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Post on 26-Jul-2015

1159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소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elearningmedskkuackr

200711

1

사업개요01C O N T E N T S

2

1 사업개요

의학임상 분야 전문 「 e-Learning Contents 」구축 사업

11) 사업명

12) 제안 배경 및 필요성

구 분 내 용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수용 지식기반사회의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으로 이러닝 구축 교육의 흐름이 평생교육 및 자기주도형 학습 형태로 변화 의학분야에 있어서도 이러닝이 미래교육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인식

의학교육의 다각화 강의실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임상실습교육의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의학교육 분야의 대처 방안이 요구됨 다각적인 측면의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이 요구됨

평생교육 및 국민보건 향상 의대 졸업생 및 의료인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 콘텐츠가 요구됨 공공 의료기관 ( 보건소 공중보건의 ) 에 지속적인 학습지원이 요구됨

의학 교육 분야의 이러닝 지원 체제 필요

의학 교육의 전문성 및 교육과정의 특이성으로 인해 타 이러닝 시스템과는 구별되는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이러닝에 대한 지식 및 기술 공유

전문인력 양성 및 확대를 위한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참여 대학의 분야별 전문인력의 양성화

국가 차원의 비용 절감 개별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대학별 유사 콘텐츠 제작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시스템 공유에 따른 비용 절감

3

1 사업개요

13)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사업관리 기술지원 시스템지원

장비 점검 및 튜닝 방안 제시

장애 발생시 처리 방안 제시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

컨소시엄활성화를 위해 실현 가능한 운영 방안 제시

사업 일정 계획 제시 효율적인 인력 운영

수행 조직 및 업무분장 제시

콘텐츠 제작 기법 및 기술 지원

현장 방문 또는 웹을 통한 실전 기술 이전

제작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컨설팅 지원

초기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활용

참여대학간의 유휴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중계자 역할

소프트웨어 지원 및 개발

의학 임상 전문 시스템 구축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및 도입효율적인 운영 관리 체계 확립대학간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체제 확립차기 사업 확장을 위한 지식정보 시스템 구축

4

1 사업개요

14) 기대효과

의학교육의 효율화 및

국민보건향상

bull 의학교육업무 추진 및 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bull 현황분석 진단을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bull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자원을 통한 학습방법의 다양성

bull 교수자는 다양한 수업매체 확보로 인한 교육방법의 다양성확보

bull 상대적으로 최신의학정보에 취약한 개업의 공중보건의 보건소 등의 인력에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정보 제공 체계 구축

bull 의료인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bull 이러닝 의학교육 학습체제 기본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발전 및 확산의 기틀

bull 의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기틀마련

bull 의학교육의 자기주도 학습지원체계 구축

대학의 경쟁력확보 인력양성 및 비용절감

의료인의 평생교육지원 의학교육발전에 기여

bull 의료전문 인력 재교육지원bull 의학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bull 공동 구축으로 인한 비용절감bull 예산절감 및 효율성확보와 새로운

교육재원 및 신규 수요창출bull 대학 특성화 분야에 따른

인적자원확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5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사업개요01C O N T E N T S

    2

    1 사업개요

    의학임상 분야 전문 「 e-Learning Contents 」구축 사업

    11) 사업명

    12) 제안 배경 및 필요성

    구 분 내 용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수용 지식기반사회의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으로 이러닝 구축 교육의 흐름이 평생교육 및 자기주도형 학습 형태로 변화 의학분야에 있어서도 이러닝이 미래교육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인식

    의학교육의 다각화 강의실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임상실습교육의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의학교육 분야의 대처 방안이 요구됨 다각적인 측면의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이 요구됨

    평생교육 및 국민보건 향상 의대 졸업생 및 의료인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 콘텐츠가 요구됨 공공 의료기관 ( 보건소 공중보건의 ) 에 지속적인 학습지원이 요구됨

