을 통하여 공통의 연 로서 결성된 공동체이다.

� 지구 공동체: 국가 인 한계를 넘어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이다.

◎ 공동체 미술 로젝트(community art projects) 작품 감상

� 서울 시민들 <소망의 벽> 도자타일. 서울 청계천. 2005

� 안성희 <개인정원 공공 정원: 텃밭을 만듭시다> 흙, 씨앗. 주시청 5.18자유공원. 2002

� 하 처(Harrell Fletcher) <커 틴의 거북이> 조각. 랑스 리타니. 2006

� 추계 술 학교 화과 학생들 <북아 동에서 잃어버린 마르티스 여아를 찾습니다> 퍼포먼스.

북아 동, 추계 잔디마당. 2008

� 희망의 우리학교 학생들 <릴 이 소설: 작은 구가 가득 담긴 상자> 박스, 구, . 2013

<그림 5> 공동체 미술 로젝트 개념이해 학생용 워크시트 내용

앞의 내용을 교사의 강의로서 개한 후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해 서술형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 다. 공동체 미술의 개념을 학생들의 언어로서 서

술하도록 하며 공동체 미술 작품 사례 가장 인상에 남는 작품을 쓰고 이유를 서술

하도록 하 다. 한 청소년 술가의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한 비과정으로 학

생들의 생각을 이끌어내기 한 단계로 학생들이 속한 공동체 안에서의 최근 심사

에 해 생각해 보고, 끝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공동체란 무엇인지 서술하도록 하 다.

<표 3>는 학생들이 작성한 내용 일부를 정리한 것이다.

Page 19: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399

질문

학생

1. 오늘 배운 공동체

미술을 내가 이해

한 로 설명해

시다.

2. 감상 한 작품

인상 깊었던 작품

은 무엇인지 쓰고

이유를 써주세요.

3. 요즘 나의 심사

는 무엇인가요?

4. 내가 생각하는 공동

체는 무엇인가요?

학생

1

여러 명이 뜻을 모아

어떠한 목표나 주제

를 정해 미술재료나

범 에 한계 없이 개

개인의 의견을 반

해 그것을 하나로 만

드는 것.

<커 틴의 거북이>

문성이나 술에

한 감각이 없는

순수한 7살 아이가 주

체가 되어 작품 구상부

터 제작까지 개입해 만

든다는 것이 굉장히 특

이했고 모든 의견을 존

해 것이 좋았다.

웃긴 동 상, 맛있는

것, 책(데이비드 호킨

스의 ‘의식 명’), 자

주 웃고 미소 짓기,

흑인, 춤, 노래, 남자

(섹시한 남자), 남자

모델, 연애, 화, 드

라마, 친구 놀리기

소외되거나 무시되는

사람, 는 튀는 사

람 한명 없이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계

에서 서로 돕고 하나

가 되어 혼자보다 훨

씬 큰 효과를 나타내

는 것.

학생

2

오늘 배운 공동체 미

술은 거창한 작품이

아니어도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함께 작은 작품이라

도 의미를 담아서 만

든다면 그것이 공동

체 미술이 될 수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북아 동에서 잃어

버린 마르티스 여아

를 찾습니다> 마르티

스가 잃어버린 추억

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고 새롭게 느껴졌

다. 기발한 로젝트

도 많이 하고 할머니

들과 함께 하는 모습

을 보고 정말 멋있는

작품이라고 느 다.

목공 나 D.I.Y로 만드

는 것을 해보고 싶다.

내가 생각하는 공동

체는 나 혼자만의 의

견을 담아서 작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의미를 담아서 만드

는 작품이라고 생각

한다.

학생

3

사실 공동체 미술에

해 별 생각 없이 그

냥 공동이 모여 무언

가를 만드는 구나라고

단순히 생각했었다. …

략… 생각해보았는데,

공동체 미술이란 개인

이 모여 각자의 개성

을 모아 새롭고 커다

란 하나의 형상, 작품

을 만드는 것이라 생

각했다.

맨 마지막에 보았던

희망의 우리학교 학

생들인데, ‘아, 이 게

도 무언가를 창조하

고 만들어 낼 수 있

구나‘ 라고 생각했다.

교사가 없는 학교에

서 뜻이 있는 아이들

이 모여 다양한 작품

을 만든다는 것이 인

상 깊었고 멋있다는

생각을 가졌다.

심리학, EXO, 야구,

공부 잘하는 방법,

꿈, 이 교정, 축구,

탁구.

각자의 개성이 한데

모여 무언가를 이루

는 것.

학생

4

집단이 한 주제를 가

지고 다양한 방식으

로 공동으로 참여하

는 것. 군가가 지

도하는 게 아니라 함

께 작업해나가며 소

통하는 것.

희망의 우리학교 학

생들 <릴 이 소설:

작은 구가 가득 담

긴 상자> 학생들끼

리 스스로 릴 이 소

설을 지었다는 게 신

선했고 재미있었다.

쓰기, 비스트, 화,

드라마, 웹툰(스토

리), 공연(뮤지컬, 연

극), 독서, 친구 계,

공부 계획 등등

서로의 단 과 장 을

나 수 있는 집단,

비슷한 심사로 모여

서 행동하는 집단.

<표 3> 서술형 설문지1를 통한 학생들의 작성 내용 일부

Page 20: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00 造形敎育 第52輯 2014

학생

5

함께하는 미술이다.

모두가 참여하고 각자

의미를 부여할 수 있

어야 한다. 그리고 색

다르고 재미있는 체험

이라고 생각 할 수 있

다.

‘ 구가 가득 든 상

자’ 마지막에 본 작

품은 우리도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었다. 그리고 우리학

교만 독특한 학교인

알았는데 선생님

이 없는 이런 학교도

있구나 싶어서 심

이 갔다. 그리고 ‘북

아 동에서 잃어버린

말티즈 여아를 찾습

니다.‘는 모든 작품이

독특하고 새로운 시

도 다는 에서 신

기했다.

시험이 끝났기 때문

에 공부를 하는 데에

보다는 쌓인 스트

스를 풀고 다가오는

시회와 음악회를

걱정하는… 략…

이층침 의 이층에서

책이나 읽는다. 이번

달은 바쁘게 지나가

겠구나 생각하면서

올해가 빨리 가고 후

배들이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1. 한민국→서울→

아, 여기는 경기도→

동두천→연천→우리

학교→1학년

2. 같이 살고 먹고

놀고 싸우고 불만을

가지며 가끔 감사를

느끼고 … 략… 행

복해하는 이 공동

체라고 생각하게

다. …생략.

본교의 학생들은 학교라는 지리 치에 속한 공동체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공동체는 반드시 지리 치에 제한된 것이 아니

라, 서로의 심사를 공유하고 공감하는 사회 으로 결성된 공동체로서의 성격이 강

함을 알 수 있었다.

2) 공동체 미술 로젝트 주제 선정 제작 회의

학생들이 공동체 미술 로젝트에 해 인지한 상태에서 2차시 공동체 미술 로젝

트의 주제 선정을 개하 다. 교사는 먼 학생들이 지난 차시를 복습할 수 있도록

질문을 통해 학습인지상태를 확인한 후 오늘의 학습목표를 달하 다. 자신들의 공

동체성에 해 의견을 나 고 작품 제작을 한 주제와 작품매체를 선정하도록 하

다. 회의를 할 때는 서로간의 의견을 존 하고 수용하는 태도로서 회의에 임하도

록 지도하 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의 목 과 내용을 설명하기 해 본

로젝트명인 ‘나와 타자 이해하기’를 설명하면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신과 상 방

에 해 보다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의 기회와 자리가 되도록 제안하 다. 교사

는 학생들에게 로젝트의 목 과 내용을 충분히 이해시킨 후 앞 차시에 학생들이 작

성하 던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명하면서 회의를 시작하 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고민

이나 인간 계에 한 이야기를 극 으로 주고받았다. 서로가 을 마주보고 편안한

Page 21: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01

분 기에서 수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딱딱하고 형식 인 질문과 답변보다는 좀 더

진솔한 이야기들이 많이 오고 갈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의견을 모아 자신들의 공동체에

한 정의를 “ 재 함께 인간 계나 진로고민,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감정 등을 편

하게 공유할 수 있는 1학년 친구들“이라고 답했다. 이후 다양한 의견에 따라 학생들은

로젝트 작품에 해 ”서로 동하며 작품을 다 같이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고 답

하 다. 그리하여 1학년 체가 합심하여 할 수 있는 작품의 주제를 두고 서로가 아이

디어를 제시하기로 하 고 회의를 통해 얻어낸 의견을 종합하여 자신들이 각자 처한

상황이나 심사, 고민거리들을 표 하기로 결정 하 다. 매체는 학생들이 이미 익숙해

져 있으며, 표 이 효과 이면서도 빠르게 작업할 수 있는 사진을 사용하기로 하 다.

학생들과 교사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각자 자신의 심과 고민거리를 공유하고, 각자

원하는 주제와 함께 구성사진 장면 내용을 다음 <표 4>와 같이 설정하 다.

발표자 장면 내용

학생1 외모 콤 스에 한 내용. 얼굴의 반만 진하게 화장을 한다.

학생2화장실에서 볼일을 보고 있는 것을 CCTV가 쳐다본다.

상 방을 감시하는 것을 비유 으로 표 한다.

학생3 침 속에서 워서 드라마를 폐인처럼 원 없이 보고 있다.