    의학 교육 분야의 이러닝 지원 체제 필요

    의학 교육의 전문성 및 교육과정의 특이성으로 인해 타 이러닝 시스템과는 구별되는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이러닝에 대한 지식 및 기술 공유

    전문인력 양성 및 확대를 위한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참여 대학의 분야별 전문인력의 양성화

    국가 차원의 비용 절감 개별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대학별 유사 콘텐츠 제작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시스템 공유에 따른 비용 절감

    3

    1 사업개요

    13)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사업관리 기술지원 시스템지원

    장비 점검 및 튜닝 방안 제시

    장애 발생시 처리 방안 제시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

    컨소시엄활성화를 위해 실현 가능한 운영 방안 제시

    사업 일정 계획 제시 효율적인 인력 운영

    수행 조직 및 업무분장 제시

    콘텐츠 제작 기법 및 기술 지원

    현장 방문 또는 웹을 통한 실전 기술 이전

    제작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컨설팅 지원

    초기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활용

    참여대학간의 유휴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중계자 역할

    소프트웨어 지원 및 개발

    의학 임상 전문 시스템 구축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및 도입효율적인 운영 관리 체계 확립대학간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체제 확립차기 사업 확장을 위한 지식정보 시스템 구축

    4

    1 사업개요

    14) 기대효과

    의학교육의 효율화 및

    국민보건향상

    bull 의학교육업무 추진 및 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bull 현황분석 진단을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bull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자원을 통한 학습방법의 다양성

    bull 교수자는 다양한 수업매체 확보로 인한 교육방법의 다양성확보

    bull 상대적으로 최신의학정보에 취약한 개업의 공중보건의 보건소 등의 인력에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정보 제공 체계 구축

    bull 의료인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bull 이러닝 의학교육 학습체제 기본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발전 및 확산의 기틀

    bull 의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기틀마련

    bull 의학교육의 자기주도 학습지원체계 구축

    대학의 경쟁력확보 인력양성 및 비용절감

    의료인의 평생교육지원 의학교육발전에 기여

    bull 의료전문 인력 재교육지원bull 의학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bull 공동 구축으로 인한 비용절감bull 예산절감 및 효율성확보와 새로운

    교육재원 및 신규 수요창출bull 대학 특성화 분야에 따른

    인적자원확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5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1 사업개요

      의학임상 분야 전문 「 e-Learning Contents 」구축 사업

      11) 사업명

      12) 제안 배경 및 필요성

      구 분 내 용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수용 지식기반사회의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으로 이러닝 구축 교육의 흐름이 평생교육 및 자기주도형 학습 형태로 변화 의학분야에 있어서도 이러닝이 미래교육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인식

      의학교육의 다각화 강의실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임상실습교육의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의학교육 분야의 대처 방안이 요구됨 다각적인 측면의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이 요구됨

      평생교육 및 국민보건 향상 의대 졸업생 및 의료인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 콘텐츠가 요구됨 공공 의료기관 ( 보건소 공중보건의 ) 에 지속적인 학습지원이 요구됨

      의학 교육 분야의 이러닝 지원 체제 필요

      의학 교육의 전문성 및 교육과정의 특이성으로 인해 타 이러닝 시스템과는 구별되는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이러닝에 대한 지식 및 기술 공유

      전문인력 양성 및 확대를 위한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참여 대학의 분야별 전문인력의 양성화

      국가 차원의 비용 절감 개별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대학별 유사 콘텐츠 제작으로 인한 중복투자 비용 절감 시스템 공유에 따른 비용 절감

      3

      1 사업개요

      13)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사업관리 기술지원 시스템지원

      장비 점검 및 튜닝 방안 제시

      장애 발생시 처리 방안 제시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

      컨소시엄활성화를 위해 실현 가능한 운영 방안 제시

      사업 일정 계획 제시 효율적인 인력 운영

      수행 조직 및 업무분장 제시

      콘텐츠 제작 기법 및 기술 지원

      현장 방문 또는 웹을 통한 실전 기술 이전

      제작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컨설팅 지원

      초기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활용

      참여대학간의 유휴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중계자 역할

      소프트웨어 지원 및 개발

      의학 임상 전문 시스템 구축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및 도입효율적인 운영 관리 체계 확립대학간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체제 확립차기 사업 확장을 위한 지식정보 시스템 구축

      4

      1 사업개요

      14) 기대효과

      의학교육의 효율화 및

      국민보건향상

      bull 의학교육업무 추진 및 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bull 현황분석 진단을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bull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자원을 통한 학습방법의 다양성

      bull 교수자는 다양한 수업매체 확보로 인한 교육방법의 다양성확보

      bull 상대적으로 최신의학정보에 취약한 개업의 공중보건의 보건소 등의 인력에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정보 제공 체계 구축

      bull 의료인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bull 이러닝 의학교육 학습체제 기본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발전 및 확산의 기틀

      bull 의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기틀마련

      bull 의학교육의 자기주도 학습지원체계 구축

      대학의 경쟁력확보 인력양성 및 비용절감

      의료인의 평생교육지원 의학교육발전에 기여

      bull 의료전문 인력 재교육지원bull 의학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bull 공동 구축으로 인한 비용절감bull 예산절감 및 효율성확보와 새로운

      교육재원 및 신규 수요창출bull 대학 특성화 분야에 따른

      인적자원확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5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1 사업개요

        13)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기능 및 역할

        운영방향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사업관리 기술지원 시스템지원

        장비 점검 및 튜닝 방안 제시

        장애 발생시 처리 방안 제시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

        컨소시엄활성화를 위해 실현 가능한 운영 방안 제시

        사업 일정 계획 제시 효율적인 인력 운영

        수행 조직 및 업무분장 제시

        콘텐츠 제작 기법 및 기술 지원

        현장 방문 또는 웹을 통한 실전 기술 이전

        제작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컨설팅 지원

        초기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활용

        참여대학간의 유휴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중계자 역할

        소프트웨어 지원 및 개발

        의학 임상 전문 시스템 구축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및 도입효율적인 운영 관리 체계 확립대학간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체제 확립차기 사업 확장을 위한 지식정보 시스템 구축

        4

        1 사업개요

        14) 기대효과

        의학교육의 효율화 및

        국민보건향상

        bull 의학교육업무 추진 및 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bull 현황분석 진단을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bull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자원을 통한 학습방법의 다양성

        bull 교수자는 다양한 수업매체 확보로 인한 교육방법의 다양성확보

        bull 상대적으로 최신의학정보에 취약한 개업의 공중보건의 보건소 등의 인력에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정보 제공 체계 구축

        bull 의료인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bull 이러닝 의학교육 학습체제 기본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발전 및 확산의 기틀

        bull 의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기틀마련

        bull 의학교육의 자기주도 학습지원체계 구축

        대학의 경쟁력확보 인력양성 및 비용절감

        의료인의 평생교육지원 의학교육발전에 기여

        bull 의료전문 인력 재교육지원bull 의학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bull 공동 구축으로 인한 비용절감bull 예산절감 및 효율성확보와 새로운

        교육재원 및 신규 수요창출bull 대학 특성화 분야에 따른

        인적자원확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5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1 사업개요

          14) 기대효과

          의학교육의 효율화 및

          국민보건향상

          bull 의학교육업무 추진 및 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bull 현황분석 진단을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bull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자원을 통한 학습방법의 다양성

          bull 교수자는 다양한 수업매체 확보로 인한 교육방법의 다양성확보

          bull 상대적으로 최신의학정보에 취약한 개업의 공중보건의 보건소 등의 인력에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정보 제공 체계 구축

          bull 의료인의 지속적인 교육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bull 이러닝 의학교육 학습체제 기본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발전 및 확산의 기틀

          bull 의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기틀마련

          bull 의학교육의 자기주도 학습지원체계 구축

          대학의 경쟁력확보 인력양성 및 비용절감

          의료인의 평생교육지원 의학교육발전에 기여

          bull 의료전문 인력 재교육지원bull 의학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bull 공동 구축으로 인한 비용절감bull 예산절감 및 효율성확보와 새로운