학생4 모두가 등학생으로 돌아가 추억의 게임을 한다.

학생5 독신주의자라서 만족스러운 싱 생활을 담아낸다.

학생6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의사소통이 안 되는 불편함을 담아낸다.

학생7 이 학교에 들어와서 친구들 앞에서 처음으로 방구를 튼 날을 재 시킨다.

학생8 나이를 월한 사랑이야기. 자신이 좋아하는 과학 선생님과 다정하게 연애하는 장면

학생9 매일 같은 일상을 담기 해 12명 모두가 같은 모습을 하고 교실로 가는 장면

학생10 평소의 스트 스를 표출하기 해 화가나 폭식을 한다.

학생11 우리학교에는 없는 일진으로 분장해서 친구들을 괴롭힌다.

학생12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을 기숙사침 에 도배해서 황홀해하는 나의 모습

교 사 이 학교에 매 이 없어서 이를 해소하고자 매 메뉴로 밥을 먹는 모습

<표 4> 학생들과 교사의 구성사진 장면 내용

각자 자신의 이야기지만 구성원간 공유하고, 공감을 얻으면서 우리의 이야기가 되

도록 유도하 다. 이와 같이 본 로젝트는 공동체를 이해하는 첫 걸음으로서 나를

되돌아보고, 나와 같은 타인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함께 우리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데 공동체 미술로서의 의의를 두었다.

이어 3차시에 학생들은 정해진 각각의 주제에 하여 아이디어 스 치를 하고, 제

Page 22: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02 造形敎育 第52輯 2014

작 과정과 시기에 한 구체 인 계획을 세웠다.

4) 작품 제작

4차시부터 12차시까지는 본격 인 작품 제작 시간으로 학생들은 력하여 각각의

장면을 연출하여 촬 하 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작품 제작에 임하는 태도로 로젝

트 구성원과 함께 제작 하면서 서로 생각을 공유하고 상 방을 이해하는 수용의

자세로 임하도록 지도하 다. 교사가 만든 공동체 미술 로젝트의 웹사이트(<그림

6>참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 지도하 다. 학생들은 수업 장면을 웹사이트에

기재하여 수업내용을 재확인 재정리 할 수 있도록 하 다.

<그림 6> 청소년 술가의 공동체 미술 로젝트 웹사이트

https://www.facebook.com/natajaart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 장면과 로젝트 과정의 장 사진을 정리된

과 함께 업로드하여 학습상황과 진행과정을 한 에 알기 쉽게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

도록 하 다. 이는 학생들이 주체 인 학습태도로 로젝트에 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기유발과 흥미있는 학습도구로 멀티미디어를 극 활용하여 학생들의 실제

일상생활에 로젝트가 극 으로 흡수되도록 하 다.

5) 로젝트 평가

12차시까지 진행한 작품을 바탕으로 13차시인 공동체 미술 로젝트 결과 회의를

Page 23: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03

실시하 다. 학생들은 자신의 사진들을 꼼꼼히 확인한 후 자신의 주제와 내용에 합

한 사진을 선택하 다. 한 교사와 학생들은 구성원 개개인들의 사진을 더 효과 으

로 표 할 수 있도록 보정할 내용을 결정하고 수정하 다.

시 제목을 ‘나와 타자 이해하기’로 정하 고 시는 작품 주제가 잘 드러날 수 있

도록 디지털 린트한 구성 사진을 집합체의 형태로서 설치하 다. 시는 학생들의

교실인 1학년 교실과 본 로젝트 웹페이지에서 실시하기로 하 다.

6) 작품 시 발표

학생들의 극 인 참여로 작품 시가 진행되었으며 교사의 비로 시 서문과

작품 제목이 담긴 캡션을 완료하여 완 한 시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림 7> 청소년 술가의 공동체 미술 로젝트 시 경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 작품은 학교 교실뿐만 아니라 온라인 형태로서도 진행되

었다. 온라인의 시형태를 통해 로젝트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 과정과 작품

들을 구나 감상할 수 있도록 하 다. 이는 앞서 학생들의 인식에서 드러난 바와 같

이 학생들은 더 이상 지리 치에 의해 정의되어진 공동체 테두리를 확장하고자 하

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Page 24: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04 造形敎育 第52輯 2014

<그림 8> 로젝트 온라인 시

시를 마치고 작품 비평 수업을 실시하 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작품을 여러 각도

로 비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시문항을 설정하여 제시하 다.

나의 구성사진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나의 구성사진은 어떤 방법으로 연출했으며 연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나의 사진을 통해서 어떤 이야기를 보여주고 싶었나요?

나의 구성사진 작품에 해 잘된 과 아쉬운 은 무엇인가요?

나의 구성사진 작품에 해 만족감을 어느 정도로 느끼나요?

학생들은 시 문항에 따라 자신의 작품에 해 차례 로 서술해 나갔다. 발표자의

내용을 듣고 난 후 학생들은 교사의 안내에 따라 작품에 한 의견을 제시하 다.

체 으로 학생들은 4번 문항에 해 작품의 잘된 부분과 아쉬운 부분에 많은 의견을

내었다. 학생들은 서로의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로젝트 과정 동안 경험했던 자신과

공동체 내의 타인 한 이해와 성찰, 그리고 상 방의 시각과 생각들을 정리하여 되

새겨 보고 내면화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3. 로젝트 평가 분석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의 평가와 분석은 15차시에서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서

술형 설문지와 교사가 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다음은 <서술형 설문지>

의 작성 항목이다.

Page 25: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05

자신의 구성사진에 해 비평해 시다.

1. 나의 구성사진의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2. 나의 구성사진은 어떤 방법으로 연출했고, 그러하게 연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3. 나의 사진을 통해서 어떤 이야기를 보여주고 싶었나요?

4. 나의 구성사진 작품에 해 잘된 과 아쉬운 은 무엇인가요?

5. 나의 구성사진 작품에 해 만족감을 어느 정도로 느끼나요?

친구들의 구성사진에 해 비평해 시다.

1. 친구들의 구성사진 에 칭찬할 만한 사진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 친구들의 구성사진 에 아쉬운 사진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3. 칭찬할 만한 사진과 아쉬운 사진 에 어느 사진이 더 제작할 때 로젝트 구성원

의 참여율이 높았나요?

우리들의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 던 생각을 서술해 시다.

1. 나의 구성사진을 해 친구들과 함께 동하여 연출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느 나요?

2. 친구들의 구성사진 제작에 참여하여 함께 연출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느

나요?

3.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은 무엇인가요? 아쉬운 은 무엇인가요?

4.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만족스러웠던 은 무엇인가요? 좋았던 은 무엇인

가요?

5.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로젝트 구성원 간의 소통은 어떠했나요?

6.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서로간의 의견은 어느 정도로 존 되었나요?

7. 결과 으로 로젝트를 통해 나는 무엇을 느 나요? 얻은 것은 무엇인가요?

<서술형 설문지>의 구성을 크게 1) 학습자의 작품에 한 항목, 2) 참여 구성원의

작품에 한 항목, 3) 로젝트 공동체 구성원에 한 항목으로 나 고, 각 문항에 따

른 작성 내용은 본 로젝트에서 설정한 연구 목 에 부합하는 학습 목표를 기 으로

평가하 다. 로젝트 학습 목표에 따른 평가 기 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를 이해하고 본인을 표 하 는가?

학습자가 공동체 구성원과의 로젝트 과정에서 소통을 통한 이해와 상호 존 감이 향

상되었는가?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 간의 상호 존 을 통해 공동체 의식이 강

화되었는가?

Page 26: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06 造形敎育 第52輯 2014

학습 목표 작성 내용

1) 자기 이해를

통한 표

학생1: 외모 지상주의에 한 비 , 외모 콤 스에 하여 표 하고 싶었다.…

략…이 사진을 촬 하고 나서 부자연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내 화장이 마음에

들어서 오히려 화장품을 더 사고, 더 과하게 화장하고 다녔다. 그런 에서 봤을

때, 외모 콤 스에 걸린 여자는 나 자신이고, 내 마음 속으로도 그 콤 스에

서 벗어나고 싶다는 걸 간 으로 표 한 것 같다.

학생3: 이 게 연출한 이유는 아침부터 오후까지는 학교에 얽매여있지만 밤부터

새벽은 우리의 시간인 만큼 밤새 내가

하고 싶은걸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고… 략…우리의 시간이 없는 우리들의

생활을 보여주고 싶었다.

학생5: ‘나는 이 다‘라고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략…내가 이것을 했다는 것에

한 뿌듯함과 만족감이 든다.

학생9: 학교에서의 갑갑하고 개인 인 것이 없는 마음을 보여주고 싶었고 최

한 비 으로 우리생각, 일상을 표 하고 싶었다.

학생10: 내가 나의 장면을 직 촬 하여 구도를 잡고 그 느낌을 좀 더 사실

으로 표 해보고 싶어서… 략…이 작품을 통해 확실하게 표 해 보고 싶었다.

2) 타자에 한

이해와

상호 존 감

향상

학생1: 의사소통도 잘되고 서로의 생각 교환도 잘되고 각자의 역할분담도 잘

던 것 같다. 아이들 사진 주제에 해 더 생각해볼 수 있었다.

학생2: 내가 생각하는 것을 다 같이 표 해주어 잘 표 되는 것을 보고 동심

이 가장 요한 것 같다고 생각했다. 이야기를 하면서 더 좋은 의견으로 제작이

되어 좋았다.