          교육재원 및 신규 수요창출bull 대학 특성화 분야에 따른

          인적자원확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

          5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02C O N T E N T S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1) 추진목표

              국내 최고의 의학교육 전문 이러닝 콘텐츠 DB 구축

              의료전문인력 평생 재교육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형 의학교육 이러닝 표준시스템 구축

              대국민보건의료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의학지식정보의 대중화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7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1) 이러닝 컨소시엄 비전

                2) 추진 방향 및 전략

                구 분 내 용

                추진방향

                콘텐츠 공동 개발을 위한 대학간 협력 체제 강화 컨소시엄 소속 대학 교수진이 협력하여 이러닝 콘텐츠 공동 개발

                의학 분야의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정규 대학교육 연계방안 및 CME 교육으로 확대 방안 검토 의학 분야의 이러닝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구축

                추진전략

                운영 전략

                권역 내 대학을 팀별로 조직하여 팀별 역할을 분담 초기년도에 지원팀은 모든 팀별 회의에 참석하여 기술지원 및 자문

                참여대학에 대응자금을 분담하여 참여의식을 높임

                우수 콘텐츠 및 우수 참여대학을 평가하여 인센티브제도 운영

                이러닝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운영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에 대한 품질 관리 제도 운영

                8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운영위원회

                  운영조직

                  이러닝 컨소시엄

                  bull 위원장 위원장bull 위 원 각 대학의 대표 1 인 및 각 팀의 팀장bull 감 사 위원회에서 2 인 선출 컨소시엄 예산 집행 감사

                  콘텐츠구축팀

                  bull 교수설계 및 신규 콘텐츠 구축bull 미디어 제작bull콘텐츠 peer review

                  매체연구개발팀

                  bull 요구조사 및 사례 분석bull 매체 유형 연구 및 개발

                  지원팀

                  bull 장애 예방 및 점검bull 하드웨어 운영bull 기술지원 및 자문

                  9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참여 대학

                    bull현재 총 24 개 의과대학 의전원bull가천의대 건국의대 경상의대 경북의대 경희의대 계명의대bull고려의대 고신의대 관동의대 단국의대 대구가톨릭의대bull성대의대 영남의대 울산의대 원광의대 이화의대 인하의대bull제주대학 중앙의대 포천중문의대 충남의대 한림의대

                    bull참여인원 운영위원 25 인 참여교수 연구원 26 명 지원팀 staff 3 명 ( 성균관 의대 내부 인력 )

                    bull아주의대 2008 년 신규 참여

                    10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2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활동현황

                      20061120 참가희망 대학 모임

                      200612 준비위원회 구성 협약체결

                      20071 1 차 운영위원회

                      20071-2 콘텐츠구축팀 매체연구팀 구성 및 회의

                      20073-8 시스템 ( 홈페이지 ) 프로토타입 구축

                      20079 임시 총회 ( 홈페이지 시연 )

                      200710-20081 콘텐츠 구축 활동

                      200711 2 차 운영위원회

                      20083 홈페이지 OPEN 예정

                      11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23)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계획

                        구 분 내 용

                        인력 확보

                        주관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의 보유 인력을 최대한 활용

                        참여대학 소속의 교수 이상

                        사업계획 수립 및 정책 수립 교육학 PhD+ 주관 ( 참여 ) 대학 교수 1 인 이상

                        시스템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2 인 IT 계열전공자 개발경력 2 년 이상자

                        UI 개발 전문인력 1 인 개발 경력 2 년 이상

                        콘텐츠 코디네이터 2 인 관련 툴 사용 및 활용 가능자

                        공간 확보 주관대학의 서버실 및 시설 공동 사용

                        개발 및 시스템관리를 위한 공간은 주관대학에 별도의 공간 확보

                        자구 노력 참여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참여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특성화 교육