학생3: 공동으로 작업해서 더 뿌듯함이 큰 것 같고 아이들이 서로서로 도와주면

서 좀 더 동심도 길러진 것 같고 한명 한명씩의 의견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약간씩 안 맞는 부분은 소통을 통해서 의견을 조율하고 존 해줬던 것 같다.

학생4: 서로 화를 많이 해서 어떤 주제인지 확실히 이해하고 해서 작품이 잘

나왔다고 생각한다. 이런 로젝트를 처음 경험해 서 흥미로웠고 재미있었다.

서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도 알게 되었고 다 같이 하는 활동에서 부딪힘 없

이 함께 한 것이 자랑스럽다.

학생6: 다 서로의 의견을 존 하고 조언도 많이 해줘서 좋았다.

학생8: 솔직히 좀 귀찮기도 했는데 하고 나니 새로운 추억을 만든 것 같다. 내

심사와 다른 아이들의 심사를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서로 배려와 존 을 해

줘서 굉장히 의미 있는 시간들이었다.

학생9: 내 말을 듣고 해주는 모습이 정말 고맙고 그 로 해줘서 더 우정이 러

스 되는 느낌이었고, 이런 로젝트를 처음 하는 것이었는데 재 고 좋은 추억이

된 것 같다.

<표 5> 참여 학생들의 서술형 설문지 작성 내용에 따른 결과

다음의 <표 5>는 학생들이 서술한 내용을 학습 목표에 맞게 정리한 것이다.

Page 27: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07

3) 구성원 간의

공동체 의식

강화

학생1: 칭찬할 만한 사진의 참여율이 더 높았던 것 같다. 소수 인원으로도 좋은

사진이 많이 나왔다. 참여율은 참여 인원보다는 참여의 극성에 많이 의존하는

것 같다.

학생3: 다 같이 공동으로 작업해서 의미가 더 컸던 것 같다. 다시 한 번 우리들

의 생활을 되돌아 볼 수 있었다.

학생4: 서로의 아이디어가 모여 크게 되는 것이 효과 이었다. 우리가 추진력이

좋다고 느 다.

학생5: ‘성장하고 있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싸움이나 의견 충돌도 없이 순조롭

게 진행되어 만족스럽다. 창의력, 동심 등 많은 것을 배우고 얻은 것 같다.

학생6: 우리가 하나가 되어 이 로젝트를 할 수 있었다.

학생7: 아이들과의 동심, 배려, 다양한 의견의 수용을 느 다.

학생12: 서로간의 동이 아니었으면 이 로젝트를 무사히 끝낼 수 없었을 것

이다.

우선, 자기 이해를 통한 표 에서 연구자가 설정한 학습목표에 따른 평가 기 으로

학생들의 수행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하자면 체 으로 참여 학생들이 자신들

의 일상생활에서 출발한 다양한 주제들을 원활히 자기 이해과정을 거쳐 표 했음을

분명하게 찰할 수 있었다. 이는 본격 으로 로젝트에 들어가기에 앞서 공동체 미

술에 한 체험과 이해 학습과정에서 체 학생들의 이해도를 먼 학습목표에 도달

하게 한 이 반 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로서 학생들의 ‘자기 이해를 통한 표 ’이

학습 목표에 도달하 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타자에 한 이해와 상호 존 감 향상에 따른 학생들의 답변에서는 ‘의사소통’,

‘생각 교류’, ‘ 동심’, ‘존 과 배려’, ‘이해’ 등의 단어가 자주 등장하 다. 학생1과 학생2

는 구성원간의 의견을 공유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동심이 작품을 제작에 좋

은 결과를 주었다고 답했으며 구성원의 작품에 해서 주제를 좀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답변하 다. 학생3은 공동제작에 큰 의미를 두었으며 구성원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답하 다. 한 소통을 통해서 서로간의 의견을 조율하고 존

해주었다고 답변하 다. 학생4는 활발한 소통으로 서로의 생각에 해 이해도가 높았기

때문에 좋은 작품이 나왔다고 평하 다. 뿐만 아니라 이 로젝트를 통해서 구성원들에

해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 다. 한 갈등이나 충돌 없이 의견을 잘 조율해서 진행한

을 우수하게 뽑았다. 학생6은 작품 제작 과정에서 서로간의 활발한 조언에 정 인

평을 하 다. 학생8과 학생9는 이 로젝트를 단순히 학습 과제로 인식하는 것을 머

개인 경험으로 느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 로젝트를 통해서 자신의

심사와 구성원의 심사를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서로 배려와 존 으로서 진행

했던 의미 있는 경험이라고 답하 다. 이처럼 학생들의 답변을 통해서 서로간의 의사소

Page 28: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08 造形敎育 第52輯 2014

통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작품 제작에 참여율이 높았으며 한 동시에 구성원에