                        해외 우수 사례 분석 국내 현실에 맞게 변형 및 적용

                        확대 발전 전국 41 개 의과대학 컨소시엄 구성

                        지역별 대학간의 협력 체제 구축

                        의사고시에서 진행 중인 OSCE 훈련 시스템 구축

                        2 이러닝 컨소시엄 운영 현황 및 계획

                        12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03C O N T E N T S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3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시스템공유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1)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1) 시스템 공유 방안

                            bull 주관대학의 시설 및 장비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유 휴 장비 공유

                            Infrastructure

                            bull 소프트웨어 및 Learning Object 표준화 bull 개발 기술의 지침서 마련

                            bull 학습객체 (learning objects) 개념의 개발bull 인터넷 인트라넷 기술 적용

                            bull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 bull 담당자간의 휴먼 네트워크 구성

                            Technology

                            Standardization

                            Know-How

                            14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분야 세부 추진 목표

                              증례은행

                              실제 환자 증례를 중심으로 구성한 문진 검사 진단 예후 처방 등으로 구성한 체계적 데이터 베이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증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축

                              Visual Databank

                              질병 중심의 슬라이드 동영상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

                              - 해부병리자료 ( 정상자료 병리자료 등 ) - 방사선영상자료 (X-Ray CT MRI PET 초음파 등 ) - 검사결과자료 ( 심전도 신경검사 등 ) - 질환별 자료 ( 피부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 이미지가 중요한 질환 중심 )

                              동영상

                              임상술기 (Clinical Skills) 동영상자료 제작 임상 실습교육 전에 필요한 내용을 간단한 동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bull 특수 전문분야 ( 법의학 의사학 항공의학 잠수의학 등 ) 동영상 강의 개설

                              커뮤니케이션 기법 동영상 강의 ( 환자 외국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 )

                              15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증례은행 예시

                                1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Visual Databank 예시

                                  17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1) 개발분야

                                    임상술기 동영상 예시

                                    18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2) 콘텐츠 공동 개발 방안

                                      2) 콘텐츠 공동 개발 middot 확보 middot 구축 방안

                                      구 분 항 목 내 용

                                      개발방향

                                      구축 대상 자료 선정 기준 전체 대학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 우선 개발

                                      대학 학습목표에 해당되는 분야 우선 개발

                                      각 대학에서 단위 대학별로 개설하기 어려운 강좌 개발

                                      각 대학별 배분 각 대학의 특성 ( 우수 영역 ) 반영 연간 개발 목표량을 대학별 동수로 배분

                                      Peer Review 제 도입 콘텐츠의 질관리를 위해 기개발자료 구축예정자료 모두 전임 교수들에 의한 평가제 도입

                                      유형별 다양한 Prototype 설정 강의 유형별 3-5 개의 다양한 Prototype 제작 배부 통일성과 다양성 동시 추구

                                      User Interface 강화 다양한 접근점 제공 ( 장기명 계통명 과목명 질병분류표 MeSH 등 )

                                      구 분 단 계 내 용

                                      콘텐츠 정규화

                                      ① 원시자료 수집 단계 원시자료 고유의 표현 방식에서 DB 구조로의 재해석

                                      ② 원시자료 분류 분석 단계 원시자료 선택 원시자료 번호로의 코드화 및 문서번호 파일 명칭화

                                      ③ DB 설계 단계 기존 콘텐츠간 구조화를 통해 DB 개발과정에서의 편이성 보다는 차후 현행화의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④ 콘텐츠 가공 단계 구조화될 콘텐츠를 디지털화

                                      ⑤ 편집 단계 디지털 단계에서 실제적인 구조화

                                      ⑥ DB 로딩 단계 콘텐츠 구조의 안정화

                                      ⑦ DB 운영 단계 콘텐츠 구조의 변동 또는 구조화된 콘텐츠를 변동

                                      19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3)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

                                        구 분 대 상 내 용

                                        활용계획

                                        교수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신기술 타 병원의 독특한 증례제공

                                        의과대학생bull 학년별 맞춤 정보 제공 실습 전 이러닝을 통한 사전 학습준비 bull 증례은행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지원

                                        전문 의료인 bull 최신 의학정보 및 증례 위주의 정보 제공

                                        일반인 bull 일반인이 알아야 할 강좌 제작 ( 응급대처 질병 예방 및 관리 영양관리 운동관리

                                        보완 대체의학 등 ) 동영상 강의로 구성

                                        운영자 bull 학습 자원별 이용현황 콘텐츠 보유 현황 콘텐츠의 라이프 사이클 통제

                                        콘텐츠 공동 활용 및 서비스 방안

                                        bull 참여대학은 컨소시엄에서 구축한 이러닝 허브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및 시스템 공유

                                        bull 참여대학의 이용자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인증과정을 거친 후 시스템 이용

                                        bull 참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는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bull 유관기관에서도 이용기관 등록 후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시스템을 이용함

                                        20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1) 교수자 지원방안

                                          34)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방 안 내 용

                                          전문인력활용

                                          기술 및 관리 전담 조직인 지원팀의 site 방문을 통한 현장에서의 기술 지원 및 교육

                                          교수자의 원시자료를 지원팀에서 취합하여 디지털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콘텐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제공

                                          인센티브제도 도입

                                          콘텐츠의 [ 평가결과 + 표준화정도 + 참여정도 ] 를 기반으로 우수교수 선정 인센티브 제공

                                          각 대학별 우수 참여대학을 선발 하여 대학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시설 및 시스템 구축

                                          콘텐츠를 직접 온라인에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라인을 통한 질의 응답운영

                                          시스템 구현시 각 기능별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지식 및 자료 공유

                                          첨단 시설의 스튜디오 설치 및 시설의 확충

                                          21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3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middot 활용

                                            35) 콘텐츠 구축 현황 및 계획

                                            현황 (20078~11) 목표 (2008)

                                            임상증례 70 250

                                            비쥬얼 데이터뱅크 178 1000

                                            임상술기 동영상 9 30

                                            CPC퀴즈 8 500

                                            22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04C O N T E N T S

                                              2008 년 도 사업 계획 및 소요예산 자원

                                              23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1) 2008 년도 사업 계획

                                                24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2) 2008 년도 예산 ( 단위 만원 )

                                                  내 역 금 액 기 타

                                                  2008 년 참여대학 분담금

                                                  7500 25 개 대학 300 만원

                                                  2007 년도 예산 이월액 2500

                                                  총 액 10000

                                                  25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4 2008 년도 사업 계획 및 소요 예산 자원

                                                    43) 2008 년도 예상 경비 ( 단위 만원 )

                                                    내 역 예 산 기 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8000 접속자 증가와 다량의 콘텐츠를 웹을 통해 지원하기에는 현재 주관대학의 장비만으로는 부족함

                                                    시스템 관리 및 운영 5000 사업 기간 동안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참여 대학 대상 워크샾 및 기술교육

                                                    콘텐츠 제작지원 17000 교수의 학습자원개발비 및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총액 30000

                                                    26

                                                    • Slide 1
                                                    • Slide 2
                                                    • Slide 3
                                                    • Slide 4
                                                    • Slide 5
                                                    • Slide 6
                                                    • Slide 7
                                                    • Slide 8
                                                    • Slide 9
                                                    • Slide 10
                                                    • Slide 11
                                                    • Slide 12
                                                    • Slide 13
                                                    • Slide 14
                                                    • Slide 15
                                                    • Slide 16
                                                    • Slide 17
                                                    • Slide 18
                                                    • Slide 19
                                                    • Slide 20
                                                    • Slide 21
                                                    • Slide 22
                                                    • Slide 23
                                                    • Slide 24
                                                    • Slide 25
                                                    • Slide 26

                                                      top related