한 이해와 함께 상호 존 감도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품 주

제가 개인에게 의미 있는 내용일수록 는 높은 참여율로 공동으로 작업할수록 학습과

정이 학습자 내면 안에서 유의미하게 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구성원 간의 공동체 의식 강화에 따른 학생들의 답변을 살펴보자면 체 으

로 ‘구성권간의 단결력’에 한 평을 주로 한 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학생1은 칭찬

할만한 사진과 아쉬운 사진 참여율을 논하는 문항에 칭찬할 만한 사진의 참여율이

높았다고 답했으며 소수 인원으로도 좋은 사진이 많이 나온 에 참여율은 참여 인원

수보다 참여의 극성에 많이 의존하는 것 같다고 평하 다. 학생3은 공동 작업에 의

미를 두었으며 로젝트를 통해서 자신들의 일상생활을 되돌아 볼 수 있었다고 답하

다. 학생4는 구성원간의 아이디어를 모아 크게 되는 과정이 효과 이었다고 답했다.

학생5는 로젝트를 통해서 성장하는 기분을 경험했다고 하 으며 의견 충돌 없이 순

조롭게 진행되어 만족스러운 감정을 드러냈다. 한 창의력과 동심 등 많은 것을

배우고 얻었다고 하 다. 학생6은 구성원들이 하나가 되어 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

었다고 답하 다. 학생7은 구성원간의 동심과 배려, 다양한 의견의 수용을 느 다고

답했다. 학생12는 서로간의 동이 아니었으면 로젝트를 완성하지 못했다고 답하

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로젝트를 통해서 업하는 과정을 배우고 겪으면서 단결력

과 동심, 배려, 성장 등의 만족감을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참여율에 구성원의 극성을 요한 태도로 꼽은 도 학생들이 로젝트

를 진행하면서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세 가지 항목에 따른 학생들의 작성 내용을 각각의 평가 기 에 따라 살펴보

면서 연구자는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얻어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 다.

첫째,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찾아낸 학습 주제들로 미술 작품을 제

작하는 과정에서 자기 이해를 거쳐 내면화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학습

주제가 학습자의 삶과 긴 하게 연결되어있어 학습 활동을 통해 얻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인지와 지식구조에 빠르게

맥락으로 흡수됨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자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작품 제작에 참여율이

높았으며 동시에 구성원에 한 이해와 함께 상호존 감도 함께 향상되었다. 활발한

의사소통은 구성원간의 참여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서로의 입장과 생각을 충분히

이해하게 만들어 학습 수행의 과정과 그 내용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Page 29: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09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은 무엇인가요?

작성 내용

학생1: 환경의 여유가 없었다는 이 아쉬웠다. 학교라서 제한 인 공간

이어서 아쉬웠다.

학생2: 더 표 하고 싶었던 것을 할 수 없는 환경이라 표 하지 못한 것

들이 많았던 것 같다.

학생3: 로젝트 기간이 짧아 조 아쉬웠고 표 에 제제 되는 것이 많

아서 힘들었다.

학생4: 여건이 안 되는 경우가 아쉬웠다.

학생5: 장소가 무 한정 이어서 거기서 아쉬움이 컸던 것 같다.

학생6: 시간이 부족해서 더 잘 었을 수도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학생7: 사진을 많이 못 어서 아쉬웠다.

학생8: 환경이나 비물 등이 마땅치 않아 잘 표 하기가 어려웠다.

학생9: 작품 제작을 한 연출이 어려웠다.

학생10: 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자유롭지 못했던 이 아쉬웠다.

학생11: 자신감이 부족해 제 로 못 었다.

학생12: 연출을 좀 더 풍부하게 하지 못해 아쉬웠다.

셋째, 학습자는 참여율에 있어 구성원의 인원수보다 구성원의 극성을 요한 태

도로 보았다. 소수 인원으로도 완성도가 높은 작품을 제작한 을 학습자 스스로가

확인하 으며, 이를 통해 학습에 한 태도를 요하게 생각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넷째, 학습자의 삶에 직 으로 의미 있는 작품 주제뿐만 아니라 높은 참여율로

공동으로 작업 할수록 학습과정이 학습자 내면 안에서 유의미하게 달되었다. 높은

참여율은 학습자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충분한 의사소통은 학습

자에게 다시 향상된 교우 계, 상 방에 한 이해, 배려 등을 느끼게 해주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본 로젝트를 통해서 업하는 과정을 배우고 겪으면서 단결

력과 동심, 배려, 성장 등의 만족감을 얻었다. 본 로젝트에서의 업은 학습자에

게 필수 인 부분으로 작용하 기 때문에 학습자는 스스로 업에 필요한 태도를 몸

소 익힐 수 있었다.

이처럼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서 학습 목표에 도달하 으나 반면에 학생

들의 설문지를 통해서 본 로젝트의 한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서술형

설문지2에서 학생들에게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을 묻는 문항을 제시

하 으며 그에 따른 체 학생들의 답변은 다음<표 6>과 같다.

<표 6> 학생들이 답변한 본 로젝트 학습의 한계

서술형 설문지를 통해 참여 학생들이 겪은 본 공동체 미술 로젝트의 한계 은

체 으로 교육환경의 배려가 부족하여 교육 장소의 미흡함을 언 하 다. 다음으로는

Page 30: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10 造形敎育 第52輯 2014

본 로젝트 기간이 비교 짧아 아쉬웠다는 평을 하 다. 그 외로는 연출 표 의 부

족함, 자신감 부족을 꼽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본 로젝트의 개선 을 제

시하고자 한다.

첫째, 로젝트의 효과 인 진행을 해 교육 환경의 여건이 충분히 뒷받침되어야

한다. 학습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없는 폭넓은 교육환경과 학교장의 이해

와 재량, 학교 구성원의 배려를 통해 학습자가 교육장소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습 내

용을 원활하게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각기 다른 성향을 고려하여 로젝트 기간을 비교 여유롭게 배

치시켜 학습자들이 학습 수행 과정을 충분히 생각하고 깊이 있게 경험 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사의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는 학습자들이 충분히 로젝트에 몰입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참여 학습

자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사와 참여 학습자간의 충분한 이해과정도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학습자는 교사와의 이해 계에서 로젝트의 의미와 필요성을

탐색하기도 하며 교사는 학습자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Ⅴ. 결론 제언

본 연구는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통해 청소년이 자신에 한 이해와 구성원과의

교류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타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 을 두고, 청소년

들이 단순 업을 통한 미술 활동에 있어서 형태로서의 ‘공공성’보다는 의미로서의

‘공공성’이 되는 학습 활동에 을 맞추어 서로간의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청

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래집단 간의 정체성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 다. 우선,

공동체 미술교육의 이론 배경에 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

하고, 청소년에게 근할 수 있는 공동체 미술 교육 로젝트를 구안하여 장에서

직 용하 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찾아낸 학습 주제들로 미술 작품을 제

작하는 과정에서 자기 이해를 거쳐 내면화되는 경험을 얻는다. 이는 학습자의 경험으

로 교육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가 하는 범 한 역들을 교육 근으로

Page 31: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11

해석하여 환경과 문화에 한 비 인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학습자의 삶에

한 스스로의 비 근은 다시 사회와 학습자의 삶을 상호 계로 연계시킬 수

있어 학습자의 가치 단의 범 를 확산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작품 제작에 참여율이

높았으며 동시에 구성원에 한 이해와 함께 상호 존 감도 함께 향상되었다. 이것은

미술제작 경험 활용하여 학습자간의 력과 합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수록 구성원과

사회에 한 심과 이해를 극 으로 시도하려는 태도를 반 할 수 있겠다.

셋째, 학습자는 참여율에 있어 구성원의 인원보다 구성원의 극성을 요한 태도

로 보았다. 이는 학습자가 공동체 미술 로젝트 과정을 경험하면서 참여 구성원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 으며 동시에 구성원의 바람직한 학습 태도를 제시함을 의미할

수 있다.

넷째, 작품 주제가 개인에게 의미 있는 내용이거나 높은 참여율로 공동으로 작업 할

수록 학습과정이 학습자 내면 안에서 유의미하게 달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교육 활

동에서 주체로서 치하여 학생의 심 역 안에서 찾은 학습 내용을 활동으로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성원들의 극 인 참여와 소통으로 의견을 교류하며

계를 맺어나갈수록 학습자는 그 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며 내면화하게 된다.

다섯째, 학생들이 본 로젝트를 통해서 업하는 과정을 배우고 겪으면서 단결력

과 동심, 배려, 성장 등의 만족감을 얻었다. 이는 공동체 미술교육의 여러 목

하나로 학습자의 정체성을 찾는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의식의 향상을 반 할 수 있

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드러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젝트의 효과 인 진행을 해 교육 환경의 여건이 충분히 뒷받침되어야

한다. 학습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없는 폭넓은 교육환경과 학교장의 이해

와 재량, 학교 구성원의 배려를 통해 학습자가 교육장소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습 내

용을 원활하게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각기 다른 성향을 고려하여 로젝트 기간을 비교 여유롭게 배

치시켜 학습자들이 학습 수행 과정을 충분히 생각하고 깊이 있게 경험 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사의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는 학습자들이 충분히 로젝트에 몰입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참여 학습

자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사와 참여 학습자간의 충분한 이해과정도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학습자는 교사와의 이해 계에서 로젝트의 의미와 필요성을

Page 32: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12 造形敎育 第52輯 2014

탐색하기도 하며 교사는 학습자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로서 청소년 학습자를 상으로 공동체 미술

로젝트를 수행하 다. 학습자는 로젝트의 주체로서 로젝트의 반 인 계획을 세

워 실천하 다. 여기에서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동시에 공동체 미술

(community art)을 실행하는 미술가의 치로서도 기능한다고 할 수 있겠다. 교사는

공동체 미술의 미술가처럼 공동체를 발 ·형성시킬 수 있는 집단을 발견하고 그 집단

을 한 체계 인 미술활동을 설정하여 집단과 함께 그 집단을 반 하는 새로운 미술

활동과 작품을 만들어갈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공동체 미술을 실천하는 교사(=미

술가)의 역할과 그 가능성에 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 기(2001). 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서울: 아카넷.

강수미(2008). 공동체를 한 술과 공공미술. 미술학, 12, 7-52.

고은실(2009).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미술과 미술교육. 술교육연구, 7(1), 157-172.

김 희(2007). 지역사회에 기반한 미술 교육의 이론 고찰. 술교육연구, 6(1), 45-56.

노리단(2010). 00는 학 안내서. 서울: 노리단. 달로그. 희망청.

노리단(2011). 2010 노리단 연차보고서. 서울: 사회 기업(주)노리단.

박윤조 (2008). 람자(audience)에 한 안 근: 수잔 이시 작품 속에서. 미술사

학보, 30, 61-91.

박진희 (2002). 공동체 미술에 한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13(1), 1-20.

안인기 (2011a). 사회정의를 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 함의. 미술교육논총, 25(2),

295-320.

안인기(2011b). 미술의 사회참여 :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 기 조형학연구,

12(5), 283-292.

이경란(2010). 도시 속 동 연 를 통한 마을경제 계망 만들기 : 서울 마포구 성미산

마을의 사례. 한국 동조합연구, 28(2), 143-171.

정원연(2012). 성북 술창작센터 연간보고서 치유․소통․나눔을 한 로젝트. 서울:

서울문화재단.

정 일(2009). 커뮤니티 심의 미술교육: 의미, 역사, 그리고 교육실천의 가능성 모색.

Page 33: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청소년 술가를 한 공동체 미술 로젝트 사례 연구 413

미술교육논총, 23(1), 35-70.

Anderson, T., & Milbrandt, M. K. (2007). 삶을 한 미술교육: 미술의 실제 교수·

학습을 심으로 (김정희 외 4인 역). 서울: 경. (원 2005년 출 )

Ballengee-Morris, C., Daniel, V. & Stuhr, P. (2003). Issues of diversity in visual culture

education: Community, social justice and postcolonialism.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Society for Education through Art(InSEA) Annual Conference,

Stockholm, Helsinki & Tallinn.

Ballengee-Morris, C. & Keys, K. (2004). 공동체 심 미술교육: 문화, 동, 교수법. (최

옥희 역). 미술과 교육, 5(1), 143-151.

Duekhein, E. (1973). Moral education: A study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Free Press.

Etzioni, A. (1993). The spirit of community: Rights responsibilities and the

communitarian agenda. New York: Crown Publisher.

Hillery, G.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Lacy, S. (2010).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김인규, 이 욱 역). 서울: 문화과학

사. (원 1994년 출 ).

Lasch, C. (1997). Haven in a heartless world. New York: Basic Books.

Mcfee, J. (1995). Interdisciplinary and international trend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Visual Arts Education, National Taipei Teachers College,

Taiwan.

Nancy, J. L. (1991). The inoperative community (P. Connon et. al, Tra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Neperud, R. (Ed.).(1995). Context, content, and community in art education. New

York: Peter Lang.

Ulbricht, J. (2005). What i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rt Education, 58(2),

6-12.

논문 수 2014년 10월 15일 논문심사 2014년 10월 30일 게재승인 2014년 11월 10일

Page 34: 청소년 예술가를 위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 사례 연구: 나와 타자 이해하기 ㆍ강 주 희

414 造形敎育 第52輯 2014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Community Art Project for Teenage

Artists: Understanding Myself and Others

Yoonji LIM, Joohee KANG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meanings and forms of community,

community ar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e valu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s also defined by examining its concept,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s methodical contents and traits.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mmunity art project, we developed a community art project as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artists. Then, we applied

it, analyzed, and evaluat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According to our research, first,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meaning of community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art works that were based

on study materials found in daily life on their own; second, as students’

communication were smoothly advanced, the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withi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lso increased; third, students viewed the

positivity of the members more than the rate of participation; fourth, the process

of learning transferred more meaningfully as the subjects of art meant something

to the individuals or were done in groups; and fifth, as students experienced being

cooperative via the project, they have learned satisfaction related with learning

unity, teamwork, solicitude, and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